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084B1 - 무정전 단자대 및 단독계기함 - Google Patents

무정전 단자대 및 단독계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084B1
KR100804084B1 KR1020070060855A KR20070060855A KR100804084B1 KR 100804084 B1 KR100804084 B1 KR 100804084B1 KR 1020070060855 A KR1020070060855 A KR 1020070060855A KR 20070060855 A KR20070060855 A KR 20070060855A KR 100804084 B1 KR100804084 B1 KR 100804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block
uninterruptible
switch
suppl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우
Original Assignee
박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우 filed Critical 박대우
Priority to KR1020070060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정전 단자대 및 단독계기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량계 교체시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형이 슬림(slim) 타입의 무정전 단자대 및 단독계기함에 관한 것으로, 전원측공급단자 및 부하측공급단자를 포함하는 무정전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전원측공급단자 및 부하측공급단자를 수용하는 단자 결합홈을 갖는 판상의 단자대 본체; 상기 단자대 본체 내에 설치되는 개폐기; 상기 개폐기에 의해 일단이 상기 부하측공급단자에 단속가능하게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전원측공급단자에 연결되는 연결단자; 및 상기 개폐기와 연결단자를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개폐기의 상부가 관통되어 돌출되는 단자대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개폐기와 연결단자에 의해 무정전 상태에서 결합체를 신속히 교체할 수 있음은 물론 그로 인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무정전, 전력량계, 단자대

Description

무정전 단자대 및 단독계기함{terminal block for uninterrupted power supply and exchangeable boxes}
도 1은, 종래기술의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전력량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단자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개폐기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전원차단편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단자대에 전력량계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전력량계 결합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전력량계 전류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단자대와 전력량계 사이에 베이스부재가 개재되어 단독계기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단자대에 전력량계가 결합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00... 단자대 본체 200... 개폐기
300... 연결단자 400... 단자대 커버
A... 전력량계 1000... 무정전 단자대
본 발명은 무정전 단자대 및 단독계기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량계 교체시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형이 슬림(slim) 타입의 무정전 단자대 및 단독계기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대에는 전력량계가 결합되게 된다.
먼저, 상기 전력량계는 공장이나 가정 및 자영업장 등에서 사용전력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설치되는 게이지로서, 이러한 전력량계는 전류를 공급받아 원형의 계측판을 돌리는 기계식방식이나 수치를 직접 나타내는 디지털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력량계는 외형이 박스형상 갖고 그 내부공간은 계측판 등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어 단자대의 전원측공급단자와 부하측공급단자에 결합하는 전류편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력량계의 하우징 일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전류편을 일부 해지, 증설하거나 계기고장으로 인한 하우징 교체시 단자대의 단자홈에 전선의 노출 부위를 삽입 또는 인출하는 과정에서 전선들이 상호 접촉되어 하우징이 폭발하여 작업자의 안면 화상이나 노출부위에 화상을 입혀 대형 인적사고가 발생 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전력량계를 단자대에 결합하거나 교체할 경우, 단자대에 형성한 단자홈의 내의 단자도체가 단자홈의 입구부측에 인접하여 설치하거나 해체시키게 된다. 이때, 전선간에 혼촉이 발생되게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혼촉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별도의 전원차단기를 설치하고 상기 전원차단기의 컷,오프스위치를 "오프"하여 정전상태로 위치시킨 다음, 단자대에 결합된 전력량계나, 배선용 차단기를 교체하는 방법이 있었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은 사용하는 고객에게 장시간 전원을 공급할 수 없게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현재의 전력량계의 교체작업에 있어서, 별도의 전원차단를 설치한 후 정전을 시킨 다음 교체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최근, 이러한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안출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45801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에 기재된 무정전 안전형 적산전력계 교체장치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무정전 안전형 적산전력계 교체장치는 돌출 테두리(11)와, 그 테두리의 안쪽의 중앙에서 상측 개구부(12) 및 하측 개구부(13)를 가지는 평판형의 베이스부재(10)와,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정면 하측에 부착 고정하되, 단자구멍(21)들로부터 상면으로 복수의 플러그(22)가 돌출되고, 상기 단 자구멍(21)들의 저면으로 인입선(23) 및 인출선(24)이 연결되는 고정터미널 어셈브리(20)와, 상기 베이스부재(10)의 뒷면에 밀착된 채 상측 체결부(31)가 상측 개구부(12)로 돌출되고, 하측 체결부(32)가 하측 개구부(13)로 돌출되며, 별도의 슬라이딩수단(50)에 의해 상, 하 승강 가능한 슬라이딩부재(30)와, 상기 슬라이딩부재(30)의 상측 체결부(31)에 상측 걸고리(42)가 걸리고, 하측 체결부(32)에 고정나사(33)로써 체결되도록 하여 저면의 플러그 홀(41)로 상기한 플러그(22)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착탈 가능한 적산전력계(40)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30)의 슬라이딩 작동에 따라 전원이 연결/단락되는 임시 컨넥팅수단(6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베이스부재(10)와 상기 베이스부재(10)의 후면에 밀착되는 슬라이딩부재(30)와 상기 슬라이딩부재(30)를 승하강시키는 슬라이딩수단(50)이 필수로 구성되어야 하며, 특히 슬라이딩부재(30)와 슬라이딩수단(50)은 각각의 복잡한 구성요소가 형성되거나 설치됨에 따라 제조비용이 고가로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적산전력계(40)를 무정전 상태로 교체하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슬라이딩수단(50)의 회동아암(54)을 회동시킨 후 적산전력계(40)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히 적산전력계(40)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회동아암(54)이 외부 충격을 받거나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아래쪽으로 이동될 시에는 전류가 단전됨은 물론이고 작업자는 전류에 노출되어 감전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무정전 안전형 적산전력계 교체장치를 실 사용하는 과정에 서 외부 충격에 의한 베이스부재(10), 슬라이딩부재(30), 슬라이딩수단(50) 중 어느 하나가 부분적으로 파손 및 변형이 발생되면 전체적인 교체가 이루어져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기술의 무정전 안전형 적산전력계 교체장치를 포함한 대부분의 적산전력계와 단자대는 상당한 부피로 형성되어 주택 또는 상가 건물의 외벽면에 설치될시 그 부피로 인해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잦아 쉽게 파손됨은 물론 미관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정전 상태에서 단자대에 결합된 결합체를 신속히 교체할 수 있음은 물론 그로 인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무정전 단자대 및 단독계기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력량계 교체시 무정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1차적인 별도의 조작이 없이 단자대로부터 전력량계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무정전 단자대 및 단독계기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를 슬림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 무정전 단자대및 단독계기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단자대 및 단독계기함은, 전원측공급단자 및 부하측공급단자를 포함하는 무정전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전원측공급단자 및 부하측공급단자를 수용하는 단자 결합홈을 갖는 판상의 단자대 본체; 상기 단자대 본체 내에 설치되는 개폐기; 상기 개폐기에 의해 일단이 상기 부하측공급단자에 단속가능하게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전원측공급단자에 연결되는 연결단자; 및 상기 개폐기와 연결단자를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개폐기의 상부가 관통되어 돌출되는 단자대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개폐기는 탄성작용 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의해 승하강이 가능한 수평부와 수직부를 갖는 누름막대와, 상기 누름막대의 수평부 상면에 설치되는 접촉단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기는 전원측공급단자 또는 부하측공급단자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한편, 상기 연결단자는 개폐기의 누름막대에 단속되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단자에 일단이 접촉되고 타단은 전원측공급단자에 접촉되는 제2 단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누름막대의 수직부는 단자대 커버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자대 커버의 상면에는 강제적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편과, 상기 전원차단편이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전원측공급단자 및 부하측공급단자를 포함하는 무정전 단자대에 베이 스부재와 전력량계가 결합되는 단독계기함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무정전 단자대와 전력량계를 외부의 이물질과 오염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절연체인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그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무정전 단자대와 전력량계가 각각 결합되되,
상기 전력량계는 무정전 단자대의 전원측공급단자와 부하측공급단자에 결합되는 전류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단자대(1000)는 전원측공급단자(110a) 및 부하측공급단자(110b)를 수용하는 단자대 본체(100)와, 상기 단자대 본체(100) 내에 설치되는 개폐기(200)와, 상기 전원측공급단자(110a)와 부하측공급단자(110b)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단자(300)와, 상기 단자대 본체(100)를 마감하는 단자대 커버(4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단자대 본체(100)는 사각 판재 형상의 절연체(합성수지)로써, 일면에는 전원측공급단자(110a)와 부하측공급단자(110b)를 수용하기 위한 단자 결합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단자 결합홈(110)은 전원측공급단자(110a)와 부하측공급단자(110b)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단자 결합홈(110)은 사각의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자 결합홈(110)은 다수개로 형성되되,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자대 본체(100)에 대해 전원측공급단자(110a)가 우측에 배치되어 있고 부하측공급단자(110b)는 좌측에 배치되어 있으나, 이는 현장에 설치된 전원인입선(미도시)의 결합된 위치에 따라 바뀔 수 있으므로 그 배치된 위치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대 본체(100)에는 후술할 개폐기(200)와 연결단자(300)를 수용하기 위한 개폐기 수용부(130)와 연결단자 수용부(140)가 각각 형성된다.
삭제
이 경우, 상기 개폐기 수용부(130)는 부하측공급단자(110b)가 결합되는 단자 결합홈(110)의 일단 근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론 전원측공급단자(110a)가 결합되는 단자 결합홈(110)의 일단 근방에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단자 수용부(140)는 전원측공급단자(110a)가 결합되는 단자 결합홈(100)의 일단 근방으로부터 단자대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다가 다시 부하측공급단자(100b)쪽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평면에서 바라볼 때 "ㄱ"자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단자대 본체(100)에 형성된 단자 결합홈(110)과 개폐기 수용부(130) 및 연결단자 수용부(140)는 서로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자대 본체(100)의 양 측면에는 건물의 외벽면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공을 갖는 고정부(15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대 본체(100)의 고정부(150)를 대신할 별도의 고정구조가 있을 경우, 상기 고정부(150)는 고정공을 통해 전력량계(A)와 봉인되는 봉인부의 역할로도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단자대 본체(100)는 후술한 단자대 커버(400)와 나사결합되는 다수개의 나사체결공(160)이 형성된다.
삭제
한편, 상기 개폐기(200)는 부하측공급단자(110b)의 일단과 후술할 연결단 자(300)의 일단 사이에 위치하여 전류를 단속하는 것으로, 탄성작용을 하는 스프링(210)과, 상기 스프링(210)에 의해 승하강이 가능한 수평부와 수직부를 갖는 누름막대(220)와, 상기 누름막대(220)의 수평부 상면에 설치되는 접촉단자(2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210)은 나선형으로 둥글게 감긴 통상적인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누름막대(2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누름막대(220)가 부하측공급단자(110b)와 연결단자(300)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누름막대(220)는 절연체인 사각형상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그 형상은 원형 또는 다양한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누름막대(220)의 아래쪽에는 스프링이 연결되되, 일단은 부하측공급단자(110b)와 타단은 후술할 연결단자(300)와 맞닿게 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중심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지는 수직부로 형성된다. 즉, 상기 누름막대(220)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ㅗ"자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접촉단자(230)는 전도체로서, 상기 누름막대(220)의 수평부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단자(230)가 설치된 누름막대(220)는 승하강함에 따라 부하측공급단자(110b)와 연결단자(300)로부터 접촉되거나 비접촉됨에 따라, 전원측공급단자(110a)로부터 연결단자(300)를 통한 전류를 부하측공급단자(110b)로 통전 또는 차단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기(200)는 부하측공급단자(110b)의 일단 근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원측공급단자(110a)의 일단 근방에 설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누름막대(220)의 수직부는 후술할 단자대 커버(400)의 상면(401)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참조.)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단자(300)는 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제작되며, 필요에 따라 전원측공급단자(110a)로부터 흐르는 전류를 전달받고 개폐기(200)를 통해 부하측공급단자(110b)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연결단자(300)는 전술한 단자대 본체(100)에 형성된 연결단자 수용부(140)에 설치되되, 상기 개폐기(200)의 누름막대(220)에 단속되는 제1 단자(310)와, 상기 제1 단자(310)에 일단이 접촉되고 타단은 전원측공급단자(110a)에 접촉되는 "ㄱ"자 형상의 제2 단자(320)로 나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단자(300)를 구성하는 제1 단자(310)와 제2 단자(3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단자대 커버(400)는 상기 개폐기(200)와 연결단자(300)를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개폐기(200)의 상부가 관통되어 돌출되는 사각 판재 형상의 절연체(합성수지)로써, 그 상면(401)에는 후술할 전력량계(A)가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단자대 커버(400)는 단자대 본체(100)와 동일한 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자대 커버(400)에는 상기 개폐기(200)의 누름막대(220)가 작 동 가능하도록 그 형상에 대응하는 제1 관통공(410)과, 후술할 전력량계(A)의 전류편(A1)이 단자대 본체(100)의 전원측공급단자(110a) 및 부하측공급단자(110b)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제2 관통공(4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대 커버(400)의 상면(401)에는 강제적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편(430)과, 상기 전원차단편(430)이 수납되는 수납홈(44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차단편(430)은 필요에 따라 주택 또는 건물의 내부로 전류가 공급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 형상은 "
Figure 112007044834802-pat00001
"자의 형태로 일단은 누름막대(220)에 접촉되고 타단은 수납홈(440)에 나사연결된다. 즉, 나사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전원차단편(430)은 누름막대(220)를 가압하므로 이를 통해 부하측공급단자(110b)로 공급되는 전류는 차단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대 커버(400)의 상면(401)에는 전류편(A1)을 갖는 전력량계(A)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전류편(A1)의 일단은 전력량계(A)의 단자홈에 고정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를 갖되, 그 타단은 다시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전원측공급단자(110a) 및 부하측공급단자(110b)에 결합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편(A1)은 전력량계(A)의 바닥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일자형상으로 제작하여 무정전 단자대(1000)의 전원측공급단자(110a) 및 부하측공급단자(110b)에 결합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정전 단자대(1000)와 전력량계(A) 사이에는 베이스부재(S)를 더 포함하여 단독계기함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재(S)는 무정전 단자대(1000)와 전력량계(A)를 외부의 이물질과 오염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절연체인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일측은 무정전 단자대(1000)가 결합되며 타측은 전력량계(A)가 결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S)의 전력량계(A)가 결합되는 테두리에는 커버부재(미도시)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무정전 단자대(1000)와 베이스부재(S)는 나사체결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착제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단자대(1000)와 그 무정전 단자대(1000)에 전력량계(A)가 결합되는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단자대 본체(100) 내에 전원측공급단자(110a), 부하측공급단자(110b), 개폐기(200) 및 연결단자(300)를 차례로 설치한 후 단자대 커버(400)와 나사결합 함으로써, 무정전 단자대(1000)를 완성시킨다.
그 다음, 전류편(A1)을 갖는 전력량계(A)를 상기 무정전 단자대(1000)의 전원측공급단자(110a) 및 부하측공급단자(110b)로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이 후, 상기 전원측공급단자(110a) 및 부하측공급단자(110b)에 각각의 전원전선(미도시)과 부하전선(미도시)을 결선시킴으로 전류는 전원측공급단자(110a)로 부터 전력량계(A)의 전류편(A1)을 통해 부하측공급단자(110b)로 흐르게 함으로서 수용가측에 전류를 통전시키게 된다.
한편, 전력량계(A)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상기 전력량계(A)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전력량계(A)를 파지한 상태에서 들어올려 무정전 단자대(1000)로부터 이탈시킨다. 이때, 상기 전력량계(A)의 바닥면에 의해 눌려 있던 개페기(200)의 누름막대(220)와 스프링(210)은 그 눌림의 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스프링(2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누름막대(220)가 승강하게 되고, 상기 누름막대(220)에 설치된 접촉단자(230)가 부하측공급단자(110b) 및 연결단자(300)에 접촉되게 됨으로서, 상기 전력량계(A)의 전류편(A1)을 통하지 않고도 수용가측으로 전류가 통전되게 된다.
한편, 교체할 전력량계(A)를 결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전력량계(A)의 전류편(A1)을 전원측공급단자(110a) 및 부하측공급단자(110b)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력량계(A)의 바닥면이 누름막대(220)를 누르게 됨에 따라 스프링(210) 또한 압축된 상태로 눌리게 된다. 이때, 누름막대(220)의 접촉단자(230)는 부하측공급단자(110a)와 연결단자(300)로부터 이격된 비접촉 상태로써, 연결단자(300)로부터 통전되는 전류는 차단되는 대신 전력량계(A)의 전류편(A1)을 통해 전류가 수용가측으로 통전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기와 연결단자에 의해 무정 전 상태에서 결합체를 신속히 교체할 수 있음은 물론 그로 인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프링에 의해 승하강 하는 개폐기에 의해 결합체 교체시 무정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별도로 단자대를 조작할 필요없이 원터치식으로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단자대 본체가 사각의 판재의 슬림한 형태로 구현되어 건물의 외벽면에 설치시 외부충격에 대해 안정적인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7)

  1. 전원측공급단자 및 부하측공급단자를 포함하는 무정전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전원측공급단자 및 부하측공급단자를 수용하는 단자 결합홈을 갖는 판상의 단자대 본체;
    상기 단자대 본체 내에 설치되는 개폐기;
    상기 개폐기에 의해 일단이 상기 부하측공급단자에 단속가능하게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전원측공급단자에 연결되는 연결단자; 및
    상기 개폐기와 연결단자를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개폐기의 상부가 관통되어 돌출되는 단자대 커버로 구성되되,
    상기 개폐기는 탄성작용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의해 승하강이 가능한 수평부와 수직부를 갖는 누름막대와, 상기 누름막대의 수평부 상면에 설치되는 접촉단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단자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는 전원측공급단자 또는 부하측공급단자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단자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는,
    개폐기의 누름막대에 단속되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단자에 일단이 접촉되고 타단은 전원측공급단자에 접촉되는 제2 단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단자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막대의 수직부는 단자대 커버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단자대.
  6. 제1항, 제3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 커버에는 강제적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편과,상기 전원차단편이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단자대.
  7. 전원측공급단자 및 부하측공급단자를 포함하는 무정전 단자대에 베이스부재와 전력량계가 결합되는 단독계기함에 있어서,
    상기 무정전 단자대는 제1항, 제3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것이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무정전 단자대와 전력량계를 외부의 이물질과 오염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절연체인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그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무정전 단자대와 전력량계가 각각 결합되되,
    상기 전력량계는 무정전 단자대의 전원측공급단자와 부하측공급단자에 결합되는 전류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단독계기함.
KR1020070060855A 2007-06-21 2007-06-21 무정전 단자대 및 단독계기함 KR100804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855A KR100804084B1 (ko) 2007-06-21 2007-06-21 무정전 단자대 및 단독계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855A KR100804084B1 (ko) 2007-06-21 2007-06-21 무정전 단자대 및 단독계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084B1 true KR100804084B1 (ko) 2008-02-18

Family

ID=39382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855A KR100804084B1 (ko) 2007-06-21 2007-06-21 무정전 단자대 및 단독계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0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212B1 (ko) 2008-09-12 2009-04-02 (주)엔씨코리아시스템 무정전 단자대
KR101207896B1 (ko) 2012-09-26 2012-12-04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무정전 전기계량기함
KR101239876B1 (ko) * 2012-09-26 2013-03-06 (주)한국나이스방재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멀티단자대
KR20190019423A (ko) * 2017-08-17 2019-02-27 한국전력공사 슬라이드 방식의 계기함 및 이의 교체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801Y1 (ko) 2001-05-31 2001-10-29 전명수 무정전 안전형 적산전력계 교체장치
KR200284100Y1 (ko) 2002-05-10 2002-07-31 천일계전(주)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를 설치할 수 있는 소켓형어댑터장치
KR200368244Y1 (ko) 2004-08-27 2004-11-18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력량계와 차단기의 일체형 구조
KR200378510Y1 (ko) 2004-12-13 2005-03-11 김수진 전력량계의 단자블록
JP2006114232A (ja) 2004-10-12 2006-04-2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接続端子台および電力量計
KR100618161B1 (ko) * 2006-06-03 2006-09-01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적산전력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801Y1 (ko) 2001-05-31 2001-10-29 전명수 무정전 안전형 적산전력계 교체장치
KR200284100Y1 (ko) 2002-05-10 2002-07-31 천일계전(주)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량계를 설치할 수 있는 소켓형어댑터장치
KR200368244Y1 (ko) 2004-08-27 2004-11-18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력량계와 차단기의 일체형 구조
JP2006114232A (ja) 2004-10-12 2006-04-2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接続端子台および電力量計
KR200378510Y1 (ko) 2004-12-13 2005-03-11 김수진 전력량계의 단자블록
KR100618161B1 (ko) * 2006-06-03 2006-09-01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적산전력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212B1 (ko) 2008-09-12 2009-04-02 (주)엔씨코리아시스템 무정전 단자대
KR101207896B1 (ko) 2012-09-26 2012-12-04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무정전 전기계량기함
KR101239876B1 (ko) * 2012-09-26 2013-03-06 (주)한국나이스방재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멀티단자대
CN103682690A (zh) * 2012-09-26 2014-03-26 株式会社韩国耐斯防灾 无停电式电度表交换用端子台
KR20190019423A (ko) * 2017-08-17 2019-02-27 한국전력공사 슬라이드 방식의 계기함 및 이의 교체방법
KR102344314B1 (ko) 2017-08-17 2021-12-29 한국전력공사 슬라이드 방식의 계기함 및 이의 교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207B1 (ko)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JP4766884B2 (ja) 電力量計アダプタ装置
KR100804084B1 (ko) 무정전 단자대 및 단독계기함
KR100804080B1 (ko) 무정전 단자대와 그 무정전 단자대에 결합하는 전력량계결합체 및 배선용 차단기 결합체
KR200388334Y1 (ko) 차단기가 구비된 전력량계
CN101958212B (zh) 插座式剩余电流断路器
KR100904562B1 (ko) 바이패스 스위치를 이용한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KR100715987B1 (ko)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적산전력계
US8152544B1 (en) Energy-saving socket structure
KR101124457B1 (ko) 전기공급을 차단하지 않는 어댑터용 전력량계
CN103941055A (zh) 直插式电力信息采集设备
JP7229974B2 (ja) 無停電取替装置およびその無停電取替装置を備えた電気装置
US10571494B2 (en) Electric power measuring device
JP2001066330A (ja) 電力量計
EP2782115A1 (en) Fuse block base
CN202405199U (zh) 一种l极断路器与n极断路器的连线结构
CN109545623B (zh) 一种一体式工控电磁继电器
JP2014153296A (ja) 遠隔検針装置
KR20150097881A (ko) 벽면 매립형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KR200461086Y1 (ko) 무전원으로 온오프 표시되는 전원스위치
CN203596294U (zh) 用于低压电路的电开关装置
CN214899568U (zh) 一种带有防护结构的低压综合配电箱
CN203013642U (zh) 断路器接线端子
CN210378913U (zh) 电子式塑壳断路器
CN210443752U (zh) 安全电源插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