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625B1 -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 Google Patents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625B1
KR101457625B1 KR20130056570A KR20130056570A KR101457625B1 KR 101457625 B1 KR101457625 B1 KR 101457625B1 KR 20130056570 A KR20130056570 A KR 20130056570A KR 20130056570 A KR20130056570 A KR 20130056570A KR 101457625 B1 KR101457625 B1 KR 101457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nection
power
terminal
block
connec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6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동
장원영
배성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Priority to KR20130056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8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의 교체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 전원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를 갖춘 전력량계와, 단자대몸체와 상기 단자대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전원연결블록과 상기 단자대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전원연결대를 포함하는 멀티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대는, 서로 나란하게 상기 단자대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1 전원연결대 및 제 2 전원연결대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연결블록은, 한전측 전선이 통전되도록 상기 제 1 전원연결대 및 제 2 전원연결대의 일단부와 동일선상으로 각각 배치되어 통전되는 제 1 전원연결블록과 제 2 전원연결블록, 전력량계측 입력전선과 통전되도록 상기 제 1 전원연결대 및 제 2 전원연결대의 일단부와 각각 통전되게 교차배치되는 제 3 전원연결블록과 제 4 전원연결블록, 일단이 전력량계측 출력전선과 통전되고 타단이 수용가측 전선과 통전되도록 상기 제 1 전원연결대 및 제 2 전원연결대와 각각 통전되게 교차배치되는 제 5 전원연결블록과 제 6 전원연결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6 전원연결블록과 제 1 전원연결대의 통전을 제어하는 커넥터가 구성되고, 상기 전력량계의 전원측 단자는 상기 제 3, 4 전원연결블록과 통전되고 부하측 단자는 제 5, 6 전원연결블록과 통전되도록, 상기 전원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에 일체로 구비되는 전원연결핀이 구성되고, 상기 단자대몸체의 상부는 상기 전원연결블록을 개별 수용해 절연배치되도록 다수의 상부수용홈이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전원연결대를 개별 수용해 절연배치되도록 다수의 하부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자대몸체의 둘레는 상기 단자대몸체의 상부수용홈과 연통되도록 전선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원연결블록은 상기 전선삽입홀과 연통하여 전선이 수용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를 제공한다. 따라서, 단자대몸체에 개별 수용된 전원연결블록과 전원연결대가 선택적으로 통전되도록 배치되어 커넥터를 매개로 전력량계의 교체 시에도 무정전 상태를 유지하므로 교체작업에 따른 단전문제를 해소하여 가정이나 사업장에 원활한 전원공급을 유지할 수 있고, 전력량계측 단자에는 전원연결핀이 일체화되어 활선이 전혀 노출되지 않아 사선작업이 가능하므로 안전하고 신속한 작업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력량계측 단자에 일체화된 전원연결핀으로 인해 전선의 정리작업이 생략가능하고, 전선토막과 전선피복 조각 등과 같은 작업 부산물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작업 후 주변을 청소해야했던 문제가 해소되어 작업의 단순화 및 작업의 능률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전력량계를 추가하는 신설 시에도 무정전으로 활선작업을 사선작업에 준하여 안정성을 토대로 신속하게 전력량측 단자에서 나사체결만으로 분기접속작업, 배선작업, 절연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One body type watt-hour meter with multi-terminal block}
본 발명은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의 교체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량계는 공장이나 가정 및 자영업장 등에서 사용전력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설치되는 게이지로서, 이러한 전력량계는 전력선과 직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력선의 전압과 전류를 공급받아 원형의 계측판을 돌리는 기계식과 수치를 직접 나타내는 디지털식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전력량계는 내충격성, 난연성, 내후성을 갖는 두께 3㎜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합성수지로 외관이 제작되고 있으며 종류로는 단상 2선식 전용량에 사용되는 단상 3선식 및 삼상 3선식 전용량, 삼상 4선식 전용량에 사용되고 있는 중형이 있고, 박스형상으로 외관이 형성됨과 더불어 내부공간에 계측판이 구비된 하우징의 하부측에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부하, 공급측전선이 끼워지는 다수개의 단자홈을 형성한 단자대를 갖추고 있다. 이에 전력사용개소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전력량계를 고정시킨 다음, 단자대의 단자홈에 부하측전선과 공급측 전선의 노출부를 삽입하고 단자대에 설치된 볼트를 체결하면, 전력사용개소에서 사용되어진 전력이 하우징의 계측판을 통해 표시되는 것이다.
한편, 전력량계 교체 작업을 시행함에 있어 현장여건상 장소가 협소한 집합계기함이나 단독계기함 내부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장시간의 정전과 대형 인명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등록특허 제 10-0804080호가 제시되었다.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이를 제조함에 있어 제조비용이 상승할 수 있고, 해당 기술을 숙지해야 하는 작업자에게 취급의 부담감을 줄 수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력량계와의 결합 및 교체가 간편하고, 구조적으로 간결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기술적인 이해의 습득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를 갖춘 전력량계와, 단자대몸체와 상기 단자대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전원연결블록과 상기 단자대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전원연결대를 포함하는 멀티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대는, 서로 나란하게 상기 단자대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1 전원연결대 및 제 2 전원연결대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연결블록은, 한전측 전선이 통전되도록 상기 제 1 전원연결대 및 제 2 전원연결대의 일단부와 동일선상으로 각각 배치되어 통전되는 제 1 전원연결블록과 제 2 전원연결블록, 전력량계측 입력전선과 통전되도록 상기 제 1 전원연결대 및 제 2 전원연결대의 일단부와 각각 통전되게 교차배치되는 제 3 전원연결블록과 제 4 전원연결블록, 일단이 전력량계측 출력전선과 통전되고 타단이 수용가측 전선과 통전되도록 상기 제 1 전원연결대 및 제 2 전원연결대와 각각 통전되게 교차배치되는 제 5 전원연결블록과 제 6 전원연결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6 전원연결블록과 제 1 전원연결대의 통전을 제어하는 커넥터가 구성되고;
상기 전력량계의 전원측 단자는 상기 제 3, 4 전원연결블록과 통전되고 부하측 단자는 제 5, 6 전원연결블록과 통전되도록, 상기 전원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에 일체로 구비되는 전원연결핀이 구성되고;
상기 단자대몸체의 상부는 상기 전원연결블록을 개별 수용해 절연배치되도록 다수의 상부수용홈이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전원연결대를 개별 수용해 절연배치되도록 다수의 하부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자대몸체의 둘레는 상기 단자대몸체의 상부수용홈과 연통되도록 전선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원연결블록은 상기 전선삽입홀과 연통하여 전선이 수용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단자대몸체에 개별 수용된 전원연결블록과 전원연결대가 선택적으로 통전되도록 배치되어 커넥터를 매개로 전력량계의 교체 시에도 무정전 상태를 유지하므로 교체작업에 따른 단전문제를 해소하여 가정이나 사업장에 원활한 전원공급을 유지할 수 있고, 전력량계측 단자에는 전원연결핀이 일체화되어 활선이 전혀 노출되지 않아 사선작업이 가능하므로 안전하고 신속한 작업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력량계측 단자에 일체화된 전원연결핀으로 인해 전선의 정리작업이 생략가능하고, 전선토막과 전선피복 조각 등과 같은 작업 부산물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작업 후 주변을 청소해야했던 문제가 해소되어 작업의 단순화 및 작업의 능률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전력량계를 추가하는 신설 시에도 무정전으로 활선작업을 사선작업에 준하여 안정성을 토대로 신속하게 전력량측 단자에서 나사체결만으로 분기접속작업, 배선작업, 절연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의 제 1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개략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에서 멀티단자대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에서 멀티단자대의 전원연결블록과 전원연결대를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A - A`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의 교체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의 제 2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제 2 실시 예의 멀티단자대에서 전원연결블록과 전원연결대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3의 B - B`를 바탕으로 한 제 2 실시 예의 단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의 제 3 실시 예 및 제 4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특징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의 제 1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3)는 전원측 단자(S, S`)와 부하측 단자(L, L`)에 일체되어 구비된 전원연결핀(5)과, 상기 전원연결핀(5)이 연계되어 삽입하도록 전원연결블록(200)이 고정배치된 단자대몸체(100)로 구성되고, 전기계량기함(1)에 설치되어 통전된다.
이때, 전기계량기함(1)은, 장착대와 장착대커버 및 단자대로 구성되며, 벽면에 설치되어 내측으로 다수의 전선(한전측, 수용가측, 전력량계측, 다른 가정측 라인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장착대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며 합성수지로 제조된 공지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한전측 라인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벽체(미도시)에 나사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매개로 설치고정된다.
또한, 장착대의 전면에는, 전력량계(3)와 단자대 및 기타장치[예를 들면, PLC(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가 체결수단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이다.
장착대커버는 장착대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력량계(3)와 단자대 및 기타장치[예를 들면, PLC(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를 덮어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장착대커버의 외면에는 인입출되는 전선(예를 들면, 한전측, 수용가측, 분전측 라인)을 감싸 가이드하는 다수의 전선가이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장착대커버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힌지가 설치된 반대편에는 공지의 잠금수단이 구비된다.
참고로, 통상 한전에서는 장착대에 장착대커버를 덮은 이후에는 인가받지 않은 자가 임의로 개폐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봉인을 하고 있으며, 본 실시 예의 경우 봉인에 대한 부분은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도시 및 기재는 생략하였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전선이 장착대커버에 형성된 전선가이드을 통해 장착대와 장착대커버 사이로 인,입출되기 때문에 장착대와 장착대커버가 노후 또는 파손으로 인해 교체가 필요한 경우 전력량계(3) 및 기타장치만 장착대에서 분리시킨 후 새로운 장착대와 장착대커버로 교체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전원공급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매우 편리하게 장착대와 장착대커버를 교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에서 멀티단자대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3)에서 멀티단자대는 단자대몸체(100)와 단자대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바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전원연결블록(200)과 상기 전원연결블록(200)과 선택적으로 통전되도록 단자대몸체(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바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전원연결대(300) 및 전원연결블록(200)과 전원연결대(300)의 통전을 제어하는 커넥터(2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자대몸체(100)의 상부는 전원연결블록(200)이 개별 수용해 절연배치되도록 다수의 상부수용홈(a 내지 h)이 형성되고, 하부는 전원연결대(300)가 개별 수용해 절연배치되도록 다수의 하부수용홈(i, j)이 형성되며, 전원연결블록(200)과 전원연결대(300)는 단자대몸체(100)의 절연벽을 중심으로 절연배치되어 나사체결로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자대몸체(100)의 둘레는 단자대몸체(100)의 상부수용홈(a 내지 h)과 연통되도록 전선삽입홀(150)이 형성되고, 전원연결블록(200)은 전선삽입홀(150)과 연통하여 전선이 수용되도록 관통홀(20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대몸체(100)의 상부를 덮는 투명커버(400)와, 단자대몸체(100)의 하부는 단자대몸체(100)의 전원연결대(300)를 보호하도록 절연패드(500)가 더 포함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하나의 실시 예로서 외관을 육면체로 형성하고 상부수용홈(a 내지 h) 및 하부수용홈(i, j)을 형성한 것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외관을 공지의 형태로 하고, 내부에는 전원연결블록(200) 간에 접촉되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공지기술이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대체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3)에 있어서, 다수의 독립된 구역을 갖는 상부수용홈(a 내지 h)과 하부수용홈(i, j)으로 인해 전원연결블록(200)과 전원연결대(300)는 전기적인 간섭의 영향을 차단하면서 독립된 매개체로써 원활한 통전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이루질 수 있고, 단자대몸체(100)의 자중을 가볍게 하여 작업 간의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며, 빈 수용홈으로는 내압이 발생하여 단자대몸체(100)의 내구성에 도움이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단자대몸체(100)의 내부를 관찰하고 전원연결블록(200)을 보호하기 위해 구비되는 투명커버(400)는 단자대몸체(100)에 착탈가능하고, 절연패드(500)는 전원연결대(300)를 보호할 수 있는 부재라면 공보기술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기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단자대몸체(100)와 투명커버(400) 및 절연패드(500)는 작업자 또는 사용자에게 취급상의 불편함이나 위험성이 전해지지 않도록 절연된 재질의 소재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에서 멀티단자대의 전원연결블록과 전원연결대를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선술된 도 1 내지 도 4를 바탕으로, 도 5를 설명하자면, 전원측 단자(S, S`)와 부하측 단자(L, L`)를 갖춘 전력량계(3)와, 단자대몸체(100)와 단자대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전원연결블록(200)과 단자대몸체(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전원연결대(300)를 포함하는 멀티단자대에 있어서, 전원연결대(300)는 서로 나란하게 단자대몸체(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1 전원연결대(330) 및 제 2 전원연결대(350)로 구성된다.
전원연결블록(200)은 한전측 전선이 통전되도록 제 1 전원연결대(330) 및 제 2 전원연결대의 일단부(350)와 동일선상으로 각각 배치되어 통전되는 제 1 전원연결블록(210)과 제 2 전원연결블록(220)으로 구성되고, 전력량계측 입력전선과 통전되도록 상기 제 1 전원연결대(330) 및 제 2 전원연결대(350)의 일단부와 각각 통전되게 교차배치되는 제 3 전원연결블록(230)과 제 4 전원연결블록(240)으로 구성되며, 일단이 전력량계측 출력전선과 통전되고 타단이 수용가측 전선과 통전되도록 상기 제 1 전원연결대(330) 및 제 2 전원연결대(350)와 각각 통전되게 교차배치되는 제 5 전원연결블록(250)과 제 6 전원연결블록(260) 및 제 6 전원연결블록(260)과 제 1 전원연결대(330)의 통전을 제어하는 커넥터(29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전력량계(3)의 전원측 단자(S, S`)는 상기 제 3, 4 전원연결블록(230, 240)과 통전되고 부하측 단자(L, L`)는 제 5, 6 전원연결블록(250, 260)과 통전되도록, 상기 전원측 단자(S, S`)와 부하측 단자(L, L`)에 일체로 구비되는 전원연결핀(5)이 구성된다.
단자대몸체(100)의 상부는 상기 전원연결블록(200)을 개별 수용해 절연배치되도록 다수의 상부수용홈(a 내지 h)이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전원연결대(300)를 개별 수용해 절연배치되도록 다수의 하부수용홈(i, j)이 형성된다.
그리고, 단자대몸체(100)의 둘레는 단자대몸체(100)의 상부수용홈(a 내지 h)과 연통되도록 전선삽입홀(150)이 형성되고, 전원연결블록(200)은 전선삽입홀(150)과 연통하여 전선이 수용되도록 관통홀(2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전용측 전선이 통전되도록 상기 제 1 전원연결대(330) 및 제 2 전원연결대(350)의 타단부와 동일선상으로 각각 배치되어 통전되는 제 7 전원연결블록(270)과 제 8 전원연결블록(280)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3)에 있어서, 전원연결블록(200)과 전원연결대(300)의 배치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전원연결블록(210)은 상부수용홈(a)에 배치되어 제 1 전원연결대(330)와 통전되고, 제 2 전원연결블록(220)은 상부수용홈(b)에 배치되어 제 2 전원연결대(350)와 통전되며, 제 3 전원연결블록(230)은 상부수용홈(c)에 배치되어 제 1 전원연결대(330)와 통전된다.
제 4 전원연결블록(240)은 상부수용홈(d)에 배치되어 제 2 전원연결대(350)와 통전되고, 제 5 전원연결블록(250)은 상부수용홈(e)에 배치되어 제 2 전원연결대(350)와 통전되며, 제 6 전원연결블록(260)은 상부수용홈(f)에 배치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전원연결대(300)와는 통전되지 않은 채, 단자대몸체(100)에 나사체결로 고정된다.
그리고, 추가로 구비될 수 있는 제 7 전원연결블록(270)은 상부수용홈(g)에 배치되어 제 1 전원연결대(330)와 통전되고, 제 8 전원연결블록(280)은 상부수용홈(h)에 배치되어 제 2 전원연결대(350)와 통전된다.
한편, 전원연결블록(200)은 상기 제 1 내지 8 전원연결블록(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말단부에 형성되어 각각의 전선과 상호 통전되는 단자들로 구성되고,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한전측 전원입력단자(213, 223)는 제 1, 2 전원연결블록(210, 220)의 좌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한전측 전선이 전선삽입홀(150)을 통해 제 1, 2 전원연결블록(210, 220)의 관통홀(200`)로 삽입되어 한전측 전원입력단자(213, 223)에 구비된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된다.
이때, 한전측 전선은 활성선(活性線)과 중성선(中性線)이 인입되는데, 여기서 활성선은 제 1 전원연결블록(210)의 한전측 전원입력단자(213)로, 중성선은 제 2 전원연결블록(220)의 한전측 전원입력단자(223)에 각각 설치된다.
전력량계 전원입력단자(233, 243)는 제 3, 4 전원연결블록(230, 240))의 상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전력량계(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한전측 전원입력단자(213, 223)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고, 전력량계(3)로부터 인출되는 한 쌍의 전선이 전선삽입홀(150)을 통해 제 3, 4 전원연결블록(230, 240)의 관통홀(200`)로 삽입되어 전력량계 전원입력단자(223, 253)에 구비된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된다.
그리고, 전력량계 전원출력단자(253, 263)는 제 5, 6 전원연결블록(250, 260)의 상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전력량계(3)와 상호 통전되어 전력량계(3)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수용가측 전원입력단자(255, 265)로 공급하는 기능을 하고, 전력량계(3)로부터 인출되는 한 쌍의 전선이 전선삽입홀(150)을 통해 제 5, 6 전원연결블록(250, 260)의 관통홀(200`)로 삽입되어 전력량계 전원출력단자(253, 263)에 구비된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된다.
수용가측 전원입력단자(255, 265)는 제 5, 6 전원연결블록(250, 260)의 하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전력량계 전원출력단자(253, 263)와 커넥터(290)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통전되어 수용가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고, 가정으로부터 인출된 한 쌍의 전선이 전선삽입홀(150)을 통해 제 5, 6 전원연결블록(250, 260)의 관통홀(200`)로 삽입되어 수용가측 전원입력단자(255, 265)에 구비된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된다.
그리고, 분전용 전원입력단자(273, 283)는 제 7, 8 전원연결블록(270, 280)의 우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한전측 전원입력단자(213, 223)와 직렬로 통전되어 다른 가정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고, 다른 가정으로부터 인출되는 한 쌍의 전선이 전선삽입홀(150)을 통해 제 7, 8 전원연결블록(270, 280)의 관통홀(200`)로 삽입되어 분전용 전원입력단자(273, 283)에 구비된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된다.
따라서, 한전측의 전선을 별도로 인출하여 각 가정에 연결할 필요없이 하나의 가정을 통해 다수의 가정에 한전측의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어 관리가 매우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도 3의 A - A`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의 교체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존 전력량계(3)를 노후 및 결함 등으로 인해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단자대몸체(100)의 투명커버(400)를 단자대몸체(100)로부터 이탈시켜 준 상태에서 작업자가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제 6 전원연결블록(260)에 체결된 커넥터(290)를 돌려주면, 나사체결되어 있던 커넥터(290)가 하강하게 되면서 제 1 전원연결대(330)와 통전되며, 이때 작업자는 기존의 전력량계(3)와 일체되어 전력량계 전원입력단자(233, 243)와 전력량계 전원출력단자(253, 263)에 삽입연결된 전원연결핀(5)을 분리시켜 준 다음, 새로운 전력량계(3)를 전기계량기함(1)에 설치해 준 후, 새로운 전력량계(3)로부터 일체되어 돌출형성된 전원연결핀(5)을 각각 전력량계 전원입력단자(233, 243)와 전력량계 전원출력단자(253, 263)에 삽입연결해 주면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기계량기함(1)의 전면으로 전력량계(3)를 설치하고, 전원연결핀(5)이 일체화된 전력량계(3)의 하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연결블록(200)이 구비된 단자대몸체(100)가 위치한다. 그리고, 멀티단자대를 구성하는 투명커버(400)를 단자대몸체(100)로부터 이탈시켜 준 상태에서 전력량계(3)와 일체된 전원연결핀(5)을 각각 전력량계 전원입력단자(233, 243)와 전력량계 전원출력단자(253, 263)에 연결시켜 주고, 수용가측 전원입력단자(255, 265)에는 해당 가정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을 연결시켜 주며, 한전측 전선을 전선삽입홀(150)로 삽입하여 한전측 전원입력단자(213, 223)에 연결시켜 준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다른 가정으로 공급하는 전력량계(3)를 새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른 가정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선, 즉 신설되는 전력량계(3)의 1차측 전선을 분전용 전원입력단자(273, 283)에 연결시켜 주면 된다.
상기와 같이 배선연결한 이후에는 분리시켰던 투명커버(400)를 이용하여 단자대몸체(100)를 덮어주면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배선연결되면 한전측 라인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전력량계(3)를 지나 해당 가정으로 전원이 원활하게 공급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3)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각 단자에 통전을 위해 연결되는 전선은 전원연결블록(200)과 나사체결로 고정되도록 구현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해당 작업자는 각 전선이 단자대몸체(100)와 올바르게 고정체결되어 있는지 주시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경우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단상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필요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3상으로도 구성하여 실시 가능하므로 이에 한정하여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한전측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커넥터(290)를 매개로 한전측 전원입력단자(213, 223)와 수용가측 전원입력단자(255, 265)를 상호 통전할 수 있기 때문에 종전과 같이 교체작업에 따른 한전측 단전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고, 가정으로의 전원공급도 원활하게 유지토록 할 수 있어 이에 따른 민원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력량계(3)측 단자에는 전원연결핀(5)이 일체화되어 활선이 전혀 노출되지 않아 사선작업이 가능하므로 안전하고 신속한 작업을 이룰 수 있고, 전선의 정리작업이 생략가능하며, 전선토막과 전선피복 조각 등과 같은 작업 부산물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작업 후 주변을 청소해야했던 문제가 해소되어 작업의 단순화 및 작업의 능률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전력량계(3)를 추가하는 신설 시에도 무정전으로 활선작업을 사선작업에 준하여 안정성을 토대로 신속하게 전력량계(3)측 단자에서 나사체결만으로 분기접속작업, 배선작업, 절연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의 제 2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제 2 실시 예의 멀티단자대에서 전원연결블록과 전원연결대를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선술된 도 4 및 도 5를 바탕으로, 도 8 및 도 9를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3) 일체형 멀티단자대의 제 2 실시 예에서, 전원연결블록(200)과 전원연결대(300)가 원활히 통전되도록 전원연결부재(200a)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을 참조하면, 도 3의 B - B`를 바탕으로 한, 상기 제 2 실시 예와 같이, 전원연결블록(200)과 전원연결대(300)는 개구홀(100a)이 형성된 절연벽을 중심으로 배치되고, 전원연결블록(200)과 전원연결대(300)가 통전되도록 개구홀(100a)에는 전원연결부재(200a)가 삽입된다.
또한, 전원연결부재(200a)는 링 형상이고, 전원연결부재(200a)가 전원연결블록(200) 및 전원연결대(300)에 삽입고정되도록 볼트(C)로 나사체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 예에 있어서, 전원연결부재(200a)는 개구홀(100a)에 삽입되되, 전원연결블록(200)과 전원연결대(300)가 배치된 채, 올바르게 안착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때, 제 6 전원연결블록(260)은 전원연결부재(200a)의 배치가 생략되어 평상시에는 제 6 전원연결블록(260)과 전원연결대(300)가 통전되지 않도록 구현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제 6 전원연결블록(260)을 제외한 제 1, 2, 3, 4, 5, 7, 8 전원연결블록(210, 220, 230, 240, 250, 270, 280)에 전원연결부재(200a)가 추가로 배치됨으로써, 제 6 전원연결블록(260)을 제외한 전원연결블록(200)과 전원연결대(300)가 나사체결 등의 고정수단으로 통전되는 것보다 전기적인 교류의 단면적이 넓어짐으로 전기 저항이 줄어들기 때문에 더욱 원활하게 통전되도록 제 1, 2, 3, 4, 5, 7, 8 전원연결블록(210, 220, 230, 240, 250, 270, 280)과 전원연결대(300)를 상호 교류시키는 매개체가 된다.
한편, 원활한 통전을 위해 배치되는 전원연결부재(200a)의 개수에 한정을 두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원연결부재(200a)를 링 형상으로 구현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전기적인 매개체의 역할을 하는 수단이라면 필요에 따라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의 제 3 실시 예 및 제 4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몸체(100)의 전선삽입홀(150)과 전원연결블록(200)의 관통홀(200`)을 연계하여 삽입고정되는 전원연결핀(5`)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전원연결블록(200)과 전력량계(3) 간의 통전을 위해 전원연결핀(5`)은 금속체와 같은 도체의 소재가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서는 나사체결방식의 전원연결핀(5`)이 실시되었지만, 전원연결블록(200)에 삽입고정되는 전원연결핀(5`)은 일단이 착탈가능한 체결방식의 공보기술이라면 다양하게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의 전원연결핀(5`)이 구비됨으로써, 제 3, 4, 5, 6 전원연결블록(230`, 240`, 250`, 260`)은 전력량계(3)와 연결되는 전선을 고정하여 전기적인 교류의 역할을 하는 일부 나사가 생략되므로, 구성품의 단품화가 구현되어 작은 구성품의 분실 위험을 줄이고, 나사를 조여서 전선을 고정 및 통전시키는 작업이 생략되어 작업시간의 단축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실시 예에서 전력량계(3)와의 결합과정을 통해 전원연결핀(5`)은 제 3, 4, 5, 6 전원연결블록(230`, 240`, 250`, 260`)과 전력량계(3)의 전원측 단자(S, S`) 및 부하측 단자(L, L`)를 상호 통전을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실시 예에서의 전원연결핀(5")은 말단이 상기 제 3, 4, 5, 6 전원연결블록(230", 240", 250", 260")의 일면에 배치되어 통전되도록 판 형상인 것이 특징이다.
이때, 전원연결핀(5")의 말단은 제 3, 4, 5, 6 전원연결블록(230", 240", 250", 260")과의 통전이 원활하도록 나사체결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배치될 수 있고, 제 3, 4 전원연결블록(230", 240")에는 관통홀(200`)이 구현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전원연결핀(5")은 상기 제 3, 4, 5, 6 전원연결블록(230", 240", 250", 260")에 삽입되어 통전될 수도 있다.
상기를 통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추가 전력량계(3)를 설치하고 기설 전력량계(3)의 단자에 연결만 하면 분기접속이 완료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단순화되고, 기설 수용가의 정전동의를 위한 시간낭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용가의 정전피해(민원)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단락사고 또는 작업자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력량계(3)의 접속볼트를 풀고 전선을 분리한 후, 활선 노출부위를 절연 테이프를 임시로 감았다가 전력량계(3) 교체 후 다시 제거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전선의 재정리(결속선 재체결 등)작업이 줄어들거나 생략가능하므로 작업의 단순화 및 작업의 능률을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전선토막, 전선피복 조각과 같은 작업 부산물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작업 후 주변을 청소해야했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앞으로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전기계량기함 3; 전력량계
5, 5`, 5"; 전원연결핀
100; 단자대몸체 100a; 개구홀
150; 전선삽입홀 200; 전원연결블록
200`; 관통홀 200a; 전원연결부재
210; 제 1 전원연결블록 220; 제 2 전원연결블록
230, 230`, 230"; 제 3 전원연결블록
240, 240`, 240"; 제 4 전원연결블록
250, 250`, 250"; 제 5 전원연결블록
260, 260`, 260"; 제 6 전원연결블록
270; 제 7 전원연결블록 280; 제 8 전원연결블록
290; 커넥터
213, 223; 한전측 전원입력단자 233, 243; 전력량계 전원입력단자
253, 263; 전력량계 전원출력단자 255. 265; 수용가측 전원입력단자
273, 283; 분전용 전원입력단자
300; 전원연결대 330; 제 1 전원연결대
350; 제 2 전원연결대
400; 투명커버 500; 절연패드
C; 볼트 L, L`; 부하측 단자
S, S`; 전원측 단자 a, b, c, d, e, f, g, h; 상부수용홈
i, j; 하부수용홈

Claims (10)

  1. 전원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를 갖춘 전력량계와, 단자대몸체와 상기 단자대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전원연결블록과 상기 단자대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전원연결대를 포함하는 멀티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대는, 서로 나란하게 상기 단자대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1 전원연결대 및 제 2 전원연결대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연결블록은, 한전측 전선이 통전되도록 상기 제 1 전원연결대 및 제 2 전원연결대의 일단부와 동일선상으로 각각 배치되어 통전되는 제 1 전원연결블록과 제 2 전원연결블록, 전력량계측 입력전선과 통전되도록 상기 제 1 전원연결대 및 제 2 전원연결대의 일단부와 각각 통전되게 교차배치되는 제 3 전원연결블록과 제 4 전원연결블록, 일단이 전력량계측 출력전선과 통전되고 타단이 수용가측 전선과 통전되도록 상기 제 1 전원연결대 및 제 2 전원연결대와 각각 통전되게 교차배치되는 제 5 전원연결블록과 제 6 전원연결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6 전원연결블록과 제 1 전원연결대의 통전을 제어하는 커넥터가 구성되고;
    상기 전력량계의 전원측 단자는 상기 제 3, 4 전원연결블록과 통전되고 부하측 단자는 제 5, 6 전원연결블록과 통전되도록, 상기 전원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에 일체로 구비되는 전원연결핀이 구성되고;
    상기 단자대몸체의 상부는 상기 전원연결블록을 개별 수용해 절연배치되도록 다수의 상부수용홈이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전원연결대를 개별 수용해 절연배치되도록 다수의 하부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자대몸체의 둘레는 상기 단자대몸체의 상부수용홈과 연통되도록 전선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원연결블록은 상기 전선삽입홀과 연통하여 전선이 수용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핀은 말단이 상기 제 3, 4, 5, 6 전원연결블록의 일면에 배치되어 통전되도록 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핀은 상기 제 3, 4, 5, 6 전원연결블록에 삽입되어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4. 제 1 항에 있어서,
    분전용측 전선이 통전되도록 상기 제 1 전원연결대 및 제 2 전원연결대의 타단부와 동일선상으로 각각 배치되어 통전되는 제 7 전원연결블록과 제 8 전원연결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 6 전원연결블록에 나사체결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블록과 전원연결대는 상기 단자대몸체의 절연벽을 중심으로 절연배치되고, 나사체결로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블록과 전원연결대는 개구홀이 형성된 절연벽을 중심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원연결블록과 전원연결대가 통전되도록 상기 개구홀에는 전원연결부재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재는 링 형상이고, 상기 전원연결부재가 상기 전원연결블록 및 전원연결대에 삽입고정되도록 볼트로 나사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몸체의 상부를 덮는 투명커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몸체의 하부는 상기 단자대몸체의 전원연결대를 보호하도록 절연패드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KR20130056570A 2013-05-20 2013-05-20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KR101457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6570A KR101457625B1 (ko) 2013-05-20 2013-05-20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6570A KR101457625B1 (ko) 2013-05-20 2013-05-20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7625B1 true KR101457625B1 (ko) 2014-11-07

Family

ID=52287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6570A KR101457625B1 (ko) 2013-05-20 2013-05-20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6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97041A (zh) * 2016-11-18 2017-04-26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一种用标准表接入的电能表不停电更换方法
KR102185456B1 (ko) * 2019-10-14 2020-12-02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865A (ko) * 2003-05-16 2004-11-26 한국전력공사 전력계량기 무정전 교환장치 단자대
KR100674146B1 (ko) 2006-05-15 2007-01-30 이종국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KR100804080B1 (ko) 2007-02-28 2008-02-18 박대우 무정전 단자대와 그 무정전 단자대에 결합하는 전력량계결합체 및 배선용 차단기 결합체
KR101239876B1 (ko) 2012-09-26 2013-03-06 (주)한국나이스방재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멀티단자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865A (ko) * 2003-05-16 2004-11-26 한국전력공사 전력계량기 무정전 교환장치 단자대
KR100674146B1 (ko) 2006-05-15 2007-01-30 이종국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KR100804080B1 (ko) 2007-02-28 2008-02-18 박대우 무정전 단자대와 그 무정전 단자대에 결합하는 전력량계결합체 및 배선용 차단기 결합체
KR101239876B1 (ko) 2012-09-26 2013-03-06 (주)한국나이스방재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멀티단자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97041A (zh) * 2016-11-18 2017-04-26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一种用标准表接入的电能表不停电更换方法
KR102185456B1 (ko) * 2019-10-14 2020-12-02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6884B2 (ja) 電力量計アダプタ装置
KR100772207B1 (ko)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KR100674146B1 (ko)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KR102100321B1 (ko) 무정전 전력량계
KR101434600B1 (ko) 전력량계의 무정전 작업을 위한 멀티단자대
KR101239876B1 (ko)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멀티단자대
KR20110131991A (ko) 분기전력 측정기 및 그것이 적용된 분전반
JP4991642B2 (ja) 遠隔検針システム
KR101027927B1 (ko) 무정전 단자대
KR200423528Y1 (ko)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KR101457625B1 (ko) 멀티단자대 일체형 전력량계
KR20170136665A (ko) 전력량계의 단자대
KR101200489B1 (ko) 지중 저압 분전함용 일체형 전압 변류기
TWI484708B (zh) 配線管用插塞
KR20170112819A (ko) 계측기
KR101207896B1 (ko) 무정전 전기계량기함
KR20150107246A (ko) 전자식 전력량계
KR101150499B1 (ko) 전력량계 및 이의 교체 방법
JP2016163363A (ja) 分電盤
JP2016163362A (ja) 分電盤
KR100715987B1 (ko)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적산전력계
KR200378510Y1 (ko) 전력량계의 단자블록
KR100879430B1 (ko) 릴레이 스위치를 이용한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JP2008281541A (ja) 電力量計の接続アダプタおよび電力量計の交換作業方法
KR102077940B1 (ko) 계기의 종류에 따라 단자대 블록을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