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794A - 계기함 - Google Patents

계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794A
KR20180131794A KR1020170068339A KR20170068339A KR20180131794A KR 20180131794 A KR20180131794 A KR 20180131794A KR 1020170068339 A KR1020170068339 A KR 1020170068339A KR 20170068339 A KR20170068339 A KR 20170068339A KR 20180131794 A KR20180131794 A KR 20180131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late
watt
plate
hour met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재
최정봉
조광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068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1794A/ko
Publication of KR20180131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7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기함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기함은 제1 취부판;과, 상기 제1 취부판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취부판과 다른 규격을 가지는 제2 취부판; 및 상기 제2 취부판에 구비되는 전력량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계기함에 따르면 규격이 다른 계기함끼리의 호환성이 향상되고, 전력량계 및 계기함 교체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며,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축되어 관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계기함{BOX FOR WATT-HOUR METER}
본 발명은 계기함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옥외에 설치되는 전력량계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력량계의 외부에 내충격성, 난연성, 내후성을 갖는 두께 3mm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 합성수지로 제작된 계기함을 씌워 사용한다.
계기함의 크기는 전력량계 마다 다른데 통상의 단상 2선식 전용량에 사용되는 소형크기가 있고, 단상 3선식, 삼상 3선식 전용량, 삼상 4선식 전용량에 사용되고 있는 중형크기가 있다.
도 1에는 이러한 계기함의 구조가 대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계기함(1)은 전력량계(20)를 지지하는 취부판(10)을 포함하며, 취부판(10)에는 조영재(미도시)에 고정을 위한 취부용 구멍(11) 및 전력량계(20) 관련 케이블(21)들이 지나는 케이블 인입구(12)가 마련되고, 전력량계 설치가 완료된 취부판(10)에는 미화커버(30)가 씌워질 수 있다.
그런데 전기 공급 방식이 변경되거나 그 외 특정한 이유로 전력량계를 교체하게 되는 경우, 계기함의 크기 또한 전력량계에 맞게 교체되어야 한다. 전력량계 및 계기함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취부판으로부터 전력량계 및 각종 케이블들을 분리하고, 최종적으로는 조영재로부터 취부판을 분리해야 하는데 조영재로부터 취부판을 분리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이는 작업의 지연과 시공 비용의 증가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전력량계 및 계기함 교체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사비, 인건비, 자재비 등의 관련 비용을 절감하여 원가 절감에 기여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기함은 제1 취부판;과, 상기 제1 취부판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취부판과 다른 규격을 가지는 제2 취부판; 및 상기 제2 취부판에 구비되는 전력량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취부판은, 상기 제1 취부판의 일면과 대면하여 상기 제1 취부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결합면의 넓이가 상기 제1 취부판의 상기 일면의 넓이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취부판은, 상기 제1 취부판과 대면하는 상기 결합면 상에서 상기 제1 취부판에 접촉되는 걸림부재; 및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취부판결합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는, 단부가 상기 제1 취부판 방향으로 연장되어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1 취부판의 외면을 감싼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기함은 상기 제1 취부판 및 상기 제2 취부판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취부판과 상기 제2 취부판을 결합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취부판결합구멍과 대면하도록 상기 제1 취부판에 마련되고, 내면에 나사홈을 구비하는 체결구멍; 및 상기 취부판결합구멍 및 상기 체결구멍에 삽입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다른 계기함은 상기 제2 취부판에 결합되고, 상기 전력량계를 덮는 미화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규격이 다른 계기함끼리의 호환성이 향상되고, 전력량계 및 계기함 교체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된다.
또한,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축되며, 관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의 계기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기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기함의 요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기함의 제2 취부판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기함의 제2 취부판의 전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기함의 후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동일한 부호로 기재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고,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해 익히 알려진 요소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당업자에 의해 특정 구성요소가 추가, 변경, 삭제된 다른 형태로도 제안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과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계기함은 도 2 및 도 3에서 보이듯이, 조영재(미도시)에 결합되어 있거나 혹은 결합될 수 있는 제1 취부판(110), 상기 제1 취부판(110)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취부판과 다른 규격 특히, 다른 넓이를 가지는 제2 취부판(120) 및 상기 제2 취부판에 구비되는 전력량계(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취부판(110)은 소형 계기함의 취부판일 수 있고, 제2 취부판(120)은 중형 계기함의 취부판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취부판의 규격 특히, 전력량계(130)가 부착되는 면의 넓이가 제1 취부판(110)의 전력량계가 부착되는 면의 넓이보다 넓을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중형 계기함에 수용되는 전력량계의 체적이 소형 계기함에 수용되는 전력량계의 체적보다 크기 때문이다.
또한, 제1 취부판(110)과 제2 취부판(120)의 규격이 다르다 함은, 제1 취부판과 제2 취부판은 면의 넓이 외에도, 재질, 체적 등도 서로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조영재에 결합된 또는 결합될 수 있는 제1 취부판이 소형 계기함의 취부판이고, 제1 취부판에 결합되는 제2 취부판이 중형 계기함의 취부판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취부판(120)의 뒷부분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 취부판(120)의 뒷면은 제1 취부판(도 3의 110)의 일면 즉, 제1 취부판에 전력량계가 부착되는 또는 부착되었던 면과 대면하고 접촉하는 취부판 결합면(121)이다.
상기 취부판 결합면(121)의 넓이는 제1 취부판(도 3의 110)의 상기 일면의 넓이보다 넓게 마련되는데, 이는 제1 취부판이 소형 계기함의 취부판이고, 제2 취부판이 중형 계기함의 취부판이기 때문인 것으로서, 제1,2 취부판이 상호 바뀌어 제1 취부판이 중형 계기함의 취부판이고, 제2 취부판이 소형 계기함의 취부판인 경우에는 이와 반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취부판(120)의 취부판 결합면(121)의 넓이를 제1 취부판(미도시)의 상기 일면의 넓이보다 넓게 하고, 상기 취부판 결합면(121)의 배면에 중형 전력량계 부착하면 소형 취부판인 제1 취부판(도 3의 110)을 조영재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중형 취부판인 제2 취부판(120)을 설치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작업의 효율성도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취부판의 취부판 결합면(121) 및 상기 취부판 결합면(121)의 배면인 전력량계가 부착되는 면의 넓이는 중형 전력량계를 부착하기에 적합한 크기로 사전에 규정되어 있는 표준 넓이일 수 있다.
제2 취부판(120)의 취부판 결합면(121)에는 일정높이 돌출된 걸림부재(122), 관통된 취부판 결합구멍(123) 및 관통된 전력량계 고정나사홈(126)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재(122) 및 취부판 결합구멍(123)은 추후 제1 취부판(도 3의 110)과의 결합력을 높이고, 호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5에는 제2 취부판(120)의 취부판 결합면(121)의 배면 즉, 제2 취부판(120)의 앞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로 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이어가면, 제2 취부판의 앞면에는 중형 계기함에 적합한 전력량계(도 3의 130)가 접촉되고 결합될 수 있다. 전력량계는 볼트(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전력량계 고정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취부판(120)의 앞면에는 전력량계 고정나사홈(12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력량계 고정나사홈(126)은 제2 취부판(120)을 관통하는 구멍일 수 있다.
그리고, 전력량계 고정나사홈(126)의 하부로는 전력량계(도 3의 130) 관련 케이블들이 위치하는 케이블 인입구(124)가 형성된다. 케이블 인입구(124)는 바람직하게 제1 취부판(도 3의 110)의 케이블 인입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케이블 설치에 보다 용이하게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취부판(120)의 상부에는 제1,2 취부판 및 전력량계를 보호하는 미화커버(도 2의 150)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는 미화커버 결합돌기(128)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미화커버 결합브라켓(127)이 구비되어 미화커버와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미화커버(도 2의 150)는 상기 미화커버 결합브라켓(127)에 형성된 볼트구멍에 삽입되는 볼트(미도시)에 의해 제2 취부판(12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미화커버의 체결방법은 반드시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한 방법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6에는 제1 취부판(110), 제2 취부판(120) 및 전력량계(130)의 체결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6에서 보이듯이, 제1 취부판(110)의 일면 위에 제2 취부판(120)의 취부판 결합면(121)을 놓고, 상기 제1 취부판(110)의 일면과 상기 취부판 결합면(121)이 접촉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규격에 맞는 전력량계(130)을 제2 취부판(120)의 전력량계 고정나사홈(126)에 맞게 두고 볼트(미도시)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취부판(110)은 조영재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고, 이와 같이 제1 취부판(110) 위에 제2 취부판(120)을 덮어 씌움으로써 조영재로부터 제1 취부판(110)을 분리하는 작업을 생략하고서도 바로 제2 취부판(120)의 설치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력량계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관련 인건비, 자재비, 부품비 등을 절감함으로써 원가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서 보이듯, 본 발명은 제1 취부판(110)과 제2 취부판(12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 걸림부재(122) 및 체결수단(140)을 제공한다.
걸림부재(122)는 제2 취부판(120)의 취부판 결합면(도 6의 121)에서 제1 취부판(110) 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되며, 단부가 중력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걸림부재(122)의 절곡부(122a)는 걸림홈(122b)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걸림홈(122b) 내에는 제1 취부판(110)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걸림부재(122)의 절곡부(122a)는 자연스럽게 상기 제1 취부판(110)의 상단부를 감싸게 된다.
이에 따르면, 제1 취부판(110)과 제2 취부판(120)의 결합을 더욱 안정적이게 하며, 제2 취부판(120)이 조영재에 고정된 제1 취부판(1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140)은 제2 취부판(120)의 취부판 결합구멍(123)에 대면하도록 제1 취부판(110)에 형성되는 체결구멍(141) 및 상기 취부판 결합구멍(123) 및 상기 체결구멍(141)에 삽입되는 체결볼트(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취부판 결합구멍(123) 및 상기 체결구멍(141)의 내면에는 체결볼트(142)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취부판(110)과 제2 취부판(120)의 체결방법이 반드시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취부판과 제2 취부판의 체결작업은 상기에서 설명한 볼트 외에 다른 체결부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조영재에 고정되어 있던 제1 취부판(110) 위에 제2 취부판(120)을 덮어씌워 전력량계의 교체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제1 취부판 철거 공정이 생략되므로 공사비가 절감되고, 철거되었어야 하는 제1 취부판을 그대로 유지하므로 철거비 및 폐기물 처리비가 절감되며, 건물 외벽에 추가 타공을 진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건물의 심미적 기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추후에 다시 원상태의 계기함으로 복원하는 경우에도 제2 취부판을 떼어내기만 하면 되므로 위와 같은 효과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사항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10 : 제1 취부판 120 : 제2 취부판
121 : 취부판 결합면 122 : 걸림부재
122a : 절곡부 122b : 걸림홈
123 : 취부판 결합구멍 124 : 케이블 인입구
126 : 전력량계 고정나사홈 127 : 미화커버 결합브라켓
128 : 미화커버 결합돌기 140 : 체결수단
141 : 체결구멍 142 : 체결볼트
150 : 미화커버

Claims (7)

  1. 제1 취부판;
    상기 제1 취부판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취부판과 다른 규격을 가지는 제2 취부판; 및
    상기 제2 취부판에 구비되는 전력량계;
    를 포함하는 계기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취부판은,
    상기 제1 취부판의 일면과 대면하여 상기 제1 취부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결합면의 넓이가 상기 제1 취부판의 상기 일면의 넓이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취부판은,
    상기 제1 취부판과 대면하는 상기 결합면 상에서 상기 제1 취부판에 접촉되는 걸림부재; 및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취부판결합구멍;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단부가 상기 제1 취부판 방향으로 연장되어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1 취부판의 외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함.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취부판 및 상기 제2 취부판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취부판과 상기 제2 취부판을 결합하는 체결수단;
    을 더 포함하는 계기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취부판결합구멍과 대면하도록 상기 제1 취부판에 마련되고, 내면에 나사홈을 구비하는 체결구멍; 및
    상기 취부판결합구멍 및 상기 체결구멍에 삽입되는 체결볼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함.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취부판에 결합되고, 상기 전력량계를 덮는 미화커버;
    를 더 포함하는 계기함.
KR1020170068339A 2017-06-01 2017-06-01 계기함 KR201801317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339A KR20180131794A (ko) 2017-06-01 2017-06-01 계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339A KR20180131794A (ko) 2017-06-01 2017-06-01 계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794A true KR20180131794A (ko) 2018-12-11

Family

ID=6467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339A KR20180131794A (ko) 2017-06-01 2017-06-01 계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17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794B1 (ko) * 2018-10-31 2019-04-02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백화현상 저감용 레드머드 조성물
KR102369811B1 (ko) * 2021-10-19 2022-03-04 유한회사 넥스파워 바이패스 전력량계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794B1 (ko) * 2018-10-31 2019-04-02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백화현상 저감용 레드머드 조성물
KR102369811B1 (ko) * 2021-10-19 2022-03-04 유한회사 넥스파워 바이패스 전력량계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8825A (en) Junction box construction for use in curved structures
KR200457588Y1 (ko)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함
KR20180131794A (ko) 계기함
KR101134709B1 (ko)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US81688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fab wiring
US50832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ofitting flush mount trim to existing recessed light fixture
KR100778017B1 (ko) 방진 및 방습기능을 갖는 분전반
RU89712U1 (ru) Корпус счетчик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KR101207896B1 (ko) 무정전 전기계량기함
KR102185456B1 (ko) 전력량계
KR200254024Y1 (ko) 계량기 함
KR100550180B1 (ko) 분전반
KR101321178B1 (ko) 보안등 점멸기 외함의 부품 설치구조
KR200449000Y1 (ko)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
JP2592163B2 (ja) 照明器具
KR101808737B1 (ko) 개별 분전함 커버
RU2471073C1 (ru) Защитный профиль
KR200322678Y1 (ko)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
KR102180771B1 (ko) 전선보호 기능을 갖는 공동주택의 벽체 설치용 전선보호장치
KR102433231B1 (ko) 지하 매입형 저압분전함
CN213520814U (zh) 一种配电柜
JP6413370B2 (ja) 配電盤と変圧器の接続構造及び受配電設備
JP2018164345A (ja) 路上低圧分岐箱
KR200306070Y1 (ko) 계량기함
US2018298A (en) Fuse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