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956Y1 -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전력량계용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오결선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전력량계용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오결선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956Y1
KR200471956Y1 KR2020140001413U KR20140001413U KR200471956Y1 KR 200471956 Y1 KR200471956 Y1 KR 200471956Y1 KR 2020140001413 U KR2020140001413 U KR 2020140001413U KR 20140001413 U KR20140001413 U KR 20140001413U KR 200471956 Y1 KR200471956 Y1 KR 2004719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ion
socket
transformer
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만
Original Assignee
삼능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능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능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1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9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9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Abstract

본 고안은 계기용 변성기의 2차 단자부와 전력량계를 연결할 때 오결선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하고 구조가 간단한 효과를 가지는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전력량계용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오결선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계기용 변성기와 전력량계의 오결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량계와 결합되는 전력량계용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용 단자대는 제1 단자하우징과, 상기 제1 단자하우징과 연장형성되는 제2 단자하우징과, 상기 계기용 변성기와 상기 전력량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접속유닛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2 단자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 단자소켓과, 상기 제1 단자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량계와 접속되는 제1 연결단자와, 상기 제1 단자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단자와 연결되는 제2 연결단자와, 상기 제1 단자소켓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소켓단자와 상기 제2 연결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소켓은 상기 연결접속유닛과 한 번에 끼움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제1 접속 매칭부재를 갖는 제1 소켓본체와, 상기 연결접속유닛과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1 소켓본체를 감싸면서 설치되는 제1 소켓 결합테두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전력량계용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오결선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전력량계용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오결선 방지 시스템{Terminal block for electricity meter in order to protect wrong wire connection between electricity meter and MOF, and System for protecting wrong wire connection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전력량계용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오결선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기용 변성기와 전력량계를 연결할 때 상기 전력량계와 결합되어 오결선을 방지할 수 있는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전력량계용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오결선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기용 변성기는 입력되는 전압 및 전류에 대하여 이와 비례하는 전압 및 전류로 변성하는 기기이다. 상기 계기용 변성기는 전압 및 전류가 입력되는 1차 단자부와, 변성된 전압 및 전류가 출력되는 2차 단자부를 포함한다.
상기 2차 단자부는 상기 계기용 변성기에서 출력되는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전력량계와 연결된다
상기 전력량계에는 3상 전원의 복수의 전압단자, 복수의 전류단자 및 복수의 접지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2차 단자부에도 복수의 전압단자, 복수의 전류단자 및 복수의 접지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전력량계의 단자들과 상기 2차 단자부의 단자들은 각각 서로 대응되면서 결선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복수의 전압단자들과 복수의 전류단자들의 배열순서가 서로 섞인 상태에서 작업자가 단자들을 일대일 대응시키면서 수동으로 결선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계기용 변성기와 상기 전력량계의 연결시 오결선이 쉽게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기기의 고장 및 오작동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계기용 변성기의 2차 단자부와 전력량계를 연결할 때 오결선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하고 구조가 간단한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전력량계용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오결선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계기용 변성기와 전력량계의 오결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량계와 결합되는 전력량계용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용 단자대는 제1 단자하우징과, 상기 제1 단자하우징과 연장형성되는 제2 단자하우징과, 상기 계기용 변성기와 상기 전력량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접속유닛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2 단자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 단자소켓과, 상기 제1 단자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량계와 접속되는 제1 연결단자와, 상기 제1 단자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단자와 연결되는 제2 연결단자와, 상기 제1 단자소켓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소켓단자와 상기 제2 연결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소켓은 상기 연결접속유닛과 한 번에 끼움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제1 접속 매칭부재를 갖는 제1 소켓본체와, 상기 연결접속유닛과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1 소켓본체를 감싸면서 설치되는 제1 소켓 결합테두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전력량계용 단자대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매칭부재는 7개 이상의 핀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매칭부재는 상기 연결접속유닛에 7개 이상의 체결핀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1 접속부재와 동시에 끼움결합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연결접속유닛과 상기 제1 소켓본체의 결합위치를 특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소켓본체의 외측면에는 상기 연결접속유닛에 구비되는 제1 위치결정슬릿과 대응되는 제1 위치결정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연결접속유닛과 상기 제1 소켓 결합테두리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1 소켓 결합테두리의 외측면에는 상기 연결접속유닛에 구비되는 제1 슬라이딩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제1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슬라이딩홈은 상기 제1 소켓 결합테두리의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량계용 단자대는 상기 계기용 변성기와 상기 전력량계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제1 단자소켓이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계기용 변성기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전선과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보조연결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량계용 단자대는 상기 전력량계의 원격검침을 위한 통신장비의 전원공급을 위한 콘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고안은 상술한 전력량계용 단자대; 상기 계기용 변성기의 2차 단자부에 구비되는 변성기용 단자대; 그리고, 상기 전력량계용 단자대와 상기 변성기용 단자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접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접속유닛은 상기 전력량계용 단자대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체결부와, 상기 변성기용 단자대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제2 체결부와,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연결하는 전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오결선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매칭부재와 일대일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1 접속부재를 갖는 제1 플러그본체와, 일단은 상기 제1 플러그본체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전선부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제1 플러그 고정부재와, 상기 제1 플러그 고정부재의 외측면과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단자소켓과의 결합을 위한 제1 플러그 결합테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성기용 단자대는 단자블럭과, 상기 연결접속유닛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단자블럭에 설치되는 제2 단자소켓과, 상기 단자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계기용 변성기의 내부 구성부품과 연결되는 제1 단자와, 상기 단자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소켓과 상기 제2 단자를 연결하는 내부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자소켓은 상기 연결접속유닛과 한 번에 끼움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제2 접속 매칭부재를 갖는 제2 소켓본체와, 상기 제2 소켓본체를 감싸면서 설치되되 상기 제2 체결부와의 결합을 위한 제2 소켓 결합테두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방지를 위한 전력량계용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오결선 방지 시스템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기용 변성기와 전력량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접속유닛과의 결합을 위하여 전력량계용 단자대에 제1 단자소켓을 설치하되, 상기 제1 단자소켓이 상기 연결접속유닛과 한 번에 끼움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접속 매칭부재를 갖는 제1 소켓본체와, 상기 연결접속유닛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1 소켓본체를 감싸면서 설치되는 제1 소켓 결합테두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전력량계용 단자대와 상기 연결접속유닛의 결선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인한 오결선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상기 전력량계용 단자대에 상기 계기용 변성기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전선과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보조연결단자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연결접속유닛 똔느 상기 제1 단자소켓의 고장으로 인하여 상기 제1 단자소켓이 사용되지 않을 때에도 상기 전력량계용 단자대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전력량계용 단자대에 제1 단자소켓이 설치되고, 변성기용 단자대에 제2 단자소켓이 설치되며, 상기 연결접속유닛의 제1 체결부가 상기 제1 단자소켓과 한번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연결접속유닛의 제2 체결부가 상기 제2 단자소켓과 한번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결선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인한 오결선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오결선 방지 시스템에 의하여 계기용 변성기와 전력량계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오결선 방지 시스템에 구비된 전력량계용 단자대, 연결접속유닛 및 변성기용 단자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전력량계용 단자대와 연결접속유닛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전력량계용 단자대를 상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변성기용 단자대를 하부에서 경사지게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력량계용 단자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전력량계용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오결선 방지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오결선 방지 시스템은 전력량계(500)에 설치되는 전력량계용 단자대(400)와, 계기용 변성기(200)의 2차 단자부(230)에 설치되는 변성기용 단자대(100)와, 상기 전력량계용 단자대(400)와 상기 변성기용 단자대(10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접속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계기용 변성기(200)는 변성기 몸체(210), 부싱유닛(220), 접지부싱(240) 및 2차 단자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부싱유닛(220)의 일단은 상기 변성기 몸체(210)의 상부로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변성기 몸체(210)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변성기 몸체(210)의 내부 구성부품과 연결된다.
상기 접지부싱(240)은 상기 변성기 몸체(210)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2차 단자부(230)는 상기 변성기 몸체(210)의 전면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전력량계(400)는 상기 계기용 변성기(200)와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계기용 변성기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력량계용 단자대(400)는 정전없이 전력량계를 시험하거나, 전선의 단락, 역상 등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계기용 변성기(200)와 상기 전력량계(500)의 오결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량계(500)와 결합된다.
상기 전력량계용 단자대(400)는 제1 단자하우징(480), 제2 단자하우징(410), 제1 단자소켓(420), 제1 연결단자(440), 제2 연결단자(460), 전기연결부재(미도시) 및 보조연결단자(47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자하우징(480)은 상기 전력량계용 단자대(400)의 베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단자하우징(410)은 상기 제1 단자하우징(480)에서 돌출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2 단자하우징(410)에는 상기 전력량계용 단자대의 커버와의 결합을 위한 커버체결부재(451)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단자하우징(480)에도 상기 전력량계용 단자대의 커버와의 결합을 위한 커버체결보스(453) 및 커버체결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연결단자(440)는 상기 제1 단자하우징(480)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량계(500)와 접속된다. 상기 제1 연결단자(440)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단자하우징(480)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연결단자(460)는 상기 제1 단자하우징(480)에 설치되며, 일측은 상기 제1 연결단자(44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단자소켓(4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소켓단자(미도시)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전기연결부재가 상기 제1 소켓단자와 상기 제2 연결단자(460)를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접속유닛(300)의 제1 체결부(320)가 상기 제1 단자소켓(420)과 결합되면, 상기 제1 단자소켓(420)은 상기 전기연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2 연결단자(460)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단자(460)는 상기 제1 연결단자(440)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단자(440)는 상기 전력량계(500)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1 단자소켓(420)은 상기 계기용 변성기(200)와 상기 전력량계(500)를 연결하기 위한 상기 연결접속유닛(300)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2 단자하우징(410)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자소켓(420)은 상기 연결접속유닛(300)과 한 번에 끼움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제1 접속 매칭부재(421a)를 갖는 제1 소켓본체(421)와, 상기 제1 소켓본체(421)를 감싸면서 설치되되 상기 연결접속유닛(300)과 결합을 위한 제1 소켓 결합테두리(4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매칭부재(421a)는 7개 이상의 핀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매칭부재(421a)는 상기 연결접속유닛(300)에 7개 이상의 체결핀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1 접속부재(321a)와 동시에 끼움결합된다.
상기 제1 소켓본체(421)는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소켓본체(421)의 외측면에는 상기 연결접속유닛(300)의 제1 체결부(320)와 상기 제1 소켓본체(421)의 결합위치를 특정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접속유닛(300)에 구비되는 제1 위치결정슬릿(321b)과 대응되는 제1 위치결정돌기(421b)가 돌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소켓본체(421)는 상기 제1 접속 매칭부재(421a)가 일렬로 배열되는 직사각형의 단면 또는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 단면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소켓본체(421)의 상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매칭부재(421a)들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스티커가 부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소켓 결합테두리(425)의 외측면에는 상기 연결접속유닛(300)과 상기 제1 소켓 결합테두리(425)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연결접속유닛(300)에 구비되는 제1 슬라이딩 결합돌기(323a)와 대응되는 제1 슬라이딩홈(42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슬라이딩홈(425a)은 상기 제1 슬라이딩 결합돌기(323a)가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소켓 결합테두리(425)의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연결접속유닛(300)은 상기 전력량계용 단자대(400)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체결부(320)와, 상기 변성기용 단자대(100)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제2 체결부(330)와, 상기 제1 체결부(320)와 상기 제2 체결부(330)를 연결하는 전선부(31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체결부(320)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매칭부재(421a)와 일대일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1 접속부재(321a)를 갖는 제1 플러그본체(327)와, 일단은 상기 제1 플러그본체(327)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전선부(310)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제1 플러그 고정부재(325)와, 상기 제1 플러그 고정부재(325)의 외측면과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단자소켓(420)과의 결합을 위한 제1 플러그 결합테두리(323)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체결부(330)는 제2 플러그 본체(337)와, 제2 플러그 고정부재(335)와, 제2 플러그 결합테두리(333)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체결부(330)의 구조는 상기 제1 체결부(320)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2 체결부(330)와 상기 변성기용 단자대(100)에 구비된 제2 단자소켓(120)의 결합구조는 상기 제1 체결부(320)와 상기 제1 단자소켓(420)의 결합구조와 동일하므로, 상기 제1 체결부(320)와 상기 제1 단자소켓(420)의 결합구조에 한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전선은 7개 이상의 전선으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부재(321a)는 7개 이상의 체결핀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플러그본체(327)는 상기 제1 플러그 고정부재(325)와 결합되는 몸체(미도시)와, 상기 몸체에서 돌출되는 상기 제1 접속부재(321a)와, 상기 몸체의 테두리에서 상기 제1 접속부재(321a)가 돌출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접속부재(321a)를 보호하는 제1 보호테두리(32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플러그본체(327), 즉 상기 제1 보호테두리(321)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단자소켓의 제1 소켓본체(421)와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1 위치결정슬릿(32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플러그 결합테두리(323)는 상기 제1 플러그 고정부재(325)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지만, 일정거리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 플러그 고정부재(325)의 걸림턱(미도시)에 걸리면서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상기 제1 플러그 결합테두리(323)는 상기 제1 보호테두리(321)와 반경방향으로 일정거리를 가지면서 배치된다. 즉, 상기 제1 플러그 결합테두리(323)의 직경은 상기 제1 보호테두리(321)의 직경보다 큰 값을 가진다.
상기 제1 플러그 결합테두리(323)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단자소켓의 제1 소켓 결합테두리(425)와의 결합을 위한 제1 슬라이딩 결합돌기(323a)가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슬라이딩 결합돌기(323a)는 3개로 구비되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양한 갯수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위치결정슬릿(321b)과 상기 제1 위치결정돌기(421b)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접속부재(321a)와 상기 제1 접속 매칭부재(421a)가 한 번에 끼워진 후, 상기 제1 슬라이딩 결합돌기(323a)와 상기 제1 슬라이딩홈(425a)이 결합되면서 상기 제1 플러그 결합테두리(323)와 상기 제1 소켓 결합테두리(425)가 결합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복수 개의 제1 접속부재(321a)와 복수 개의 제1 접속 매칭부재(421a)가 정위치에서 한번에 동시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전력량계(400)와 계기용 변성기(200)의 결선이 쉽고 간편하게 수행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전력량계(400)와 계기용 변성기(200)의 오결선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소켓본체(421)에 제1 위치결정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러그본체(327)에 제1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접속부재(321a)가 복수 개의 핀삽입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속 매칭부재(421a)가 복수 개의 체결핀으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슬라이딩 결합돌기(323a)는 상기 제1 소켓 결합테두리(425)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라이딩홈(425a)은 상기 제1 플러그 결합테두리(323)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제1 단자소켓(420)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제1 소켓 결합테두리(425)의 외측면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접속유닛(300)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소켓 결합테두리(425)의 외측면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러그 결합테두리(323)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나사산과 대응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변성기용 단자대(100)와 상기 연결접속유닛(300)이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제1 단자소켓(420)에 문제가 있거나, 상기 계기용 변성기와 상기 전력량계(500)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제1 단자소켓(42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계기용 변성기(20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전선(미도시)과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보조연결단자(470)가 상기 제1 단자하우징(480)에 설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자하우징(480)에는 상기 연결전선의 복수 개의 전선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제1 전선삽입홈(4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전선삽입홈(430)에 삽입된 전선은 상기 보조연결단자(4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력량계용 단자대(400)에는 상기 제1 단자소켓(420)과 상기 보조연결단자(470)가 함께 설치되지만,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변성기용 단자대(100)는 단자블럭(110)과, 상기 연결접속유닛(300)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단자블럭(110)에 설치되는 제2 단자소켓(120)과, 상기 단자블럭(110)에 설치되어 상기 계기용 변성기(200)의 내부 구성부품과 연결되는 제1 단자(170)와, 상기 단자블럭(110)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단자(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 단자(150)와, 상기 제2 단자소켓(120)과 상기 제2 단자(150)를 연결하는 내부전선(130)과, 상기 단자블럭(110)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단자(170)와 상기 제2 단자(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금속도체(1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자블럭(110)은 상기 2차 단자부(230)의 내부케이스에 고정되는 제1 단자블럭(111)과, 상기 제1 단자블럭(111)과 단차지게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제2 단자소켓(120)이 결합되는 제2 단자블럭(11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자블럭(111)에는 상기 제1 단자(170)의 설치를 위한 제1 단자설치홈(111c)과, 상기 제2 단자(150)의 설치를 위한 제2 단자설치홈(111d)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단자설치홈(111c)과 상기 제2 단자설치홈(111d)은 상기 제1 단자블럭(11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대응되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자블럭(111)에는 상기 내부전선(130)의 수용을 위한 내부전선 수용홈(11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단자(170)는 상기 제1 단자블럭(111)상에 설치되어 상기 계기용 변성기(200)의 내부 구성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자(150)는 상기 제1 단자블럭(111)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단자(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계기용 변성기(200)와 연결되는 상기 제1 단자(170)의 배열순서는 상기 제2 단자소켓(12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점부터 1S, P1, 2S, P2, 3S, P3, P0, 3L, 2L, 1L, 접지의 순서이다.
여기서, 상기 1S, 2S, 3S, 1L, 2L, 3L은 전류측 단자이고, P1, P2, P3, P0는 전압측 단자이며, 상기 P0, 3L, 2L, 1L 및 접지는 모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금속도체(140)는 상기 단자블럭(110)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단자(170)와 상기 제2 단자(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되고, 상기 내부전선(130)은 상기 단자소켓(120)과 상기 제2 단자(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제2 단자소켓(120)에 문제가 있거나, 상기 계기용 변성기(200)와 상기 전력량계(500)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제2 단자소켓(12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계기용 변성기(20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전선(미도시)과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보조단자(160)가 상기 제1 지지블럭(111)에 설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지블럭(111)에는 상기 연결전선의 복수 개의 전선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제2 전선삽입홈(11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전선삽입홈(111a)에 삽입된 전선은 상기 보조단자(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변성기용 단자대(100)에는 상기 제2 단자소켓(120)과 상기 보조단자(160)가 함께 설치되지만,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단자소켓(120)은 상기 연결접속유닛(300)과 한 번에 끼움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제2 접속 매칭부재(121a)를 갖는 제2 소켓본체(121)와, 상기 제2 소켓본체(121)를 감싸면서 설치되되 상기 제2 체결부(330)와의 결합을 위한 제2 소켓 결합테두리(125)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단자소켓(120)의 세부구조는 상기 제1 단자소켓(420)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력량계용 단자대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력량계용 단자대(600)는 상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량계용 단자대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술한 일 실시 예에 구비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들, 즉 제1 단자하우징(680), 제2 단자하우징(610), 제1 단자소켓(620), 제1 연결단자(640) 및 제1 전선삽입홈(6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력량계 단자대(600)는, 상술한 일 실시 예와 달리, 상기 제2 단자하우징(610)에 전력량계의 원격검침을 위한 통신장비의 전원공급을 위한 콘센트(690)가 설치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100: 전력량계용 단자대 110: 단자블럭
120: 제2 단자소켓 125: 제2 소켓본체
130: 내부전선 140: 금속도체
150: 제2 단자 160: 보조단자
170: 제1 단자 200: 계기용 변성기
300: 연결접속유닛 310: 전선부
320: 제1 체결부 321a: 제1 접속부재
321b: 제1 위치결정슬릿 323: 제1 플러그 결합테두리
323a: 제1 슬라이딩 결합돌기 325: 제1 플러그 고정부재
327: 제1 플러그 본체 330: 제2 체결부
400: 전력량계용 단자대 410: 제2 단자대하우징
420: 제1 단자소켓 421: 제1 소켓본체
421a: 제1 접속 매칭부재 421b: 제1 위치결정돌기
425: 제1 소켓 결합테두리 425a: 제1 슬라이딩홈
440: 제1 연결단자 460: 제2 연결단자
470: 보조연결단자 480: 제1 단자하우징

Claims (10)

  1. 계기용 변성기와 전력량계의 오결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량계와 결합되는 전력량계용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용 단자대는 제1 단자하우징과, 상기 제1 단자하우징과 연장형성되는 제2 단자하우징과, 상기 계기용 변성기와 상기 전력량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접속유닛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2 단자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 단자소켓과, 상기 제1 단자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량계와 접속되는 제1 연결단자와, 상기 제1 단자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단자와 연결되는 제2 연결단자와, 상기 제1 단자소켓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소켓단자와 상기 제2 연결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소켓은 상기 연결접속유닛과 한 번에 끼움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제1 접속 매칭부재를 갖는 제1 소켓본체와, 상기 연결접속유닛과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1 소켓본체를 감싸면서 설치되는 제1 소켓 결합테두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전력량계용 단자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매칭부재는 7개 이상의 핀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매칭부재는 상기 연결접속유닛에 7개 이상의 체결핀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1 접속부재와 동시에 끼움결합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전력량계용 단자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접속유닛과 상기 제1 소켓본체의 결합위치를 특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소켓본체의 외측면에는 상기 연결접속유닛에 구비되는 제1 위치결정슬릿과 대응되는 제1 위치결정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전력량계용 단자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접속유닛과 상기 제1 소켓 결합테두리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1 소켓 결합테두리의 외측면에는 상기 연결접속유닛에 구비되는 제1 슬라이딩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제1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슬라이딩홈은 상기 제1 소켓 결합테두리의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전력량계용 단자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용 단자대는 상기 계기용 변성기와 상기 전력량계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제1 단자소켓이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계기용 변성기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전선과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보조연결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전력량계용 단자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용 단자대는 상기 전력량계의 원격검침을 위한 통신장비의 전원공급을 위한 콘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전력량계용 단자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는 전력량계용 단자대;
    상기 계기용 변성기의 2차 단자부에 구비되는 변성기용 단자대; 그리고,
    상기 전력량계용 단자대와 상기 변성기용 단자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접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접속유닛은 상기 전력량계용 단자대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체결부와, 상기 변성기용 단자대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제2 체결부와,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연결하는 전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오결선 방지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접속 매칭부재와 일대일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1 접속부재를 갖는 제1 플러그본체와, 일단은 상기 제1 플러그본체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전선부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제1 플러그 고정부재와, 상기 제1 플러그 고정부재의 외측면과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단자소켓과의 결합을 위한 제1 플러그 결합테두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오결선 방지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기용 단자대는 단자블럭과, 상기 연결접속유닛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단자블럭에 설치되는 제2 단자소켓과, 상기 단자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계기용 변성기의 내부 구성부품과 연결되는 제1 단자와, 상기 단자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소켓과 상기 제2 단자를 연결하는 내부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오결선 방지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소켓은 상기 연결접속유닛과 한 번에 끼움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제2 접속 매칭부재를 갖는 제2 소켓본체와, 상기 제2 소켓본체를 감싸면서 설치되되 상기 제2 체결부와의 결합을 위한 제2 소켓 결합테두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오결선 방지 시스템.
KR2020140001413U 2014-02-24 2014-02-24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전력량계용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오결선 방지 시스템 KR2004719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413U KR200471956Y1 (ko) 2014-02-24 2014-02-24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전력량계용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오결선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413U KR200471956Y1 (ko) 2014-02-24 2014-02-24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전력량계용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오결선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956Y1 true KR200471956Y1 (ko) 2014-03-26

Family

ID=51484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413U KR200471956Y1 (ko) 2014-02-24 2014-02-24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전력량계용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오결선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95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030Y1 (ko) 2000-10-07 2001-03-15 박희상 변성기부 전력량계 시험용 단자대
KR20010038831A (ko) * 1999-10-27 2001-05-15 이종훈 계량기와 계기용 변성기의 결선장치
KR200322467Y1 (ko) 2003-05-24 2003-08-09 정덕조 계기용 변성기의 2차 단자대
KR20090003133U (ko) * 2007-09-28 2009-04-01 한국전력공사 오결선 방지용 단자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831A (ko) * 1999-10-27 2001-05-15 이종훈 계량기와 계기용 변성기의 결선장치
KR200217030Y1 (ko) 2000-10-07 2001-03-15 박희상 변성기부 전력량계 시험용 단자대
KR200322467Y1 (ko) 2003-05-24 2003-08-09 정덕조 계기용 변성기의 2차 단자대
KR20090003133U (ko) * 2007-09-28 2009-04-01 한국전력공사 오결선 방지용 단자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57043B2 (ja) 危険領域において単極セットを使用してフィールドバス通信と電力を携帯メンテナンスツールから送信する方法、電気コネクタ組立体、可搬装置組立体、二極プラグ
US9384884B2 (en) Current transformer
JP6373019B2 (ja) 模擬電力供給装置及び正常計量確認装置
US10020627B1 (en) Watthour meter block with safety shield
JP2009047651A (ja) 電力量計の接続アダプタおよび電力量計の交換作業方法
US20150338443A1 (en) Terminal block having integrated current transformers
JP2016017834A (ja) 電力量計用端子アダプタ
KR101941518B1 (ko)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US6828796B2 (en) Electrical continuity tester
KR200471956Y1 (ko)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 방지를 위한 전력량계용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오결선 방지 시스템
JP2009081929A (ja) ケーブル接続チェッカー
JP5224766B2 (ja) 電力量計の接続アダプタおよび電力量計の交換作業方法
KR200481519Y1 (ko) 전자식 전력량계의 시험용 단자나사
US20140375328A1 (en) Testing apparatus for an electrical outlet
KR200471566Y1 (ko) 전력량계와 계기용 변성기의 오결선방지용 결선장치
US10620242B2 (en) Watthour meter block with safety shield
JP6083018B2 (ja) 電流計測部材
CN105510658A (zh) 电能表间隙配合接插件以及电能表间隙配合安装方法
US10571494B2 (en) Electric power measuring device
JP4979062B2 (ja) 信号伝達回路装置
US20150253371A1 (en) Electromagnetic radiation detecting system and method
JP2020085693A (ja) 電力量計及び固定具
US7852064B1 (en) Meter device and method of testing a cut neutral conductor
KR20170002884U (ko) 3상 일체형 전력수급계기용 변류기
CN203774709U (zh) 电源分配单元和连接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