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332Y1 - 전기계량기함 - Google Patents

전기계량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332Y1
KR200484332Y1 KR2020150008601U KR20150008601U KR200484332Y1 KR 200484332 Y1 KR200484332 Y1 KR 200484332Y1 KR 2020150008601 U KR2020150008601 U KR 2020150008601U KR 20150008601 U KR20150008601 U KR 20150008601U KR 200484332 Y1 KR200484332 Y1 KR 2004843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lock
power
bus ba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457U (ko
Inventor
박철규
Original Assignee
(주)세진상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진상아 filed Critical (주)세진상아
Priority to KR2020150008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332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4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4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3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3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계량기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외부케이싱과, 상기 수납공간에 설치되고 후방에는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내부하우징(10)과, 상기 내부하우징(10)의 작업공간에 설치되고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상기 분배기 측에 분배하는 단자대어셈블리(100,130)와, 상기 내부하우징(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단자대어셈블리(100,130)로부터 분배된 분배부하선(BC,BC')과 연결되어 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량계(30,30')와, 상기 전력량계(30,30')로부터 연장되는 전력부하선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단기(50,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자대어셈블리(100,130)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간선(MC1,MC2)과 연결되는 메인블록(100)과, 상기 메인블록(1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간선(MC1,MC2)의 전원을 상기 전력량계(30,30')에 분배하기 위한 다수개의 분배부하선(BC,BC')이 연결되는 사이드블록(130)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는 전기계량기함에 단자대어셈블리(100,130)가 구비되는데, 단자대어셈블리(100,130)는 메인간선(MC1,MC2)이 연결되는 메인블록(100)과, 분배부하선(BC,BC')이 연결되는 사이드블록(130)으로 나뉘어 구성되므로, 전기계량기함의 설치시에 작업자가 메인블록(100)에 메인간선(MC1,MC2)만을 연결하면 된다.

Description

전기계량기함{Electric watt meter box}
본 고안은 전기계량기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내장된 단자대조립체를 이용하여 외부의 전원을 전력량계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전기계량기함에 관한 것이다.
전기가 사용되는 건물의 시공시에는 건물 외부와 내부 사이에 계량기함이 설치된다. 상기 계량기함에는 건물의 내부로 공급되는 전기의 양을 계량하기 위한 전력량계, 건물 내부에서 과부하가 걸렸을 때 이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기, 검침기, 통신단자 등이 내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에서 상기 전력량계로 전원을 분기시키기 위해서 전원분배기를 같이 설치하며, 상기 전원분배기에서 분기된 전원은 분기용 전원선을 통해 전력량계로 공급된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시공시 콘크리트의 외벽에 전원선과 계량기함만 공급되어 설치되며, 그 이후에 내부공사를 위한 전원공사시 전원선의 분기를 위하여 전원선의 중간부분을 탈피하고, 압착링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선과 분기용 전원선을 서로 압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작업은 비교적 협소한 계량기함의 내부공간에서 이루어지므로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원선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용 전원선이 많을 경우에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시간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계량기함의 전원분배설계와 맞도록 일일이 확인하면서 전원선을 연결해야 하는데, 분기용 전원선이 많을수록 자칫 이와 다르게 연결될 가능성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선을 분배하기 위한 단자대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계량기함 내에 단자대가 추가되고, 따라서 계량기함이 차지하는 전체 면적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8743호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계량기함 내부의 분배기와 전력량계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단자대어셈블리를 통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자대어셈블리를 계량기함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하우징의 배면에 설치하여 계량기함의 전체 면적이 증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외부케이싱과, 상기 수납공간에 설치되고 후방에는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내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의 작업공간에 설치되고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분배기 측에 분배하는 단자대어셈블리와,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단자대어셈블리로부터 분배된 분배부하선과 연결되어 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량계와,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연장되는 전력부하선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단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단자대어셈블리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간선과 연결되는 메인블록과, 상기 메인블록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메인블록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간선의 전원을 상기 전력량계에 분배하기 위한 다수개의 분배부하선이 연결되는 사이드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블록은상기 메인간선이 통과하는 메인통과홀이 형성되는 블록하우징과, 상기 메인통과홀을 감싸도록 상기 블록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사이드블록에 접촉되는 한 쌍의 버스바와, 상기 블록하우징에 체결되어 상기 메인간선을 상기 버스바 방향으로 가압하는 메인체결구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대어셈블리의 한 쌍의 사이드블록은 상기 내부하우징의 배면에 고정되고, 상기 메인블록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블록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블록에는 상기 메인간선과 연결되는 버스바가 구비되어 각각 상기 한 쌍의 사이드블록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삭제
상기 버스바는 상기 메인통과홀에 대응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메인간선은 상기 버스바의 절곡된 부분을 통과하며, 상기 메인체결구는 상기 메인통과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간선을 상기 버스바 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메인블록의 상부에는 블록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버스바의 일부는 상기 블록커버에 형성된 회피부를 통해 상부로 노출된다.
상기 한 쌍의 사이드블록에는 다수개의 분배부하선이 연결되는 분배홀이 형성되고, 상기 분배홀에 삽입된 분배부하선의 일단은 상기 사이드블록에 고정되는 사이드체결구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사이드블록은 적어도 일부가 사이드하우징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사이드하우징의 일측으로 돌출된 사이드블록의 일부가 상기 메인블록의 버스바에 접촉된다.
상기 메인블록의 메인체결구는 상기 메인간선이 통과하는 메인통과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전기계량기함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는 전기계량기함에 단자대어셈블리가 구비되는데, 단자대어셈블리는 메인간선이 연결되는 메인블록과, 분배부하선이 연결되는 사이드블록으로 나뉘어 구성되므로, 전기계량기함의 설치시에 작업자가 메인블록에 메인간선만을 연결하면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전원선(메인간선)과 분배용 전선(분배부하선)을 일일이 연결하기 위한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단자대어셈블리의 메인블록은 사이드블록 및 내부하우징으로부터 분리가능하므로 작업자는 메인블록에 메인간선을 연결하는 작업을 더욱 수월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단자대어셈블리는 내부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되므로, 단자대어셈블리로 인하여 계량기함의 전체 면적이 증가하지 않고, 따라서 전기계량기함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메인간선과 분배부하선 사이의 연결은 메인블록의 조립과정에서 발생하는 메인블록의 버스바와 사이드블록 사이의 밀착에 의해 안정적으로 이루어므로, 이들을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전선을 필요로 하지 않아, 작업공수 및 부품수가 줄어드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전기계량기함이 설치되면 단자대어셈블리는 내부하우징의 배면에 위치하므로,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전력량계 및 차단기만 노출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나 작업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전략량계 및 차단기를 식별하여 유지보수하거나 사용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전원이 분기되는 단자대어셈블리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다수의 전선이 임의로 분리되거나 훼손될 가능성이 낮아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전기계량기함의 일실시례에서 외부케이싱이 제거된 상태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례를 구성하는 내부하우징의 배면 구조를 보인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례를 구성하는 내부하우징과 단자대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례를 구성하는 단자대어셈블리의 메인블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례를 구성하는 단자대어셈블리의 메인블록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전기계량기함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외부케이싱(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그 외관 및 골격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싱은 상기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는 커버와 결합되거나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싱의 수납공간에는 내부하우징(10)이 구비된다. 상기 내부하우징(10)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상기 내부하우징(10)은 대략 판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하우징(10)은 체결브라켓(11)에 의해 외부케이싱에 조립되거나, 전기계량기함이 설치되는 벽체 등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내부하우징(10)의 외면 중에서 전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전력량계(30,30') 및 차단기(50,50')가 설치되고, 배면에는 단자대어셈블리(100,130)가 설치된다.
상기 내부하우징(10)에는 전력량계(30,30')와 차단기(50,50')가 설치된다. 상기 전력량계(30,30')는 상기 내부하우징(10)의 외면에 설치되고, 후술할 단자대어셈블리(100,130)에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이 건물 내부로 공급되는 양을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외부의 전원은 전력량계(30,30')로부터 차단기(50,50') 쪽으로 전달된다. 즉, 전력량계(30,30')와 차단기(50,5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된 전원을 건물의 각 내부로 분배하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력량계(30,30') 및 차단기(50,50')는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나, 전력량계(30,30') 및 차단기(50,50')의 개수는 한 개이거나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단자대어셈블리(100,130)로부터 공급된 전원은 전력량계(30,30')의 전원측단자에 전달되고, 상기 전력량계(30,30')의 부하측단자와 상기 차단기(50,50')의 전원측단자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기(50,50')의 부하측단자는 건물의 각 실내공간의 옥내배선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된 도면부호 BC, BC'는 단자대어셈블리(100,130)의 사이드블록(130)과 상기 전력량계(30,30')의 전원측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분배부하선을 나타내며, B1~BC4와 BC1'~BC4'는 각각 분배부하선을 구성하는 개별선을 나타낸다.
상기 전력량계(30,30')와 차단기(50,50')는 상기 내부하우징(10)의 외면 중에서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하우징(10)의 배면에는 단자대어셈블리(100,130)가 설치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단자대어셈블리(100,130)는 내부하우징(10)의 배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대어셈블리(100,130)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노출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상기 단자대어셈블리(100,13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나누어 서로 다른 공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별도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대어셈블리(100,130)는 상기 내부하우징(10)의 배면에 형성된 작업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한 경우 분리된 상태로 작업을 한 후에 상기 작업공간에 다시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단자대어셈블리(100,130)는 크게 메인블록(100)과 사이드블록(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블록(100)은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간선(MC1,MC2)과 연결되고, 사이드블록(130)은 메인간선(MC1,MC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분배부하선(BC,BC')이 연결된다. 이들 메인블록(100) 및 사이드블록(130)은 서로 분리가능한 부품으로, 메인블록(100)과 사이드블록(130)의 일부(135)가 접촉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단자대어셈블리(100,130)의 사이드블록(130)은 상기 내부하우징(10)의 배면에 고정되고, 상기 메인블록(100)은 상기 사이드블록(130) 사이에 결합되는데, 상기 메인블록(100)에는 상기 메인간선(MC1,MC2)과 연결되는 버스바(110)가 구비되어 각각 사이드블록(130)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메인블록(100)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메인블록(100)은 상기 메인간선(MC1,MC2)이 통과하는 메인통과홀(113)이 형성되는 블록하우징(101)이 그 골격 및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블록하우징(101)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블록하우징(101)의 상부에는 블록커버(103)가 구비되는데, 상기 블록커버(103)는 상기 블록하우징(101)의 상부에 결합되어 버스바(110)의 대부분을 차폐한다. 도면부호 102는 체결홀을 나타내는데, 상기 체결홀(102)에 체결구(107, 도 5참조)가 삽입되어 상기 메인블록(100)이 상기 내부하우징(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면부호 109는 블록커버(103)를 메인하우징(101)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이다.
상기 메인블록(100)에는 메인체결구(108)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체결구(108)는 기 블록하우징(101)에 체결되어 상기 메인간선(MC1,MC2)을 상기 버스바(110) 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메인체결구(108)가 체결되면 상기 메인통과홀(113)의 직경을 좁히게 되고, 이에 따라 메인통과홀(113)을 지나는 메인간선(MC1,MC2)과 버스바(110) 사이가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참고로 상기 메인간선(MC1,MC2)의 상기 메인통과홀(113)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피복이 제거된 상태로, 버스바(1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는 메인체결구(108)의 일부가 메인통과홀(113)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메인체결구(108)는 상기 메인간선(MC1,MC2)의 연결방향, 즉 상기 메인통과홀(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두 메인통과홀(113)을 따라 각각 4개의 메인체결구(108)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체결구(108)는 다각형상의 헤드부를 가져 공구를 이용하여 조이거나 해제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6각형상의 홈이 헤드부에 형성된다.
상기 메인블록(100)에는 버스바(110)가 구비된다. 상기 버스바(110)는 전기전도성이 높은 금속판재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간선(MC1,MC2)과 사이드블록(13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버스바(11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메인블록(100)에 안착되는데, 상기 한 쌍의 버스바(110)에는 상기 두 메인간선(MC1,MC2)이 각각 연결된다. 도 5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좌측의 버스바(110)와 우측의 버스바(110)는 서로 별개물로 구성되고, 둘 사이는 이격되어 설치된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버스바(110)는 그 일부만이 상기 메인블록(100)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블록커버(103)에 의해 차폐된다. 즉, 상기 버스바(110)의 일부는 상기 블록커버(103)에 형성된 회피부(도면부호 미부여)를 통해 상부로 노출되는데, 상기 버스바(110)의 노출된 부분은 사이드블록(130)과 밀착되어 전기적 연결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례에너는 각 버스바(110)에 두 군데의 노출부위기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스바(110)는 연결부재(112)에 의해 고정되는데, 도 4에는 볼트 구조의 연결부재(112)가 버스바(110)에 고정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12)는 상기 버스바(110)에 단독으로 연결되어 단순히 버스바(110)를 메인하우징(101)에 고정할 수도 있으나, 사이드블록(130)과 버스바(110)를 연결하여 둘 사이를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112)는 반드시 볼트 구조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단순한 바타입 또는 연결터미널로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연결부재(112) 없이 상기 메인블록(100)이 사이드블록(130) 방향으로 밀착되어 버스바(110)와 사이드블록(1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버스바(110)는 상기 메인통과홀(113)에 대응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메인간선(MC1,MC2)은 상기 버스바(110)의 절곡된 부분을 통과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버스바(110)의 일부는 상기 메인통과홀(11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메인통과홀(113)에 안착된다.
도 3에는 메인블록(100)이 사이드블록(13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메인블록(100)의 하부에는 사이드블록(130)이 설치되는데, 상기 사이드블록(130)은 전기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버스바(110)의 노출된 부분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사이드블록(130)은 버스바(110)와 연결됨과 동시에, 다수개의 분배부하선(BC,BC')이 연결된다.
상기 사이드블록(130)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블록(130) 사이에 메인블록(100)이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블록(100)의 두 버스바(110)는 각각 양쪽의 사이드블록(130)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사이드블록(130)에는 다수개의 분배부하선(BC,BC')이 연결되는 분배홀(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되고, 상기 분배홀에 삽입된 분배부하선(BC,BC')의 일단은 상기 사이드블록(130)에 고정되는 사이드체결구(138)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블록(130)은 사이드하우징(131)에 의해 감싸진다. 상기 사이드블록(130)의 적어도 일부는 사이드하우징(131) 내부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135)가 외부로 노출되는데, 외부로 노출된 사이드블록(130)의 일부(135)가 상기 메인블록(100)의 버스바(110)에 접촉된다. 상기 블록하우징(101)은 절연성 재질로서, 상기 사이드블록(130)이 다른 전도성 부품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에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블록(130)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그 일부가 사이드하우징(131)으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블록(130)에는 다수개의 분배부하선(BC,BC')이 연결된다. 상기 분배부하선(BC,BC')은 그 일측은 상기 사이드블록(1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전력량계(30,30')에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을 전력량계(30,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배부하선(BC,BC')은 설치되는 전력량계(30,30') 및 차단기(50,50')의 개수에 따라 그 개수가 달라지는데, 도 3에는 총 4개의 전력량계(30,30')에 연결하기 위하여 4개의 분배부하선(BC,BC')이 각각 한 쌍의 사이드블록(130)에 연결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전기계량기함의 조립과 작동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건물의 시공된 초기에는 전기계량기함의 내부에 구비된 단자대어셈블리(100,130)에 외부의 전원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외부의 전원이 분기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수행된다.
참고로 본 고안에 의한 전기계량기함에는 분배부하선(BC,BC')이 미리 설치된 상태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단자대어셈블리(100,130)의 사이드블록(130)에 형성된 분배홀에 분배부하선(BC,BC')의 일단이 연결되고, 분배부하선(BC,BC')의 타단은 전력량계(30,30')의 전원측단자에 연결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분배부하선(BC,BC')에 의해 전력량계(30,30')와 단자대어셈블리(100,130)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로 전기계량기함이 전기계량기함이 설치될 건물 등에 공급된 후에, 상기 전기계량기함에 외부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간선(MC1,MC2)이 연결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먼저 외부케이싱을 제거한 후에 내부하우징(10)의 배면에 위치한 단자대어셈블리(100,130)를 내부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단자대어셈블리(100,130)의 메인블록(100)을 내부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한다. 분리된 단자대어셈블리(100,130)의 메인블록(100)에는 메인간선(MC1,MC2)이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간선(MC1,MC2)의 일부 피복을 제거한 후에 피복이 제거된 부분이 메인블록(100)의 메인통과홀(113) 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메인간선(MC1,MC2)이 상기 메인통과홀(113)을 통과한 상태로, 상기 메인블록(100)의 메인체결구(108)가 결합되면, 상기 메인체결구(108)가 상기 메인간선(MC1,MC2)을 버스바(110)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메인간선(MC1,MC2)과 버스바(1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상기 메인체결구(108)는 공구를 이용하여 조여지면 상기 메인간선(MC1,MC2)을 버스바(110) 방향으로 점점 강하게 가압하므로 둘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사이드블록(130)과 메인블록(100)의 결합과정이 이어진다. 상기 메인블록(100)은 상기 메인블록(100)의 블록커버(103)가 사이드블록(130)을 향한 상태로 상기 사이드블록(130)에 결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3에서 보듯이, 사이드하우징(131) 외측으로 돌출된 사이드블록(130)의 일부(135)가 버스바(110)와 밀착될 수 있도록, 메인블록(100)의 버스바(110)와 사이드블록(130)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메인블록(100)을 내부하우징(10)의 배면 방향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메인블록(100)이 상기 사이드블록(130)에 밀착되면, 상기 메인블록(100)의 체결홀(102)에 체결구(107)를 삽입하여 메인블록(100)을 메인하우징에 조립하면 메인블록(100)과 사이드블록(130)이 강하게 밀착된다. 또는, 연결부재(112)를 이용하여 메인블록(100)과 사이드블록(130)을 직접 체결할 수도 있는데, 상기 연결부재(112)는 상기 사이드블록(130)의 노출된 부분(135)과, 버스바(110)의 노출된 부분을 통과하여 이들 사이를 조립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블록(100)과 사이드블록(130) 사이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동시에 상기 메인블록(100)의 버스바(110)는 메인간선(MC1,MC2)과, 사이드블록(130)은 분배부하선(BC,BC')과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전원은 메인간선(MC1,MC2)-버스바(110)-사이드블록(130)-분배부하선(BC,BC')-전력량계(30,30') 순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전달된 외부의 전원은 전력량계(30,30')를 통과하면서 사용량이 측정되고, 차단기(50,50')를 거쳐 건물 내부의 각 공간이나 세대로 공급된다.
본 고안에 의한 전기계량기함이 설치되면 단자대어셈블리(100,130)는 내부하우징(10)의 배면에 위치하므로,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전력량계(30,30') 및 차단기(50,50')만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나 작업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전력량계(30,30') 및 차단기(50,50')를 식별하여 유지보수하거나 사용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전원이 분기되는 단자대어셈블리(100,130)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다수의 전선이 임의로 분리되거나 훼손될 가능성이 낮아진다.
한편,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전기계량기함은 분배부하선(BC,BC')이 단자대어셈블리(100,130)와 전력량계(30,30') 사이를 연결한 상태로 설치된 후에, 분리가능한 메인블록(100)에 메인간선(MC1,MC2)을 연결한 후 메인블록(100)을 내부하우징(10)에 조립하면 모든 연결이 이루어지므로,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전기계량기함의 설치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시에는 전기계량기함으로부터 메인블록(100)을 분리하여 수리하거나, 사이드블록(130)을 사이드하우징(131)으로부터 분리하여 보수한 후에 이를 다시 설치하면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고안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내부하우징 30: 전력량계
50: 차단기 100: 메인블록
108: 메인체결구 110: 버스바
130: 사이드블록 131: 사이드하우징
MC1,MC2: 메인간선 BC,BC': 분배부하선

Claims (8)

  1.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외부케이싱과,
    상기 수납공간에 설치되고 후방에는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내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의 작업공간에 설치되고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분배기 측에 분배하는 단자대어셈블리와,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단자대어셈블리로부터 분배된 분배부하선과 연결되어 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량계와,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연장되는 전력부하선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단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단자대어셈블리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간선과 연결되는 메인블록과,
    상기 메인블록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메인블록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간선의 전원을 상기 전력량계에 분배하기 위한 다수개의 분배부하선이 연결되는 사이드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블록은
    상기 메인간선이 통과하는 메인통과홀이 형성되는 블록하우징과,
    상기 메인통과홀을 감싸도록 상기 블록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사이드블록에 접촉되는 한 쌍의 버스바와,
    상기 블록하우징에 체결되어 상기 메인간선을 상기 버스바 방향으로 가압하는 메인체결구를 포함하는 전기계량기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어셈블리의 한 쌍의 사이드블록은 상기 내부하우징의 배면에 고정되고, 상기 메인블록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블록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블록에는 상기 메인간선과 연결되는 버스바가 구비되어 각각 상기 한 쌍의 사이드블록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계량기함.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메인통과홀에 대응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메인간선은 상기 버스바의 절곡된 부분을 통과하며, 상기 메인체결구는 상기 메인통과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간선을 상기 버스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전기계량기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록의 상부에는 블록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버스바의 일부는 상기 블록커버에 형성된 회피부를 통해 상부로 노출되는 전기계량기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사이드블록에는 다수개의 분배부하선이 연결되는 분배홀이 형성되고, 상기 분배홀에 삽입된 분배부하선의 일단은 상기 사이드블록에 고정되는 사이드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 전기계량기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블록은 적어도 일부가 사이드하우징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사이드하우징의 일측으로 돌출된 사이드블록의 일부가 상기 메인블록의 버스바에 접촉되는 전기계량기함.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록의 메인체결구는 상기 메인간선이 통과하는 메인통과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는 전기계량기함.
KR2020150008601U 2015-12-29 2015-12-29 전기계량기함 KR2004843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601U KR200484332Y1 (ko) 2015-12-29 2015-12-29 전기계량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601U KR200484332Y1 (ko) 2015-12-29 2015-12-29 전기계량기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457U KR20170002457U (ko) 2017-07-07
KR200484332Y1 true KR200484332Y1 (ko) 2017-08-25

Family

ID=59315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601U KR200484332Y1 (ko) 2015-12-29 2015-12-29 전기계량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33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1148B2 (en) 2020-02-24 2023-04-18 Commscope Technologies Llc Smart meter modules and assemblies
CN113504399A (zh) * 2020-12-31 2021-10-15 宁波三星医疗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电表箱底座的安装结构及其电表箱的电气连接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884B1 (ko) * 2004-07-16 2006-09-20 강재석 전기계량기함
KR100914554B1 (ko) * 2007-06-21 2009-09-02 김영찬 배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시스템
KR101068743B1 (ko) 2010-04-13 2011-09-28 정승환 전선 접속구와 이를 구비한 터미널블럭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089A (ko) * 2008-03-04 2009-09-09 김영찬 전력량계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884B1 (ko) * 2004-07-16 2006-09-20 강재석 전기계량기함
KR100914554B1 (ko) * 2007-06-21 2009-09-02 김영찬 배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시스템
KR101068743B1 (ko) 2010-04-13 2011-09-28 정승환 전선 접속구와 이를 구비한 터미널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457U (ko)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300B1 (ko) 퓨즈 유닛
US6561844B1 (en) Lug for providing both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buses and watt hour meter sockets
AU2019308280A1 (en) Improved outlet connection schema for a PDU
US20030161092A1 (en) Distribution board with uninterruptible socket terminal block
KR200484332Y1 (ko) 전기계량기함
CA2574570A1 (en) Meter center and multi-phase multiple meter socket assembly therefor
KR200447832Y1 (ko) 무접점식 전자식 전력량계
JP5224766B2 (ja) 電力量計の接続アダプタおよび電力量計の交換作業方法
JP2006271174A (ja) 分電盤
KR101090558B1 (ko) 분전반
CN203707485U (zh) 一种xp密集型母线槽与插接箱的接地系统
KR100817887B1 (ko) 부스바 케이스
US20050136719A1 (en) Device for connection of busbars to equipment of an electrical switchboard
KR20140118640A (ko) 차단기가 일체로 결합된 콘센트
RU2497252C2 (ru) Гребенк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ения
WO2002054432A1 (en) Supporting base for a circuit breaker
KR101104254B1 (ko) 전력량계 설치용 무정전 단자대
KR100965561B1 (ko) 공동주택의 전기공급제어를 위한 제어박스
JP2009004098A (ja) 付加機能ユニットの取り付け構造
KR20130021066A (ko)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CN209071166U (zh) 一种双电源自动转换开关的极单元模块
CN201887198U (zh) 多电极器具耦合器插座
JP2019045442A (ja) 計測ユニット、増設ユニット、計測システム及び分電盤システム
AU2011201640B2 (en) S to A watthour meter socket adapter
JP3125999U (ja) 配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