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140U - 공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공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140U
KR20210002140U KR2020200000931U KR20200000931U KR20210002140U KR 20210002140 U KR20210002140 U KR 20210002140U KR 2020200000931 U KR2020200000931 U KR 2020200000931U KR 20200000931 U KR20200000931 U KR 20200000931U KR 20210002140 U KR20210002140 U KR 202100021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on bracket
frame
coupling
communication modul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군
Original Assignee
조경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군 filed Critical 조경군
Priority to KR2020200000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140U/ko
Publication of KR202100021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14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공용 브라켓은, 통신용 모듈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절개홈을 구비함으로써, 통신용 모듈이 공용 브라켓에 용이하게 탈부착 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용 브라켓{Common Bracket}
본 고안은, 공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용 모듈의 탈부착이 용이한 공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전화, TV 등의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통신용 모듈을 구비하고, 통신 시스템과 통신용 모듈을 접속해야 한다.
이러한 통신용 모듈은 일반적으로 브라켓에 수용되어 벽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에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용 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공용 브라켓이 있다.
공용 브라켓에는 다양한 통신용 모듈이 체결될 수 있는데, 통신용 모듈은 보통 공용 브라켓과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하게 된다. 통신용 모듈은 필요에 따라서 교체 등을 할 수도 있으므로, 공용 브라켓은 통신용 모듈이 견고하게 체결되면서도 필요한 경우에는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선행문헌으로 특허문헌 1은 통신용 브라켓 양단의 하부 13mm의 위치 양단에 승압형 콘센트 매입 박스 고정용 고정홀을 구비한 돌출 고정판을 "ㄴ"자 형상으로 돌출시켜 형성하는 콘센트 아우트레트 박스용 홀더 브라켓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통신용 브라켓은, 종류가 다양한 통신용 모듈을 단일 종류의 승압형 콘센트 매입 박스에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은 통신용 모듈이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공용 브라켓에 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KR10-0402821
본 고안의 일 과제는, 통신용 모듈이 공용 브라켓에 용이하게 탈부착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과제는, 통신용 모듈을 공용 브라켓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는데 있다.
본 고안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 브라켓은, 통신용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공용 브라켓으로서,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을 구비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내부에 구멍으로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통신용 모듈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좌측 프레임과 상기 우측 프레임의 상기 수용부를 향하는 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판의 상기 길이 방향 양측 말단은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결합판은 서로 대향하도록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은 복수개가 형성되며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용 모듈의 수용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결합판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된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판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용 모듈이 끼워지도록 상기 골격부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된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공용 브라켓은, 결합판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결합판이 탄성을 가짐으로써, 통신용 모듈이 공용 브라켓에 용이하게 탈부착 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가이드홈이 구비된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통신용 모듈이 공용 브라켓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용 브라켓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공용 브라켓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용 브라켓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통신용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통신용 모듈이 결합한 도 1의 공용 브라켓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공용 브라켓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사이드고정부를 구비하는 통신용 모듈이 결합한 도 1의 공용 브라켓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용 브라켓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공용 브라켓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공용 브라켓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이하,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용 브라켓(1)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용 브라켓(1)은 프레임부(100), 수용부(200), 결합부(300)를 포함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400), 고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공용 브라켓(1)의 골격을 형성하며, 네 변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120), 하부 프레임(130), 좌측 프레임(140) 및 우측 프레임(1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100)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11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체결구멍(110)으로 볼트 등을 삽입하여 공용 브라켓(1)을 벽면 등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100)는 내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수용부(200)를 구성할 수 있다.
수용부(200)는 통신용 모듈이 공용 브라켓(1)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120), 하부 프레임(130), 좌측 프레임(140) 및 우측 프레임(150)으로 둘러싸인 프레임부(100)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수용부(200)는 복수개의 통신용 모듈이 공용 브라켓(1)에 수용되도록, 프레임부(100) 내부에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00)는 좌측 프레임(140)과 우측 프레임(150)의 수용부(200)를 향하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00)는 수용부(200)에 수용된 통신용 모듈을 공용 브라켓(1)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결합판(310), 절개홈(320), 안착홈(330), 결합돌기(34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판(3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좌측 프레임(140)과 우측 프레임(150)의 수용부(200)를 향하는 측면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홈(320)은 결합판(310)의 길이 방향 양측 말단이 프레임부(100)의 상부 프레임(120) 및 하부 프레임(130)과 소정 거리(d) 이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절개홈(320)은 결합판(310)이 상부 프레임(120) 및 하부 프레임(130)과 1mm 이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절개홈(320)을 구비함으로써, 결합판(310)은 프레임부(100)로부터 탄성을 가지고 흔들릴 수 있고, 통신용 모듈은 수용부(200)에 수용되면서 결합판(310)에 용이하게 끼워지거나 결합판(310)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
안착홈(330)은 결합판(310)의 측면에 통신용 모듈이 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안착홈(330)은 한 쌍의 결합판(310)의 측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형성된 안착홈(330)에 통신용 모듈을 수용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통신용 모듈은 공용 브라켓(1)의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사이드홈(11), 공용 브라켓(1)의 홈에 끼워질 수 있는 사이드돌기(1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공용 브라켓(1)과 볼트 등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 사이드고정부(13)를 구비할 수도 있다.
결합돌기(340)는 통신용 모듈의 사이드홈(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안착홈(330)에 형성되는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용 모듈은 안착홈(330)에 안착되면서 사이드홈(11)에 결합돌기(340)가 끼워짐으로써, 공용 브라켓(1)에 결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용 모듈의 사이드홈(11)이 결합돌기(340)에 끼워짐으로써, 통신용 모듈은 공용 브라켓(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가이드부(4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가이드부(400)는 통신용 모듈이 수용부(200)에 수용되는 것을 안내하고, 통신용 모듈을 공용 브라켓(1)에 견고하게 설치시킬 수 있으며, 가이드판(410) 및 가이드홈(4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판(410)은 공용 브라켓(1)의 배면에서 결합판(310)과 수직하도록 프레임부(100) 또는 결합판(310)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420)은 통신용 모듈의 사이드돌기(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판(410)에 하나 이상의 홈이 파여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용 모듈의 사이드돌기(12)가 공용 브라켓(1)의 배면에 형성된 가이드홈(420)에 삽입됨으로써, 통신용 모듈은 공용 브라켓(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500)는 통신용 모듈의 사이드고정부(13)에 형성된 구멍이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고정부(500)는 프레임부(100)의 배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5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고정부(13)를 구비하는 통신용 모듈은 사이드고정부(13)의 구멍이 고정돌기(510)에 삽입됨으로써 공용 브라켓(1)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용 브라켓(2)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용 브라켓(2)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용 브라켓(1)과 구성요소가 동일하지만, 프레임부(100), 수용부(200), 결합부(300)의 구성이 다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용 브라켓(2)의 프레임부(100)는, 상부 프레임(120), 하부 프레임(130), 좌측 프레임(140), 우측 프레임(150) 뿐만 아니라, 중앙 프레임(160)을 포함하는 구성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용 브라켓(1)과 다르다.
그리고, 중앙 프레임(160)을 구비함으로써, 수용부(200)가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용 브라켓(2)은 복수개의 수용부(200)를 구비하므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용 브라켓(1)보다 많은 수의 통신용 모듈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300)는 좌측 프레임(140)과 중앙 프레임(160)의 수용부(200)를 향하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우측 프레임(150)과 중앙 프레임(160)의 수용부(200)를 향하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00)에 형성된 절개홈(320)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용 브라켓(1)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용 브라켓(2)은 배면에 가이드부(400)와 고정부(500)를 구비하는 구성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용 브라켓(1)과 동일하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 프레임부 200 : 수용부
300 : 결합부 310 : 결합판
320 : 절개홈 330 : 안착홈
340 : 결합돌기 400 : 가이드부
500 : 고정부

Claims (6)

  1. 통신용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공용 브라켓(1)으로서,
    상부 프레임(120), 하부 프레임(130), 좌측 프레임(140) 및 우측 프레임(150)을 구비하는 프레임부(100);
    상기 프레임부(100) 내부에 구멍으로 형성되는 수용부(200); 및
    상기 통신용 모듈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좌측 프레임(140)과 상기 우측 프레임(150)의 상기 수용부(200)를 향하는 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3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판(310)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판(310)의 상기 길이 방향 양측 말단은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절개홈(320)이 형성되는, 공용 브라켓(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판(310)은 서로 대향하도록 안착홈(330)이 형성되는, 공용 브라켓(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330)은 복수개가 형성되며 결합돌기(340)를 포함하는, 공용 브라켓(1).
  4. 제1항에 있어서,
    통신용 모듈의 수용을 안내하는 가이드부(400)를 포함하는, 공용 브라켓(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400)는, 상기 결합판(310)의 배면에 수직하게 형성된 가이드판(410) 및 상기 가이드판(410)에 형성된 가이드홈(420)을 포함하는, 공용 브라켓(1).
  6. 제1항에 있어서,
    통신용 모듈이 끼워지도록 상기 프레임부(100)의 배면에 형성된 고정돌기(510)를 포함하는, 공용 브라켓(1).
KR2020200000931U 2020-03-18 2020-03-18 공용 브라켓 KR202100021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31U KR20210002140U (ko) 2020-03-18 2020-03-18 공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31U KR20210002140U (ko) 2020-03-18 2020-03-18 공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140U true KR20210002140U (ko) 2021-09-28

Family

ID=77915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931U KR20210002140U (ko) 2020-03-18 2020-03-18 공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14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954U (ko) *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 베코 다용도 브라켓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821B1 (ko) 2000-05-13 2003-10-22 이원철 콘센트 아우트레트 박스용 홀더 브라켓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821B1 (ko) 2000-05-13 2003-10-22 이원철 콘센트 아우트레트 박스용 홀더 브라켓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954U (ko) *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 베코 다용도 브라켓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3446B2 (en) Optical connector adapter with latch inserts
EP1280363B1 (en) Angled patch panel with cable support bar for network cable racks
US6390320B2 (en) Easily installable and removabl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faceplate
US6181862B1 (en) Interbay fiber optic storage unit
EP1041417A2 (en) Fiber optic connector sleeve
US6678457B2 (en) Optical splitter module
US4496057A (en) Rack structure for mounting a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90279832A1 (en) Hermaphroditic Fibre Optical Connector System
US8870468B2 (en) Multi-port shielded adapter
US20030113086A1 (en) Optical splitter module
US20100209063A1 (en) Patch panel system
KR20210002140U (ko) 공용 브라켓
US9563025B2 (en)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or fitting structure
NZ272605A (en) Connector patch panel
US11395436B2 (en) Modular telecommunications patch panel system
US11041994B2 (en) Optical fiber adapter
CN110888198B (zh) 光纤衰减器
CN212933067U (zh) 一种插片式光分路器
JP5202592B2 (ja) 光通信用アダプタ
KR20060120308A (ko) 광점퍼코드의 고정구
CN113131721B (zh) 适配冗余电源模块的电源供应器外壳
KR20100032733A (ko) Fdf 광분배함
KR100286696B1 (ko) 광커넥터 하우징
WO2020085395A1 (ja) アダプタ取付構造
JP3144054U (ja) 光ファイバの接続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