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622B1 -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 플로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 플로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622B1
KR101930622B1 KR1020170024783A KR20170024783A KR101930622B1 KR 101930622 B1 KR101930622 B1 KR 101930622B1 KR 1020170024783 A KR1020170024783 A KR 1020170024783A KR 20170024783 A KR20170024783 A KR 20170024783A KR 101930622 B1 KR101930622 B1 KR 101930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ver
floor panel
hous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7951A (ko
Inventor
김상한
김성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마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마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마루
Priority to KR1020170024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622B1/ko
Publication of KR20180097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 플로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조립체를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는, 플로어 패널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상기 플로어 패널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 및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 플로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조립체{COVER BOX FOR WIRE EXTRACTION, FLOOR PANEL AND PANEL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아래의 실시 예는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 플로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건물의 바닥에는 다수의 패널이 설치되어 실내 바닥면을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통신케이블이나, 전기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패널에 전선 취출을 위한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배선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종래에는, 전선 취출을 위한 개구부가 패널에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전선을 취출 위치가 고정되고, 추후 전기 장치 또는 가구등의 배치 변경에 제약으로 작용하였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해, 각각의 패널마다 전선 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전선 취출의 공간 제약을 해결하였으나, 개구부로 인한 끼임이나 사고 발생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를 패널에 연결함으로써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전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커버를 패널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커버 분실 문제나, 커버의 이탈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커버의 분실을 방지하면서도, 배선이 필요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패널을 개방할 수 있는 패널 조립체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등록공보 제2717751호는 바닥 패널용 막아 부재에 대한 발명을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배선이 필요한 경우에 선택적으로 전선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커버 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분실의 우려가 없는 커버 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면서도, 전선의 용이한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패널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는, 플로어 패널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상기 플로어 패널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 및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구부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개구부의 전체 또는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구부 전체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면; 및 전선의 취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개방하기 위한 개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폐쇄면 및 상기 개방면은,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함으로써, 상기 개구부의 개폐가 가능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서로 다른 면적으로 개방되는 복수의 개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방면 및 폐쇄면 각각은 서로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하나의 배선구가 형성된 제 1 개방면; 상기 배선구와 다른 크기의 제 2 배선구가 형성된 제 2 개방면; 및 상기 배선구가 복수개 형성된 제 3 개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제 1 개방면 및 제 2 개방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3 개방면 및 폐쇄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개방면 및 제 2 개방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삽입 연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부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개구부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를 수용하도록, 상기 하우징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박스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개구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 연결되도록,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는 고정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가이드 부재에 끼워맞춤 가능하도록, 내측으로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취출용 패널 조립체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플로어 패널; 및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로어 패널에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를 구비하는 커버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플로어 패널에 대한 상기 커버 박스의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개구부의 개폐가 가능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커버면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박스는, 상기 복수의 커버면 중 하나의 커버면이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삽입 가능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박스는, 상기 개구부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 함으로써, 상기 개구부에 삽입 가능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패널은, 개구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박스는, 상기 슬라이딩 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패널은, 개구부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박스는, 상기 가이드 부재를 수용 가능하도록, 양측에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박스는, 상기 개구부 내면 전방에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에 연결 가능하도록, 상기 각각의 커버면에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패널 조립체는, 상기 커버 박스가 상기 개구부에 삽입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커버 박스 및 상기 개구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 하우징 및 상기 패널을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에 설치되는 플로어 패널은, 평탄면을 포함하는 패널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의 내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대한 커버 박스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 박스의 슬라이딩 삽입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패널 본체는, 일면에 형성되는 설치구와, 상기 설치구에 삽입 설치되는 전선 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선 박스는, 전선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배선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박스는 배선이 필요한 경우에, 선택적으로 전선 취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박스는,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분실의 우려가 없으면서도, 간단한 설치를 통해 전선 취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는, 커버 조립체의 슬라이딩을 통해, 플로어 패널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박스, 플로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조립체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박스가 플로어 패널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의 상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커버 박스의 전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박스가 플로어 패널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의 상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의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1)는 전선(W)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건물에 설치되면서도, 전선(W)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전선(W) 취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조립체(1)는 건물 바닥에 위치하는 전선(W을 덮도록, 건물 바닥(floor)에 설치됨으로써, 건물 내부에 위치한 사용자의 안전, 전선(W)의 손상방지 및 건물의 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패널 조립체(1)는 사용자가 언제든지 패널 하부에 위치하는 전선(W)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전선(W)을 취출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패널 조립체(1)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선(W) 취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패널 조립체(1)는 플로어 패널(11) 및 커버 박스(1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로어 패널(11)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고 건물의 외벽, 예를 들어, 건물의 바닥면을 구성할 수 있다. 플로어 패널(11)은 건물의 바닥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복수개가 연속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어 패널(11)은 복수개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도 1과 같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패널(1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로어 패널(11)은, 패널 본체, 개구부 및 가이드 부재(111)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본체는, 단열성 및 방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판이 연결된 다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본체는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판을 포함하는 2중 패널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본체는 상부판 및 하부판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판을 포함하는 3중 패널구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단일판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체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패널 본체가 상부판 및 하부판을 포함하는 2중 패널로 형성된 상태를 예시로 설명하도록 한다.
개구부는 패널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커버 박스(10)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는 도면과 같이 패널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는 커버 박스(10)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개구부에 커버 박스(10)가 삽입되는 경우, 패널 본체 및 커버 박스(10) 간의 간격이 최소화 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11)는, 개구부에 대한 커버 박스(10)의 연결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111)는, 개구부에 대한 커버 박스(10)의 슬라이딩 삽입을 가이드 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11)는, 개구부의 내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111)는, 개구부 내면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전면 가이드 부재(1111) 및 양 측면을 돌출 형성된 측면 가이드 부재(11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 부재(11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구부에 대한 커버 박스(10)의 연결을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커버 박스(10)는, 개구부에 위치하도록 플로어 패널(11)에 연결됨으로써, 개구부를 통한 선택적 전선(W) 취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박스(10)는, 개구부에 대한 연결 방식에 따라,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커버 박스(10)는, 하우징(101), 커버부(102) 및 연결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1)은, 플로어 패널(11)의 개구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01)이 개구부에 설치되는 경우, 하우징(101) 및 패널 본체의 상부면은 단차가 없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우징(101)은 개구부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패널 조립체(1) 상에서 이동하는 경우, 하우징(101) 및 개구부 사이의 틈에 끼이거나, 돌출 또는 오목면에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102)는, 개구부에 대한 하우징(101)의 설치 상태에 따라 개구부의 전체 또는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커버부(102)는 하우징(101)이 개구부에 설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개구부의 상부, 다시 말하면, 플로어 패널(11)의 상부판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우징(101)에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102)는 복수개의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102)는 개구부 전체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면(1021) 및 전선(W)의 취출이 가능하도록 개구부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폐쇄면(1021) 및 개방면은 개구부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102)의 각각의 면은, 개구부에 대한 하우징(101)의 연결 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구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커버부(102)는, 복수의 개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개방면 각각은 서로 다른 면적만큼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박스(10)가 도 1과 같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커버부(102)는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는 4개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면은 서로 다른 면적만큼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2와 같이, 각각의 커버면이 개구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커버 박스(10)를 플로어 패널(11)의 개구부에 연결함으로써,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연결부(103)는, 개구부에 대한 하우징(101)의 삽입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우징(101)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03)는, 예를 들어, 연결부(103)는 개구부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111)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03)는, 가이드 홈(1031) 및 고정홈(103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1031)은 개구부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111)를 수용하도록, 하우징(101)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이드 홈(1031)에는 가이드 부재(111)가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홈(1031)은 가이드 부재(111)와 연결된 상태에서, 가이드 부재(111)를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부재(111)에 대한 가이드 홈(1031)의 슬라이딩에 따라, 하우징(101)이 개구부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홈(1031)은, 커버부(102) 각각의 면에 대응하도록 하우징(101) 측면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102) 각각의 면이 하우징(101) 상부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하우징(101)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에 대한 하우징(101)의 각각에 삽입방향에 대응하여, 복수의 가이드 홈(103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1032)은, 하우징(101)이 개구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개구부 정면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111)에 연결되도록, 커버부(102)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홈(1032)은 개구부에 대한 하우징(101)의 설치 상태를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고정홈(1032)은 하우징(101)이 개구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 부재(111)와 연결됨으로써, 하우징(101) 및 플로어 패널(11)의 연결 상태를 보조할 수 있다.
고정홈(1032)은 커버부(102) 각각의 면에 형성됨으로써, 개구부에 대한 하우징(101)의 연결 방식에 무관하게, 삽입홈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102)가 도 2와 같이 서로 수직하게 연결되는 4개의 면을 포함하는 경우, 하나의 면이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위치하면, 개구부 정면을 향하는 다른 면에 형성된 고정홈(1032)은 가이드 홈(1031)과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커버부(102) 각각의 면마다 고정홈(1032)이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개구부의 정면을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고정홈(1032)이 가이드 홈(1031)과 연결될 수 있다.
고정홈(1032)은, 가이드 부재(111)와 끼워맞춤(fit)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홈(1032)은 내측으로 향할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가이드 부재(111)와 억지끼움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개구부에 대한 하우징(101)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도시된 커버 박스의 전개도이며,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커버 박스(10)는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복수의 면을 포함하는 커버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102)의 각각의 면은 서로 다른 면적만큼 개구부를 커버할 수 있다. 각각의 면은 하우징(101)의 연결 방식에 따라, 각각 개구부의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개구부를 폐쇄하거나 전선(W) 취출을 위한 개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커버부(102)의 각각의 면은 개구부를 완전히 덮거나, 일부만 덮을 수 있다.
커버부(102)는 폐쇄면(1021) 및 개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폐쇄면(1021)은, 배선이 필요 없는 경우에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위치함으로써, 개구부 전체를 덮을 수 있다. 반면 개방면은 배선이 요구되는 경우에, 개구부에 위치함으로써, 전선(W) 취출을 위한 개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개방면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개방면(1022, 1023, 1024)에는 서로 다른 크기 또는 개수의 배선구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102)는 하나의 배선구가 형성된 제 1 개방면(1022), 복수의 배선구가 형성된 제 2 개방면(1023) 및 상기 배선구와 다른 크기의 배선구가 형성된 제 3 개방면(1024)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1)은, 도 5와 같이, 사각 기둥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폐쇄면(1021), 제 1 개방면(1022), 제 2 개방면(1023) 및 제 3 개방면(1024)은 서로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개방면(1022) 및 제 2 개방면(1023)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 3 개방면(1024) 및 폐쇄면(1021)은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제 1 개방면(1022) 및 제 2 개방면(1023) 각각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각각의 개방면(1022, 1023, 1024)이 개구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복수의 개방면(1022, 1023, 1024)은 각각에 형성된 배선구를 통해 서로 연통됨으로써, 전선(W)을 하우징(101) 내불ㄹ 통과시켜 외부로 취출할 수 있다. 또한, 각 개방면에 형성된 개구부의 크기 또는 개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취출 하고자 하는 전선(W)의 종류나 개수에 따라, 적합한 용도의 개방면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와 같이, 폐쇄면(1021), 제 1 개방면(1022), 제 2 개방면(1023) 및 제 3 개방면(1024)은 커버부(102)에 대응하도록,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102)의 양측에는 하우징(101)의 연결을 위한 가이드 홈(103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1031)은, 커버부(102)의 각 면에 양측 외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1031)은, 개구부에 대한 하우징(101)의 다 방향 삽입이 가능하도록, 커버부(102)의 각 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102)의 각 면에는, 고정홈(1032)이 형성될 수 있다. 각 면에 형성된 고정홈(1032)은, 각각 개구부의 가이드 부재(111)에 연결 가능하도록, 각 커버면의 동일한 위치, 예를 들어,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박스(10')는, 커버부(102)의 각 면마다 형성된 복수의 고정홈(103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커버부(102)의 각 면의 상, 하측에 고정홈(1032)이 형성되기 때문에, 개구부에 대한 하우징(101)을 다양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패널 개구부에 복수의 가이드 부재(111)가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고정홈(1032)을 통해 하우징(101)을 연결함으로써, 개구부에 대한 하우징(101)의 연결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커버 박스(20)는 하우징(201), 커버부(202) 및 연결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1)은 예를 들어,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202)는 폐쇄면(2021), 제 1 개방면(2022) 및 제 2 개방면(20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개방면(2022) 및 제 2 개방면(2023)은, 폐쇄면(2021)의 양단에 수직하게 연결됨으로써, 하우징(201)을 'ㄷ'자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 1 개방면(2022) 및 제 2 개방면(2023)이 서로 마주보게 연결됨으로써, 각 개방면(2022, 2023)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전선(W)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비록, 도면에서는 커버 박스(20)가 'ㄷ'자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패널의 개구부와 연결 가능한 실질적인 형상, 예를 들어, 'ㄴ'자 형상이나 'ㄱ'자 형상과 같이 2개의 면으로 형성된 커버부(202)를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3)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플로어 패널(31) 및, 개구부에 삽입 설치 가능한 커버 박스(3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로어 박스(30)은, 개구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311)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홈(311)은, 개구부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도록, 개구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슬라이딩 (3111)홈 및 전면에 함몰 형성되는 전면 슬라이딩 홈(3112)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박스(30)는, 슬라이딩 홈(311)에 삽입 가능하도록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 부재(3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 부재(302) 및 슬라이딩 홈(311)은 서로 맞물리도록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박스(30)는 돌출 부재(302)를 통해, 개구부의 양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3111)을 따라 개구부에 삽입되고, 개구부에 전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3112)에 삽입됨으로써, 개구부에 대한 연결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버 박스(30) 및 개구부에 각각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부재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커버 박스(30) 및 플로어 패널(31)의 연결 상태를 보조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커버 박스(30)는 개구부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는, 개구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개구부의 상부에 위치 가능한 폐쇄면 및 개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부에 대한 커버 박스의 삽입 방향에 따라, 폐쇄면 또는 개방면이 개구부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개구부에 대한 삽입 방향에 따라, 커버 박스(30)는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패널 조립체(4)는, 플로어 패널(41), 커버 박스(40) 및 탄성 부재(41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박스(40)는, 개구부에 삽입됨으로써, 플로어 패널(41)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박스(40)는, 연결부(403)를 통해 개구부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411)와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412)는 플로어 패널(41)로부터 커버 박스(4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412)는 도 10과 같이, 개구부 내측면에 구비되고, 커버 박스(40)가 개구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커버 박스(40)의 양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개구부에 대한 커버 박스(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탄성 부재(412)는 커버 박스(40) 및 플로어 패널(41)의 연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면서도, 커버 박스(40)를 플로어 패널(41)에 간단하게 연결 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비록,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탄성 부재(412)가 플로어 패널(41)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탄성부재(12)가 커버 박스(40)의 하우징(401)에 구비되는 구성도 당연히 가능함을 밝힌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패널(51)은, 상부판(510a), 하부판(510b), 설치구(513) 및 전선 박스(5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판(510a) 및 하부판(510b)은 서로 체결됨으로써, 플로어 패널(51)의 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판 (510a) 및 하부판(510b)은 서로 연통 가능한 나사 구멍을 포함하고, 나사 결합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플로어 패널(51)이 바닥에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판(510a)은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하부판(510b)은 상부판(510a)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하부판(510b)의 일면에는 내측을 향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함몰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하부판(510b)에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는,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이 정팔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함몰부의 중심에는 상부판(510a)과 연통 가능한 나사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판(510b)에 함몰부가 형성되는 경우, 하부판(510b)의 무게를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바닥에 설치된 플로어 패널(51)을 지나가는 경우에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설치구(513)는 플로어 패널(51)의 일면에 관통 형성되는 설치구(513)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구(513)는 상부판(510a) 및 하부판(510b)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전선 박스(514)는 플로어 패널(51)로부터 전선(W)의 취출이 가능하도록, 설치구(513)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전선 박스(514)는 바닥면과 측벽을 구비함으로써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전선 박스(514)는 전선(W)의 취출이 가능하도록 측벽에 형성되는 배선구(5141)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전선 박스는 도 12와 같이, 개방된 측벽(5142)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선 박스(514)의 상부는, 상부판(510a) 및 하부판(510b) 사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플로어 패널(51)의 설치구(513)로부터 전선 박스(514)가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선 박스(514)는 개방된 상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전선 박스(514)에 설치 가능한 덮개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 박스(514)를 통해 전선(W)이 취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덮개를 전선 박스(514)에 설치함으로써, 플로어 패널(51)의 설치구(513)를 폐쇄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패널 조립체(6)는, 플로어 패널(61), 커버 박스(6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로어 패널(61)은 내측에 형성되는 설치구와, 외측에 설치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플로어 패널의 설치구에는 전선 박스가 삽입 설치될 수 있으며, 개구부에는 커버 박스(6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플로어 패널(61)에는 커버 박스(60) 및 전선 박스가 설치됨으로써, 플로어 패널(61)의 내측이나 외측 모두로부터 전선(W)을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선(W) 취출이 필요한 위치에 따라, 커버 박스 또는 전선 박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패널 조립체(6')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플로어 패널(6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패널 조립체(6')는 일측에 형성되는 하나의 개구부와, 타측에 형성되는 다른 개구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개구부에는 커버 박스(6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커버 박스는 서로 마주보도록 플로어 패널(61)에 설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패널 조립체(6')는 전선 박스(614) 및 복수의 커버 박스(60)를 통하여, 플로어 패널(61)의 다양한 위치로부터 전선(W)을 취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선의 취출이 사용되지 않는 커버 박스(60)는 폐쇄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되고, 전선 박스(614)는 덮개를 설치함으로써, 플로어 패널(61)의 상부면을 폐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박스, 플로어 패널 및 패널 조립체는,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전선(W)을 커버함으로써 전선(W)의 수명, 사용자의 안정성, 미관성을 도모하면서도, 선택적으로 패널의 일부를 개방함으로써, 배선을 위한 전선(W) 취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W: 전선
1: 패널 조립체
10: 커버 박스
101: 하우징
102: 커버부
1021: 폐쇄면
1022: 제 1 개방면
1023: 제 2 개방면
1024: 제 3 개방면
103: 연결부
11: 플로어 패널
111: 가이드 부재
412: 탄성 부재

Claims (21)

  1. 플로어 패널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상기 플로어 패널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 및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구부 전체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면; 및
    전선의 취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개방하기 위한 복수의 개방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방면은 서로 다른 면적으로 개방되는,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구부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개구부의 전체 또는 일부를 커버하는,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면 및 상기 개방면은,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함으로써, 상기 개구부의 개폐가 가능한,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방면 및 폐쇄면 각각은 서로 수직하게 연결되는,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
  7. 플로어 패널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상기 플로어 패널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 및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하나의 배선구가 형성된 제 1 개방면;
    복수개의 배선구가 형성된 제 2 개방면; 및
    상기 제 1 개방면에 형성된 상기 배선구와 다른 크기의 배선구가 형성된 제 3 개방면을 포함하는,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구부 전체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개방면 및 상기 제 2 개방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3 개방면 및 상기 폐쇄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개방면 및 제 2 개방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
  9. 플로어 패널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상기 플로어 패널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 및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를 수용하도록, 상기 하우징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개구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가이드 부재에 끼워맞춤 가능하도록, 내측으로 좁아지게 형성되는,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
  13. 개구부를 포함하는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플로어 패널; 및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로어 패널에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를 구비하는 커버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커버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커버면은, 상기 개구부 전체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면과, 서로 다른 면적으로 개방되는 복수의 개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박스는, 상기 복수의 커버면 중 하나의 커버면이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선 취출용 패널 조립체.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박스는,
    상기 개구부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 함으로써, 상기 개구부에 삽입 가능한, 전선 취출용 패널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패널은, 개구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박스는, 상기 슬라이딩 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하는, 전선 취출용 패널 조립체.
  17. 개구부를 포함하는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플로어 패널; 및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로어 패널에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를 구비하는 커버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어 패널은, 개구부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박스는, 상기 가이드 부재를 수용 가능하도록, 양측에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개구부 내면 전방에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에 연결 가능하도록, 상기 각각의 커버면에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전선 취출용 패널 조립체.
  18. 삭제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박스가 상기 개구부에 삽입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커버 박스 및 상기 개구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박스 및 상기 플로어 패널을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선 취출용 패널 조립체.
  20. 건물에 설치되는 플로어 패널에 있어서,
    평탄면을 포함하는 패널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의 내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대한 커버 박스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 박스의 슬라이딩 삽입을 가이드 하고,
    상기 커버 박스는, 상기 개구부에 대한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구부 전체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면; 및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개방하되, 서로 다른 면적으로 개방하는 복수의 개방면을 포함하는, 플로어 패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본체는,
    일면에 형성되는 설치구와, 상기 설치구에 삽입 설치되는 전선 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선 박스는, 전선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배선구를 포함하는, 플로어 패널.
KR1020170024783A 2017-02-24 2017-02-24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 플로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조립체 KR101930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783A KR101930622B1 (ko) 2017-02-24 2017-02-24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 플로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783A KR101930622B1 (ko) 2017-02-24 2017-02-24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 플로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951A KR20180097951A (ko) 2018-09-03
KR101930622B1 true KR101930622B1 (ko) 2018-12-18

Family

ID=63601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783A KR101930622B1 (ko) 2017-02-24 2017-02-24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 플로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6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130B1 (ko) 2021-05-04 2021-11-16 최규섭 건축물의 배전선 보호기구
KR102327129B1 (ko) 2021-05-04 2021-11-16 최규섭 완충기능을 갖춘 건축물 전선 보호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1219745Y (es) * 2018-10-02 2019-01-18 Fernandez Juan Pablo Valverde Modulo de canalizacion para pantalan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4325A (ja) * 2010-03-31 2011-10-27 Naka Corp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用パネル装置および蓋部材
KR200475630Y1 (ko) * 2013-09-16 2014-12-18 윤건훈 건물 바닥판용 전기배선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4325A (ja) * 2010-03-31 2011-10-27 Naka Corp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用パネル装置および蓋部材
KR200475630Y1 (ko) * 2013-09-16 2014-12-18 윤건훈 건물 바닥판용 전기배선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130B1 (ko) 2021-05-04 2021-11-16 최규섭 건축물의 배전선 보호기구
KR102327129B1 (ko) 2021-05-04 2021-11-16 최규섭 완충기능을 갖춘 건축물 전선 보호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951A (ko) 201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8058B2 (en) Raised access floor box with partitions
CA2976073C (en) Expandable while-in-use electrical box cover
KR101930622B1 (ko) 전선 취출용 커버 박스, 플로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조립체
CA2688044C (en) Pivoting while-in-use electrical box and cover
KR102099072B1 (ko) 전기 패널용 셔터 도어 조립체
CA2893900A1 (en) Power data housing
KR101426506B1 (ko) 벽체형 전기 통신 케이블 덕트
US10079481B2 (en) Weatherproof electrical box assembly
KR20200005766A (ko) 태양광 발전장치용 커튼월
KR101179851B1 (ko) 전기배선박스
JP6836889B2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BR102020003387A2 (pt) Caixa de distribuição para cabos
US20010047876A1 (en) Branch connection box for trunking, in particular for trunking that passes through a floor
US10749322B2 (en) Shrouded in-use cover for a junction box
JP2007287492A (ja) 埋込型電気配線接続装置
KR102005774B1 (ko) 슬라이드형 덮개가 구비된 바닥 매설형 시스템 박스
JP4218646B2 (ja) 床配線システム
JP2003061229A (ja) 床用配線器具
JP6580712B2 (ja) 格納可能な埋め込み式電源コンセント及びデータポートアセンブリ
RU248565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тажа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блока в канале для прокладки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ей или проводов и электрический узел, содержащий электрический блок и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497502Y1 (ko) 다용도 브라켓 장치
JP6953174B2 (ja) キャビネット
KR102121044B1 (ko) 공동주택 실내벽면용 전기 콘센트박스
EP1420494A2 (en) Electric mechanism adapter for surface installations
CN220692758U (zh) 一种接线盒及建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