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678Y1 -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 - Google Patents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678Y1
KR200322678Y1 KR20-2003-0014800U KR20030014800U KR200322678Y1 KR 200322678 Y1 KR200322678 Y1 KR 200322678Y1 KR 20030014800 U KR20030014800 U KR 20030014800U KR 200322678 Y1 KR200322678 Y1 KR 2003226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box
cover
terminal cover
home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권
Original Assignee
형제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형제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형제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4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6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6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6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기안전공사나 전기공사업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정기 정검시 정검자의 편리성은 물론 정검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기존의 주택용 분전함에 있어서, 분전함체 커버의 투시창을 로킹노브에 의해 열은 후에 투시부를 통해 소정의 힘을 가하여 오므려서 삽입하고, 소정의 힘을 가하여 오므린 후에 당기면 상기 분전함체 커버에서 분리되는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주택용 분전함의 단자커버를 용이하게 결합/분리할 수 있어 정기 점검시에 시간의 단축 및 점검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seperated terminal cover of residential distribution box}
본 고안은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에 관한 것으로, 전기안전공사나 전기공사업체에서 실시하는 정기정검시에 분점함체 커버를 분리하지 않고도 보다 간편하게 분리 및 결합가능한 단자 커버를 이용하여 정검시에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의 기둥이나 벽면에는 각종 전력선들을 인입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분전함체가 건물 시공시에 매립설치되는데, 분전함이라 함은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원을 전등이나 소켓(부하)으로 분리, 공급시키기 위한 전원 분배기와,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압상태를 감지하여 과부하 누전등과 같은 이상상태 발생시에 이를 신속히 차단시킴으로서 전기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누전차단기, 또는 이상이 있는 부하측만을 선택적으로 규제할 수 있도록 하는배선용 차단기 등의 각종 제어기기를 한 곳에 모아서 설치하는 함체이다.
도 1은 종래의 주택용 분전함의 전체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주택용 분전함은 벽면을 따라 배선되는 전원 케이블과 연결되도록 건축 구조물에 매설된 매립형의 분전함체(1)와, 상기 전원케이블과 개별 접속되는 복수개의 차단기(2)를 상기 분전함체(1)의 내측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3)와, 상기 전원 케이블 및 차단기(2)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분전함체(1)의 상면에 복개되며, 전면 개방부에는 투시부(8) 및 소정 위치에 푸쉬버튼(7)이 형성된 분전함체 커버(4)와, 상기 분전함체 커버(4)의 투시부(8) 상에는 푸쉬버튼(7)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투시부 일측에 힌지결합된 투시창(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종래의 주택용 분전함은 상기 분전함체 내측 바닥면에 상기 지지용 플레이트 체결용 체결구(1A)를 복수개 천공하고 있으며, 상기 체결구(lA)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용 플레이트 상에 천공된 체결구(1C)를 볼트나사(5)로 나사 조임하여 결합되고, 분전함체 상면에는 분전함체로부터 연장되어 절곡 성형된 체결구(1B)와 상기 분전함체 커버에 형성된 체결구(1D)와 볼트나사(5A)를 통해 나사 조임하여 결합된다.
전기설비의 안정성을 검사하며, 유지보수와 관련된 제반업무를 수행하는 전기안전공사 또는 전기공사업체에서는 점검기구를 이용하여 차단기의 단자를 측정하여 설비의 이상유무 확인 또는 성능 측정을 정기적으로 분전함을 정검하는데 상기와 같은 주택용 분전함은 차단기의 단자를 측정하기 위하여 분전함체 커버의 일체를 분리시켜야만 했다.
즉, 간단하게 차단기의 단자만을 측정하면 되는 일이 종래의 분전함체는 볼트나사로 체결된 분전함체와 분전함체 커버에서 분전함체 커버를 분리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볼트나사를 전기공구를 사용하여 분리하여야 했으며, 결합시에도 다수 개의 볼트나사를 전기공구를 사용하여 체결하여야 하였으며, 결합시 각 부재에 셩형되어 있는 체결구의 위치가 정확히 일치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볼트나사를 정확히 일치시켜 조일 수 없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여 분전함체 커버의 분리/결합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소요되는 시간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정기적인 정검에 의해 매번 볼트나사를 해체 및 조립할 경우, 볼트나사를 분실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안전공사 또는 전기공사업체에서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분전함 정검시에 차단기의 단자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분리/결합이 가능한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기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원터치로 분리/결합 가능하도록 하여 정검 시간의 단축 및 정검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주택용 분전함의 전체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주택용 분전함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에 따른 요부 발췌도.
도 5a는 본 고안인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b는 본 고안인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분전함체 22, 36a, 36b, 68: 체결구
24: 체결돌기 30: 지지용 플레이트
32, 34: 후렌지부 40: 차단기
42: 차단기의 노브 50: 분전함체 커버
52: 투시부 54: 투시창
56: 힌지구 58: 힌지
60: 단자 커버 62: 볼트나사
64: 거치용 턱부 66: 공간부
70: 탄성부재 72: 걸림턱
74: 하부판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는 기존의 주택용 분전함에 있어서, 분전함체 커버의 투시창을 열은 후에 투시부를 통해 분전함체 내부에 있는 차단기의 최상부까지 소정의 힘을 가하여 오므려서 삽입하고, 소정의 힘을 가하여 오므린 후에 당기면 상기 분전함체 커버에서 분리되는 단자 커버를 포함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전함체의 거치용 턱부는 하단부 중앙이 절곡되어 중앙에 공간을 제공토록 하는 공간부가 형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단자 커버는 상기 거치용 턱부보다 다소 길게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용 턱부의 상단부 내측으로 걸릴 수 있도록 측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수직의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차단기의 각 노브들이 돌출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부가 형성된 수평의 하부판체를 포함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택용 분전함의 전체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택용 분전함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에 따른 단자 커버를 나타낸 요부 발췌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주택용 분전함은 전원 케이블과각 부하로 연결되는 접속 케이블을 연결 구성할 수 있도록 건축 구조물에 일체로 매몰되는 박스형의 분전함체(20)와, 상기 분전함체(2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 케이블 및 접속 케이블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차단기(40)들을 탑재하고 있는 지지용 플레이트(30)와, 상기 전원 및 접속 케이블 및 차단기(40)의 노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분전함체(20)의 상면에 복개되며, 전면 개방부에 투시부(52)가 형성되며, 전방의 소정 위치에 로킹노브(53)가 형성된 분전함체 커버(50)와, 상기 분전함체 커버(50)의 투시부(52) 상에는 힌지결합되어 로킹노브(53)에 의해 개폐되는 투시창(54)과, 상기 분전함체 커버(50)의 투시부(52)에서부터 상기 차단기(40)의 상부까지 삽입되어 소정 압력을 가하여 당기면 상기 분전함체 커버에서 분리되는 단자 커버(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용 플레이트(30)는 분전함체(20)의 상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양단에 한 쌍의 절곡된 후렌지부(32, 34)가 형성되며, 상기 양단 후렌지부(32, 34)에는 볼트나사(26)를 이용하여 분전함체 커버(50) 및 분전함체(20)와 결합될 수 있는 다수 개의 체결구(36a, 36b)가 천공된다.
상기 분전함체(20)에는 벽체와 일체형을 이루도록 수직방향의 체결돌기(24) 및 상기 체결돌기(24)의 중앙으로는 체결구(22)가 형성되며, 상기 분전함체 상부에 지지용 플레이트(30)의 양측 후렌지부(32, 34)가 거치되고, 상기 지지용 플레이트(30)의 양측 후렌지부(32, 34)에는 체결구(36a, 36b)가 다수 개 천공되어 있어 상기 분전함체에 형성된 체결돌기의 체결구(22) 및 양측 후렌지부에 형성된 소정의 체결구(36a)를 일치시켜 볼트나사(26)를 이용하여 나사체결하여 결합한다.
상기 분전함체 커버(50)는 지지용 플레이트(30)의 양측에 절곡된 후렌지부(32, 34)에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용 턱부(64)가 양측으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투시창(54)이 형성되며, 상기 투시창(54)에는 분전함체 커버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로킹노브(53)에 대응되도록 로킹편(55) 및 힌지(58)가 돌설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58)는 상기 거치용 턱부(64)의 상단부에 천공된 힌지구(56)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힌지 결합되어 있는 투시창(54) 및 분전함체 커버(50)가 상기 로킹노브(53)를 눌름과 동시에 로킹편이 작동하고, 양측 힌지를 축으로 투시창이 개폐가 되는 것이다.
상기 거치용 턱부(64)는 하단부 중앙이 절곡되어 공간을 제공토록 하는 공간부(66)가 형성되고, 소정 위치에 체결구(68)가 다수개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구(68)는 상기 후렌지부(32, 34)에 형성되어 분전함체 커버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36b)와 동일한 위치에 천공된다.
따라서, 볼트나사(62)를 이용하여 거치용 턱부(64)에 천공된 체결구(68)와 후렌지부(32, 34)에 천공된 체결구(36b)와 일치한 후, 나사 체결하여 결합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 커버(60)는 차단기의 단자가 충분히 노출될 수 있는 면적을 가진 하부판체(74)와, 상기 하부판체(74)의 양측 가장자리와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거치용 턱부(64)의 상단부보다 다소 높게 형성되고, 측부에 걸림턱(72)이 형성된 탄성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판체(74)의 중앙에는 차단기(40)의 각 노브(42)들이 외부로 돌출될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는 관통부(76)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체(74)에는 차단기 및 전원을 구분할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는 표시부(7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 커버(60)는 폴리카보이네드(Polycarbonate;PC)와 같이 내구성이 뛰어나며, 탄성력을 가진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것으로, 상기 분전함체 커버(50)에 양측으로 형성된 거치용 턱부(64) 사이와의 너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양측으로 형성된 거치용 턱부(64) 사이로 단자 커버(60)를 삽입하였을 경우, 틈새 없이 정확하게 결합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단자 커버의 탄성부재(70)의 측부에 형성된 걸림턱(72)은 상기 거치용 턱부(64)의 하단부 중앙이 절곡되어 형성된 공간부(66)에 삽입되어 걸쳐지며, 단자 커버(60)를 삽입시에 상기 걸림턱(72)이 거치용 턱부(64)의 상단부에 걸치게 되어 고정되므로, 상기 걸림턱(72)은 상기 공간부(66)가 형성되어 있는 공간의 너비보다 다소 작게 또는 동일하게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단자 커버(60)를 삽입시에는 상기 분전함체 커버(50)의 로킹노브(53)를 눌러 상기 로킹노브(53)는 분전함체 커버(50)의 로킹편(55)과 대응하여 투시창(54)을 열은 다음, 투시부(52)를 통해 양측의 거치용 턱부(64)보다 다소 길게 연장된 단자 커버(60)의 탄성부재(70) 양측 최상단부를 잡고 거치용 턱부(64)의 공간부(66)에 걸림턱(7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힘으로 약간 오므려서 차단기의 최상단부까지 삽입한 다음 단자 커버(60)를 놓으면, 탄성력을 가진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단자 커버는 그 탄성력을 이용하여 단자 커버 본연의 모양을 되찾으면서 상기 탄성부재(70)의 측부에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72)이 거치용턱부(64)의 공간부(66) 최상단 즉, 거치용 턱부의 상단부의 내측에 걸리면서 원터치로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삽입되어 있는 단자 커버(60)를 분전함체 커버(50)에서 분리시는 삽입시에와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단자 커버(60)의 탄성부재(70)의 양측 최상단부를 잡고 걸림턱(72)이 거치용 턱부(64)의 공간부(66)를 빠져나올 수 있을 만큼 소정의 힘으로 오므린 후에 단자 커버(60)를 들어올리면 원터치로 손쉽게 분전함체 커버에서 분리된다.
도 5a는 본 고안인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인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a와 도 5b을 비교하여 보면, 본 고안인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가 분전함체 커버에 삽입되었을 경우는 도 5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커버(60)를 삽입한 후에 투시부(52) 통해 보면, 차단기(40)의 일부분 및 차단기의 각 노브(42)들만이 보이지만, 도 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전함체 커버(50)의 투시창(54)을 열은 후에 본 고안인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60)를 분전함체 커버(50)에서 분리시킨 후 투시부(52)을 통해 보면, 차단기(40) 및 차단기의 각 노브(42), 차단기의 접속단자(44)까지 모두 보이므로, 분전함체 커버(50)의 투시창(54)을 로킹노브(53)에 의해 열은 후에 정검자가 별다른 공구없이 단자 커버를 분리시킨 후에 차단기의 접속단자를 정검기구를 이용하여 차단기의 접속단자를 측정 및 정검함으로써 정검시의 작업시간 및 정검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것이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원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 고안의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거하여 정의되는 본원 고안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들에 의하여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전기안전공사나 전기공사업체에서 안전을 위하여 정기적으로 주택용 분전함의 분전함체 커버 내의 차단기 단자를 정검함에 있어 분전함체 커버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분리하지 않고도 분전함체 커버의 투시창을 열은 후, 간편하게 단자커버만을 분리시키면 차단기의 접속단자가 노출되므로, 정검시 정검자로 하여금 정검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면서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도 단자 커버를 분리할 수 있고,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벽면을 따라 배선되는 전원 케이블과 연결되도록 건축 구조물에 매설된 매립형의 분전함체와, 상기 전원 케이블과 개별 접속되는 복수개의 차단기와, 상기 분전함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를 지지하는 판상의 차단기 지지용 플레이트와, 상기 전원 케이블 및 차단기의 노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분전함체의 상면에 복개되며, 상기 지지용 플레이트에 거치되는 거치용 턱부와 전면 개방부에 투시부 및 소정 위치에 로킹노브가 형성된 분전함체 커버와, 상기 분전함체 커버의 투시부 일측 양단과 힌지결합되어 상기 로킹노브에 의해 개폐되는 투시창을 포함하여 구성된 주택용 분점함에 있어서,
    상기 분전함체 커버의 투시부를 통해 상기 차단기의 최상단부까지 소정의 힘을 가하여 오므려서 삽입하고, 소정의 힘을 가하여 오므린 후에 당기면 상기 분전함체 커버에서 분리되는 단자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용 분전함 분리형 단자 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전함체 커버의 거치용 턱부는 하단부 중앙이 절곡되어 상기 중앙으로 공간을 제공토록 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용 분전함 분리형 단자 커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커버는
    상기 거치용 턱부보다 다소 길게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거치용 턱부의 하단부 중앙이 절곡되어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용 턱부의 상단부 내측으로 걸릴 수 있도록 측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수직의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차단기의 각 노브들이 돌출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부가 형성된 수평의 하부판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용 분전함 분리형 단자 커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커버의 하부판체는 상기 단자 커버를 분전함체 커버에서 분리시에 상기 차단기의 단자가 충분히 드러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주택용 분전함 분리형 단자 커버.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커버는 재질이 탄성력을 가진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주택용 분전함 분리형 단자 커버.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커버는 그 재질이 폴리카보이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용 분전함 분리형 단자 커버.
KR20-2003-0014800U 2003-05-14 2003-05-14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 KR2003226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800U KR200322678Y1 (ko) 2003-05-14 2003-05-14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800U KR200322678Y1 (ko) 2003-05-14 2003-05-14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678Y1 true KR200322678Y1 (ko) 2003-08-14

Family

ID=4941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800U KR200322678Y1 (ko) 2003-05-14 2003-05-14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6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393B1 (ko) * 2010-12-27 2011-06-07 주식회사 명 이에프씨 안정적인 전기배전을 가능하게 하는 공동주택의 분전함
KR20170001284U (ko) * 2015-10-05 2017-04-13 남영기전 주식회사 통합 단자함 커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393B1 (ko) * 2010-12-27 2011-06-07 주식회사 명 이에프씨 안정적인 전기배전을 가능하게 하는 공동주택의 분전함
KR20170001284U (ko) * 2015-10-05 2017-04-13 남영기전 주식회사 통합 단자함 커버
KR200486160Y1 (ko) * 2015-10-05 2018-04-10 남영기전 주식회사 통합 단자함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588Y1 (ko)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함
CA2690900C (en) Weatherproof while-in-use electrical box cover with insertable hinge pin
US9627861B2 (en) Utility meter bypass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8642885B2 (en) Electrical enclosures with removable end plate
MX2010008265A (es) Encerramiento de componente electrico.
US201300978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Power Converter
KR200322678Y1 (ko)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
CA2544011C (en) Stud snap & lock non-metallic snap-on electrical box
CN110959236B (zh) 用于壁装模块化电气设备的盖元件和盖板
US8780534B2 (en) Swing out mount
CN110945729B (zh) 用于壁装模块化电气设备的盖致动元件和盖板
US8152542B2 (en) Electrical connector enclosure
JP3582218B2 (ja) 住宅用分電盤
KR200360638Y1 (ko) 배전반용 디지털 계측제어함
KR20080000659U (ko) 전기 계량기함
KR20180131794A (ko) 계기함
JP7196065B2 (ja) 電圧インジケータ表示モジュール
KR101161714B1 (ko) 안전커버가 구비된 차단기 받침대
RU38084U1 (ru) Щиток дл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в жилых и общественных зданиях
JP7483094B2 (ja) 取り付け構造、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JP2007012374A (ja) プラグイン機器の絶縁基台への取付構造
JP6026681B1 (ja) 高圧用電力量計
JP7340933B2 (ja) 取り付け構造、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WO2021106150A1 (ja) 電力変換装置
CN219394193U (zh) 抽屉及综保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