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000Y1 -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 - Google Patents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000Y1
KR200449000Y1 KR20080002557U KR20080002557U KR200449000Y1 KR 200449000 Y1 KR200449000 Y1 KR 200449000Y1 KR 20080002557 U KR20080002557 U KR 20080002557U KR 20080002557 U KR20080002557 U KR 20080002557U KR 200449000 Y1 KR200449000 Y1 KR 2004490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breaker
fixing
mounting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025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748U (ko
Inventor
박철규
Original Assignee
(주)세진상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진상아 filed Critical (주)세진상아
Priority to KR200800025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000Y1/ko
Publication of KR200900087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7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0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0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부품고정판(20)의 몸체(21)는 계량기박스(10)에 형성된 장착공간(12)에 설치된다. 상기 부품고정판(20)에는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 차례로 계량기고정부(30), 검침기고정부(40) 및 차단기고정부(50)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기고정부(50)는 차단기의 높이가 계량기의 높이보다 높기 때문에 상기 계량기고정부(30) 및 검침기고정부(4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21)의 배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스페이서리브(2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슬리브단자대가 설치되는 공간을 별도로 두지 않아도 되고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통과부가 스페이서리브의 사이에 형성되므로 계량기박스의 공간활용성이 향상되고, 계량기 및 차단기가 전면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동일해져 계량기박스 커버와의 거리가 같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하나의 부품고정판에 다수개의 계량기, 원격검침기 및 차단기가 장착될 수 있으므로 작업공수를 감소시켜 작업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계량기박스, 계량기, 차단기

Description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A part fixing plate for a gauge box}
본 고안은 계량기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가 장착되는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에 관한 것이다.
전기가 사용되는 건물의 시공시에는 건물 외부와 내부 사이에 계량기박스가 설치된다. 상기 계량기박스에는 건물의 내부로 공급되는 전기의 양을 계량하기 위한 계량기, 건물 내부에서 과부하가 걸렸을 때 이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기, 검침기, 통신단자 등이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계량기 및 차단기는 상기 계량기박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부품고정판에 나사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계량기박스는 일반적으로 건물의 시공중에 미리 계량기 박스가 건물 벽체에 설치되고, 어느 정도 건물이 완성되어가는 단계에서 상기 계량기, 차단기 등이 계량기박스의 내부에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계량기박스에는 전원과 연결된 인입선과 가정에서 인출된 배전선이 각각 위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입선과 배전선은 슬리브(Sleeve)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는 도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인입선 및 배전선의 심선을 감싸 압착하여 인입선 및 배전선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슬리브를 통해 외부로 전류가 누전될 수 있기 때문에 계량기박스에는 슬리브가 설치되는 슬리브단자대가 별도로 구비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슬리브단자대가 부품고정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소정의 공간을 차지하므로 계량기박스의 공간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계량기 및 차단기가 부품고정판에 설치되었을 때 차단기가 계량기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가지게 된다. 즉, 차단기가 계량기보다 전면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큰 것이 다. 따라서, 작업자가 계량기 및 차단기를 차폐하는 도어를 개방하고 작업시에 불편하고, 계량기박스 커버와의 거리가 다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계량기박스의 내부에 부품고정판이 두 개가 나란하게 설치되었다. 그리고, 상기 부품고정판에는 각각 한 개의 계량기 및 차단기가 설치된다. 결국, 상기 계량기박스의 내부에 두 개의 계량기 및 차단기를 설치하려면 두 개의 부품고정판에 각각 계량기 및 차단기를 설치하고 상기 부품고정판 각각을 계량기박스의 내부에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는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의 장착작업속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품고정판이 장착되는 계량기박스 내부의 공간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계량기 및 차단기가 부품고정판에 설치되었을 때 전면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동일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부품고정판에 다수개의 계량기 및 차단기를 설치할 수 있는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고 계량기박스의 내부에 형성된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장방형 판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 차례로 형성되고 각각 계량기 장착공과 검침기장착공이 구비되는 계량기고정부 및 검침기고정부와; 상기 계량기고정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몸체의 일부를 요입하여 형성되고 차단기의 장착을 위한 차단기장착공이 형성된 차단기고정부와; 상기 몸체의 배면 가장자리를 둘러 둘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계량기박스에 구비된 고정돌부에 안착되어 체결되는 다수개의 고정편이 구비되는 스페이서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리브는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상하부와 양측의 상기 스페이서리브의 사이는 전선이 통과하기 위한 전선통과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기고정부의 양측에는 상기 검침기고정부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장착펜스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침기고정부에는 다수개의 장착단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단에는 양단부에는 원격검침기의 고정을 위한 상기 검침기장착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기고정부에는 상기 차단기장착공이 상단에 형성되고 하단에는 차단기가 걸어지는 걸이후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부품고정판의 배면 가장자리 일부에 스페이서리브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부품고정판과 계량기박스 사이에 슬리브단자대가 설치되고, 스페이서리브의 사이로 전선이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슬리브단자대 및 전선을 위한 공간을 별도로 두지 않아도 되므로 계량기박스의 공간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차단기고정부가 요입되게 형성되어 계량기고정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진다. 따라서, 서로 높이가 다른 계량기 및 차단기가 설치되었을 때 전면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동일하게 되어 작업자의 조작이 쉬워지고, 계량기박스 커버와의 거리가 동일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하나의 부품고정판에 다수개의 계량기, 원격검침기 및 차단기가 장착될 수 있으므로 작업공수를 감소시켜 작업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과 계량기박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계량기박스(10)는 대략 납 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 장착공간(12)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간(12)은 계량기박스(10) 중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 전면쪽이 개구되어 있다. 상기 계량기박스(10)의 장착공간(12)은 커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커버는 부분적으로 투명하게 형성되어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계량기박스(10)에서 상기 장착공간(12)은 4각형상의 배면판(14)과 상기 배면판(14)의 네 변을 둘러 대략 직교하게 형성되는 측면판(16)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배면판(14)의 외면은 건물의 벽체내에 매설되고, 상기 측면판(16)은 일부가 매설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12)에는 배면판(14)에서 돌출되어 고정돌부(18)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부(18)에는 체결공(도면부호 부여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부(18)는 상기 배면판(14)의 가장자리에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계량기박스(10)의 장착공간(12)에는 부품고정판(20)이 장착된다. 상기 부품고정판(20)은 상기 계량기박스(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부품고정판(20)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부품고정판(20)의 외관 및 골격은 몸 체(21)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21)는 대략 장방형의 판상이다.
상기 부품고정판(20)의 몸체(21)의 배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스페이서리브(22)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스페이서리브(22)는 배면 가장자리의 일부에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페이서리브(22)는 아래에서 설명될 계량기고정부(30) 및 차단기고정부(50)의 배면에 간헐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리브(22)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서는 전선이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21)의 배면에 간헐적으로 형성된 스페이서리브(22)의 사이는 전선통과부(24)를 형성한다. 상기 전선통과부(24)는 상기 계량기박스(10)로 인입되는 메인전선 및 차단기, 계량기 등을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전선통과부(24)는 상기 몸체(21)의 상하부와 양측에 해당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리브(22)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고정편(26)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편(26)에는 각각 고정공(28)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공(28)은 상기 고정돌부(18)에 체결되는 나사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편(26)은 상기 스페이서리브(22)에 총 8개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21)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배면판(14)과의 체결을 위한 통공(29)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21)의 상단에는 계량기고정부(30)가 형성된다. 상기 계량기고정부(30)에는 전기의 사용량을 측정하는 계량기(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된다. 상기 계량기고정부(30)는 아래에서 설명될 차단기고정부(5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가진다. 이와 같이 상기 계량기고정부(30)와 차단기고정부(50)의 높이를 다르게 한 것은 높이가 다른 계량기와 차단기가 부품고정판(20)에 장착되었을 때 전면이 돌출되는 정도를 맞추기 위한 것이다. 즉,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차단기와 계량기의 돌출정도를 맞추는 것이다.
상기 계량기고정부(30)에는 계량기장착공(32)이 형성된다. 상기 계량기장착공(32)은 계량기의 고정을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계량기고정부(30)의 상단과 하단에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21)의 중간부분에는 검침기고정부(40)가 구비된다. 상기 검침기고정부(40)에는 원격으로 검침하기 위한 원격검침기(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된다. 상기 검침기고정부(40)는 차단기고정부(5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검침 기고정부(40)의 배면과 계량기박스(10)의 배면판(14) 사이에는 슬리브단자대(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된다. 이는 상기 스페이서리브(22)에 의해 상기 검침기고정부(40)의 배면이 계량기박스(10)의 배면판(14)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검침기고정부(40)에는 다수개의 장착단(42)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단(42)은 상기 검침기고정부(40)의 표면에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단(42)에는 원격검침기를 체결하기 위한 검침기장착공(44)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21)의 하부에는 차단기고정부(50)가 구비된다. 상기 차단기고정부(50)에는 과부하가 걸렸을 때 이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기(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된다. 상기 차단기고정부(50)는 상기 몸체(21)의 일부를 요입되게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계량기고정부(30) 및 검침기고정부(4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진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계량기와 차단기의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각각이 전면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동일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차단기고정부(50)의 하부에는 걸이후크(52)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걸이후크(52)는 차단기의 일측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차단기고정부(50)의 상부에는 차단기를 관통한 나사가 체결되기 위한 다수개의 차단기장착공(54)이 형성된다.
상기 차단기고정부(50)의 양측에는 각각 장착펜스(56)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펜스(56)는 상기 검침기고정부(40)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펜스(56)는 차단기가 장착될 때 차단기의 장착을 안내하는 부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계량기박스(10)는 예를 들어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신축현장에서 벽체를 형성할 때 장착된다. 즉, 상기 계량기박스(10)의 배면판(14) 외면이 벽체 내에 매설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건물의 신축공정이 일정 이상 진행되면 상기 계량기박스(10)의 내부에 계량기, 원격검침기 및 차단기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계량기, 원격검침기 및 차단기는 상기 부품고정판(20)에 미리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계량기박스(10)의 장착공간(12)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계량기박스(10)의 내부로는 메인전선이 연장된 상태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부품고정판(20)에 계량기, 원격검침기 및 차단기를 장착하는 것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계량기는 상기 계량기고정부(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된다. 즉, 상기 계량기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계량기고정부(30)에 형성된 다수개의 계량기장착공(32) 중 일부가 연통되게 한 상태에서 나사를 관통시켜 상기 계량기고정부(30)에 체결되게 한다. 참고로 치수가 다른 계랑기가 상기 계량기고정부(30)에 고정될 때에는 해당되는 계량기에 형성된 관통공과 대응되는 계량기장착공(32)을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원격검침기 또한 상기 계량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검침기고정부(40)에 장착된다. 즉, 상기 원격검침기를 상기 장착단(42)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원격검침기에 형성된 관통공과 검침기장착공(44)이 연통되게 하고 나사를 체결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차단기는 우선 차단기의 하단 일측이 상기 걸이후크(52)에 걸어지도록 한다. 상기 걸이후크(52)에 차단기가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차단기에 형성된 관통공과 차단기장착공(54) 이 연통되게 하고, 나사를 체결하여 차단기가 차단기고정부(50)에 장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차단기의 양측은 상기 장착펜스(56)에 의해 안내된다.
이와 같이 계량기, 원격검침기 및 차단기가 상기 부품고정판(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선을 서로 연결하면 된다. 상기 전선은 상기 전선통과부(24)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이상에서 설명한 계량기, 원격검침기 및 차단기는 상기 고정부(30,40,50)에 각각 두 개가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물론, 상기 부품고정판(20)의 크기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계량기, 원격검침기 및 차단기가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계량기, 원격검침기 및 차단기가 장착된 부품고정판(20)은 상기 계량기박스(10)의 장착공간(12)에 장착된다. 즉, 건물의 벽체에 매설된 계량기박스(10)의 고정돌부(18)에 상기 고정편(26)이 안착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부(18)에 형성된 체결공에 상기 고정편(26)의 고정공(28)이 연통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나사가 상기 고정공(28)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돌부(18)의 체결 공에 체결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통공(29)을 관통한 나사가 상기 배면판(14) 일측에 체결되게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부품고정판(20)은 스페이서리브(22)에 의해 상기 배면판(14)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부품고정판(20)과 배면판(14) 사이, 정확하게는 상기 검침기고정부(40)의 배면과 배면판(14) 사이에 슬리브단자대가 설치될 수 있으므로 계량기박스(10)의 공간활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전선통과부(24)로는 메인전선 및 계량기, 차단기를 연결하는 전선 등이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기고정부(50)는 상기 몸체(21)에 요입되어 형성되어 상기 계량기고정부(30)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므로 이들에 설치되는 계량기와 차단기가 전면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맞출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부품고정판(20)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계량기고정부(30), 검침기고정부(40) 및 차단기고정부(50)가 차례로 형성되었으나, 이와 반대로 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과 계량기박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계량기박스 12 : 장착공간
14 : 배면판 16 : 측면판
18 : 고정돌부 20 : 부품고정판
21 : 몸체 22 : 스페이서리브
24 : 전선통과부 26 : 고정편
28 : 고정공 29 : 통공
30 : 계량기고정부 32 : 계량기장착공
40 : 검침기고정부 42 : 장착단
44 : 검침기장착공 50 : 차단기고정부
52 : 걸이후크 54 : 차단기장착공
56 : 장착펜스

Claims (4)

  1.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고 계량기박스의 내부에 형성된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장방형 판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 차례로 형성되고 각각 계량기 장착공과 검침기장착공이 구비되는 계량기고정부 및 검침기고정부와;
    상기 계량기고정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몸체의 일부를 요입하여 형성되고 차단기의 장착을 위한 차단기장착공이 형성된 차단기고정부와;
    상기 몸체의 배면 가장자리를 둘러 둘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계량기박스에 구비된 고정돌부에 안착되어 체결되는 다수개의 고정편이 구비되는 스페이서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리브는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상하부와 양측의 상기 스페이서리브의 사이는 전선이 통과하기 위한 전선통과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고정부의 양측에는 상기 검침기고정부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장착펜스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기고정부에는 다수개의 장착단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단에는 양단부에는 원격검침기의 고정을 위한 상기 검침기장착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고정부에는 상기 차단기장착공이 상단에 형성되고 하단에는 차단기가 걸어지는 걸이후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
KR20080002557U 2008-02-26 2008-02-26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 KR2004490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2557U KR200449000Y1 (ko) 2008-02-26 2008-02-26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2557U KR200449000Y1 (ko) 2008-02-26 2008-02-26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748U KR20090008748U (ko) 2009-08-31
KR200449000Y1 true KR200449000Y1 (ko) 2010-06-09

Family

ID=41302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02557U KR200449000Y1 (ko) 2008-02-26 2008-02-26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0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294B1 (ko) * 2013-10-04 2014-10-31 남영기전 주식회사 원격검침 계량기함
KR200477699Y1 (ko) * 2014-01-09 2015-07-09 채석 계량기 박스 조립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896Y1 (ko) 2000-03-22 2000-08-16 김정훈 플라스틱 전력계함
KR200254024Y1 (ko) 2001-08-29 2001-11-23 김대규 계량기 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896Y1 (ko) 2000-03-22 2000-08-16 김정훈 플라스틱 전력계함
KR200254024Y1 (ko) 2001-08-29 2001-11-23 김대규 계량기 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294B1 (ko) * 2013-10-04 2014-10-31 남영기전 주식회사 원격검침 계량기함
KR200477699Y1 (ko) * 2014-01-09 2015-07-09 채석 계량기 박스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748U (ko) 2009-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7860B2 (en) Frame assembly for a switchboard and related frame and switchboard
CN204834944U (zh) 卡缘连接器
KR101134709B1 (ko) 노출형 계량기 합성수지설치함
US20140174781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200449000Y1 (ko)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
CN101916969B (zh) 一种不锈钢临时用电计量箱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101575217B1 (ko) 전자식 전력량계
US20130327566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0807364B1 (ko) 전자식 전력량계
KR200440703Y1 (ko) 계량기박스 조립체
US4180303A (en) Plug-in electrical receptacle extender
KR100550180B1 (ko) 분전반
KR200451748Y1 (ko) 콘센트 박스 지지대
JP6827207B2 (ja) 集電箱
KR200430799Y1 (ko) 세대별 전기 계량기 함체
KR101380654B1 (ko) 전기 계량기함 및 전기 계량기함의 시공방법
KR101096761B1 (ko)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KR101302576B1 (ko) 스마트 분전반
CN207471910U (zh) 变频主控板盒及冰箱
KR200288013Y1 (ko) 전기 계량기 함
KR200346213Y1 (ko) 전기 계량기함 터미널
CN203119332U (zh) 一种户外用防雨水渗入型电气箱
CN210379905U (zh) 新型配电箱
CN220120881U (zh) 一种具有内部防护结构的新型电表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