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954U - 다용도 브라켓 장치 - Google Patents

다용도 브라켓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954U
KR20230000954U KR2020210003350U KR20210003350U KR20230000954U KR 20230000954 U KR20230000954 U KR 20230000954U KR 2020210003350 U KR2020210003350 U KR 2020210003350U KR 20210003350 U KR20210003350 U KR 20210003350U KR 20230000954 U KR20230000954 U KR 202300009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coupling
coupling hole
opening
arranged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3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502Y1 (ko
Inventor
김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코
Priority to KR20202100033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502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9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9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5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07Adjustable mounting of casings

Landscapes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브라켓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서로 대향된 제1 면과 제2 면을 갖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관통하는 개구를 갖는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 내에 위치되는 복수의 배선 기구들과 결합되는 결합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측벽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결합부들을 포함하는 제1 벽부; 상기 제1 벽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 결합부들을 포함하는 제2 벽부; 상기 제1 벽부의 일단과 상기 제2 벽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벽부; 및 상기 제3 벽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1 벽부의 타단과 상기 제2 벽부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들 각각은, 상기 제2 벽부와 마주보고, 상기 제1 벽부를 관통하는 제1 결합 홀; 및 상기 제1 결합 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격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들 각각은, 상기 제1 벽부와 마주보고, 상기 제2 벽부를 관통하는 제2 결합 홀; 및 상기 제2 결합 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뎔되는 복수의 제2 격벽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브라켓 장치{Multi-purpose bracket apparatus}
본 고안은 다용도 브라켓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 모듈, 통신 모듈 등의 다양한 유형의 배선 기구들과 결합될 수 있는 다용도 브라켓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전원을 연결할 수 있도록 벽면 등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스위치 모듈 및/또는 통신 모듈은 내부의 접속 부분과 전선을 보호하면서, 실내의 미감을 주기 위하여 스위치 커버 등을 체결한 형태가 대부분이다.
보통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기기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모듈은 벽에 설치되어 수동으로 조작되는 텀블러 스위치(Tumbler Switch) 모듈 및/또는 토글 스위치 모듈이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텀블러 스위치 모듈 및/또는 토글 스위치 모듈은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조명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개폐시킴으로써, 조명기기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벽에 설치되는 스위치 모듈은 벽체 내부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고, 이 브라켓은 스위치 모듈이 벽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전자,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벽에는 스위치 모듈 뿐만아니라 통신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배선 기구들이 설치되고 있고, 하나의 브라켓에 여러 종류의 배선 기구들이 결합될 수 있는 브라켓을 요구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6917호(2011.07.07)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위치 모듈, 통신 모듈 등 다양한 유형의 배선 기구들을 결합시킬 수 있는 다용도 브라켓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과제는 스위치 모듈 등의 배선기구들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다용도 브라켓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브라켓 장치는, 서로 대향된 제1 면과 제2 면을 갖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관통하는 개구를 갖는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개구 내에 위치되는 복수의 배선 기구들과 결합되는 결합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측벽부는, 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결합부들을 포함하는 제1 벽부; 상기 제1 벽부와 이격되고, 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 결합부들을 포함하는 제2 벽부; 상기 제1 벽부의 일단과 상기 제2 벽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벽부; 및 상기 제3 벽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1 벽부의 타단과 상기 제2 벽부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들 각각은, 상기 제2 벽부와 마주보고, 상기 제1 벽부를 관통하는 제1 결합 홀; 및 상기 제1 결합 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벽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격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들 각각은, 상기 제1 벽부와 마주보고, 상기 제2 벽부를 관통하는 제2 결합 홀; 및 상기 제2 결합 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벽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뎔되는 복수의 제1 격벽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위치 모듈, 통신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배선 기구들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위치 모듈 등의 배선기구들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결합 여부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브라켓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C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용도 브라켓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D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다용도 브라켓 장치에 배선 기구들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영역과 B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개념 및 이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브라켓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C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용도 브라켓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D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브라켓 장치(10)는 건물의 벽 등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용도 브라켓 장치(10)는 배선 기구들(20, 도 7 참조) 등의 배선 기구를 건물의 벽에 설치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용도 브라켓 장치(10)는 베이스부(100) 및 결합 측벽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용도 브라켓 장치(10)는 스토퍼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서로 대향된 제1 면(110)과 제2 면(12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100)는 평면적 관점에서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부(100)는 그를 관통하는 개구(O)를 가질 수 있다. 개구(O)는 베이스부(100)의 제1 면(110)과 제2 면(120)을 관통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개구(O)는 평면적 관점에서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구(O) 내에는 배선 기구들(20)이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제1 면(110)으로부터 제2 면(120)을 향해 함몰된 복수의 스토퍼 홈들(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홈들(131, 132) 각각은 개구(O)와 연결될 수 있다. 스토퍼 홈들(131, 132)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결합 측벽부(200)는 베이스부(10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결합 측벽부(200)는 베이스부(100)의 제1 면(110)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결합 측벽부(200)는 제1 면(110)으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결합 측벽부(200)는 제1 면(110)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결합 측벽부(200)는 개구(O) 내에 위치되는 복수의 배선 기구들(2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선 기구들(20)은 개구(O) 내에서 고정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배선 기구(20)의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결합 측벽부(200)는 제1 벽부(210), 제2 벽부(220), 제3 벽부(230) 및 제4 벽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결합 측벽부(200)는 평면적 관점에서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벽부(210)는 베이스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벽부(210)는 제1 방향(D1)과 수직한 제2 방향(D2)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벽부(210)는 개구(O)와 제1 방향(D1)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벽부(210)는 복수의 제1 결합부들(21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결합부들(211)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들(211)은 제2 방향(D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결합부들(211) 각각은 제1 결합 홀(2111), 복수의 제1 격벽들(2112) 및 제1 차폐부(2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홀(2111)은 제1 벽부(210)를 관통할 수 있다. 제1 결합 홀(2111)은 제2 벽부(220)와 마주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결합 홀(2111)은 후술할 제2 결합 홀(2211)과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1 격벽들(2112)은 제1 결합 홀(211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격벽들(2112)은 베이스부(100)와 이격된 제1 결합 홀(2111)의 바닥면으로부터 베이스부(10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격벽들(2112)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격벽들(2112)은 제2 방향(D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격벽들(2112)은 베이스부(100)의 제1 면(110)과 이격될 수 있다.
제1 격벽들(2112)은 제1 결합 홀(2111)의 공간 일부를 구획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부들(211) 각각은 2개의 제1 격벽들(2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결합 홀(2111)의 공간은 제1 격벽(2112)과 제1 결합 홀(2111)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는 한 쌍의 공간들 및 제1 격벽들(2112) 사이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격벽(2112)의 높이는 제1 결합 홀(2111)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격벽(2112)의 높이는 제1 방향(D1)으로의 제1 격벽(2112)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격벽들(2112) 각각은 서로 인접한 제1 결합 홀(2111)의 내측면과의 이격 거리가 동일 할 수 있다.
제1 차폐부(2113)는 제1 결합 홀(2111)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차폐부(2113)는 제1 격벽들(2112)과 제3 방향(D3)으로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1 차폐부(2113)는 베이스부(100)의 제1 면(110)과 이격될 수 있다. 제1 차폐부(2113)는 제1 벽부(210)의 외측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부들(211) 각각은 제1 차폐부(2113)를 포함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차폐부(2113)는 생략될 수 있다.
제1 벽부(210)는 베이스부(100)의 제1 면(110)으로부터 이격된 제1 단부면(212) 및 제1 단부면(212)으로부터 베이스부(100)의 제1 면(110)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안내 홈들(2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부면(212)은 제1 벽부(210)에서 베이스부(100)의 제1 면(110)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면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단부면(212)은 평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안내 홈들(215)은 제1 벽부(210)의 길이 방향 또는 제2 방향(D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안내 홈들(215)의 각각은 제1 결합 홈들의 각각과 제1 방향(D1)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안내 홈들(215) 각각은 제1 결합부들(211) 각각의 제1 격벽들(2112)과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안내 홈(215)에 삽입된 배선 기구(20)의 제1 결합 돌기(21a)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베이스부(100)를 향해 이동할 때, 제1 격벽들(211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안내 홈들(215) 각각은, 제1 지지면(216)과 제1 테이퍼면(2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면(216)은 제1 결합 홀(2111)과 제1 단부면(21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지지면(216)은 평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테이퍼면(217)은 제1 지지면(216)으로부터 개구(O) 또는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테이퍼면(217)은 제1 지지면(216)으로부터 베이스부(100)의 제1 면(110)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안내 홈(215)에 삽입된 배선 기구(20)의 제1 결합 돌기(21a)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부드럽게 베이스부(10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제2 벽부(220)는 베이스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벽부(220)는 제2 방향(D2)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벽부(220)는 개구(O)와 제1 방향(D1)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2 벽부(220)는 제1 벽부(210)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벽부(220)는 제1 벽부(210)와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벽부(220)는 제1 벽부(210)로부터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과 수직한 제3 방향(D3)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벽부(220)는 복수의 제2 결합부들(2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들(221)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들(221)은 제2 방향(D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2 결합부들(221) 각각은 제1 결합부들(211) 각각과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2 결합부들(221) 각각은 제2 결합 홀(2211), 복수의 제2 격벽들(2212) 및 제2 차폐부(2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 홀(2211)은 제2 벽부(220)를 관통할 수 있다. 제2 결합 홀(2211)은 제1 벽부(210)와 마주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결합 홀(2211)은 제1 결합 홀(2111)과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결합 홀(2211)은 제1 결합 홀(2111)로부터 제3 방향(D3)으로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2 격벽들(2212)은 제2 결합 홀(221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격벽들(2212)은 베이스부(100)와 이격된 제2 결합 홀(2211)의 바닥면으로부터 베이스부(10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격벽들(2212)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격벽들(2212)은 제2 방향(D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2 격벽들(2212)은 베이스부(100)의 제1 면(110)과 이격될 수 있다.
제2 격벽들(2212)은 제2 결합 홀(2211)의 공간 일부를 구획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결합부들(221) 각각은 2개의 제2 격벽들(2212)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제2 결합 홀(2211)의 공간은 제2 격벽(2212)과 제2 결합 홀(2211)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는 한 쌍의 공간들 및 제2 격벽들(2212) 사이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격벽들(2212) 각각의 높이는 제2 결합 홀(2211)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2 격벽(2212)의 높이는 제1 방향(D1)으로의 제2 격벽(2212)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격벽들(2212) 각각과 제2 결합 홀(2211)의 내측면 간의 이격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제2 차폐부(2213)는 제2 결합 홀(2211)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차폐부(2213)는 제2 격벽들(2212)과 제3 방향(D3)으로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2 차폐부(2213)는 베이스부(100)의 제1 면(110)과 이격될 수 있다. 제2 차폐부(2213)는 제2 벽부(220)의 외측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결합부들(221) 각각은 제2 차폐부(2213)를 포함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차폐부(2213)는 생략될 수 있다.
제2 벽부(220)는 베이스부(100)의 제1 면(110)으로부터 이격된 제2 단부면(미부호) 및 제2 단부면으로부터 베이스부(100)의 제1 면(110)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안내 홈들(2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부면은 제2 벽부(220)에서 베이스부(100)의 제1 면(110)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면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21 단부면은 평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안내 홈들(225)은 제1 벽부(210)의 길이 방향 또는 제2 방향(D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2 안내 홈들(225)의 각각은 제2 결합 홈들의 각각과 제1 방향(D1)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2 안내 홈들(225) 각각은 제2 결합부들(221) 각각의 제2 격벽들(2212)과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안내 홈(225)에 삽입된 배선 기구(20)의 제2 결합 돌기(22a)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베이스부(100)를 향해 이동할 때, 제2 격벽들(221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안내 홈들(225) 각각은, 제2 지지면(미부호)과 제2 테이퍼면(미부호)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면은 제2 결합 홀(2211)과 제2 단부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지지면은 평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테이퍼면은 제2 지지면으로부터 개구(O) 또는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테이퍼면은 제2 지지면으로부터 베이스부(100)의 제1 면(110)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안내 홈(225)에 삽입된 배선 기구(20)의 제2 결합 돌기(22a)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부드럽게 베이스부(10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스토퍼 홈들(131, 132)은 제1 벽부(210)와 인접한 제1 홈들(131)과 제2 벽부(220)와 인접한 제2 홈들(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들(131)과 제2 홈들(132)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1 홈들(131)은 제1 벽부(210)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홈들(131) 각각은 제1 결합 홀들(2111) 각각과 마주볼 수 있다. 제2 홈들(132)은 제2 벽부(220)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홈들(132) 각각은 제2 결합 홀들(2211) 각각과 마주볼 수 있다.
제3 벽부(230)는 제1 벽부(210)의 일단과 제2 벽부(220)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3 벽부(230)는 제1 벽부(210)와 제2 벽부(2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벽부(230)는 제3 방향(D3)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벽부(230)는 개구(O)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4 벽부(240)는 제1 벽부(210)의 타단과 제2 벽부(220)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4 벽부(240)는 제1 벽부(210)와 제2 벽부(2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4 벽부(240)는 제3 방향(D3)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4 벽부(240)는 개구(O)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4 벽부(240)는 제3 벽부(230)와 이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4 벽부(240)는 제3 벽부(230)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벽부(230)와 제4 벽부(240)는 서로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스토퍼부(500)는 베이스부(100)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부(500)는 개구(O)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스토퍼부(500)는 결합 측벽부(200)에 결합된 배선 기구들(20)이 개구(O)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스토퍼부(500)는 배선 기구(2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스토퍼부(500)는 베이스부(100)의 제1 면(110)과 제2 면(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부(500)의 두께는 베이스부(10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부(500)의 두께와 베이스부(100)의 두께는 제1 방향(D1)으로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스토퍼부(500)는 제1 연장부(510)와 제2 연장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510)는 베이스부(100)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510)는 제1 벽부(210)와 중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510)와 제1 벽부(210)는 제1 방향(D1)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연장부(510)는 제1 연장부(510)의 길이 방향 또는 제2 방향(D2)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노출 홀들(515)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노출 홀들(515) 각각은 제1 결합 홀들(2111) 각각과 제1 방향(D1)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결합 홀들(2111) 각각 및/또는 제1 격벽들(2112)은 제1 노출 홀들(515) 각각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노출 홀(515)의 길이는 제1 결합 홀(2111)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결합 홀(2111)은 제1 노출 홀(515)에 의해 전부 노출될 수 있다. 제1 노출 홀(515)의 길이는 제2 방향(D2)으로의 길이일 수 있다.
제2 연장부(520)는 제1 연장부(510)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연장부(520)는 제1 연장부(510)와 마주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개구(O)의 일부는 제1 연장부(510)와 제2 연장부(520)에 의해 덮힐 수 있다.
제2 연장부(520)는 베이스부(100)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연장부(520)는 베이스부(100)의 내측면으로부터 제1 연장부(510) 또는 제3 방향(D3)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520)는 제2 벽부(220)와 중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연장부(520)와 제2 벽부(220)는 제1 방향(D1)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2 연장부(520)는 제2 연장부(520)의 길이 방향 또는 제2 방향(D2)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2 노출 홀들(525)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노출 홀들(525) 각각은 제2 결합 홀들(2211) 각각과 제1 방향(D1)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결합 홀들(2211) 각각 및/또는 제2 격벽들(2212)은 제2 노출 홀들(525) 각각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노출 홀(525)의 길이는 제2 결합 홀(2211)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결합 홀(2211)은 제2 노출 홀(525)을 통해 전부 노출될 수 있다. 제2 노출 홀(525)의 길이는 제2 방향(D2)으로의 길이일 수 있다.
배선 기구(20)은 전자/전기 장치를 온/오프하는 스위치 모듈, 통신선과 연결되는 통신 모듈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다용도 브라켓 장치(10)는 제1 내지 제3 배선 기구들(21, 22, 23)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배선 기구들(21, 22)은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제3 배선 기구(23)은 스위치 모듈일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다용도 브라켓 장치에 배선 기구들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영역과 B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배선 기구들(20)이 다용도 브라켓 장치(10)에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내지 제3 배선 기구들(21, 22, 23) 각각은 제1 결합 돌기(21a)와 제2 결합 돌기들(2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21a)와 제2 결합 돌기들(22a)은 서로 대향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21a)는 제1 안내 홈(2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제1 격벽들(211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들(22a)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들(22a)은 제1 결합 돌기(21a)가 제1 안내 홈(215)에 삽입될 때, 제2 안내 홈(225)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들(22a)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제2 결합 홀(2211)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들(22a)이 제2 결합 홀(2211)에 삽입될 때, 제2 격벽들(2212)은 제2 결합 돌기들(22a)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결합 돌기들(22a) 각각은 제2 격벽(2212)과 제2 결합 홀(2211)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21a)가 제1 결합 홀(2111) 내에 위치되고, 제2 결합 돌기들(22a)이 제2 결합 홀(2211) 내에 위치됨으로써, 제1 내지 제3 배선 기구들(21, 22, 23)은 결합 측벽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부(500)는 결합 측벽부(200)에 결합된 제1 내지 제3 배선 기구들(21, 22, 23)이 베이스부(100)의 개구(O)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제1 내지 제3 배선 기구들(21, 22, 23)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배선 기구들(21, 22, 23)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결합 측벽부(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개구(O)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토퍼부(500)의 제1 노출 홀(515)과 제2 노출 홀(525)을 통해 배선 기구들(20) 각각의 제1 결합 돌기(21a)와 제2 결합 돌기(22a)가 제1 결합부(211)와 제2 결합부에 제대로 결합되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않될 것이다.
10: 다용도 브라켓 장치 100: 베이스부
110: 제1 면 120: 제2 면
200: 결합 측벽부 210: 제1 격벽
220: 제2 격벽 230: 제3 격벽
240: 제4 격벽 500: 스토퍼부

Claims (6)

  1. 서로 대향된 제1 면과 제2 면을 갖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관통하는 개구를 갖는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 내에 위치되는 복수의 배선 기구들과 결합되는 결합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측벽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결합부들을 포함하는 제1 벽부;
    상기 제1 벽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 결합부들을 포함하는 제2 벽부;
    상기 제1 벽부의 일단과 상기 제2 벽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벽부; 및
    상기 제3 벽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1 벽부의 타단과 상기 제2 벽부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들 각각은,
    상기 제2 벽부와 마주보고, 상기 제1 벽부를 관통하는 제1 결합 홀; 및
    상기 제1 결합 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격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들 각각은,
    상기 제1 벽부와 마주보고, 상기 제2 벽부를 관통하는 제2 결합 홀; 및
    상기 제2 결합 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뎔되는 복수의 제2 격벽들을 포함하는 다용도 브라켓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는 상기 개구와 중첩되고,
    상기 제3 벽부와 상기 제4 벽부는 상기 개구와 중첩되지 않는 다용도 브라켓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개구 내에 위치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벽부와 중첩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벽부와 중첩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브라켓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 결합 홀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1 노출 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2 결합 홀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2 노출 홀들을 포함하는 다용도 브라켓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부는,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이격된 제1 단부면;
    상기 제1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제1 면을 향해 함몰되고, 상기 제1 벽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안내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벽부는,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이격된 제2 단부면;
    상기 제2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제1 면을 향해 함몰되고, 상기 제2 벽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 안내 홈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안내 홈들 각각은, 상기 제1 결합부들 각각의 상기 제1 격벽들과 중첩되고,
    상기 제2 안내 홈들 각각은, 상기 제2 결합부들 각각의 상기 제2 격벽들과 중첩되는 다용도 브라켓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 홈들 각각은,
    상기 제1 단부면과 상기 제1 결합 홀 사이에 위치되는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1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개구를 향해 경사진 제1 테이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안내 홈들 각각은,
    상기 제2 단부면과 상기 제2 결합 홀 사이에 위치되는 제2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개구를 향해 경사진 제2 테이퍼면을 포함하는 다용도 브라켓 장치.
KR2020210003350U 2021-11-03 2021-11-03 다용도 브라켓 장치 KR2004975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350U KR200497502Y1 (ko) 2021-11-03 2021-11-03 다용도 브라켓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350U KR200497502Y1 (ko) 2021-11-03 2021-11-03 다용도 브라켓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954U true KR20230000954U (ko) 2023-05-10
KR200497502Y1 KR200497502Y1 (ko) 2023-11-29

Family

ID=86317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350U KR200497502Y1 (ko) 2021-11-03 2021-11-03 다용도 브라켓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502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2862A (ko) * 2004-01-27 2006-05-15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배선기구
KR20110006917U (ko)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위너스 벽 스위치의 브라켓
JP2012075222A (ja) * 2010-09-28 2012-04-12 Mirai Ind Co Ltd 器具取付具
KR200490417Y1 (ko) * 2018-08-13 2019-11-11 조경군 스위치 모듈 및 통신 모듈 장착용 공용 브래킷
KR20210002140U (ko) * 2020-03-18 2021-09-28 조경군 공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2862A (ko) * 2004-01-27 2006-05-15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배선기구
KR20110006917U (ko)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위너스 벽 스위치의 브라켓
JP2012075222A (ja) * 2010-09-28 2012-04-12 Mirai Ind Co Ltd 器具取付具
KR200490417Y1 (ko) * 2018-08-13 2019-11-11 조경군 스위치 모듈 및 통신 모듈 장착용 공용 브래킷
KR20210002140U (ko) * 2020-03-18 2021-09-28 조경군 공용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502Y1 (ko) 202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7213B2 (ja) 電力変換装置
US8941009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6661990B2 (ja) 照明装置
JP2006247063A (ja) 遊技機の回路基板収納箱
US5789702A (en) Modular component of appliance housing
KR20230000954U (ko) 다용도 브라켓 장치
KR101930622B1 (ko)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 플로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조립체
US10653019B2 (en) Substrate unit
US9941679B1 (en) Interlocking floor box with extended locking conduit hubs
US11357122B2 (en) Driver housing
JP5838950B2 (ja) 接続ユニット
US10670236B1 (en) Plug-in LED lamp holder
KR200497654Y1 (ko) 배선 기구 조립체
JP2006074893A (ja) 電気接続箱
JP6656489B1 (ja) 電力変換装置
JP2014154243A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4218646B2 (ja) 床配線システム
JP5480603B2 (ja) 配線引込口装置
CN107087371B (zh) 一种新型引出导线密封结构
US20190301717A1 (en) Light source, light fixture, and power supply device
KR200287656Y1 (ko) 단자대
TWI740666B (zh) 電池包
WO2022215113A1 (ja) 基板ユニット及び電力変換装置
KR100493177B1 (ko) 전기배선박스 연설용 접속구
JP6450241B2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