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654B1 - 전기 계량기함 및 전기 계량기함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계량기함 및 전기 계량기함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654B1
KR101380654B1 KR1020130053184A KR20130053184A KR101380654B1 KR 101380654 B1 KR101380654 B1 KR 101380654B1 KR 1020130053184 A KR1020130053184 A KR 1020130053184A KR 20130053184 A KR20130053184 A KR 20130053184A KR 101380654 B1 KR101380654 B1 KR 101380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eter
terminal block
meter box
main bod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찬
Original Assignee
정현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찬 filed Critical 정현찬
Priority to KR1020130053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계량기함에 있어서, 합성수지 소재로 일체 성형되는 본체(4)를 구비하며, 본체(4) 후방에는 트레이(26)에 설치된 단자대(28)를 수용할 수 있는 십자형상의 개방부(8)를 형성하고, 개방부(8)의 내측 굴곡부위에는 개방부(8)의 크기를 넓히기 위해 절단하여 제거가능한 공간확장편(10)을 형성하며, 본체(4) 전방에는 내설된 계량기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16)과, 본체(4) 내부와 외부의 공기 순환을 위한 다수의 공기유통공(18)을 갖는 커버(6)를 구성하여, 단자대(28)를 트레이에 먼저 설치한 후 전기 계량기(32)의 배선연결을 선 작업하여 전기 계량기함(2)을 설치함으로써 좁은 전기 계량기함(2) 내에서의 배선작업에 비해 작업효율이 증대됨과 함께 전기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자대(28)를 끼움 설치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확보하여 다양한 크기의 단자대(28)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기 계량기함 및 전기 계량기함의 시공방법{ELECTRIC METER BOX AND CONSTRUCTION METHOD OF ELECTRIC METER BOX}
본 발명은 전기 계량기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선을 위한 단자대를 별도로 설치하여 시공이 용이한 전기 계량기함 및 전기 계량기함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계량기은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설비로서, 아파트나 주택 등의 건물 벽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전기 사용량을 표시하는 전기 계량기와 과전류가 흐르거나 누전될 때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여 화재를 방지하는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은 전선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종래에 사용된 전기 계량기함에서 상기 부품들이 설치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차단기와 전기 계량기를 함에 직접 부착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접지 및 단락사고의 위험성이 있고, 현장에서 상기 부품들을 하나하나 직접 설치하는 작업을 해야하므로 작업성이 까다롭고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134709호, '노출형 전기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계량기와 차단기의 배선 연결을 위한 단자대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작업능률을 높이고 전기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는 전기 계량기함 및 전기 계량기함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전기 계량기함에 있어서, 합성수지 소재로 일체 성형되는 본체(4)를 구비하며, 본체(4) 후방에는 트레이(26)에 설치된 단자대(28)를 수용할 수 있는 십자형상의 개방부(8)를 형성하고, 개방부(8)의 내측 굴곡부위에는 개방부(8)의 크기를 넓히기 위해 절단하여 제거가능한 공간확장편(10)을 형성하며, 본체(4) 전방에는 내설된 계량기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16)과, 본체(4) 내부와 외부의 공기 순환을 위한 다수의 공기유통공(18)을 갖는 커버(6)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계량기함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트레이(26)의 상단에 배선연결을 위한 단자대(28)를 설치하는 제1과정과, 설치된 단자대(28)가 수용될 수 있도록 십자형상의 개방부(8)가 형성된 본체(4)를 단자대(28) 전방으로부터 결합하는 제2과정과, 본체(4)를 트레이(26)에 설치한 후 전기 계량기(32)와 차단기(34)를 내설하여 단자대(28)와 배선을 연결하는 제3과정과, 본체(4)의 전방에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전기 계량기(32)를 보호하기 위해 커버(6)를 덮어 체결고정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 계량기 내의 단자대를 끼움방식으로 별도 설치하여 전기 계량기의 배선연결을 선 작업 한 후 전기 계량기함을 설치함으로써 좁은 전기 계량기함 내에서의 배선작업에 비해 작업효율이 증대됨과 함께 전기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자대를 끼움 설치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확보하여 다양한 크기의 단자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 계량기함의 사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계량기함의 본체 측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 계량기함의 사시 구성도,
도 6a 내지 도 6d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계량기함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기 계량기(32)와 차단기(34)의 배전 연결을 위한 단자대(28)를 전기 계량기함 본체(4) 내에 내설하지 않고 별로도 설치하여 배선을 연결한 후 본체(4)를 설치함으로써 작업효율이 좋고, 전기사고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계량기함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정면도로, 본 발명의 전기 계량기함(2)은 일반적으로 후방이 막혀져 내측에 전기 계량기(32), 차단기(34), 단자대(28) 등을 내설하는 전기 계량기함(2)과는 달리 후방에 십자형상으로 뚫려있는 개방부(8)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전기 계량기함 본체(4)는 단자대(28)를 별도 설치함에 따라 벽체에 구비된 트레이(26)에 단자대(28)를 설치하여 배선정리를 한 후 본체(4)가 단자대(28)와 맞춤 결합되도록 개방부(8)를 통해 단자대(28)가 끼움 결합하여 본체체결부(24)에 의해 트레이(26)에 설치한다.
개방부(8)는 다양한 크기의 단자대(28)가 끼워질 수 있도록 가로 폭 길이를 여유있게 형성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200, 300, 400mm 길이의 트레이(26)가 끼워질 수 있도록 개방부(8)의 폭을 형성한다.
개방부(8)의 새로 폭 공간은 전기 배선을 정리하기 위한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 계량기함 본체(4)의 측면도로, 본체(4) 후방에 형성된 개방부(8)는 형성된 개방부(8)의 폭 보다 큰 단자대(28)가 끼워질 경우에는 개방부(8)의 양단이 걸리게 되어 맞춤끼움이 되지 못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개방부(8)의 가로폭 양단에 개방부(8)의 폭보다 큰 단자대(28)가 끼워질 경우 이를 맞춤결합하기 위한 안착부(14)가 본체(4) 후방의 양단에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4)는 본체(4) 후면과 단차지도록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개방부(8)의 끼움 범위를 벗어난 단자대(28)의 결합판(30)이 안착부(14)에 놓여져 맞춤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안착부(14)와 본체(4) 후면과의 단차높이는 결합되는 단자대(28)의 결합판(30) 두께에 따라 다르게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단자대(28)가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부(8)의 넓이를 확장할 수 있다. 십자형상의 개방부(8) 굴곡부위에는 절단로(12)를 형성하여 필요시 이를 제거하여 개방부(8)의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공간확장편(10)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단자대(28)는 가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나, 필요에 따라서 가로폭의 길이가 길어진 형태가 있을 수 있으며, 이때, 도 4에서와 같이 간편하게 공간확장편(10)을 제거하여 단자대(28) 끼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여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공간확장편(10)은 개방부(8)의 넓이를 확장하는 정도에 따라 절단로(12)의 범위를 정하는 것으로, 개방부(8)의 공간 확장을 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본체(4)의 후방을 뚫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간편하게 적은 힘으로 공간확장편(10)을 띠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체(4)는 일체로 사출성형함에 따라 공간확장편(10)의 크기를 미리 정하여 일체 성형하는 것이며, 개방부(8) 확장을 위해 공간확장편(10)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합성수지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트레이(26)에 설치된 단자대(28)를 끼움 결합하게 본체(4)를 설치한 후, 본체(4)내에 전기 계량기(32)와 차단기(34) 등을 설치하여 배선작업을 마무리하고 커버체결부(22)에 의해 전방에 커버(6)를 설치한다.
상기 커버(6)의 상부에는 본체(4) 내에 설치된 전기 계량기(32)의 숫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확인창(16)이 다수 형성된다. 확인창(16)은 도 5에 도시된 커버(6a)와 같이 내설되는 전기 계량기(32)의 개수에 맞게 형성된다. 커버(6)의 하부에는 외부공기의 유입과 본체(4) 내의 공기가 유출되는 공기유통공(18)을 형성하여 전기 계량기함(2) 내의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전기 계량기함(2)의 온도조절 역할을 위해 본체(4) 후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6d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 계량기함(2)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기 계량기함(2)은 배선연결을 위한 단자대(28)를 본체(4) 내에 설치하지 않고 벽체에 시공된 트레이(26)에 먼저 설치하게 된다. 결합판(30)에 의해 트레이(26)에 설치된 단자대(28)는 전기 계량기(32)와 차단기(34)를 연결하기 위한 각종 배선을 우선적으로 먼저 연결한다.
배선작업이 완료된 단자대(28)의 전방에는 십자형상으로 뚫려진 개방부(8)가 형성된 본체(4)를 덮어씌워 개방부(8)에 단자대(28)가 맞춤 결합되어 끼워지도록 하여 트레이(26)에 본체(4)를 설치한다. 개방부(8)에 끼워지는 단자대(28)는 크기가 다양하므로 단자대(28)의 크기에 맞게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개방부(8)의 크기를 여유있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단자대(28)의 크기뿐만 아니라 상이한 형상의 단자대(28)를 끼움하기 위해 개방부(8)의 여유공간을 확장하도록 절단로(12)가 구비된 공간확장편(10)을 본체(4) 후면에서부터 절단시켜 개방부(8)의 공간을 넓히게 된다.
개방부(8)를 통해 단자대(28)가 끼움 결합되어 본체(4) 내에 위치하게 되면, 전기 계량기(32)와 차단기(34)를 설치하여 이를 연결하는 배선 작업을 마무리한다.
전기 계량기(32)의 배전 작업이 완료되면 본체(4) 전방에 커버(6)를 덮어 외부환경으로부터 전기 계량기(32)를 보호한다. 커버(6)는 상부에 다수의 확인창(16)을 통해 밖에서도 본체(4) 내의 전기 계량기(32)의 수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하부의 공기유통공(18)을 통해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순환하여 본체(4) 내의 열을 식혀줄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자대(28)를 트레이에 먼저 설치한 후 전기 계량기(32)의 배선연결을 선 작업하여 전기 계량기함(2)을 설치함으로써 좁은 전기 계량기함(2) 내에서의 배선작업에 비해 작업효율이 증대됨과 함께 전기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자대(28)를 끼움 설치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확보하여 다양한 크기의 단자대(28)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 전기 계량기함 (4)-- 본체
(6)(6a)-- 커버 (8)-- 개방부
(10)-- 공간확장편 (12)-- 절단로
(14)-- 안착부 (16)-- 확인창
(18)-- 공기유통공 (22)-- 커버체결부
(24)-- 본체체결부 (26)-- 트레이
(28)-- 단자대 (30)-- 결합판
(32)-- 전기 계량기 (34)-- 차단기

Claims (5)

  1. 전기 계량기함에 있어서,
    합성수지 소재로 일체 성형되는 본체(4)를 구비하며, 본체(4) 후방에는 트레이(26)에 설치된 단자대(28)를 수용할 수 있는 십자형상의 개방부(8)를 형성하고, 개방부(8)의 내측 굴곡부위에는 개방부(8)의 크기를 넓히기 위해 절단하여 제거가능한 공간확장편(10)을 형성하며, 본체(4) 전방에는 내설된 계량기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16)과, 본체(4) 내부와 외부의 공기 순환을 위한 다수의 공기유통공(18)을 갖는 커버(6)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계량기함.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4) 후방에는 개방구의 가로 폭보다 크기가 큰 단자대(28)의 수용을 가능케하는 안착부(14)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계량기함.
  3. 제1항에 있어서,
    공간확장편(10)은 본체(4) 후면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절단로(12)에 의해 용이하게 절단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계량기함.
  4. 전기 계량기함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트레이(26)의 상단에 배선연결을 위한 단자대(28)를 설치하는 제1과정과,
    설치된 단자대(28)가 수용될 수 있도록 십자형상의 개방부(8)가 형성된 본체(4)를 단자대(28) 전방으로부터 결합하는 제2과정과,
    본체(4)를 트레이(26)에 설치한 후 전기 계량기(32)와 차단기(34)를 내설하여 단자대(28)와 배선을 연결하는 제3과정과,
    본체(4)의 전방에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전기 계량기(32)를 보호하기 위해 커버(6)를 덮어 체결고정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계량기함의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제2과정에서 단자대(28)의 형상이 개방부(8)의 형상과 상이할 경우 개방부(8)의 공간확장편(10)을 절단하여 단자대(28)가 맞춤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계량기함의 시공방법.
KR1020130053184A 2013-05-10 2013-05-10 전기 계량기함 및 전기 계량기함의 시공방법 KR101380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184A KR101380654B1 (ko) 2013-05-10 2013-05-10 전기 계량기함 및 전기 계량기함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184A KR101380654B1 (ko) 2013-05-10 2013-05-10 전기 계량기함 및 전기 계량기함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0654B1 true KR101380654B1 (ko) 2014-04-04

Family

ID=50656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184A KR101380654B1 (ko) 2013-05-10 2013-05-10 전기 계량기함 및 전기 계량기함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6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060B1 (ko) 2017-03-10 2018-08-21 이근승 노출형 계량기함
CN110988419A (zh) * 2019-11-29 2020-04-10 国网山东省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防窃电电表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115U (ko) * 1999-06-25 1999-10-05 황성길 무정전식전기계량기함
KR20100001124U (ko) * 2008-07-24 2010-02-03 김대규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함
KR20100001706U (ko) * 2008-08-07 2010-02-18 김용완 무정전식 전기계량기함
KR20110137912A (ko) * 2010-06-18 2011-12-26 이은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115U (ko) * 1999-06-25 1999-10-05 황성길 무정전식전기계량기함
KR20100001124U (ko) * 2008-07-24 2010-02-03 김대규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함
KR20100001706U (ko) * 2008-08-07 2010-02-18 김용완 무정전식 전기계량기함
KR20110137912A (ko) * 2010-06-18 2011-12-26 이은길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060B1 (ko) 2017-03-10 2018-08-21 이근승 노출형 계량기함
CN110988419A (zh) * 2019-11-29 2020-04-10 国网山东省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防窃电电表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4782B2 (ja) 電気接続箱
EP2875711B1 (en) Lawnmower electronics housing
KR101380654B1 (ko) 전기 계량기함 및 전기 계량기함의 시공방법
US9265163B2 (en) Electrical socket apparatus
JP2014236654A (ja) 電気接続箱
US10462924B2 (en) Rail-mounted control system with improved cooling
JP2015186357A (ja) 分電盤
US7538270B2 (en) Commercial plastic electrical boxes with metal sections
KR20140136152A (ko) 정션박스
CN104019616A (zh) 冰箱电路板安装盒和冰箱
CN103781333A (zh) 具有散热器的设备
CN203607787U (zh) 接线盒
KR200485071Y1 (ko) 조립식 멀티 콘센트 박스
CN206226742U (zh) 空调室内机的ptc电加热器及空调室内机
JP5869852B2 (ja) 壁面据付機器のキャビネット構造
US10598397B2 (en) Ventilation fan
KR101380772B1 (ko) 노출형 전기계량기 함
JP6035531B2 (ja) 盤用ヒータ
CN204616225U (zh) 一种可提高散热性能的电气柜
US20170310192A1 (en) Arrangement For Casing Of ODP Type Motors With Part Of The Casing Being Closed By The Connection Box
KR20090008231U (ko) 슬리브 단자대
WO2018150715A1 (ja) 電気設備
JP2016158383A (ja) 集電箱
KR101140175B1 (ko) 전력함
CN208873925U (zh) 电连接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