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189B1 -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 Google Patents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189B1
KR102013189B1 KR1020180053339A KR20180053339A KR102013189B1 KR 102013189 B1 KR102013189 B1 KR 102013189B1 KR 1020180053339 A KR1020180053339 A KR 1020180053339A KR 20180053339 A KR20180053339 A KR 20180053339A KR 102013189 B1 KR102013189 B1 KR 102013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nection
terminals
state
pluggab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병춘
강흥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53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06Switches for connection of measuring instruments or electric motors to measuring lo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는, 복수의 꽂음형 단자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본체; 및 상기 복수의 꽂음형 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전선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분리형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며, 전력량계 교체 시, 상기 전력량계 본체와 상기 분리형 전선 접속부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WATT HOUR METER INCLUDING A DETACHABLE WIRE CONNECTION}
본 발명은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저압 3상의 전력량계의 경우, 각 단자별 2개의 나사(총 16개의 단자 나사)가 존재한다.
도 1은 종래의 전력량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력량계를 교체하는 경우, 단자 나사를 개별 분리하여 계기 교체 후 다시 나사를 조여주어야 한다.
이에 따라, 나사를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때에, 접촉 불량에 의한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다. 또한, 교체 시 시공이 불편하며, 시공 시간이 오래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전력량계 본체와 전선 접속부가 분리될 수 있는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꽂음형 단자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본체; 및 상기 복수의 꽂음형 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전선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분리형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며, 전력량계 교체 시, 상기 전력량계 본체와 상기 분리형 전선 접속부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선 접속부는, 상기 복수의 꽂음형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전선 연결 단자 각각의 연결 또는 분리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온(ON)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꽂음형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전선 연결 단자가 각각 연결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가 온(ON) 상태에서 오프(OFF)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꽂음형 단자 중 적어도 하나가 전선 연결 단자와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전선 접속부의 접촉 불량에 의한 고장 및 화재 예방으로 고객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단자 나사나 시공 작업 제거로, 시공시간의 단축을 통한 작업자의 업무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계기 교체 시 사선 상태 확보로, 작업자 안전사고가 감소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선 접속부 재사용을 통해 전력량계 자재비가 절감될 수 있다. 그리고, 계기 교체 시공시간 감소로, 작업자 교체 시공품이 절감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력량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동작 원리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전선 접속부의 재사용을 통한 전력량계 자재비 절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5는 계기 교체 시공시간 감소로 작업자 교체 시공품 절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기술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가 개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 개시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형태들은 출원을 위한 법적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참조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에 의하면, 계기교체 작업 시 전선 접속부 시공 및 접촉 불량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선 접속부 단자나사 분리 및 연결 작업에 따른 시공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전력량계 본체와 전선 접속부 분리 제작을 통한 재사용으로, 전력량계 자재비가 절감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는, 전력량계 본체와 전선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량계 본체는, 복수의 꽂음형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전선 접속부는, 상기 복수의 꽂음형 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전선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량계 교체 시, 상기 전력량계 본체와 상기 분리형 전선 접속부가 분리될 수 있다. 즉, 계기 교체 시, 본체만 교환 처리(꽂음형 타입)할 수 있으며, 전선 접속부는 고정(미교체로 나사 조임 작업 불필요)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선 접속부는, 상기 복수의 꽂음형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전선 연결 단자 각각의 연결 또는 분리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분리/연결용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동작 원리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는, 꽂음형 전력량계와 분리형 전선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선 접속부를 분리하여 본체만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형 전선 접속부에 스위치를 제작하여, 평상시에는 통전 상태를 유지하고, 교체 시에는 전류 차단(사선)으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상기 스위치가 온(ON)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꽂음형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전선 연결 단자가 각각 연결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가 온(ON) 상태에서 오프(OFF)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꽂음형 단자 중 적어도 하나가 전선 연결 단자와 분리될 수 있다.
도 4는 전선 접속부의 재사용을 통한 전력량계 자재비 절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 사용 시, 전력량계 자재비가 절감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계기 교체 시공시간 감소로 작업자 교체 시공품 절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 사용 시, 계기 교체 시공시간 감소로 작업자 교체 시공품이 절감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전선 접속부의 접촉 불량에 의한 고장 및 화재 예방으로 고객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단자 나사나 시공 작업 제거로, 시공시간의 단축을 통한 작업자의 업무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계기 교체 시 사선 상태 확보로, 작업자 안전사고가 감소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선 접속부 재사용을 통해 전력량계 자재비가 절감될 수 있다. 그리고, 계기 교체 시공시간 감소로, 작업자 교체 시공품이 절감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4)

  1. 복수의 꽂음형 단자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본체; 및
    상기 복수의 꽂음형 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전선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분리형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며,
    나사의 조임이 없어도 각 전선 연결 단자가 각 꽂음형 단자에 삽입되어 상기 전력량계 본체와 상기 분리형 전선 접속부가 연결되고,
    전력량계 교체 시, 나사를 분리하지 않아도 상기 전력량계 본체와 상기 분리형 전선 접속부가 분리되며,
    상기 분리형 전선 접속부는 상기 복수의 꽂음형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전선 연결 단자 각각의 연결 또는 분리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가 온 상태인 경우, 각 전선 연결 단자가 일 방향에 대한 수직 상태가 되어 각 꽂음형 단자에 삽입되며,
    상기 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각 전선 연결 단자가 상기 일 방향에 대한 사선 상태가 되어 각 꽂음형 단자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온(ON)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꽂음형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전선 연결 단자가 각각 연결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온(ON) 상태에서 오프(OFF)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꽂음형 단자 중 적어도 하나가 전선 연결 단자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KR1020180053339A 2018-05-09 2018-05-09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KR102013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339A KR102013189B1 (ko) 2018-05-09 2018-05-09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339A KR102013189B1 (ko) 2018-05-09 2018-05-09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189B1 true KR102013189B1 (ko) 2019-10-21

Family

ID=68460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339A KR102013189B1 (ko) 2018-05-09 2018-05-09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1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552A (ko) * 2021-06-14 2022-12-21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 무정전 교체장치 및 교체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297A (ko) * 2001-11-02 2003-05-16 조근석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
KR100772207B1 (ko) * 2007-01-26 2007-11-01 박대우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KR20080044580A (ko) * 2006-11-17 2008-05-21 이종국 계량기 교체를 위한 임시계량장치
KR20090078182A (ko) * 2008-01-14 2009-07-17 한국전력공사 시험용 단자대
KR20110000155U (ko) * 2009-06-30 2011-01-06 한국전력공사 고압 전자식 전력량계 무정전 교체장치
KR20110020092A (ko) * 2009-08-21 2011-03-02 이종국 무정전 단자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297A (ko) * 2001-11-02 2003-05-16 조근석 무정전 콘센트단자블럭을 채용한 배전함
KR20080044580A (ko) * 2006-11-17 2008-05-21 이종국 계량기 교체를 위한 임시계량장치
KR100772207B1 (ko) * 2007-01-26 2007-11-01 박대우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KR20090078182A (ko) * 2008-01-14 2009-07-17 한국전력공사 시험용 단자대
KR20110000155U (ko) * 2009-06-30 2011-01-06 한국전력공사 고압 전자식 전력량계 무정전 교체장치
KR20110020092A (ko) * 2009-08-21 2011-03-02 이종국 무정전 단자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552A (ko) * 2021-06-14 2022-12-21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 무정전 교체장치 및 교체방법
KR102574204B1 (ko) 2021-06-14 2023-09-06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 무정전 교체장치 및 교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3189B1 (ko) 분리 가능한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CN104078940A (zh) 一种二次电源系统和供电设备
CN206712307U (zh) 一种用于继电保护屏柜的绝缘防护罩
CN100446373C (zh) 电源控制装置
CN201369179Y (zh) 核电站数字式设备的主备供电电路
KR20230098431A (ko) 정전시 가용 전력의 선별적인 공급시스템
US6420850B1 (en) Telecommunication power distribution systems and apparatuses and methods of supplying power to a telecommunication device
JP2000201440A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及びその給電方法
JP2009130941A (ja) 電力外部入出力装置
CN218300919U (zh) 一种用于电源进线的电弧光保护装置
CN216720911U (zh) 一种双pdu联控系统
CN212784900U (zh) 一种远动控制切换器
KR102129714B1 (ko) 배전선로의 단선을 검출하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215601554U (zh) 一种应用于激光设备的电源控制板
CN213027430U (zh) 电机控制器测试中安全保护电路
CN211789899U (zh) 一种电压二次回路转接装置
CN216390588U (zh) 一种双直流系统控制电路
US11469591B2 (en) Energy reducing maintenance switch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n energy reducing maintenance switch system
CN212210052U (zh) 一种应急保障供电装置
CN209545151U (zh) 一种发电厂脱硫负荷厂用电接线系统
CN103227630A (zh) 一种适用于大工作电流的热插拔方法及电路
CN208226664U (zh) 一种供电电路
KR102033751B1 (ko) 스위치가 구비된 전력량계
CN210668763U (zh) 导线接头隔离组件及导线接头隔离装置
KR100445573B1 (ko) 전력손실을 줄이는 보호 계전기 시험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