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659U - 전기 계량기함 - Google Patents

전기 계량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659U
KR20080000659U KR2020060028180U KR20060028180U KR20080000659U KR 20080000659 U KR20080000659 U KR 20080000659U KR 2020060028180 U KR2020060028180 U KR 2020060028180U KR 20060028180 U KR20060028180 U KR 20060028180U KR 20080000659 U KR20080000659 U KR 200800006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enclosure
coaxial cable
front cover
met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0509Y1 (ko
Inventor
김대규
Original Assignee
김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규 filed Critical 김대규
Priority to KR2020060028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509Y1/ko
Publication of KR200800006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6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5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계량기함에 관한 것으로서, 함체 바닥의 상하부에 케이블인입구와 케이블인출구를 마련함으로써 케이블트레이에 동축케이블을 절단하지 않으면서 구부릴 필요 없이 자연스럽게 휘어지는 정도로 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면이 개방된 함체, 이 함체의 바닥중간에 설치되어 동축케이블에 분기전선을 압착금구로 접속 고정시킨 부분이 고정되는 슬리브단자대, 이 슬리브단자대 외측의 함체 바닥에 설치되고 계량기, 차단기 등이 설치되는 부착판을 포함하는 전기 계량기함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을 구부릴 필요 없이 인입과 인출이 용이하게 동축케이블을 안내하는 케이블트레이에 직접 취부할 수 있도록 함체의 바닥상하부에 케이블인입구와 케이블인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 계량기함, 함체, 케이블인출구, 탈부착 전면커버

Description

전기 계량기함{watt-hour meter box}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 계량기함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면커버에 설치된 원터치 잠금장치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전기 계량기함에서 전면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계량기함이 케이블트레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함체 11: 케이블인입구
12: 케이블인출구 13: 손상방지 테
14: 플랜지 20: 슬리브단자대
21: 동축케이블 30: 부착판
31: 전기계량기 32: 차단기
40: 케이블트레이 50: 전면커버
52: 원터치 잠금장치 53: 잠금 몸체
54: 탄성레버 55: 회전가동부재
56: 회전로커 57: 푸시버튼
본 고안은 전기 계랑기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의 상하부에 케이블 입/출구를 마련하여 케이블트레이(cable tray)에 동축케이블을 절단하지 않으면서 구부릴 필요 없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전면커버를 원터치분리형으로 마련하여 협소한 EPS(Electric Pipe Space)실에 장착하더라도 수리 및 부품교환을 위한 작업이 수월하게 이뤄질 수 있는 전기 계랑기함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축물은 다수의 세대나 사무실로 구획 분리되고 각각의 세대와 사무실에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므로 전기실의 배전반에서 각층으로 메인전원이 동축케이블을 통해 각층의 EPS실에 이르기까지 연결되고 각층의 EPS실에서 분기되어 각 세대로 공급된다. 이때, 동축케이블은 건물 벽과 천장에 장착된 케이블트레이를 통해 안내된다.
아파트나 건축물의 건물 벽이나 EPS실에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51429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전기 계량기함이 설치되되 이 전기 계량기함은 함체와, 그 바닥에 동축케이블을 접속 연결시키기 위한 슬리브단자대와, 상기 함체의 바닥에 각종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부착판과, 상기 함체의 전면에 개방할 수 있는 전면커버로 구성된다. 상기 함체 바닥의 슬리브단자대에는 동축케이블에 분기전선을 압착 금구로 접속 고정시킨 부분을 취부하고 상기 슬리브단자대를 제외한 함체 바닥의 부착판에는 전기계량기와 차단기 및 통신기 등이 설치된다.
상기 전기 계량기는 메인전원인 동축케이블에서 분기된 분기전선을 통해 각 세대로 공급되고 이 전기 계량기에서 각 세대나 각 사무실의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는 것이고, 상기 차단기는 과전류나 누전될 때 재해 내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고, 상기 통신기는 전기계량기가 디지털화되면서 전기계량기에서 현재의 실측사용량을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전기 계량기함에 있어서는 케이블트레이 근처의 건물 벽이나 EPS실의 벽에 시공하는 경우 건물 벽에 소정깊이의 볼트구멍을 적어도 2개 이상 천공하고 이 볼트구멍에 각각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함고정용 브래킷을 장착한 후, 이 함고정용 브래킷에 전기 계량기함을 볼트로 장착하므로 전기 계량기함의 장착작업이 복잡하고 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통상 케이블트레이 근처에 전기 계량기함이 설치되기 때문에 함체 내의 슬리브단자대나 터미널단자대를 굵은 직경의 동축케이블[다수의 소선(1~3㎜)을 꼬아 엮은 15~20㎜]이 통과하도록 90도로 2번 이상 절곡하여야 하며, 동축케이블의 절곡작업이 어렵고 상기 동축케이블을 케이블트레이에서 전기 계량기함까지 연장하였다가 다시 케이블트레이로 되돌아오는 길이만큼 고가의 동축케이블이 더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터미널단자대를 적용한 경우에는 동축케이블을 절단하고 그 단부의 절연피복재를 벗겨 제거한 후 터미널단자대에 스크루로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하고, 슬리브단자대를 적용한 경우에는 슬리브단자대 부분의 동축케이블 외피인 절연피복재를 벗겨 제거한 접속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다수의 동축케이블 입/출구를 터미널단자대 또는 슬리브단자대와 상응하는 높이의 함체 측면(즉, 상하벽면이나 측벽면)에 천공하였으며, 따라서 동축케이블을 포함한 통신선들로 인하여 깔끔한 전기 계량기함을 얻을 수 없었다.
특히, 대부분의 전기 계량기함은 그 전면에 전면커버가 한쪽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는 것이어서, EPS실에 설치하는 경우 그 공간이 협소하여 전면커버를 제대로 개방할 수 없고, 전면커버를 제대로 개방하지 않으면 전기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기 등의 수리 내지 부품교환 작업에 지장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함체 바닥의 상하부에 케이블인입구와 케이블인출구를 마련함으로써 케이블트레이에 동축케이블을 절단하지 않으면서 구부릴 필요 없이 자연스럽게 휘어지는 정도로 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전기 계랑기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면커버를 원터치방식으로 탈부착할 수 있게 마련함으로써 협소한 EPS(Electric Pipe Space)실에 장착하더라도 수리 및 부품교환을 위한 작업이 수월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한 전기 계랑기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면이 개방된 함체, 이 함체의 바닥중간에 설치되어 동축케이블에 분기전선을 압착금구로 접속 고정시킨 부분이 고정되는 슬리브단자대, 이 슬리브단자대 외측의 함체 바닥에 설치되고 계량기, 차단기 등이 설치되는 부착판을 포함하는 전기 계량기함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을 구부릴 필요 없이 인입과 인출이 용이하게 동축케이블을 안내하는 케이블트레이에 직접 취부할 수 있도록 함체의 바닥상하부에 케이블인입구와 케이블인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체 바닥의 케이블인입구와 케이블인출구에는 동축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연질의 손상방지 테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전기 계량기함에서 케이블인입구와 케이블인출구는 함체의 바닥은 물론 선택적으로 측면 벽(즉, 상하면벽이나 좌우측벽)에도 부가할 수도 있다.
상기 함체의 전면에는 협소한 EPS실에 장착하더라도 전면커버를 분리하여 바닥에 내려놓은 후 수리 및 부품교환을 위한 작업이 수월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원터치방식의 탈부착 전면커버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탈부착 전면커버는 양쪽에 한번 누르면 잠금이 해제되고 다시 누르면 잠기는 원터치 잠금장치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기 계량기함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 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 계량기함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면커버에 설치된 원터치 잠금장치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전기 계량기함에서 전면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계량기함이 케이블트레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 계량기함은, 전면이 개방된 함체(10)와, 이 함체(10)의 바닥중간에 설치되어 동축케이블(21)에 분기전선을 압착금구로 접속 고정시킨 부분이 고정되는 슬리브단자대(20)와, 이 슬리브단자대(20) 외측의 함체(10) 바닥에 설치되고 계량기(31), 차단기(32) 등이 설치되는 부착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슬리브단자대(20)와 부착판(30)은 절연재료인 합성수지로 마련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함체(10) 또한 부착판(30)과 같은 절연재료인 합성수지로 마련할 수 있음은 물론 강(steel)이나 알루미늄(aluminium)으로도 마련할 수 있다.
상기 함체(10)는 바닥의 상하부에 동축케이블(21)을 구부릴 필요 없이 인입과 인출이 용이하게 동축케이블(21)을 안내하는 케이블트레이(40)에 직접 취부할 수 있도록 케이블인입구(11)와 케이블인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함체(10) 바닥의 케이블인입구(11)와 케이블인출구(12)에는 이로 동축케이블(21)을 관통시킬 때 동축케이블(21)의 외피인 절연피복재를 깎아먹지 않을 정도로 무른 연질의 손상방지 테(13)가 마련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손상방지 테(13)는 저렴하고 구하기 쉬운 고무가 바람직하다.
또한 함체(10)의 케이블인입구(11)와 케이블인출구(12)는 통신선 등을 인출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측면 벽(즉, 상하면벽이나 좌우측벽)에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함체(10)의 전면에는 협소한 EPS실에 장착하더라도 전면커버를 분리하여 바닥에 내려놓은 후 수리 및 부품교환을 위한 작업이 수월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원터치방식의 탈부착 전면커버(50)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탈부착 전면커버(50)는 양쪽에 한번 누르면 잠금이 해제되고 다시 누르면 잠기는 원터치 잠금장치(5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터치 잠금장치(52)는 탈부착 전면커버(50)에 잠금 몸체(53)가 기역자형의 탄성레버(54)로 고정되고 상기 잠금 몸체(53)에 회전가동부재(55)가 전방으로 회전되면서 돌출되도록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가동부재(55)의 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면 탈부착 전면커버(50)내측으로 삽입되고 잠금 몸체(53)내부로 회전가동부재(55)가 삽입되면 탈부착 전면커버(50)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로커(56)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전가동부재(55) 하부의 잠금 몸체(53)에는 회전가동부재(55)를 걸고 있다가 걸림을 해제하기 위한 푸시버튼(5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전기 계량기함은 시공하는 과정은, 먼저 케이블트레이(40)에 동축케이블(21)을 깔 때, 함체(10) 바닥의 케이블인입구(11)와 케이블인출구(12)를 통과하도록 가설하고, 케이블트레이(40)에 함체(10)의 바닥을 스크루로 체결 고정한다.
이후에, 슬리브단자대(20)를 통과하는 부분의 동축케이블(21) 외피인 절연피복재를 벗겨 제거한 다음, 동축케이블(21)에 분기전선을 압착금구로 접속 고정시킨 부분을 슬리브단자대(20)를 이용하여 취부하고, 전기계량기(31)와 차단기(32) 및 통신기 등을 설치한 부착판(30)을 상기 슬리브단자대(20) 외측의 함체(10) 바닥에 설치한다. 이때, 동축케이블(21)은 케이블트레이(40)에서 약간 들리어진 상태에서 함체(10)바닥의 케이블인입구(11)와 케이블인출구(12)를 통해 구부러짐 없이 통과하게 된다.
이후에 부착판(30)의 전기계량기(31)에 동축케이블(21)에서 분기된 분기전선을 연결하여 마무리한다.
이와 같이 함체(10)내에 각종 장치를 설치한 후, 탈부착 전면커버(50)의 양측을 잡고 함체(10)의 전면에 밀어 넣은 다음 회전가동부재(55)를 누르면 회전로커(56)가 회전되면서 측면으로 돌출되므로 함체(10)전면내측의 플랜지(14)에 걸리면서 잠기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기 계량기함을 설치하여 사용하다가 함체(10) 내부의 각종 장치에 대하여 수리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면커버(50) 양쪽의 푸시버튼(57)을 누르면 회전가동부재(55)가 스프링의 복원력에 전방으로 돌출 회전되면서 회전로커(56) 또한 연동 회전되어 전면커버(50)의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함체(10) 전면내측의 플랜지(14)에서 걸림이 해제되게 된다.
이렇게 전면커버(50)를 내려놓은 후 함체(10) 내부의 각종 장치에 대한 수리 내지 교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전기 계량기함은 함체 전면의 전면커버를 한쪽으로 90도 이상 회전시켜 개방시킨 후 수리 내지 부품교환 등의 작업을 제대로 할 수 있는 기존의 전기 계량기와는 달리, 함체(10)에서 전면커버(50)를 분리하여 바닥에 내려놓은 후 수리 및 부품교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인바, 협소한 EPS실에 장착하더라도 아무런 지장 없이 전기 계량기의 수리 내지 부품교환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 계량기함은 함체 바닥의 상하부에 케이블인입구와 케이블인출구를 마련함으로써 케이블트레이에 동축케이블을 절단하지 않으면서 구부릴 필요 없이 자연스럽게 휘어지는 정도로 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은 함체의 전면커버를 원터치방식으로 탈/부착할 수 있게 마련함으로써 협소한 EPS실에 장착하더라도 수리 및 부품교환을 위한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Claims (4)

  1. 전면이 개방된 함체, 이 함체의 바닥중간에 설치되어 동축케이블에 분기전선을 압착금구로 접속 고정시킨 부분이 고정되는 슬리브단자대, 이 슬리브단자대 외측의 함체 바닥에 설치되고 계량기, 차단기 등이 설치되는 부착판을 포함하는 전기 계량기함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을 구부릴 필요 없이 인입과 인출이 용이하게 동축케이블을 안내하는 케이블트레이에 직접 취부할 수 있도록 함체의 바닥상하부에 케이블인입구와 케이블인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계량기 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전면에는 협소한 EPS실에 장착하더라도 전면커버를 분리하여 바닥에 내려놓은 후 수리 및 부품교환을 위한 작업이 수월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원터치방식의 탈부착 전면커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계량기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 바닥의 케이블인입구와 케이블인출구에는 동축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연질의 손상방지 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계량기 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전면커버의 양쪽에는 탈부착 전면커버에 잠금 몸체가 기역자형의 탄성레버로 고정되고 상기 잠금 몸체에 회전가동부재가 전방으로 회전되면서 돌출되도록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가동부재의 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면 탈부착 전면커버 내측으로 삽입되고 잠금 몸체 내부로 회전가동부재가 삽입되면 탈부착 전면커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로커가 연결되며, 상기 회전가동부재 하부의 잠금 몸체에는 회전가동부재를 걸고 있다가 걸림을 해제하기 위한 푸시버튼이 설치된 원터치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계량기함.
KR2020060028180U 2006-10-20 2006-10-20 전기 계량기함 KR200440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180U KR200440509Y1 (ko) 2006-10-20 2006-10-20 전기 계량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180U KR200440509Y1 (ko) 2006-10-20 2006-10-20 전기 계량기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659U true KR20080000659U (ko) 2008-04-24
KR200440509Y1 KR200440509Y1 (ko) 2008-06-19

Family

ID=41320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180U KR200440509Y1 (ko) 2006-10-20 2006-10-20 전기 계량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50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798B1 (ko) * 2013-12-11 2014-03-18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
KR101427406B1 (ko) * 2014-04-15 2014-08-08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전기계량기함 설치대의 설치구조
KR200477699Y1 (ko) * 2014-01-09 2015-07-09 채석 계량기 박스 조립구조
KR102402394B1 (ko) * 2022-02-11 2022-05-26 (주)신호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력량계 고정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798B1 (ko) * 2013-12-11 2014-03-18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
KR200477699Y1 (ko) * 2014-01-09 2015-07-09 채석 계량기 박스 조립구조
KR101427406B1 (ko) * 2014-04-15 2014-08-08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전기계량기함 설치대의 설치구조
KR102402394B1 (ko) * 2022-02-11 2022-05-26 (주)신호 교통신호 제어기의 전력량계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509Y1 (ko)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588Y1 (ko)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함
CA2877293C (en) Electrical fittings with integral cover plate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890060B1 (ko) 노출형 계량기함
US10622768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modular plug-in bus wiring system
US10466284B2 (en) Window for bottom access to an electrical meter center
KR20080000659U (ko) 전기 계량기함
KR101832214B1 (ko) 케이블 설치가 용이한 공동주택용 케이블트레이
US20160261055A1 (en) Integrated electrical assembly for housing modular units and related components thereof
KR101375034B1 (ko) 배전반용 손잡이
KR102082688B1 (ko) 부스바 일체형 계량기를 갖는 분전함
KR20070120338A (ko) 콘센트 구조
KR101205337B1 (ko) 공동주택의 절연형 분전함
KR100861097B1 (ko) 다세대 주택의 분배전 관리를 위한 배전반
KR101171700B1 (ko)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 계량기함 설치방법
KR20220110426A (ko) 레이스웨이와 콘센트의 결합구조
GB2473842A (en) Modular electrical wall assembly
KR20100054495A (ko) 조립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배선기구
KR200492152Y1 (ko) 건물 벽체의 매입 박스용 고정 시스템
KR102647841B1 (ko)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JP3027408U (ja) 壁埋込み型電気機器
KR200322678Y1 (ko)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
CN212849556U (zh) 一种室外防水配电箱
CN216488694U (zh) 一种多卡位暗装底盒
KR200444591Y1 (ko) 전기시설물 개방구 커버의 잠금구조
JP2007159232A (ja) 住宅用分電盤用アタッチ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