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024Y1 - 계량기 함 - Google Patents

계량기 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024Y1
KR200254024Y1 KR2020010026282U KR20010026282U KR200254024Y1 KR 200254024 Y1 KR200254024 Y1 KR 200254024Y1 KR 2020010026282 U KR2020010026282 U KR 2020010026282U KR 20010026282 U KR20010026282 U KR 20010026282U KR 200254024 Y1 KR200254024 Y1 KR 2002540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meter box
rectangular cylinder
break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2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규
Original Assignee
김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규 filed Critical 김대규
Priority to KR20200100262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0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0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024Y1/ko

Links

Landscapes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량기 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사각통체(1)의 내부에 계량기와 차단기 및 전선이 장치되는 공지의 계량기함에 있어서,
지지돌기(4)와 탄력편(5)으로 된 결합부(3)를 상기 사각통체(1)의 플랜지(2) 뒷면에 형성하여 철은(14)을 결합부(3)에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장치하며, 계량기와 차단기가 장치되는 부착판(7)을 각각의 체결공(9)(10)을 통하여 내면(1a)에 분해 결합될 수 있도록 장치하며,
상기 사각통체(1)의 상하면에 절단부(12)가 형성된 예비전선공(13)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계량기함을 벽체에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각종 장치들을 설치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계량기 함 {METER CASE}
본 고안은 내부에 계량기나 차단기등을 장치하여 벽체에 매입하는 계량기 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각통체의 뒷면에 철근을 결합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내부에 장치되는 계량기와 차단기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계량기 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공공건물에 있어 각 가정마다 계량기 함이 벽체에 매입 설치되며, 이러한 계량기함에 각종 계량기나, 차단기, 전선등이 장치된다.
종래 계량기 함을 벽체에 매입설치하기 위하여는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전에 설치한 후 콘트리트를 타설하였으나, 콘크리트 타설시 계량기 함의 위치가 변동 될뿐 아니라, 계량기 함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작업이 번거로웠다.
또한, 계량기 함에 각종 전선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각종 구멍을 현장에서 뚫어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번거로웠다.
또한, 매입 설치된 계량기 함에 계량기와 차단기를 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각각의 계량기 함마다 일일이 계량기등을 부착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모될뿐아니라, 운반과 취급중에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 된 것으로서,
계량기함의 뒷면에 철근을 끼울 수 있는 결합부를 형성하여, 결합부에 결합된 철근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전의 벽체의 철근에 견고하고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계량기 함의 상하면에 전선을 인출할 수 있는 예비전선을 형성하여 현장에서 전선공을 쉽게 뚫어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계량기와 차단기를 부착판에 고정한 후, 계량기함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별개의 작업장에서 부착된 계량기 등을 현장에서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배면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정면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사각통체 1a : 내면 2 : 플랜지
3 : 결합부 4 : 지지돌기 5 : 탄력편
7 : 부착판 9, 10 : 체결공 12 : 절단부
13 : 예비전선공
본 고안은 내부에 수납실이 구비된 사각통체도 형성되고 내부에 계량기와 차단기 및 전선이 장치되도록 된 공지의 계량기 함에 있어서,
상기 사각통체의 외곽에 형성된 플랜지 뒷면에 지지돌기와 탄력편으로 된 결합부를 상하 좌우에 각각 형성하며, 계량기와 차단기가 장치되는 부착판을 상기 사각통체의 내면에 분해결합되도록 장치하며, 상기 사각통체에 상하면에 절단부가 형성된 예비전선공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각통체(1)의 외곽테두리부에 형성된 플랜지(2)의 뒷면 상하좌우에 각각 결합부(3)를 형성한다.
상기 결합부(3)는 지지돌기(4)와 탄력편(5)사이에 결합홈(6)이 구비되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계량기(C)와 차단기(S)를 장치할 수 있는 부착판(7)을 판체형으로 형성하고 부착판(7)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8)에 체결공(9)을 형성하고 사각통체(1)의 내면(1a)에 체결공(10)을 형성하여 각각의 체결공(9)(10)에 체결나사(11)를 체결하여 부착판(7)이 내면(1a)에 밀착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사각통체(1)의 상하면(1b)에 원형의 절단부(12)가 형성된 예비전선공(13)을 형성한다.
미설명부호 14는 철근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계량기함을 건물의 벽체에 매입설치하기 위하여 먼저, 통상의 철근(14)을 결합부(3)에 끼우는 것으로서, 탄력편(5)이 재질적 특성인 탄성에 의하여 외측으로 벌어진 후 결합부(3)내에 철근(14)이 끼워지면 탄력편(5)이 원위치되므로 철근(14)의 일측이 지지돌기(4)에 밀착 지지되면서 타측이 탄력편(5)에 지지되므로 견고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각각의 결합부(3)에 철근(14)을 끼워 결합하면서 철근(14)의 양측 끝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며, 이러한 철근(14)의 돌출부위를 건물의 벽체에 설치된 철근에 철사등으로 결속하면 견고한 상태로 고정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과 같이 벽체에 매입된 사각통체(1)의 내부에 각종 부품을 장치하는 것으로서 별개의 장소에서 부착판(7)에 계량기(C)와 차단기(S)가 부착된 부착판(7)세트를 현장, 즉 계량기함의 사각통체(1)에 장치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체결공(9)(10)에 관통되게 체결나사(11)를 체결하면 부착한(7)세트가 내면(1a)에 부착되는 것이다.
또한,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착판(7)은 계량기와 차단기를 1개 또는 2개를 부착하여 1세대 또는 2세대용으로 사용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선을 연결하면서 설치 작업을 하는 것이다.
또한, 차단기에 접속된 전선을 외부로 인출할때에는 예비전선공(13)에 미리 절단되어 있는 절단부(12)를 가압하면 절단부(12)가 이탈되면서 개방되므로 예비전선공(13)을 통하여 전선을 인출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을 계량기함의 뒷면에 철근을 끼워 결합하므로서 콘크리트 타설전에 벽체에 고정된 계량기 함이 타설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통과가 있다.
또한, 분리된 부착판에 계량기와 차단기를 장치하여 별개의 작업장에서 세트화시킨 후 계량기 함에 장치 함으로써 작업이 간편할 뿐 아니라, 종래와 같이 각각의 부품들이 취급이나 운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비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전선을 인출하기 위하여 본 작업 할 필요없이 간단히 구멍을 뚫어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은 계량기 함에 쉽게 적용하여 계량기함의 제품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한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사각통체(1)의 내부에 계량기와 차단기 및 전선이 장치되는 공지의 계량기함에 있어서,
    지지돌기(4)와 탄력편(5)으로 된 결합부(3)를 상기 사각통체(1)의 플랜지(2) 뒷면에 형성하여 철근(14)을 결합부(3)에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장치하며, 계량기와 차단기가 장치되는 부착판(7)을 각각의 체결공(9)(10)을 통하여 내면(1a)에 분해 결합될 수 있도록 장치하며,
    상기 사각통체(1)의 상하면에 절단부(12)가 형성된 예비전선공(13)을 형성하여서 구성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함.
KR2020010026282U 2001-08-29 2001-08-29 계량기 함 KR2002540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282U KR200254024Y1 (ko) 2001-08-29 2001-08-29 계량기 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282U KR200254024Y1 (ko) 2001-08-29 2001-08-29 계량기 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024Y1 true KR200254024Y1 (ko) 2001-11-23

Family

ID=73107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282U KR200254024Y1 (ko) 2001-08-29 2001-08-29 계량기 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0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884B1 (ko) 2004-07-16 2006-09-20 강재석 전기계량기함
KR200449000Y1 (ko) 2008-02-26 2010-06-09 (주)세진상아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
KR200485560Y1 (ko) * 2016-09-06 2018-01-29 한국전력공사 전자식 전력량계용 지락(地絡)사고 방지수단을 구비한 단자블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884B1 (ko) 2004-07-16 2006-09-20 강재석 전기계량기함
KR200449000Y1 (ko) 2008-02-26 2010-06-09 (주)세진상아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
KR200485560Y1 (ko) * 2016-09-06 2018-01-29 한국전력공사 전자식 전력량계용 지락(地絡)사고 방지수단을 구비한 단자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42896A1 (en) Embeddable mounting device
KR200457588Y1 (ko)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함
US20070120029A1 (en) A Modular Wall Mounting Apparatus
CA2356788A1 (en) Recessed fixture frame
KR200254024Y1 (ko) 계량기 함
KR200255166Y1 (ko)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
KR20110006917U (ko) 벽 스위치의 브라켓
KR101010309B1 (ko) 단자함
KR100687602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200477699Y1 (ko) 계량기 박스 조립구조
KR20180131794A (ko) 계기함
KR100648096B1 (ko) 공동주택용 활형 전기단자함 고정구
KR200242769Y1 (ko) 단자함 구조
KR100399416B1 (ko) 벽 매립형 통신기기의 부착장치
KR200351231Y1 (ko) 콘크리트 실링박스
KR200248263Y1 (ko) 배전함용 계량기 고정판의 고정구조
KR200306198Y1 (ko) 증폭기 전용 케이스
KR100648108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JP4070040B2 (ja) 扉用電気錠
KR100627999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200226073Y1 (ko) 계량기용 배전함 구조
KR200300947Y1 (ko)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0114401Y1 (ko) 분전반의 베이스 고정구조
KR200348320Y1 (ko) Tv 분배기 및 통신 허브 겸용 매립케이스
KR200261831Y1 (ko) 철판 판넬 시설물용 콘센트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