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917U - 벽 스위치의 브라켓 - Google Patents

벽 스위치의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917U
KR20110006917U KR2020090017196U KR20090017196U KR20110006917U KR 20110006917 U KR20110006917 U KR 20110006917U KR 2020090017196 U KR2020090017196 U KR 2020090017196U KR 20090017196 U KR20090017196 U KR 20090017196U KR 20110006917 U KR20110006917 U KR 201100069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witch
synthetic resin
hook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7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7183Y1 (ko
Inventor
김창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너스
Priority to KR2020090017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18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69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9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1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1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속 브라켓과 합성수지 브라켓을 조합하여 결합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벽 스위치의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전면의 금속 브라켓과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후면의 합성수지 브라켓을 결합시킨 새로운 형태의 브라켓을 구현함으로써, 설치시 결합강도를 높여 제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스위치 훅과의 결합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벽 스위치의 브라켓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벽 스위치의 브라켓은 제품을 벽에 설치할 때 휨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등 강도 보강에 따른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 브라켓과 스위치 훅 간의 결합시 합성수지 간의 결합구조를 적용하여 스위치 훅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스위치의 견고한 조립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벽 스위치, 브라켓, 금속 브라켓, 합성수지 브라켓, 스위치 훅, 강도

Description

벽 스위치의 브라켓{Wall switch bracket}
본 고안은 벽 스위치의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 브라켓과 합성수지 브라켓을 조합하여 결합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벽 스위치의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전원을 연결할 수 있도록 벽면 등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스위치는 내부의 접속 부분과 전선을 보호하면서, 실내의 미감을 주기 위하여 스위치 커버를 체결한 형태가 대부분이다.
보통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기기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는 벽에 설치되어 수동으로 조작되는 텀블러 스위치(Tumbler Switch)가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텀블러 스위치는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조명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개폐시킴으로써, 조명기기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벽에 설치되는 스위치는 벽체 내부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이 브라켓의 전면을 마감하는 스위치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경우 얇은 철판으로 이루어져 하우징에 나사로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러나, 얇은 철판으로 이루어진 브라켓은 쉽게 휘어지는 단점이 있어 벽체 내의 하우징에 나사로 고정시킬 때, 쉽게 휘어지면서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 다른 부품들과의 조립 상태 또한 변형을 일으키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브라켓측에 스위치 조립시 스위치 훅과 걸려지는 부분이 금속 재질의 얇은 철판으로 되어 있는 관계로 스위치 훅이 쉽게 마모되면서 결합력이 떨어지는 등 스위치가 탈거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브라켓이 일부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벽체 내의 하우징에 브라켓을 나사체결하는 경우 브라켓 나사 체결부위가 쉽게 손상되는 등 내구성 측면에서 취약한 면을 보이고 있어 실용화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전면의 금속 브라켓과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후면의 합성수지 브라켓을 결합시킨 새로운 형태의 브라켓을 구현함으로써, 설치시 결합강도를 높여 제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스위치 훅과의 결합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벽 스위치의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벽 스위치의 브라켓은 금속 재질로 되어 있는 전면의 금속 브라켓과 합성수지 재질로 되어 있는 후면의 합성수지 브라켓이 상호 간의 4변에 마련되어 있는 훅에 의해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설치시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는 등 내구성을 한층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 브라켓측에 훅 걸림편을 마련하여, 이곳에 스위치의 훅이 끼워져 걸려지도록 하는 합성수지 간의 결합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스위치 훅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등 스위치 조립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벽 스위치의 브라켓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합성수지의 취약함을 금속이 보완해줌으로써, 제품을 벽에 설치할 때 휨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등 강도 보강에 따른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브라켓과 스위치 훅 간의 결합시 합성수지 간의 결합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스위치 훅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위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스위치의 견고한 조립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 스위치의 브라켓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 스위치의 브라켓에 스위치 어셈블리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벽 스위치 브라켓은 금속과 합성수지를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변형을 막을 수 있는 등 우수한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금속 재질로 되어 있는 전면의 금속 브라켓(11)과, 합성수지 재질로 되어 있는 후면의 합성수지 브라켓(12)이 마련되고, 이들 브라켓은 다수의 훅(13)에 의한 체결구조로 상호 간에 결합된다.
이러한 금속 브라켓(11)과 합성수지 브라켓(12)은 스위치 어셈블리 등의 설 치를 위하여 내측에 빈 공간이 조성되는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모서리 부위에는 사각의 홀(22)과 턱(23)을 갖는 사각의 돌출띠(20)가 형성되어 있어서 브라켓 간 결합시 이들 홀(22)과 돌출띠(20) 또한 서로 끼워지면서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의 홀(22)과 돌출띠(20) 내측이 만드는 공간은 스위치 커버(미도시)의 훅(미도시)이 삽입된 후 턱(23)을 통해 체결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금속 브라켓(11)과 합성수지 브라켓(12)의 네 모퉁이에는 각각 체결홀(24)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체결홀(24)을 통해 제품을 벽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브라켓 상호 간을 결합시켜주는 훅(13)은 각 브라켓측의 내측에 2쌍씩 마련되어 브라켓 서로 간을 균형있게 결합시켜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금속 브라켓(11)에는 긴 변쪽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1쌍의 금속 훅(13a)이 각각 형성되고, 합성수지 브라켓(12)에는 짧은 변쪽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1쌍의 합성수지 훅(13b)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의 합성수지 훅(13b)의 경우 뒷쪽으로 절개부(21)가 마련되어 있어서, 체결시 이곳을 이용하여 뒷쪽으로 탄력적으로 유동되면서 부드럽게 체결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훅(13)의 체결을 위한 상대측 요소로서, 각 브라켓에는 훅(13)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훅 걸림홀(17a),(17b)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금속 브라켓(11)과 합성수지 브라켓(12)이 상하 배치되고, 각 훅(13)과 훅 걸림홀(17a),(17b) 간의 위치를 맞춘 상태에서 위아래로 눌러 조립하면, 금속 브라켓(11)의 금속 훅(13a)은 합성수지 브라켓(12)의 훅 걸림홀(17b) 내에 끼워져 걸려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합성수지 브라켓(12)의 합성수지 브라켓(13b)은 금속 브라켓(11)의 훅 걸림홀(17a)을 관통하면서 걸려지게 되므로서, 금속 브라켓(11)과 합성수지 브라켓(12)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스위치 어셈블리와 브라켓 간의 유연하면서도 견고한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즉, 합성수지 브라켓(12)에 스위치(14)를 고정시킬 때 합성수지가 아니면 스위치(14)에 있는 스위치 훅(15)이 마모될 수 있다.
그래서, 스위치 훅(15)과 결합되는 브라켓 부위 또한 합성수지를 적용한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14)는 손으로 조작하는 부분인 스위치 노브(18)와 이 스위치 노브(18)를 수용하면서 브라켓측에 결합되는 부분인 스위치 하우징(19)으로 구성되고, 이때의 스위치 하우징(19)의 양측 단부에는 스위치 훅(15)이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합성수지 브라켓(12)의 틀 내측 가장자리 부위에는 상기 스위치(14)가 고정되는 부위의 양편에 각각 훅 걸림턱(16)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스위치 노브(18) 및 스위치 하우징(19) 전체를 포함하는 스위치 어셈블리를 브라켓의 내측으로 삽입하면, 스위치 하우징(19)에 있는 스위치 훅(15)이 합성수지 브라켓(12)에 있는 훅 걸림턱(16) 위에 얹혀지면서 안착되고, 이 상태 에서 스위치 어셈블리의 일측을 나사로 체결하면 스위치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또한, 금속 브라켓(11)과 합성수지 브라켓(12)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체결홀(24)을 통해 벽면에 설치할 때, 전면의 금속 브라켓(11)에 있는 체결홀(24)을 통해 나사를 체결하게 되므로, 체결부위가 파손되는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금속 재질과 합성수지 재질을 조합한 새로운 형태로 브라켓을 제작함으로써, 제품을 벽면에 설치시 제품이 변형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즉 플라스틱으로 강도가 약한 부분을 금속과 결합으로 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합성수지 부분에 스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즉 스위치와 결합되는 부위를 합성수지로 적용함으로써, 스위치 훅이 마모되는 문제 또한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 스위치의 브라켓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 스위치의 브라켓에 스위치 어셈블리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 스위치의 브라켓에 스위치 어셈블리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브라켓 11 : 금속 브라켓
12 : 합성수지 브라켓 13 : 훅
13a : 금속 훅 13b : 합성수지 훅
14 : 스위치 15 : 스위치 훅
16 : 훅 걸림턱 17a,17b : 훅 걸림홀
18 : 스위치 노브 19 : 스위치 하우징
20 : 돌출띠 21 : 절개부
22 : 홀 23 : 턱
23 : 체결홀

Claims (3)

  1. 벽 스위치의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은 금속 재질로 되어 있는 전면의 금속 브라켓(11)과 합성수지 재질로 되어 있는 후면의 합성수지 브라켓(12)이 상호 간의 4변에 마련되어 있는 훅(13)에 의해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설치시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스위치의 브라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브라켓(11)에는 스위치(14)의 스위치 훅(15)이 끼워져 걸려지는 훅 걸림편(16)이 마련되어, 스위치 훅과 브라켓이 합성수지 간의 결합구조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스위치의 브라켓.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훅(13)은 금속 브라켓(11)의 긴 변쪽에 2쌍, 합성수지 브라켓(12)의 짧은 변쪽에 2쌍 총 4쌍이 마련되어 브라켓 간의 결합이 상호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스위치의 브라켓.
KR2020090017196U 2009-12-31 2009-12-31 벽 스위치의 브라켓 KR2004671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7196U KR200467183Y1 (ko) 2009-12-31 2009-12-31 벽 스위치의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7196U KR200467183Y1 (ko) 2009-12-31 2009-12-31 벽 스위치의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917U true KR20110006917U (ko) 2011-07-07
KR200467183Y1 KR200467183Y1 (ko) 2013-06-10

Family

ID=45568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7196U KR200467183Y1 (ko) 2009-12-31 2009-12-31 벽 스위치의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1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954U (ko)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 베코 다용도 브라켓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584Y1 (ko) 2020-03-24 2020-11-06 (주)상건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KR102465739B1 (ko) 2020-10-28 2022-11-11 (주)상건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
KR200494575Y1 (ko) 2020-03-24 2021-11-15 (주)상건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KR200497654Y1 (ko) 2021-11-03 2024-01-17 주식회사 베코 배선 기구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0270B2 (ja) 2000-11-28 2005-08-31 松下電工株式会社 配線器具用の防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954U (ko)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 베코 다용도 브라켓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183Y1 (ko) 201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183Y1 (ko) 벽 스위치의 브라켓
TWI443264B (zh) 配線器具用面板和配線裝置
US20100171322A1 (en) Electromagnetic lock
WO2016177428A1 (en) Door handle-assembly for use in a refrigerator
KR101531963B1 (ko)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구조
KR200465620Y1 (ko) 벽 스위치의 노브
JP7067647B2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KR101015987B1 (ko) 손잡이 일체형 냉장고 도어
CN106931708B (zh) 家用电器
KR100993544B1 (ko) 전원스위치
KR200254024Y1 (ko) 계량기 함
US6989504B1 (en) Case with sliding button fastening structure
JP4182863B2 (ja) キャビネット構造
KR200447940Y1 (ko) 단자함
US20100066100A1 (en) Fastening device for a fitting, e.g. a lock case, bar guide, or similar
JP6719155B2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KR200433303Y1 (ko) 스위치 고정판의 비틀림 방지구조
JP6719156B2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US20050086867A1 (en) Access door
JP6707275B2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KR200418711Y1 (ko) 프론트 커버 개폐장치
JP2018153038A (ja) 化粧部材の組み付け構造
KR100627999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200351567Y1 (ko) 붙박이형 가전제품의 보강구조
JP2008061884A (ja) 電気電子機器用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