KR101941518B1 -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 Google Patents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518B1
KR101941518B1 KR1020170097756A KR20170097756A KR101941518B1 KR 101941518 B1 KR101941518 B1 KR 101941518B1 KR 1020170097756 A KR1020170097756 A KR 1020170097756A KR 20170097756 A KR20170097756 A KR 20170097756A KR 101941518 B1 KR101941518 B1 KR 101941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t
terminal block
terminal
hour meter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현
Original Assignee
(주)에스지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지이엠 filed Critical (주)에스지이엠
Priority to KR1020170097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25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량계 교체시 전력량계에 연결된 부하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되지 않는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돕는,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지 않도록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에 있어서, 변류기(CT)를 이용하여 전류만 변류시켜 부하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NON-INTERRUPTING ELECTRIC TERMINAL BLOCK FOR CHANGING OF WATT-HOUR METER}
본 발명은 전력량계 교체시 전력량계에 연결된 부하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되지 않는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돕는,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지 않도록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에 있어서, 변류기(CT)를 이용하여 전류만 변류시켜 부하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다루는 전력량계는, 주택의 전기 소비량을 측정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이다.
이러한 전력량계는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거의 모든 구조물(부하)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전력량계를 교체하게 되면 부하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밖에 없다.
만약, 전원 공급을 차단하지 않고 전력량계를 교체하게 되면, 전기가 흐르는 상태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감전될 가능성이 높고, 공급되는 전력 상에도 쇼트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은, 부하의 작업 중인 이력을 손실하게 되므로 현실적으로 매우 번거롭다.
예를 들어, 서류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노트북이나 컴퓨터의 경우에는 작업 중이던 자료가 손실될 가능성이 높고, 항상 전원의 공급을 요구하는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은 전원 공급이 차단됨으로써 보관하던 것들의 신선도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전력량계 교체시 단자대를 이용하여 전원 공급이 차단되지 않는 무정전 상태로 전력량계 교체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다수 기재되어 있다.
먼저, 등록특허공보 제10-1030727호에는 전기계량기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전기계량기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계량기 교체 작업시 정전없이 할 수 있도록 하며, 조립식으로 삼상 4선식은 물론 단상 2선식 등에도 사용 가능하고, 파손시 개별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한 전기계량기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은, 무정전 상태를 가능하도록 하는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의 슬롯 개수 형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다음으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8865호에는 전력계량기 무정전 교환장치 단자대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수용처의 전기 사용량을 계량하는 3상4선식 220/380V 전력 계량기가 검정유효기간이 만료되었거나 고장일 경우, 상위 또는 하위 용량의 전력계량기(18)로 전기를 공급하는 상태에서 교체하는 무정전 교환장치의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력계량기(18)의 전원측 단자에 인입리드선(22)을 접속하는 상부동봉(4) 6개와 전원측 인입전선(20)을 접속하는 하부동봉(5) 6개, 상부동봉(4)과 하부 동봉(5)을 연결 및 차단하는 동봉연결핀(3) 6개, 전원측 A·B·C상과 부하측 A·B·C상을 단락 및 개방하는 단락핀(6)을 구성하고 있으며, 전원측 및 부하측 N상에 인입전선(20)을 연결하는 중성선 동봉(8)을 가지며, 각 상간 사이 및 하부동봉(5)과 각상의 단락동봉(7)간에 절연벽(9)이 있고, 단자대 상부 및 하부에 전력계량기(18)와 전선을 연결하는 각각 8개의 전선 삽입구를 가지며 봉인을 할 수 있는 봉인겸용 지지볼트(13)로 단자대 카바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104254호에는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계기함 벽체에 설치되는 고정판(20)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단자설치홈(22)에 설치되는 단자(40)들과, 상기 단자들을 덮어서 보호하기 위하여 고정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30)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판은 상부면에 인입전선(60)과 인출전선(70)을 단자(40)와 연결하기 위한 전선연결볼트(62)가 관통되는 관통공(34)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40)는 양측이 고정판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되게 형성되어, 노출된 단자의 일측에는 전력량계단자(12)와 연결하기 위한 전력량계연결볼트용 너트공(42)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전력량계(10)를 분리할 때 무정전 시공할 수 있도록 바이패스 케이블(50)에 끼워넣어 연결할 수 있게 돌출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를 기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38297호에는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록을 채용한 배전함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전력량계(10)를 교체 작업할 때 1차전원이 세대 2차전원인 수용전원으로 인가되는 것을 차단시킬 필요 없이 간단하게 교체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배전함의 좁은 공간과 전력량계(10)의 단자규격에 제한 없이 새 전력량계로 편리하게 교체 설치 및 전원 연결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1차전원인 인입선(12)과 2차전원인 전원선(14)이 각각 내부에 설치된 콘센트단자접속(30)의 도선접속구(35)에 나사체결로 연결되면서 전력량계 방향의 도선접속구(35)에는 전력량계(10)의 계량전원단자(11)가 전원 연결되는 콘센트단자블럭(20)과, 전력량계(10)의 교체시에 1차전원이 직접 2차전원으로 전원인가될 수 있게 해당 플러그내선(42)으로 상호 연결되는 각각의 플러그단자(41)가 돌출되어 상기 콘센트단자블럭(20)의 해당 플러그접속구(31)에 접속 연결되는 전원인가플러그(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재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들은,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무정전 상태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에 전기가 계속 공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을 기재하지 않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30727호(2011.04.26.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8865호(2004.11.26.) 등록특허공보 제10-1104254호(2012.01.11.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38297호(2003.05.16.)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량계 교체시 전력량계에 연결된 부하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되지 않는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돕는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에 있어서, 변류기(CT)를 이용하여 전류만 변류시켜 부하로 공급하는,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는, 변류기(CT)를 이용하여 전류만 변류시켜 부하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는 연결대(14)에 단락유도부(50)가 삽입되는 경우, 전원의 전압은 P1, P2 및 P3으로 유도되어 계량 후 P0을 통해 부하로 흐르고, 전원의 전류는 변류기(CT)를 통해 변류되되, 전원측(k) 전류가 1S, 2S 및 3S로 유도되고, 계량 후 1L, 2L 및 3L로 유도되어 부하측(l)으로 출력되어 부하로 공급됨으로써, 전력량계(1) 교체시 작업자의 감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개방되되 다수의 격벽이 형성된 형태의 상부몸체(11);
개방된 상부몸체(11)의 하면에 결합되는 하부몸체(12); 및
상기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 사이에 포함되는 단자블록(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단자블록(13)은 동봉(銅棒)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는 상면이 커버(20)가 결합되어 덮히되, 상기 상부몸체(11)의 상면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커버 연결용 나사 삽입구(11a)가 구성되고, 커버 연결용 나사(30)가 상기 커버 연결용 나사 삽입구(11a)에 삽입되되 상기 커버 연결용 나사(30)가 커버(20)의 나사 관통구(21)를 관통하여 너트(40)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커버(2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의 일면에는 상기 단자블록(13)의 개수에 대응되는 선 연결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단자블록(13)의 일측에는 전기적 연통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 개의 홈부가 구성되며, 각 홈부에 연결대(14)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대(14)는 1S, 2S, 3S 및 P0에 해당하는 단자블록(13)에 구성된 홈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는 상기 연결대(14)에 단락유도부(50)가 삽입되되, 상기 단락유도부(50)는 상기 연결대(14)에 삽입되는 복수의 연결편(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단락유도부(50)의 복수의 연결편(51)은 4개로 구성되며, 이 중 3개는 1S, 2S 및 3S를 연결하고, 나머지 1개는 P0, 1L, 2L 및 3L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자블록(13) 중 P1, P2, P3 및 P0에 해당하는 단자블록(13)에는 전압점검용 볼트(15)가 삽입되되, 상기 전압점검용 볼트(15)는 나사산이 형성된 기둥이 상기 단자블록(13)의 상면으로부터 일부분 노출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에 의하면, 전원의 전압은 3상의 전압이 4선식의 중성선인 P0로 유도되어 부하로 흐르게 하는 한편, 전류만 변류기(CT)를 통해 drop 시킴으로써, 전력량계를 교체하는데 있어서 부하로 전원은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무정전 상태가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작업하여도 작업자의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통상의 변압기(PT)를 이용하여 전압을 drop 시키고, 변류기(CT)를 통해 전류를 drop 시키던 종래 단자대에 비해, 변압기(PT)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전압이 3상 4선식에 있어서 1개의 선상으로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전류가 흘러도 감전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에 있어서 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에 있어서 커버를 제거하고 단락유도부를 삽입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에 있어서 단락유도부가 삽입된 경우 전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의 실제 제품을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전력량계 교체시 전력량계에 연결된 부하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되지 않는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돕는,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에 있어서 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는, 전력량계(1)에 연결되되,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단자대(10)의 전력량계 측으로 돌출된 동봉(銅棒)이 동봉(銅棒) 결합구(2)에 결합됨으로써 전력량계(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동봉은, 후술되는 단자블록(13)의 개수에 맞춰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는, 단자대(10)부터 설명할 수 있는데, 이는 도 2를 참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에 있어서 커버를 제거하고 단락유도부를 삽입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자대(10)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개방되되 다수의 격벽이 형성된 형태의 상부몸체(11)를 포함하는데, 상기 상부몸체(11)는, 이의 상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커버 연결용 나사 삽입구(11a)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몸체(11)의 하부면은 개방된 상태로 하부몸체(12)가 결합되어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몸체(12)와 상부몸체(11) 사이에는 단자블록(13)이 포함되는데, 단자블록(13)은 복수 개 구성되되, 하나의 단자블록이 상부몸체(11)의 하나의 격벽에 하나씩 수용되도록 한다. 즉, 상부몸체(11)의 격벽은 총 10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단자블록(13) 중 전압을 유도하는 P1, P2, P3 및 P0에 해당하는 단자블록(13)의 일측에는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이 적절한지 검전하는 전압점검용 볼트(15)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단자블록(13)에는 홈부가 구성됨이 당연하다.
이러한 전압점검용 볼트(15)는 첨부된 도면의 도 2와 같이, 단자블록(13)의 상면을 기준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기둥이 일부분 노출되도록 체결된다.
이는 전압점검을 위한 악어집게의 고정이 쉽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전압점검용 볼트 또는 핀은 단자블록(13)의 상면에 볼 또는 핀의 헤드가 맞닿도록 체결되므로, 악어집게의 고정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압점검용 볼트(15)의 나사산이 형성된 기둥 일부분을 노출되도록 체결함으로써, 악어집게의 고정이 쉬워지도록 한다.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도 2에 도시된 전압점검용 볼트(15)의 헤드의 단면이 '
Figure 112017074381364-pat00001
'의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전압점검용 볼트(15)의 측면이 '
Figure 112017074381364-pat00002
'의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로 인해 악어집게 뿐만 아니라 집게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전압점겸용 볼트(15)의 헤드에 끼워지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헤드의 상부와 하부를 덮도록 구성되고, 측면만 개방된 형태가 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커버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서 얇게 형성되어, 악어집게가 전압점검용 볼트(15) 및 이의 헤드에 고정될 때 마찰력이 증진되어 고정이 더욱 견고해지도록 하는 한편, 악어집게와 전압전검용 볼트(15)의 헤드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만약에라도 발생될 수 있는 감전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단자블록(13)의 전력량계측 방향으로 상기 동봉(銅棒)이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단자대(10)의 전원측 방향의 일면에는 단자블록(13)의 개수에 대응되는 선 연결부(도면부호 미도시)가 구성되는데, 상기 선 연결부는 통상의 단자대의 1S, 2S, 3S, P1, P2, P3, (P0, 1L, 2L, 3L)의 연결을 위한 전류선 및 전압선인 전원선이 연결된다.
이러한 단자대(10)의 상측에는 커버(20)가 결합되어 덮일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커버 연결용 나사삽입구(11a)에는 커버 연결용 나사(30)가 체결 또는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연결용 나사(30)의 상부 일단은 커버(20)의 나사 관통구(21)를 관통하여 노출되며, 너트(4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너트(40)는 다양한 것을 적용할 수 있으나, 별도의 공구 없이 체결하기 위하여 나비 너트를 적용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커버(20)는, 단자대(10)의 상측에서부터 하부 전체까지 덮도록 구성되되, 전력량계측의 일면은 개방되고, 전원측은 도 1과 같이 소정의 형태로 개방된 형태를 갖도록 한다.
이는, 커버(20)를 덮은 상태로 단자대(10)를 계속 사용하기 위함이다.
한편, 설계 조건에 따라서, 커버(20)의 나사 관통구(21)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태를 갖되, 상기 외주면보다 조금 더 큰 절연판을 나사 관통구(21) 주변에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절연판은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의 고무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커버 연결용 나사(30) 및 너트(40)가 전기가 통하는 재질이므로, 만약의 사고를 대비하기 위하여 너트(40)로 전기가 통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절연판은 '凸'의 형태로 구성되어, 넓은 영역이 너트(40)의 하단부에 깔리고, 좁은 영역이 커버 연결용 나사(30)의 일단 일부분에 끼워지고, 너트(40)가 표면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좁은 영역의 외면에 나사산을 구비하거나, 재질을 얇게 하여 너트(40)를 억지로 조임으로서, 커버 연결용 나사(30)의 나사산과 너트(40)가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무정전을 유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커버(20)를 제거하기 위해 너트(40)에 신체가 접촉되어도 만약의 감전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는, 커버(20)를 제거한 뒤, 단자대(10)에 단락유도부(50)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단락유도부(50)는 손잡이 형태로 구성되며, 일측에 연결편(51)이 연결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반면, 종래의 단락유도부(50)와 유사한 것을 보면 손가락을 집어넣어 파지할 수 있는 구성이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잡으려다보면 신체 일부가 단락유도부(50) 또는 연결편(51) 등에 닿게 되어 감전이 발생될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구성됨에 따라,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단자블록(13)의 일측에는 전기적 연통을 가능하게 하는 홈부(도면부호 미도시)가 구성되어, 해당 홈부에 연결대(1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커버(20)가 제거되면 단자대(10)의 상면에 개방되고, 단락유도부(50)는 4개의 연결편(51)을 포함하는데, 상기 연결편(51)이 상기 단자대(10)의 연결대(14)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편(51)은, 단자대(10)의 1S, 2S, 3S, P0에 해당하는 단자블록(13)에 삽입된 연결대(14)로 삽입된다.
이때, 연결편(51)은 도면과 같이 4개로 구성되며, 이 중 3개는 1S, 2S 및 3S를 연결하고, 나머지 1개는, P0, 1L, 2L 및 3L을 common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단락유도부(50)가 단자대(10)에 삽입되면, 단자대(10)의 단자블록(13)은 전류를 도 3과 같이 우회시키고, 전압은 접지시킨다.
따라서, 작업자가 전력량계(1) 교체 작업 중 감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첨부된 도면의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에 있어서 단락유도부가 삽입된 경우 전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에 따르면, 전원의 전압은 P1, P2, P3으로 유도되어, 각각 저항을 거쳐 P0에서 모여 부하로 흐르는 구조이다. 즉, 3상 4선식을 채용하므로, 도 3과 같은 1, 2, 3에 해당하는 3상에 더하여 0에 해당하는 중성선이 포함되는데, 이를 통해 부하로 흐르도록 한다.
이때, 전압은 도 3과 같이 전류계량영역(도 3의 역 W)에 수직으로 통과하는 전압계량영역을 통해 전압이 계량될 수 있다.
그리고 전류는 1S, 2S, 3S를 통해 유도되며, 1S로 유도된 전류는 1L로 우회되고, 2S로 유도된 전류는 2L로 우회되며, 3S로 유도된 전류는 3L로 우회된다.
이때, 전류는 도 3의 역 W형으로 구성된 영역을 통해 전류가 계량되며, 전원측 전류가 1S, 2S, 3S로 유도되고, 1L, 2L, 3L로 유도되어 부하측(l)으로 출력되어 부하로 공급된다.
즉, 변류기(CT)를 통해 전류의 세기를 변류한 뒤, 전원측(k) 전류가 1S, 2S, 3S로 유도되고, 계량되어, 1L, 2L, 3L로 유도되어 부하측(l)으로 출력되는 것이다.
이때, 실제 전류의 크기는 변류되는 양과 실제 계량된 전류의 세기를 기반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변류기(CT)만 이용하여 전류 및 전압를 변류시켜 세기를 강하시키되, 전압과 전류의 유도가 분류되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전류에 노출되어도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전류가 존재하더라도 전압이 충분하지 않으면 감전될 정도의 전류가 흐르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의 실제 제품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4는 전력량계와 단자대가 결합된 것의 전면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커버가 제거된 상태에서 단락유도부가 결합된 단자대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단락유도부가 결합되지 않고 커버를 덮은 단자대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 전력량계
2 : 동봉(銅棒) 결합구
10 : 단자대
11 : 상부몸체
11a : 커버 연결용 나사 삽입구
12 : 하부몸체
13 : 단자블록
14 : 연결대
15 : 전압점검용 볼트
20 : 커버
21 : 나사 관통구
30 : 커버 연결용 나사
40 : 너트
50 : 단락유도부
51 : 연결편

Claims (10)

  1.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지 않도록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는,
    전력량계(1)의 동봉 결합구(2)에 동봉(銅棒)이 결합됨으로써 전력량계(1)와 연결되고,
    상면에서 하면으로 개방되되 다수의 격벽이 형성된 형태의 상부몸체(11);
    개방된 상부몸체(11)의 하면에 결합되는 하부몸체(12); 및
    상기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 사이에 포함되는 단자블록(13);을 포함하되,
    상기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의 일면에는 상기 단자블록(13)의 개수에 대응되는 선 연결부가 구성되고,
    상기 단자블록(13)의 일측에는 전기적 연통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 개의 홈부가 구성되며, 각 홈부에 단락유도부(50)가 삽입되는 연결대(14)가 삽입되며,
    상기 연결대(14)에 단락유도부(50)가 삽입되는 경우,
    전원의 전압은 P1, P2 및 P3으로 유도되어 전압계량영역에서 계량 후 P0에서 모여 부하로 흐르고,
    전원의 전류는 변류기(CT)를 통해 변류되되, 전원측(k) 전류가 1S, 2S 및 3S로 유도되고, 계량 후 1L, 2L 및 3L로 유도되어 부하측(l)으로 출력되어 부하로 공급됨으로써,
    전압과 전류를 분류시켜 유도하고, 변류기(CT)에서 전류만 변류하여, 작업자가 전류에 노출되어도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자블록(13)은 동봉(銅棒)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는,
    상면이 커버(20)가 결합되어 덮히되,
    상기 상부몸체(11)의 상면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커버 연결용 나사 삽입구(11a)가 구성되고,
    커버 연결용 나사(30)가 상기 커버 연결용 나사 삽입구(11a)에 삽입되되 상기 커버 연결용 나사(30)가 커버(20)의 나사 관통구(21)를 관통하여 너트(40)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커버(2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14)는 1S, 2S, 3S 및 P0에 해당하는 단자블록(13)에 구성된 홈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락유도부(50)는 상기 연결대(14)에 삽입되는 복수의 연결편(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단락유도부(50)의 복수의 연결편(51)은 4개로 구성되며,
    이 중 3개는 1S, 2S 및 3S를 연결하고, 나머지 1개는 P0, 1L, 2L 및 3L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단자블록(13) 중 P1, P2, P3 및 P0에 해당하는 단자블록(13)에는 전압점검용 볼트(15)가 삽입되되,
    상기 전압점검용 볼트(15)는,
    나사산이 형성된 기둥이 상기 단자블록(13)의 상면으로부터 일부분 노출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KR1020170097756A 2017-08-01 2017-08-01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KR101941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756A KR101941518B1 (ko) 2017-08-01 2017-08-01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756A KR101941518B1 (ko) 2017-08-01 2017-08-01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518B1 true KR101941518B1 (ko) 2019-01-23

Family

ID=65280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756A KR101941518B1 (ko) 2017-08-01 2017-08-01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5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078B1 (ko) * 2019-10-10 2020-07-23 한국전력공사 고압전자식전력량계 및 고압전자식전력량계에 설치된 브라켓
KR102213299B1 (ko) * 2019-08-20 2021-02-09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용 변류장치
CN114280342A (zh) * 2021-12-23 2022-04-05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试验接线盒及更换电能计量装置的方法
CN117856084A (zh) * 2024-03-08 2024-04-09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泰州供电分公司 一种电力用不停电换表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297A (ko) 2001-11-02 2003-05-16 조근석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
KR20040098865A (ko) 2003-05-16 2004-11-26 한국전력공사 전력계량기 무정전 교환장치 단자대
KR20110004056U (ko) * 2011-04-01 2011-04-25 한국전력공사 고압 전자식 전력량계 무정전 교체장치
KR101030727B1 (ko) 2009-10-28 2011-04-26 조규행 전기계량기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KR101104254B1 (ko) 2011-09-01 2012-01-11 프로몰엔지니어링주식회사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
KR200459689Y1 (ko) * 2011-02-11 2012-04-06 태형산업주식회사 무정전 교체단자대의 콘센트취부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297A (ko) 2001-11-02 2003-05-16 조근석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
KR20040098865A (ko) 2003-05-16 2004-11-26 한국전력공사 전력계량기 무정전 교환장치 단자대
KR101030727B1 (ko) 2009-10-28 2011-04-26 조규행 전기계량기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KR200459689Y1 (ko) * 2011-02-11 2012-04-06 태형산업주식회사 무정전 교체단자대의 콘센트취부구조
KR20110004056U (ko) * 2011-04-01 2011-04-25 한국전력공사 고압 전자식 전력량계 무정전 교체장치
KR101104254B1 (ko) 2011-09-01 2012-01-11 프로몰엔지니어링주식회사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299B1 (ko) * 2019-08-20 2021-02-09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용 변류장치
KR102137078B1 (ko) * 2019-10-10 2020-07-23 한국전력공사 고압전자식전력량계 및 고압전자식전력량계에 설치된 브라켓
CN114280342A (zh) * 2021-12-23 2022-04-05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试验接线盒及更换电能计量装置的方法
CN114280342B (zh) * 2021-12-23 2023-08-11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试验接线盒及更换电能计量装置的方法
CN117856084A (zh) * 2024-03-08 2024-04-09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泰州供电分公司 一种电力用不停电换表装置
CN117856084B (zh) * 2024-03-08 2024-05-28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泰州供电分公司 一种电力用不停电换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518B1 (ko)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US6086397A (en) High reliability raised floor power strip
US7493222B2 (en) High density metering system
US9384884B2 (en) Current transformer
KR101849727B1 (ko)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상을 모니터링하는 측정 시스템
BR112021013851A2 (pt) Estação de carga e disposição de componentes elétricos para controlar a transferência de eletricidade de uma rede elétrica a um veículo elétrico
US20180246150A1 (en) Phase aligned branch energy meter
KR100674146B1 (ko)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KR200423528Y1 (ko)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AU2015303065B2 (en) Vertical fuse-carrying base
US5936834A (en) Device and method for field balancing individual single phase meter loads in a three phase multiple meter stack
KR101434600B1 (ko) 전력량계의 무정전 작업을 위한 멀티단자대
RU2535236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характеристики композитного материал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JP5489326B2 (ja) 電力量計及び電力量計の表示器交換システム
KR101575217B1 (ko) 전자식 전력량계
JP5224766B2 (ja) 電力量計の接続アダプタおよび電力量計の交換作業方法
KR20090025771A (ko) 바이패스 스위치를 이용한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KR200388038Y1 (ko) 변류기 클램프 타입의 변류기를 포함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KR101457625B1 (ko)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KR100914554B1 (ko) 배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시스템
KR200440143Y1 (ko) 멀티 콘센트 덕트
KR101208351B1 (ko) 스플릿 타입 관통형 계측 장치
JP6868817B2 (ja) 情報提示システム、分電盤、情報提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531157A (en) Cut-out assembly
KR200471956Y1 (ko)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전력량계용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오결선 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