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060B1 - 노출형 계량기함 - Google Patents

노출형 계량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060B1
KR101890060B1 KR1020170030827A KR20170030827A KR101890060B1 KR 101890060 B1 KR101890060 B1 KR 101890060B1 KR 1020170030827 A KR1020170030827 A KR 1020170030827A KR 20170030827 A KR20170030827 A KR 20170030827A KR 101890060 B1 KR101890060 B1 KR 101890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ble tray
sleeve
mounting plat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승
Original Assignee
이근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승 filed Critical 이근승
Priority to KR1020170030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출형 계량기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량기, 검침기 및 차단기가 노출형 계량기함에 고정될 때 고정부재가 인입선과 슬리브를 훼손하는 것을 방지하고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노출형 계량기함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 트레이의 전면에 설치되고 전선을 분기하는 슬리브가 설치된 분기판; 상기 분기판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슬리브를 통해 분기된 전선의 말단이 접속하는 계량기, 검침기 및 차단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부설되는 장착판; 및 상기 장착판의 전면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분기판은, 케이블 트레이의 전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상단에 상부를 향해 돌출된 한 쌍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판은, 상기 슬리브와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베이스판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판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절곡되고 내측으로 나사수용공간이 형성된 절곡턱;을 포함하며, 상기 절곡턱은, 상기 몸체의 상단에서 베이스판의 방향으로 연장절곡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체결되는 걸림홈이 관통형성되며 케이블 트레이의 외주연을 감싸는 제1파지홈이 형성된 상부절곡편; 및 상기 몸체의 하단에서 베이스판의 방향으로 연장절곡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외주연을 감싸는 제2파지홈이 형성된 하부절곡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출형 계량기함{Exposed type measuring instrument box}
본 발명은 노출형 계량기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량기함이 벽면에 노출되는 노출형 계량기함에 고정될 때 고정부재가 인입선과 슬리브를 훼손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필요한 부품의 개수를 줄여서 원가를 절감하면서도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노출형 계량기함에 관한 것이다.
여러 층으로 된 아파트, 다세대 주택, 오피스텔과 같은 사무용 건물 등의 집합 건물에서 각 층에는 각 세대 또는 각 실에 전기 등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 전선 등이 통과하는 EPS(Electric Pipe Space)실을 구비하고, 상기 EPS실에는 상기 케이블 등을 원활히 배치 및 분배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가 상기 EPS실로부터 각 세대 또는 각 실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는 각 세대 또는 각 실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력량계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전력량계는 다양한 방법으로 케이블 트레이의 상부에 부착된다.
종래의 계량기함의 구조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579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종래의 계량기함은 케이블 트레이의 전면에 설치되는 설치대(100)와 전면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대의 전면으로 설치되는 계량기함체(200)와 상기 계량기함체의 내측으로 수납되며 전면에 계량기 및 차단기가 설치되는 설치판(300)과 상기 계량기함체를 밀폐하는 커버(400)의 4개의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상기 계량기함이 설치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케이블 트레이의 전면으로 설치대를 부착시키고 상기 설치대에 계량기함체를 설치한다. 그리고 어느 정도 건물이 완성되어가는 단계에서 설치판에 계량기 및 차단기를 부착시키고나서, 상기 계량기함체의 내부 후면으로 계량기 및 차단기가 부착된 설치판을 고정시킨다.
여기서 계량기함체의 내부 후면에 바로 계량기 및 차단기를 부착하지 않고 별도로 설치판을 이용하여 계량기 및 차단기를 부착시키는 이유는 계량기 및 차단기를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나사가 계량기함체의 후면에 노출될 경우에는 케이블 트레이에 수용된 전선에 손상을 입힐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종래의 계량기함체는 계량기 및 차단기를 부착하는데 사용된 나사가 후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계량기 및 차단기가 부착된 설치판을 계량기함체의 내부에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설치판을 계량기함체에 설치하는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나사가 후면으로 노출되고 이는 계량기함체 후면을 지나는 전선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계량기함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드릴로 구멍을 형성한 후 나사를 이용하여 볼트결합시켜 서로간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계량기함의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살두께가 얇은 판금을 절곡하여 형성하는데 상기 판금은 살두께가 얇아 구멍이 쉽게 뚫리기 때문에 드릴작업의 부주의로 인해 맨드릴이 설치판 후면으로 통과하면서 케이블 트레이에 수용된 인입선을 훼손할 우려가 있으며, 설치판의 전면으로 계량기 및 차단기를 볼트고정시킬 때 볼트의 첨부로 인입선을 간섭하거나 훼손해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받을 수 있으며 인입선의 누전으로 인해 건물의 화재위험성도 배재할 수 없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계량기함은 케이블 트레이에 부착되는 설치대(100), 계량기함체(200), 설치판(300), 커버(400)의 4개의 구성요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구성요소들의 시공에 따른 시간과 구매 비용이 증가하게 되어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75798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계량기, 검침기, 차단기 등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계량기, 검침기, 차단기 등을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케이블 트레이에 수용된 인입선을 훼손하는 것을 방지하며, 부품의 개수를 줄여 경제성을 향상시킨 노출형 계량기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케이블 트레이의 전면에 설치되고 전선을 분기하는 슬리브가 설치된 분기판; 상기 분기판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슬리브를 통해 분기된 전선의 말단이 접속하는 계량기, 검침기 및 차단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부설되는 장착판; 및 상기 장착판의 전면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분기판은, 케이블 트레이의 전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상단에 상부를 향해 돌출된 한 쌍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판은, 상기 슬리브와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베이스판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판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절곡되고 내측으로 나사수용공간이 형성된 절곡턱;을 포함하며, 상기 절곡턱은, 상기 몸체의 상단에서 베이스판의 방향으로 연장절곡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체결되는 걸림홈이 관통형성되며 케이블 트레이의 외주연을 감싸는 제1파지홈이 형성된 상부절곡편; 및 상기 몸체의 하단에서 베이스판의 방향으로 연장절곡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외주연을 감싸는 제2파지홈이 형성된 하부절곡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은, 슬리브의 후면이 접하고 양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양단에서 슬리브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연결판; 및 케이블 트레이에 나사결합되도록 베이스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의 단부에서 케이블 트레이의 전면과 접하도록 수직으로 절곡된 접촉판;을 포함하되, 상기 걸림돌기가 접촉판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절곡턱은, 상기 몸체의 상부절곡편과 하부절곡편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둘레에서 베이스판의 방향으로 연장절곡되는 한 쌍의 측면절곡편;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일측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내측을 관찰할 수 있도록 타측에는 관찰창이 구비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양측에 형성된 갈고리 형상의 걸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절곡편에는 걸이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락킹수단이 부설되며 상기 걸이부에 락킹수단이 결속되어 커버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판은, 장착판을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장공형상의 파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걸림돌기는 상부로 갈수록 후방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착판은, 상기 상부절곡편의 파지홈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걸림돌기의 후방경사 하방을 향해 삽입되는 걸림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장치는, 상부절곡편의 상면에 안착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걸림장치는, 상부절곡편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리벳축; 및
상기 힌지대에 회동가능하게 접속하는 걸림편;을 포함하되, 상기 회동편이 걸림돌기의 후방경사 하방을 향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출형 계량기함은 분기판, 장착판, 커버의 3개의 구성요소를 이루어져서, 설치대, 계량기함체, 설치판, 커버의 4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종래의 계량기함 보다 부품의 개수가 감소되어 경제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시공의 편의성 또한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나사수용공간을 통해 볼트가 몸체를 완전히 관통하더라도 볼트로 인입선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장착판을 분기판에 시공할 때 보다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나사수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기타 전동공구를 통해 몸체에 드릴작업을 수행할 때도 전동공구의 맨드릴이 몸체를 관통할 때 슬리브와 인입선을 훼손하지 않도록 충분한 유격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장착판을 분기판에 설치할 때 걸림홈에 걸림돌기를 결속시킴과 아울러 제1,2파지홈이 리브를 견고하게 파지함으로써 부가적인 나사결합 없이 장착판을 분기판에 고정시킬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다.
다섯째, 커버를 제거하면 배전장치를 전면에 바로 노출시킬 수 있어, 배전장치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여섯째, 노출형 계량기함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시공의 용이성 및 경제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일곱째, 걸림장치가 걸림돌기의 언더컷에 삽입됨으로써 장착판이 보다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측의 사유로 장착판이 탈락되서 전선이 단선될 우려가 없으며, 누전으로 인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커버는 장착판의 절곡턱을 수용하면서 장착판의 외주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접속하므로 별도의 케이싱이 필요 없이 장착판과 커버의 조합만으로 배전장치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배전장치를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커버를 분해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커버를 도시하지 않은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커버를 도시하지 않은 상태의 배면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케이블 트레이를 도시하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돌기의 다른 실시예에서 걸림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돌기의 다른 실시예에서 걸림장치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종래 계량기함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복층으로 구성된 집합 건물 내의 각 층에 전기 등을 공급하기 위한 인입선을 수용하는 케이블 트레이(CT)에 부착되는 노출형 계량기함에 관한 것으로, 노출형 계량기함를 케이블 트레이(CT)에 시공할 때 인입선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분기판(100), 장착판(300) 및 커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통상적인 케이블 트레이(CT)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케이블 트레이(CT)는 'ㄷ'자로 절곡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양단이 내측으로 수직절곡된 리브(L)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계량기함의 구성요소를 자세하게 설명하겠다. 먼저, 분기판(100)은 케이블 트레이(CT)의 전면에 설치되고 전선을 분기하는 슬리브(200)가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기판(100)은 케이블 트레이(CT)의 전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판(110) 및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단에 상부를 향해 돌출된 한 쌍의 걸림돌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베이스판(110)은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판금이 다수회 절곡된 형상으로 슬리브(200)의 후면이 접하고 양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안착판(111)과 상기 안착판(111)의 양단에서 슬리브(200)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연결판(112)과 케이블 트레이(CT)에 나사결합되도록 베이스체결홈(113-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112)의 단부에서 케이블 트레이(CT)의 전면과 접하도록 수직으로 절곡된 접촉판(113)으로 구성된다. 이때, 걸림돌기(120)는 접촉판(113)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L)에는 접촉판(113)에 형성된 베이스체결홈(113-1)과 맞대응 되는 리브홈(LH)이 형성되며 상기 리브홈(LH)과 베이스체결홈(113-1)이 연통된 상태에서 나사를 통해 분기판(100)을 케이블 트레이(CT)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안착판(111)의 폭방향의 길이와 슬리브(200)의 폭방향 길이를 일치시킴과 동시에 연결판(112)이 슬리브(200)의 양 측면에 접촉하도록 하여 슬리브(200)가 베이스판(110)에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판(113)의 전면에는 가이드바(113-2)가 부설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바(113-2)는 장착판(300)을 분기판(100)에 설치할 때 장착판(300)이 정위치로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장착판(300)이 분기판(100)에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부가적인 지지수단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바(113-2)는 접촉판(113)의 전면에서 몸체(310)의 방향으로 수직돌출된 원기둥 형상으로,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310)에 관통된 가이드홈(312)에 삽입고정된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홈(312)에 가이드바(113-2)가 결합된 상태에서 나비너트 등을 가이드바(113-2)에 치합시켜 장착판(300)과 분기판(100)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슬리브(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전선배출공(210)이, 하부에는 전선투입공(22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선배출공(210)과 전선투입공(220)은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첨부되는 도면에는 전선배출공(210)과 전선투입공(220)을 4개씩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각각의 세대로 투입되는 인입선을 전선투입공(220)으로 일정가닥 분배하여 투입시키고 계량기, 검침기, 차단기 등으로 인입선을 분기접속시키기 위하여 전선배출공(210)으로 인입선을 배출시키게 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계량기, 검침기 및 차단기는 배전장치(C)라 칭하여 설명을 하겠다.
이때, 전선배출공(210)을 전선투입공(22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전장치(C)로 인입선을 분기시킬 때 전선배출공(210)의 둘레가 인입선을 간섭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즉, 전선배출공(210)의 둘레에서 인입선이 분기될 때 인입선이 전선배출공(210)의 둘레에서 간섭없이 선회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슬리브(200)는 부도체인 합성수지 사출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장착판(300)은 분기판(100)의 전면에 설치되며 슬리브(200)를 통해 분기된 전선의 말단이 접속하는 계량기, 검침기 및 차단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부설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판(300)은 슬리브(200)와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베이스판(110)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판상의 몸체(310) 및 몸체(310)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절곡되고 내측으로 나사수용공간(324)이 형성된 절곡턱(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몸체(310)에는 복수의 제1고정홀(미도시)이 타공되고 배전장치(C)에는 상기 제1고정홀에 대응되는 제2고정홀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1,2고정홀에 볼트를 체결하여 몸체(310)에 배전장치(C)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절곡턱(320)은 몸체(310)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절곡된 형태로 분기판(100)에 고정됨과 동시에 도 1의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CT)의 리브(L)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절곡턱(320)은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절곡턱(320)의 전후길이에 따라 몸체(310)가 슬리브(200)에서 이격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나사수용공간(324)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곡턱(320)은 몸체(310)의 상단에서 베이스판(110)의 방향으로 연장절곡되고 걸림돌기(120)가 체결되는 걸림홈(321-2)이 관통형성되며 케이블 트레이(CT)의 외주연을 감싸는 제1파지홈(321-1)이 형성된 상부절곡편(321)과 몸체(310)의 하단에서 베이스판(110)의 방향으로 연장절곡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CT)의 외주연을 감싸는 제2파지홈(322-1)이 형성된 하부절곡편(322)과 몸체(310)의 상부절곡편(321)과 하부절곡편(322)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둘레에서 베이스판(110)의 방향으로 연장절곡되는 한 쌍의 측면절곡편(3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2파지홈(321-1, 322-1)은 상,하부절곡편(321, 322)의 외주연 경로가 일정깊이 절취된 형상으로, 리브(L)의 폭방향의 길이와 일치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케이블 트레이(CT)에 분기판(100) 및 장착판(300)이 설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블 트레이(CT)에 분기판(100)을 설치하기 위하여 리브홈(LH)에 베이스체결홈(113-1)을 일치시켜 리브(L)에 접촉판(113)을 접촉시킨 후 볼트를 이용해 위치를 고정한다. 이때, 슬리브(200)는 분기판(100)에 미리 고정시킨 후 분기판(100)을 케이블 트레이(CT)에 설치하거나 케이블 트레이(CT)에 분기판(100)을 설치한 후 슬리브(200)를 안착판(1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안착판(111)과 슬리브(200)에는 슬리브(200)가 볼트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구멍을 갖는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케이블 트레이(CT)에 분기판(100)이 고정이 되면 걸림홈(321-2)에 걸림돌기(120)가 끼움될 수 있도록 장착판(300)을 분기판(100)으로 접근시킨 후 최종적으로 걸림홈(321-2)에 걸림돌기(120)가 끼워지면 분기판(100)에 장착판(300)이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1파지홈(321-1)과 제2파지홈(322-1)이 리브(L)의 상하방향을 파지하게 되므로 양자간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시공현장으로 장착판(300)이 운송되기 전 미리 배전장치(C)를 몸체(310)의 전면에 배치고정시킨 후 배전장치(C)가 배치된 장착판(300)을 분기판(100)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배전장치(C)가 미리 설치되지 않은 장착판(300)을 분기판(100)에 설치한 후 배전장치(C)를 장착판(300)에 직접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배전장치(C)는 몸체(310)의 전면에 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배전장치(C)가 몸체(310)에 고정되면 볼트의 단부가 몸체(31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데, 이러한 상태로 장착판(300)을 분기판(100)에 시공할 경우 볼트로 인입선 및 슬리브(200)를 훼손할 우려가 발생된다.
즉,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나사수용공간(324)에 배전장치(C)를 몸체(310)에 고정하는 볼트의 첨부를 수용하도록 하여 장착판(300)을 분기판(100)에 설치할 때 볼트의 첨부로 인입선 및 슬리브(200)를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장착판(300)을 분기판(100)에 시공할 때 보다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나사수용공간(324)을 형성함으로써 기타 전동공구를 통해 몸체(310)에 드릴작업을 수행할 때도 전동공구의 맨드릴이 몸체(310)를 관통할 때 슬리브(200)와 인입선을 훼손하지 않도록 충분한 유격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착판(300)을 분기판(100)에 설치할 때 걸림홈(321-2)에 걸림돌기(120)를 결속시킴과 아울러 제1,2파지홈(321-1, 322-1)이 리브(L)를 견고하게 파지함으로써 부가적인 나사결합 없이 장착판(300)을 분기판(100)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분기판(100)에서 장착판(300)을 쉽게 착탈시킬 수 있는 구조를 통하여 배전장치(C)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00)는 배전장치(C)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착판(300)의 전면을 덮는 형상으로 일측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내측을 관찰할 수 있도록 타측에는 관찰창(411)이 구비되는 덮개(410) 및 덮개(410)의 양측에 형성된 갈고리 형상의 걸이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측면절곡편(323)에는 걸이부(4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락킹수단(323-1)이 부설되며 걸이부(420)에 락킹수단(323-1)이 결속되어 커버(400)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락킹수단(323-1)과 걸이부(420)는 장착판(300)에서 커버(400)를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일예로, 도 2의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수단(323-1)은 측면절곡편(323)에 부착되는 측면힌지대(323-1a)와 상기 측면힌지대(323-1a)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는 갈고리 형상의 회동편(323-1b)으로 구성되며, 회동편(323-1b)의 타측이 걸이부(420)에 걸려 커버(400)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400)는 장착판(300)의 절곡턱(320)을 수용하면서 장착판(300)의 외주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접속하므로 별도의 케이싱이 필요 없이 장착판(300)과 커버(400)의 조합만으로 배전장치(C)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배전장치(C)를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장착판(300)에는 몸체(310)를 관통하는 장공형상의 파지구(311)가 형성될 수 있는데, 작업자는 상기 파지구(311)를 손으로 파지한 후 장착판(300)을 분기판(100)에 시공하게 되며, 상기 파지구(311)는 슬리브(200)를 통해 분기된 인입선이 몸체(310)의 전면 방향으로 도입되는 도입구의 역할도 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파지구(311)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310)의 상, 하단 중심부에 형성하도록 하여 분기되는 인입선들을 효율적이게 배전장치(C)로 배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설치대에 고정되는 계량기함체와 계량기함체에 설치되는 설치판과 상기 계량기함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로 구성된 종래의 계량기함과 다르게 본 발명은 분기판(100)에 설치된 장착판(300)과 장착판을 덮는 커버(400)로만 구성되기 때문에 노출형 계량기함를 구성하는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 및 부품 생산에 따른 비용을 절약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인 노출형 계량기함의 재질은 모든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걸림돌기(12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120)는 상단으로 갈수록 후방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장착판(300)는 상부절곡편(321)의 파지홈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걸림돌기(120)의 후방경사 하방을 향해 삽입되는 걸림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걸림장치(500)는 상부절곡편(321)의 상면에 안착되는 레일(510) 및 레일(5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하는 슬라이더(520)로 구성된다.
즉, 걸림돌기(120)를 후방경사지도록 형성하여 걸림돌기(120)의 하방으로 언더컷(U)을 형성하게 되고 슬라이더(520)가 레일(510)을 따라 걸림돌기(120)의 언더컷(U)으로 이동하게 되면 장착판(300)을 분기판(100)에서 보다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불측의 사유로 걸림돌기(120)가 걸림홈(321-2)서 빠지면서 분기판(100)에서 장착판(300)이 탈락되는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걸림장치(500)의 다른 실시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장치(500')는 상부절곡편(321)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리벳축(510') 및 리벳축(510')에 회동가능하게 접속하는 걸림편(520')으로 구성된다. 이때, 리벳축(510')은 통상의 리벳으로 리벳머리와 상부절곡편(321) 사이에 걸림편(520')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시켜 걸림홈(321-2)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걸림편(520')과 리벳축(510')을 동시에 설치한다. 걸림편(520')은 리벳축(510')을 중심으로 회동되는데 걸림편(520')이 걸림돌기(120')의 후방경사, 즉 상기 언더컷(U)에 위치할 수 있도록 회동된다.
100: 분기판
110: 베이스판
111: 안착판
112: 연결판
113: 접촉판
120: 걸림돌기
200: 슬리브
210: 전선배출공
220: 전선투입공
300: 장착판
310: 몸체
311: 파지구
320: 절곡턱
321: 상부절곡편
322: 하부절곡편
323: 측면절곡편
324: 나사수용공간
400: 커버
410: 덮개
420: 관찰창
500: 걸림장치

Claims (4)

  1. 케이블 트레이의 전면에 설치되고 전선을 분기하는 슬리브가 설치된 분기판;
    상기 분기판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슬리브를 통해 분기된 전선의 말단이 접속하는 계량기, 검침기 및 차단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부설되는 장착판; 및
    상기 장착판의 전면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분기판은, 케이블 트레이의 전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상단에 상부를 향해 돌출된 한 쌍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판은, 상기 슬리브와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베이스판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판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절곡되고 내측으로 나사수용공간이 형성된 절곡턱;을 포함하며,
    상기 절곡턱은, 상기 몸체의 상단에서 베이스판의 방향으로 연장절곡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체결되는 걸림홈이 관통형성되며 케이블 트레이의 외주연을 감싸는 제1파지홈이 형성된 상부절곡편; 및 상기 몸체의 하단에서 베이스판의 방향으로 연장절곡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외주연을 감싸는 제2파지홈이 형성된 하부절곡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계량기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슬리브의 후면이 접하고 양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양단에서 슬리브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연결판; 및
    케이블 트레이에 나사결합되도록 베이스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의 단부에서 케이블 트레이의 전면과 접하도록 수직으로 절곡된 접촉판;을 포함하되,
    상기 걸림돌기가 접촉판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계량기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곡턱은,
    상기 몸체의 상부절곡편과 하부절곡편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둘레에서 베이스판의 방향으로 연장절곡되는 한 쌍의 측면절곡편;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일측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내측을 관찰할 수 있도록 타측에는 관찰창이 구비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양측에 형성된 갈고리 형상의 걸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절곡편에는 걸이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락킹수단이 부설되며 상기 걸이부에 락킹수단이 결속되어 커버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계량기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은,
    장착판을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장공형상의 파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계량기함.
KR1020170030827A 2017-03-10 2017-03-10 노출형 계량기함 KR101890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827A KR101890060B1 (ko) 2017-03-10 2017-03-10 노출형 계량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827A KR101890060B1 (ko) 2017-03-10 2017-03-10 노출형 계량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060B1 true KR101890060B1 (ko) 2018-08-21

Family

ID=63453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827A KR101890060B1 (ko) 2017-03-10 2017-03-10 노출형 계량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06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6965A (zh) * 2018-12-20 2019-04-12 湖北省电力勘测设计院有限公司 一种电缆隧道的高压电缆支架结构及其电缆固定结构
CN110568237A (zh) * 2019-10-17 2019-12-1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小型电量计量箱
KR102136681B1 (ko) * 2020-04-20 2020-07-2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차세대 함정용 전투체계 운용을 위한 다기능 콘솔의 보조 화면표시장치 장착 어셈블리
CN112582910A (zh) * 2020-11-17 2021-03-30 国网天津市电力公司营销服务中心 一种电力计量箱进出表配线装置
CN114792958A (zh) * 2022-04-21 2022-07-26 国网山东省电力公司平度市供电公司 电表更换用线束盒
KR20240010135A (ko) * 2022-07-15 2024-01-23 정도영 케이블 트레이에 대한 결합력이 향상된 단자 박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263Y1 (ko) 2001-06-25 2001-10-31 주식회사 엘지계기 배전함용 계량기 고정판의 고정구조
KR101375798B1 (ko) 2013-12-11 2014-03-18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
KR101380654B1 (ko) 2013-05-10 2014-04-04 정현찬 전기 계량기함 및 전기 계량기함의 시공방법
KR101427406B1 (ko) 2014-04-15 2014-08-08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전기계량기함 설치대의 설치구조
KR200477699Y1 (ko) 2014-01-09 2015-07-09 채석 계량기 박스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263Y1 (ko) 2001-06-25 2001-10-31 주식회사 엘지계기 배전함용 계량기 고정판의 고정구조
KR101380654B1 (ko) 2013-05-10 2014-04-04 정현찬 전기 계량기함 및 전기 계량기함의 시공방법
KR101375798B1 (ko) 2013-12-11 2014-03-18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
KR200477699Y1 (ko) 2014-01-09 2015-07-09 채석 계량기 박스 조립구조
KR101427406B1 (ko) 2014-04-15 2014-08-08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전기계량기함 설치대의 설치구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6965A (zh) * 2018-12-20 2019-04-12 湖北省电力勘测设计院有限公司 一种电缆隧道的高压电缆支架结构及其电缆固定结构
CN110568237A (zh) * 2019-10-17 2019-12-1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小型电量计量箱
CN110568237B (zh) * 2019-10-17 2024-03-2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小型电量计量箱
KR102136681B1 (ko) * 2020-04-20 2020-07-2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차세대 함정용 전투체계 운용을 위한 다기능 콘솔의 보조 화면표시장치 장착 어셈블리
CN112582910A (zh) * 2020-11-17 2021-03-30 国网天津市电力公司营销服务中心 一种电力计量箱进出表配线装置
CN114792958A (zh) * 2022-04-21 2022-07-26 国网山东省电力公司平度市供电公司 电表更换用线束盒
CN114792958B (zh) * 2022-04-21 2024-02-23 国网山东省电力公司平度市供电公司 电表更换用线束盒
KR20240010135A (ko) * 2022-07-15 2024-01-23 정도영 케이블 트레이에 대한 결합력이 향상된 단자 박스
KR102642188B1 (ko) * 2022-07-15 2024-02-28 정도영 케이블 트레이에 대한 결합력이 향상된 단자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060B1 (ko) 노출형 계량기함
US7837156B1 (en) Cable support hook
KR200457588Y1 (ko)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함
KR100969193B1 (ko) 바닥 배선 기구
US20070184714A1 (en) Cable Guiding Device
KR101375798B1 (ko)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
US8471144B2 (en) Adapter box for prot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a photovoltaic module
US9938707B2 (en) Mounting plate for a lavatory body
US20120291221A1 (en) Device for feeding one or more lines through an opening in a wall or a floor
KR101809179B1 (ko) 가공전선 배전용 배전반 지지완철
KR20090003428U (ko) 커넥터 일체형 콘센트 세트
US7497404B1 (en) Piping support device
KR101427406B1 (ko) 전기계량기함 설치대의 설치구조
KR20080000659U (ko) 전기 계량기함
KR200478821Y1 (ko) 케이블 지지구조를 갖는 노출형 콘센트
KR101171700B1 (ko)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 계량기함 설치방법
KR101809734B1 (ko) 공동주택용 전선지지대
KR102024669B1 (ko) 가공배전을 위한 애자활용 고정기구
KR20170001633U (ko) 힌지개폐구조를 갖는 덮개를 구비한 배선박스
US3226469A (en) Low voltage outlet with a conduit clamping device
CN212255441U (zh) 一种多户型电表安装机构
KR0131289Y1 (ko) 계량기 박스용 접속 슬리브
JP3887793B2 (ja) ケーブルラック
US7268295B1 (en) Puller/connector for electrical raceways
US20210095813A1 (en) Mounting guide for placement of a gang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