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254B1 -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 - Google Patents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254B1
KR101104254B1 KR1020110088431A KR20110088431A KR101104254B1 KR 101104254 B1 KR101104254 B1 KR 101104254B1 KR 1020110088431 A KR1020110088431 A KR 1020110088431A KR 20110088431 A KR20110088431 A KR 20110088431A KR 101104254 B1 KR101104254 B1 KR 101104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ixing plate
uninterruptible
watt
electricity 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길
Original Assignee
프로몰엔지니어링주식회사
조용길
주식회사 디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몰엔지니어링주식회사, 조용길, 주식회사 디엔텍 filed Critical 프로몰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8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는, 계기함 벽체에 설치되는 고정판(20)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단자설치홈(22)에 설치되는 단자(40)들과, 상기 단자들을 덮어서 보호하기 위하여 고정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30)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판은 상부면에 인입전선(60)과 인출전선(70)을 단자(40)와 연결하기 위한 전선연결볼트(62)가 관통되는 관통공(34)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40)는 양측이 고정판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되게 형성되어, 노출된 단자의 일측에는 전력량계단자(12)와 연결하기 위한 전력량계연결볼트용 너트공(42)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전력량계(10)를 분리할 때 무정전 시공할 수 있도록 바이패스 케이블(50)에 끼워넣어 연결할 수 있게 돌출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로서;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의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으며, 그 구성 부품의 모양이 단순하고 부품 수가 적어서 제작단가가 매우 저렴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UNINTERRUPTIBLE POWER SUPPLY PORT FOR WATT-HOUR METER INSTALL}
본 발명은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의 교체가 가능한 전력량계 설치용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사용량을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전력량계를 교체할 때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동안 정전이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제안된 종래의 기술로서, "전기계량기 교체용 무정전단자대(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10-1030727, 등록일자 2011년 4월 15일)"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무정전 단자대는, 일측은 전기계량기 본체의 인입구에 연결되는 제 1 단자를 갖고, 타측은 전원측 전선 또는 부하측 전선이 연결되는 제 2 단자를 가지며,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3 단자를 갖는 복수개의 이동형 단자대와;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 단자대 중 임의 두 단자대의 상기 제 3 단자에 접속되는 복수개의 접속구로 이루어진 바이패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부품 수가 많고 복잡하며 부품 조립에 따른 원가의 상승으로 비교적 제품가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써, 부품 수가 적고 조립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전력량계를 무정전 상태로 교체할 수 있는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는, 계기함 벽체에 설치되는 고정판(20)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단자설치홈(22)에 설치되는 단자(40)들과, 상기 단자들을 덮어서 보호하기 위하여 고정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30)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판은 상부면에 인입전선(60)과 인출전선(70)을 단자(40)와 연결하기 위한 전선연결볼트(62)가 관통되는 관통공(34)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40)는 양측이 고정판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되게 형성되어, 노출된 단자의 일측에는 전력량계단자(12)와 연결하기 위한 전력량계연결볼트용 너트공(42)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전력량계(10)를 분리할 때 무정전 시공할 수 있도록 바이패스 케이블(50)에 끼워넣어 연결할 수 있게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는,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의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으며, 그 구성 부품의 모양이 단순하고 부품 수가 적어서 제작단가가 매우 저렴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와 전력량계 설치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와 전력량계 분해도
이하, 본 발명의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무정전 단자대는, 계기함 벽체에 설치되는 고정판(20)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단자설치홈(22)에 설치되는 단자(40)들과, 상기 단자들을 덮어서 보호하기 위하여 고정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30)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판은 상부면에 인입전선(60)과 인출전선(70)을 단자(40)와 연결하기 위한 전선연결볼트(62)가 관통되는 관통공(34)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40)는 양측이 고정판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되게 형성되어, 노출된 단자의 일측에는 전력량계단자(12)와 연결하기 위한 전력량계연결볼트용 너트공(42)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전력량계(10)를 분리할 때 무정전 시공할 수 있도록 바이패스 케이블(50)에 끼워넣어 연결할 수 있게 돌출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이다.
또한, 상기 단자(40)들은 전기전도성 금속재로 제작되되, 상기 단자의 하부면 중간에는 고정판의 단자설치홈(22)에 삽입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하방돌출부(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의 상부면 중간에는 전선연결볼트용 너트공(4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20)과 덮개(30)는 전기절연성이 우수하고 열에 강한 합성수지재로서, 그 모양이 비교적 단순하여 해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합성수지재의 사출성형법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작된다.
상기 단자는 전기전도성이 동합금과 같이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로 제작되며, 그 모양이 단순하여 주조나 단조에 의하여 전체적인 모양을 제작한 다음에 필요한 위치에 너트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작된다.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은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되는 기술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에서 전력량계로 전기를 공급하는 인입전선(60)과 건물내로 전기를 공급하는 인출전선(70)이 전선연결볼트(62)를 매개로 대응되는 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에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단자는 전력량계연결볼트를 사용하여 대응되는 전력량계단자(12)와 연결되어 전력량계(10)에 설치되는 데, 이때 바이패스 케이블(50)과 연결하기 위하여 돌출되어 있는 부위에는 보호캡(80)을 씌워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에서 전력량계로 전기를 공급하는 인입전선(60)과 건물내로 전기를 공급하는 인출전선(70)이 전선연결볼트(62)를 매개로 대응되는 단자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보호캡(80)을 제거하여 돌출부위를 노출시킨 다음에 바이패스 케이블(50)을 연결한 후에 전력량계를 분리하여 건물내로 전기를 무정전으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를 전력량계에 설치하는 방법은 상기전력량계 분리 과정을 역순으로 실행하면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는,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의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으며, 그 구성 부품의 모양이 단순하고 부품 수가 적어서 제작단가가 매우 저렴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 전력량계 12 : 전력량계단자
20 : 고정판 22 : 단자설치홈
30 : 덮개 34 : 관통공
40 ; 단자 42 ; 전력량계연결볼트용 너트공
44 : 전선연결볼트용 너트공 46 : 하방돌출부
48 : 전력량계 연결볼트 50 : 바이패스 케이블
60 : 인입전선 62 : 전선연결볼트
70 : 인출전선 80 : 보호캡

Claims (2)

  1. 계기함 벽체에 설치되는 고정판(20)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단자설치홈(22)에 설치되는 단자(40)들과, 상기 단자들을 덮어서 보호하기 위하여 고정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30)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판은 상부면에 인입전선(60)과 인출전선(70)을 단자(40)와 연결하기 위한 전선연결볼트(62)가 관통되는 관통공(34)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40)는 양측이 고정판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되게 형성되어, 노출된 단자의 일측에는 전력량계단자(12)와 연결하기 위한 전력량계연결볼트용 너트공(42)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전력량계(10)를 분리할 때 무정전 시공할 수 있도록 바이패스 케이블(50)에 끼워넣어 연결할 수 있게 돌출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40)들은 전기전도성 금속재로 제작되되, 상기 단자의 하부면 중간에는 고정판의 단자설치홈(22)에 삽입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하방돌출부(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의 상부면 중간에는 전선연결볼트용 너트공(4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
KR1020110088431A 2011-09-01 2011-09-01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 KR101104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431A KR101104254B1 (ko) 2011-09-01 2011-09-01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431A KR101104254B1 (ko) 2011-09-01 2011-09-01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254B1 true KR101104254B1 (ko) 2012-01-11

Family

ID=45614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431A KR101104254B1 (ko) 2011-09-01 2011-09-01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2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518B1 (ko) 2017-08-01 2019-01-23 (주)에스지이엠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KR20230003740A (ko) * 2021-06-30 2023-01-06 (주)엔씨코리아 전류센서 일체형 무정전 교체 단자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5845A (ja) 1997-05-23 1998-12-08 Toru Miyamoto 無停電工具
KR20030078510A (ko) * 2002-03-30 2003-10-08 도재희 귀금속질감효과를 가지는 수의용 직물의 가공방법
KR200378510Y1 (ko) 2004-12-13 2005-03-11 김수진 전력량계의 단자블록
KR101030727B1 (ko) 2009-10-28 2011-04-26 조규행 전기계량기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5845A (ja) 1997-05-23 1998-12-08 Toru Miyamoto 無停電工具
KR20030078510A (ko) * 2002-03-30 2003-10-08 도재희 귀금속질감효과를 가지는 수의용 직물의 가공방법
KR200378510Y1 (ko) 2004-12-13 2005-03-11 김수진 전력량계의 단자블록
KR101030727B1 (ko) 2009-10-28 2011-04-26 조규행 전기계량기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518B1 (ko) 2017-08-01 2019-01-23 (주)에스지이엠 전력량계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KR20230003740A (ko) * 2021-06-30 2023-01-06 (주)엔씨코리아 전류센서 일체형 무정전 교체 단자대
KR102518617B1 (ko) 2021-06-30 2023-04-06 (주)엔씨코리아 전류센서 일체형 무정전 교체 단자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146B1 (ko)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KR101104254B1 (ko)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
JP6270618B2 (ja) 接続導体ユニット
KR101169910B1 (ko) 전류센서 조립체
CN101710557A (zh) 带有多功能罩壳的塑壳式漏电断路器
CN204376000U (zh) 一种控制器的端子盖及控制器
CN201820720U (zh) 漏电断路器
KR200484332Y1 (ko) 전기계량기함
CN208077886U (zh) 继电器安装结构及继电器
CN203288788U (zh) 控制器用组合式导电柱
CN206712511U (zh) 一种模块化装配的充电装置
CN203721616U (zh) 一种真空接触器及真空接触器-熔断器组合电器
CN202363379U (zh) 一种塑壳断路器的接线结构
KR100914554B1 (ko) 배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시스템
CN205231275U (zh) 一种变压器接线端子
JP6452402B2 (ja) 蓄電装置
CN201859813U (zh) 具有指示灯的继电器
CN202083727U (zh) 一种用于三相插拔式电能表的底座
CN215343878U (zh) 一种三相自动重合闸
CN102769215A (zh) 一种筒式开关试验型分线接线端子
CN202691776U (zh) 一种指示灯组件和具有指示灯组件的插座
JP4865024B2 (ja) 電子部品の組み付け方法および組み付け構造
CN203503805U (zh) 一种接线端子排
CN102082344B (zh) 一种转换器插座
CN107611727A (zh) 在移动设备中使用的用于不同标准的插头的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