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2862A - 배선기구 - Google Patents

배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2862A
KR20060042862A KR1020050007013A KR20050007013A KR20060042862A KR 20060042862 A KR20060042862 A KR 20060042862A KR 1020050007013 A KR1020050007013 A KR 1020050007013A KR 20050007013 A KR20050007013 A KR 20050007013A KR 20060042862 A KR20060042862 A KR 20060042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pening
plate body
positio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4519B1 (ko
Inventor
키미오 쿠사마
마사미 하야후네
히데카즈 노무라
마나부 야노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2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볼록부와 조립 오목부의 결합이 얕게 되어도 보디와 커버가 분리되지 않고, 보디와 커버의 재료의 선택의 자유도가 높은 배선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기구본체(A)는 매립형으로, 시공면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보디(B)의 부착용 개구(31)에 대해서 전방으로부터 장착된다. 기구본체(A)는 후부의 보디(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조립편에 형성된 조립구멍에, 커버(20)의 측면에 형성된 조립 돌기를 결합시킴으로써 서로 결합되는 기체(1)를 구비한다. 플레이트 보디(B)는 보디(10)의 외측면에 돌출되는 유지 돌출편(18)의 후면이 접촉하도록 부착용 개구(31)의 내측면에 돌출된 걸림 수용편(36)과, 커버(20)의 외측면에 돌출되는 유지 볼록부(26)의 전면을 거는 걸림면을 갖는 걸림 누름편(35)을 구비한다. 즉, 보디(10)와 커버(20)를 플레이트 보디(B)로 전후에서 끼우므로, 보디(10)와 커버(20)가 분리되는 일이 없다.

Description

배선기구{WIRING DEVIC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X-X선 단면도, (c)는 Y-Y선 단면도, (d)는 Z-Z선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a),(b)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기구본체를 나타내며, (a)는 분해 사시도, (b)는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기구본체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배면도, (d)는 하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플레이트 보디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배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화장 플레이트를 분리한 정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9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화장 플레이트를 분리한 정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12는 도11에 나타낸 구성예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플러그를 접속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기체 10:보디
10a:조립편 10b:조립 구멍
18:유지 돌출편 20:커버
20a:조립 돌기 26:유지 볼록부
29:위치결정 홈 31:부착용 개구
35:걸림 누름편 36:걸림 수용편
37:위치결정 돌출부 37a:도입부
41:노출용 개구 A:기구본체
B:플레이트 보디 C:화장 플레이트
본 발명은, 배선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기구에 있어서의 기구본체의 기체(器體)는 2부재를 결합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콘센트에서는 삽입구를 형성한 전부(前部)의 커버와 후부의 보디를 결합하고, 스위치에서는 조작부를 설치한 전부의 커버와 후부의 보디를 결합한 기체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보디와 커버의 결합양식으로서는, 보디와 커버의 한 쪽의 측면에 형성된 조립 볼록부를 다른 쪽에 형성된 조립 오목부에 요철결합시키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평10-326658호 공보 참조). 이러한 종류의 구성을 채용하면, 보디와 커버를 나사와 같은 고정구로 결합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점수의 저감이 가능하게 되고, 또 조립작업이 용이해진다.
또, 시공면에 후부를 매립하는 형태로 시공되는 매립형 배선기구에서는, 시공면에 고정되는 부착프레임에 기구본체를 부착해서 시공되며, 부착프레임에 결합하기 위한 클로나 오목부를 커버에 형성한 것이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선기구의 기구본체에 있어서는 시공면에 고정하기 위한 부착프레임과 같은 부재에 결합하는 구성이 커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므로, 보디와 커버를 결합하고 있는 조립 볼록부와 조립 오목부의 한 쪽이 파손되거나, 결합이 얕아지거나 하면, 보디와 커버가 분리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보디와 커버에 열수축이 생기면, 결합이 얕아져 보디와 커버가 빠지기 쉬워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보디와 커버의 재료로서 열수축율이 대략 같은 것을 선택하지 않으면 안되어, 재료에 관해서 선택의 자유도가 작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보디와 커버를 결합하고 있는 조립 볼록부와 조립 오목부의 결합이 얕게 되어도 보디와 커버가 분리되는 일없이, 보디와 커버의 재료의 선택의 자유도가 높은 배선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청구항1의 발명은, 시공면에 후부를 매립함과 아울러 전면(前面)을 시공면으로부터 노출시킨 형태로 시공되는 기구본체와, 시공면에 접촉되는 형태로 시공면에 대해서 정위치에 고정되어 기구본체가 전방으로부터 장착되는 부착용 개구를 갖는 플레이트 보디를 갖고, 기구본체는, 후부의 보디와 전부의 커버의 한 쪽에 형성된 조립 볼록부와 다른 쪽에 형성된 조립 오목부의 요철결합에 의해 결합된 기체를 가지며, 플레이트 보디는, 보디의 외측면의 일부에 돌출하는 유지 돌출편의 후면이 접촉하도록 부착용 개구의 내측면에 돌출된 걸림 수용편과, 커버의 외측면의 일부에 돌출하는 유지 볼록부의 전면을 거는 걸림면을 가지며 부착용 개구의 내측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요성이 부여된 걸림 누름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플레이트 보디의 걸림 수용편과 걸림 누름편에 의해 보디와 커버를 전후 방향에서 끼우므로, 만일, 재료의 열수축에 의해 조립 볼록부와 조립 오목부의 결합이 얕아지거나, 조립 볼록부와 조립 오목부의 한 쪽이 파손되어 결합할 수 없게 된 경우에 있어서도 보디와 커버가 플레이트 보디에 의해 유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 결과, 보디와 커버에 열수축률이 크게 다른 재료를 채용할 수 있게 되어, 재료의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청구항2의 발명에서는,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는 열경화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은, 배선기구가 콘센트인 경우에 특히 유효하며, 콘센트구를 형성하는 커버에는 내트래킹성이 높은 열경화성 합성수지를 사용하고, 비교적 복잡한 형 상인 보디에는 성형이 용이한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보디와 커버가 분리되는 일이 없으므로, 보디와 커버에 열수축율이 크게 다른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보디에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디에는 투명 합성수지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구성을 채용하면, 기체의 내부의 부재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판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외부전선을 쇄정(鎖錠,lock)하는 구조의 단자인 속결(速結)단자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보디에 투명 합성수지를 채용함으로써, 속결단자에의 외부전선의 접속상태를 시인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3의 발명에서는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보디의 전면측에 착탈가능하게 피착되어 상기 기구본체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노출용 개구를 갖는 화장 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기체의 외측면과 플레이트 보디의 내측면의 한 쪽에는 위치결정 돌출부가 돌출되고, 다른 쪽에는 위치결정 돌출부에 결합해서 상기 부착용 개구의 개구면내이고 위치결정 돌출부의 돌출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기체의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결정 홈이 상기 방향에 있어서 부착용 개구의 개구면내에서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기구본체와 플레이트 보디의 한 쪽에 형성된 위치결정 돌출부와 다른 쪽에 형성한 위치결정 홈의 결합에 의해, 플레이트 보디에 형성된 부착용 개구의 개구면내에서의 상대적인 이동이 규제되고, 위치결정 돌출부와 위치결정 홈의 결합부위에 대하여 기체가 대칭적으로 신축하기 때문에, 치수의 편차나 열수축에 의해 기체와 화장 플레이트 보디의 노출용 개구에 치수차가 생겨도, 기체와 노출용 개구의 내주가장자리 사이에 생기는 간극의 치수가 같아져서, 외관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한, 플레이트 보디의 부착용 개구의 내측면에 있어서, 위치결정 돌출부 또는 위치결정 홈을 형성하는 면과, 유지 돌출편 또는 유지 볼록부를 형성하는 면을 다르게 해 두면, 플레이트 보디와 기체의 결합의 깊이를 균일화할 수 있어, 기체가 충격력 등에 의해 플레이트 보디로부터 탈락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4의 발명에서는,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보디의 전면측에 착탈가능하게 피착되어 상기 기체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노출용 개구를 갖는 화장 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기체의 외측면과 플레이트 보디의 내측면의 한 쪽에는 위치결정 돌출부가 돌출되고, 다른 쪽에는 위치결정 돌출부에 결합해서 상기 부착용 개구의 개구면내이고 위치결정 돌출부의 돌출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기체의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결정 홈이 상기 방향에 있어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기구본체와 플레이트 보디의 한 쪽에 형성된 위치결정 돌출부와 다른 쪽에 형성된 위치결정 홈의 결합에 의해, 플레이트 보디에 형성된 부착용 개구의 개구면내에서의 상대적인 이동이 규제되고, 위치결정 돌출부와 위치결정 홈의 결합부위에 대해서 기체가 신축하기 때문에, 치수의 편차나 열수축에 의해 기체와 화장 플레이트 보디의 노출용 개구에 치수차가 생겨도, 기체와 노출용 개구의 내주가장자리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어려워져, 외관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즉, 플레이트 보디와 기체의 상대적인 신축을 복수 개소에서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플 레이트 보디와 기체의 신축을 규제하는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플레이트 보디의 부착용 개구의 내측면에 있어서, 위치결정 돌출부 또는 위치결정 홈을 형성하는 면과, 유지 돌출편 또는 유지 볼록부를 형성하는 면을 다르게 해 두면, 플레이트 보디와 기구본체의 결합의 깊이를 균일화할 수 있어, 기구본체가 충격력 등에 의해 플레이트 보디로부터 탈락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5의 발명에서는, 청구항3 또는 청구항4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체와 상기 플레이트 보디 중 열수축이 작은 쪽에 위치결정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위치결정 돌출부보다 위치결정 홈의 쪽이 열수축률이 크기 때문에, 열수축이 생겼을 때에는, 위치결정 돌출부에 위치결정 홈의 내주면이 밀착하도록 수축이 생겨, 위치결정 돌출부와 위치결정 홈의 결합상태가 열수축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6의 발명에서는, 청구항3 내지 청구항5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돌출부와 상기 위치결정 홈 중 적어도 한 쪽은 다른 쪽과는 폭치수가 다른 테이퍼상의 도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도입부를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위치결정 돌출부와 위치결정 홈의 위치맞춤이 용이해진다. 또한, 위치결정 돌출부와 위치결정 홈이 기구본체와 플레이트 보디의 상대적인 신축을 규제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기구본체를 플레이트 보디의 부착용 개구에 도입할 때의 가이드로서도 기능한다. 즉, 2개의 기능을 1개소에서 실현하고 있기 때문에, 기능별로 다른 구성을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 하면 가공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기구본체의 기체가 전후로 분할된 보디와 커버를 조립 볼록부와 조립 오목부의 요철결합에 의해 결합하는 것이면, 어떤 기능의 배선기구에나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서는, 배선기구로서 콘센트를 예시한다. 실시형태로서 이하에 설명하는 콘센트는 1개의 기체에 형상이 다른 2개의 콘센트구를 구비하는 것이다.
도3 내지 도5에 나타내듯이, 기구본체(A)는, 벽면과 같은 시공면에 후부(도3의 하부)를 매립한 형태로 시공면에 부착되는 매립형 콘센트로서,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보디(10)와, 보디(10)의 전면에 피착되는 커버(20)를 결합해서 형성되는 직육면체상의 기체(1)를 구비한다. 보디(10)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투명 합성수지인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한다. 또한, 커버(20)는 열경화성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내트래킹성이 우수한 유리아수지를 사용한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10)의 상하 양단부(도3의 우측상방을 상으로 함)에는 각각 전방을 향해서 조립편(10a)이 2장씩 돌출되고, 각 조립편(10a)에는 조립 오목부로서 기능하는 조립 구멍(10b)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커버(20)의 상하 양측면에는 조립편(10a)에 형성된 조립 구멍(10b)에 요철결합하는 조립 볼록부로서 기능하는 조립 돌기(20a)가 2개씩 돌출된다. 조립 돌기(20a)는 후면이 경사면으로, 조립편(10a)과 조립 돌기(20a)를 위치맞춤하고, 보디(10)과 커버(20)를 서로 밀착시키면, 조립 돌기(20a)에 밀려서 조립편(10a)이 휘어지고, 그 후, 조립 돌기 (20a)가 조립 구멍(10b)에 끼워넣어진다. 이렇게, 조립시에는 보디(10)와 커버(20)를 서로 밀착시킬 뿐의 간단한 작업으로 보디(10)와 커버(20)를 결합할 수 있다.
보디(10)의 내부는, 구획벽(11)에 의해 3실로 구획되어 있다. 즉, 보디(10)의 내부에는, 중앙부에 형성된 접지극용 구획(12a)과, 보디(10)의 폭방향의 양측부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대략 전체길이에 걸쳐서 형성되는 2개의 전압극용 구획(12b,12c)이 형성된다. 접지극용 구획(12a)에는 접지극용 부재(13)가 수납되고, 전압극용 구획(12b,12c)에는 전압극용 부재(14)가 수납된다.
접지극용 부재(13)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평(平)형 플러그 핀을 수용하는 핀수용 스프링(13a)과, 핀수용 스프링(13a)과 보디(10)의 후벽에 개구하는 전선삽입구(15)로부터 도입되는 외부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13b)를 결합한 것이며, 평형 프러그 핀을 보디(10)의 폭방향의 중앙부에서 수용하도록 접지극용 구획(12a)에 수납된다. 또, 전압극용 부재(14)는 평형 플러그 핀을 수용하는 핀수용 스프링(14a)과, 평형 플러그 핀과 환(丸)형 핀의 양쪽을 수용할 수 있는 핀수용 스프링(14b)과, 양 핀수용 스프링(14a,14b) 사이에 끼워져서 전선삽입구(15)로부터 도입되는 외부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14c)를 일체로 결합한 것으로서, 핀수용 스프링(14a)을 도4(b)의 하부에 위치시키는 형태로 각 전압극용 구획(12b,12c)에 각각 수납된다.
핀수용 스프링(13a,14a)은 평형 플러그 핀을 수용하는 것이므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2장의 스프링편을 대향시킨 형태로 배치하고, 양 스프링편 사이에 평형 플러그 핀을 끼운다. 또한, 핀수용 스프링(14b)은 평형 플러그 핀과 환형 핀 을 수용하는 것이므로, 환형 핀을 유지하는 부위는 2장의 스프링편을 대향시킨 형태로 배치하고, 양 스프링편의 한 쪽의 측면에 1장의 스프링편을 대향시킴으로써 2장의 스프링편의 측면과 1장의 스프링편 사이에 평형 플러그 핀을 유지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들 핀수용 스프링(13a,14a,14b)의 구성은 주지의 것이다.
단자(13b,14c)는 전선삽입구(15)를 통해서 기체(1)의 내부에 도입된 외부전선을 판스프링의 스프링력을 사용해서 쇄정하는 속결단자로서, 도1(b),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기편(基片)(16a)의 폭방향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U자상의 쇄정편(16b)을 2장 연장 설치하고, 기편(16a)의 폭방향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각 쇄정편(16b)의 선단측의 다리편에 대향하도록 누름편(16c)을 2장 연장 설치한 구성을 갖는다. 쇄정편(16b)의 선단측의 다리편은 쇄정편(16b)의 기편(16a)측의 다리편과 누름편(10c) 사이에 위치한다. 단자(13b,14c)는 전선삽입구(15)를 통해서 도입되는 외부전선이 누름편(16c)의 선단측으로부터 쇄정편(16b)과 누름편(16c) 사이에 도입되도록 배치된다. 쇄정편(16b)의 선단부는, 선단에 가까운 부위일수록 누름편(16c)부근에 경사지고, 누름편(16c)에는 쇄정편(16b)의 선단과 전선삽입구(15) 사이인 중간부에 있어서, 쇄정편(16b)을 향해서 볼록하게 되는 형상으로 굴곡된 부위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선삽입구(15)를 통해서 기체(1)의 내부에 도입된 외부전선은, 쇄정편(16b)과 누름편(16c) 사이에서 끼워짐으로써 단자(13b,14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쇄정편(16b)의 선단가장자리가 외부전선에 박히는 쇄정상태로 되어 빠짐방지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1장의 기편(16a)에는 쇄정편(16b)과 누름편(16c)을 2장씩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 2개의 외부전선을 접속할 수 있다. 보디(10)를 투명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하면, 전선삽입구(15)로부터 기체(1)에 삽입된 전선이 단자(13b,14c)에 적정하게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시인할 수 있게 되어, 결선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각 단자(13b,14c)에 있어서의 2장의 쇄정편(16b) 사이의 부위에는 해제레버(17)가 배치된다. 해제레버(17)는 도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10)의 측벽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된 삽입통과용 슬릿(10d)을 통해서 일단부가 보디(10)로부터 노출되는 레버본체(17a)를 가지며, 레버본체(17a)의 타단부에는 보디(10)의 내부에서 정위치에 지지되는 축부(17b)가 형성되고, 또한 축부(17b)의 양측면에는 1개의 단자(13b,14c)에 있어서의 2장의 쇄정편(16b)에 접촉가능한 2개의 누름부(17c)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통과용 슬릿(10d)은 보디(10)의 전단가장자리에서 개방되어 있다. 외부전선을 단자(13b,14c)에 접속한 상태에 있어서, 해제레버(17)를 축부(17b)의 둘레로 회전시키면(예를 들면, 도1(b)에 있어서 우측의 해제레버(17)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들어올리면), 쇄정편(16b)의 선단부가 누름부(17c)에 의해 누름편(16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힘을 받아, 외부전선의 쇄정상태가 해제되어 외부전선을 기체(1)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된다.
한편, 커버(20)에는, 상술한 각 핀수용 스프링(13a,14a,14b)에 대응하는 부위에, 각각 커버(20)의 표리로 관통한 삽입구(21a,22a,22b)가 형성된다. 삽입구(21a)는 도4(a)의 상하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개구되어 있어 접지극이 되는 평형 플러그 핀이 삽입된다. 또한, 삽입구(22a)는 환형 핀과 평형 플러그 핀의 양쪽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으로서, 개구면이 반원형상 내지 반타원형상으로 형성된다. 2개의 삽입구(22a)는 도4(a)의 좌우방향으로 병설되어 있고, 양 삽입구(22a)의 최근접부위가 상하 방향의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이 직선상의 부위를 따라 평형 플러그 핀이 삽입된다. 평형 플러그 핀을 삽입하는 부위는 환형 핀을 삽입하는 부위보다 광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삽입구(22b)는 평형 플러그 핀이 삽입되도록 직사각형상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도4(a)에 있어서 삽입구(21a)의 하방에 위치함과 아울러 좌우방향으로 병설된다. 양 삽입구(22b)는 하단측의 거리가 상단측의 거리보다 작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콘센트에는, 삽입구(22a) 및 삽입구(22b)로 이루어지는 콘센트구와, 삽입구(21a)로 이루어지는 콘센트구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콘센트구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각각 삽입구(21a,22a,22b)에 아무 것도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 삽입구(21a,22a,22b)를 폐쇄하는 덮개체(23a,23b)가 배치된다. 즉, 덮개체(23a,23b)는 콘센트구마다 설치되며, 각 콘센트구의 복수개의 삽입구(21a,22a,22b)를 콘센트구마다 일괄해서 개폐한다. 또한, 덮개체(23a,23b)는 커버(2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유지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귀 스프링(24a,24b)에 의해 콘센트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콘센트구는 평상시는 덮개체(23a,23b)에 의해 폐쇄되어 먼지 등의 이물이 콘센트구에 들어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각 덮개체(23a,23b)에는 콘센트구를 폐쇄하고 있을 때 삽입구(21a,22a,22b)를 향하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평형 플러그 핀 및 환형 핀을 삽입구(21a,22a,22b)에 삽입하면, 평형 플러그 핀 및 환형 핀으로부터 경사면이 받는 힘에 의해 덮개체(23a,23b)가 복귀 스프링(24a,23b)의 스프링력에 저항해서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커버(20)의 내저면이며 각 단자(13b,14c)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각각 단자(13b,14c)의 기편(16a)에 접촉해서 보디(10)로부터의 단자(13b,14c)의 부상(浮上)을 방지하는 누름 리브(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콘센트의 기구본체(A)를 벽면과 같은 시공면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도1 및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공면에 접촉하는 형태로 시공면에 대해서 정위치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보디(B)와, 플레이트 보디(B)의 전면을 덮는 형태로 플레이트 보디(E)에 결합되는 화장 플레이트(C)를 사용한다. 플레이트 보디(B) 및 화장 플레이트(C)는 모두 직사각형 프레임형상으로서, 플레이트 보디(B)는 기구본체(A)를 부착하기 위해서 부착용 개구(31)을 가지며, 화장 플레이트(C)는 기구본체(A)의 전면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용 개구(41)를 갖는다. 화장 플레이트(C)의 배면에는 플레이트 보디(B)의 둘레부에 형성된 4개의 결합 구멍(30a)에 각각 삽입되는 결합 다리(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결합 다리의 선단부에 형성된 훅을 결합 구멍(30a)의 둘레부에 거는 것에 의해 화장 플레이트(C)가 플레이트 보디(B)에 결합된다. 또한, 플레이트 보디(B)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분리편(30b)이 연장 설치되며, 화장 플레이트(C)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분리편(30b)이 맞물리는 분리홈(40b)이 형성되어 있어, 플레이트 보디(B)에 화장 플레이트(C)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마이너스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분리편(30b)과 분리 홈(40b) 사이에 삽입해서 공구를 지레로 사용함으로써 화장 플레이트(C)를 플레이트 보디(B)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기구본체(A)는 시공시에는 플레이트 보디(B)에 유지되는 것으로, 기구본체(A)를 플레이트 보디(B)와 결합하는 구성으로 하여, 보디(10)의 좌우 양측부에는 외측면의 일부(보디(10)의 개구 가장자리의 일부로부터 외측)에 유지 돌출편(18)이 돌출되며, 커버(20)의 상하 양측면의 일부(커버(20)의 상하 양면의 중앙부)에는 유지 볼록부(26)가 돌출된다. 유지 돌출편(18)은 삽입통과용 슬릿(10d)에 대응하는 부위에서 상하로 2분되어 있다. 커버(20)에 있어서 보디(10)의 유지 돌출편(18)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유지 돌출편(18)과 맞물리는 노치부(27)가 형성되며, 커버(20)의 양측부에 있어서 노치부(27) 이외의 부위의 후면과 유지 돌출편(18)의 후면이 면일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유지 볼록부(26)의 전면은 유지 돌출편(18)의 후면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유지 볼록부(26)는 후방을 향해서 돌출치수를 작게 하는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디(10)의 우측면의 상부에는 커버(20)와의 결합시에 커버(20)의 우측면보다 우측을 향해서 제1덮개편(19a)이 돌출되고, 제1덮개편(19a)의 기부부근에는 전방을 향해서 제2덮개편(19b)이 돌출된다. 커버(20)에 있어서 제1 및 제2덮개편(19a,19b)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제1 및 제2덮개편(19a,19b)에 맞물리는 스위치부착용 노치(28)가 형성된다. 따라서, 보디(10)에 커버(20)를 결합한 상태에서는, 스위치부착용 노치(28)는 폐쇄된다. 스위치부착용 노치(28)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플레이트 보디(B)는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부착프레임편(32)과, 양 부착프레임편(32)의 상하 각 단부사이를 각각 연속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편 (33)을 갖는 직사각형 프레임형상이고, 각 부착프레임편(32)의 길이방향(도6의 상하방향)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긴 구멍형상의 부착용 구멍(32a)이 형성된다. 부착용 구멍(32a)은 시공면에 플레이트 보디(B)를 고정하기 위한 부착나사를 삽입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시공면에 박스를 매립해 두고, 박스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부착나사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플레이트 보디(B)를 시공면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연결편(33)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표리로 관통하는 탄성부여 구멍(34)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부여 구멍(34)과 부착용 개구(31) 사이에 걸림 누름편(35)이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 누름편(35)은 부착용 개구(31)의 내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요성을 갖게 된다. 부착용 개구(31)의 좌우의 양 내측면의 적당 개소에는 걸림 수용편(36)이 돌출된다.
플레이트 보디(B)에 기구본체(A)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기구본체(A)를 플레이트 보디(B)의 전방으로부터 부착용 개구(31)안으로 삽입한다. 보디(10)의 후부가 부착용 개구(31)에 삽입되면, 보디(10)에 설치된 유지 돌출편(18)의 후면이 걸림 수용편(36)의 전면에 접촉해서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유지 볼록부(26)가 걸림 누름편(35)을 압압함으로써, 걸림 누름편(35)이 외측으로 휘어지고, 유지 볼록부(26)가 걸림 누름편(35)을 타넘으면, 걸림 누름편(35)의 후면인 걸림면에 유지 볼록부(26)의 전면이 접촉함으로써 기구본체(A)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즉, 기구본체(A)가 플레이트 보디(B)에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배선기구(A)의 보디(10)와 커버(20)가 플레이트 보디(B)의 걸림 수용편(36)과 걸림 누름편(35) 사이에서 끼워지게 되므로, 조립 돌기(20a)가 어떠한 원인(재료의 열수축이나 파손 등)에 의해 조립편(10a)에 형성된 조립 구멍(10b)으로부터 분리되었다 해도, 보디(10)와 커버(20)가 분리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보디(10)와 커버(20)의 재료의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또한, 플레이트 보디(B)의 부착용 개구(31)에 있어서, 걸림 수용편(36)은 좌우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걸림 누름편(35)은 상하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 수용편(36)과 걸림 누름편(35)의 전후방향에 있어서 다소의 치수오차가 있어도, 플레이트 보디(B)가 휘어짐으로써 기구본체(A)를 플레이트 보디(B)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걸림 수용편(36)과 걸림 누름편(35)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치수오차의 허용범위가 넓어진다. 또, 플레이트 보디(B)에 화장 플레이트(C)를 장착하면, 화장 플레이트(C)의 배면에 돌출된 삽입편(40c)이 탄성부여 구멍(34)에 삽입되고, 걸림 누름편(35)의 휘어짐이 금지되어, 결과적으로 기구본체(A)의 플레이트 보디(B)에 대한 결합강도가 높아진다.
그런데, 도6에 나타내듯이, 플레이트 보디(B)에 형성된 부착용 개구(31)의 내측면에 있어서 좌우의 부착용 구멍(32a)의 근방에는 위치결정 돌출부(37)가 돌출된다. 바꿔 말하면, 위치결정 돌출부(37)의 상하에 인접하는 부위에는 걸림 수용편 (36)은 형성되지 않고, 위치결정 돌출부(37)와 상하의 걸림 수용편(36) 사이에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한편, 도3,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20)의 좌우 양측면에는 위치결정 돌출부(37)에 결합하는 위치결정 홈(29)이 형성된다. 위치결정 홈(29)은 기체(1)의 상하방향의 중심위치에 형성된다. 즉, 기구본체(A)를 플레이트 보디(B)에 장착한 상태로, 부착용 개구(31)의 개구면내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대칭위치에 위치결정 돌출부(37)와 위치결정 홈(29)이 형성되게 된다. 또, 위치결정 홈(29)의 양 측부는, 보디(10)에 형성된 삽입통과용 슬릿(10d)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2분되어 있는 유지 돌출편(18) 사이의 간극에 맞물리고,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 돌출편(18)과 노치부(27)가 맞물림과 아울러, 제1 및 제2덮개편(19a,19b)이 스위치 부착용 노치(28)에 맞물리기 때문에, 삽입통과용 슬릿(10d) 및 위치결정 홈(29)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벌어짐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결정 홈(29)과 위치결정 돌출부(37)가 플레이트 보디(B)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대칭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도7과 같이, 플레이트 보디(B)에 기구본체(A)를 장착했을 때, 기체(1)의 상하방향의 신축은 위치결정 홈(29)과 위치결정 돌출부(37)가 결합되어 있는 부위를 고정위치로 해서 발생된다. 따라서, 플레이트 보디(B)의 전면측에 화장 플레이트(C)를 피착할 때, 플레이트 보디(B)의 부착용 개구(31)와 화장 플레이트(C)의 노출용 개구(41)의 상하방향의 중심위치를 일치시켜 두면, 기체(1)의 상하방향의 치수가 열수축 등에 의해 변화되어도, 노출용 개구(41)의 상하 양가장자리와 기체(1)의 전면 사이에 생기는 간극은 상하에서 동일치수로 되고, 간극이 치우쳐서 생기는 경우에 비해서 외관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간극이 치우쳐서 생긴다고 하면, 상하에 형성된 유지 볼록부(26)와 걸림 누름편(35)의 한 쪽에 있어서 결합이 얕아지므로, 강한 충격력 등에 의해 배선기구(A)가 플레이트 보디(B)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생기는 것에 반해, 상술한 구성에 의해 상하의 간극이 균등하게 생기기 때문에, 유지 볼록부(26)와 걸림 누름편(35)의 결합의 깊이가 극단적으로 얕아지는 일이 없어, 충격력 등에 대해서 분리되기 어렵게 된다.
한편, 걸림 누름편(35)의 후면에는 유지 볼록부(26)의 양측에 대응하는 부위에 각각 위치결정 돌출편(38)이 돌출되고, 위치결정 돌출편(38)에 의해 걸림 누름편(35)의 좌우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즉, 한쌍의 위치결정 돌출부(38) 사이가 위치결정 홈으로서 기능하고, 유지 볼록부(26)가 위치결정 돌출부로서 기능한다. 유지 볼록부(26) 및 위치결정 돌출편(38)은 좌우방향의 대칭으로 형성되고, 좌우방향에 있어서도 기체(1)의 신축을 수반하는 좌우의 간극이 균등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도8 및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결정 돌출부(37)의 전부에는 전단측일수록 폭치수가 작아지는 테이퍼상의 도입부(37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도입부(37a)에 의해 기구본체(A)와 플레이트 보디(B)의 위치를 맞출 수 있으므로, 위치결정 홈(29)과 위치결정 돌출부(37)의 위치맞춤이 용이하게 된다. 여기에서, 도입부(37a)는 위치결정 돌출부(37)에 형성되어 있으며, 위치결정 홈(29)과 위치결정 돌출부(37)가 기구본체(A)와 플레이트 보디(B)의 상대적인 신축을 규제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기구본체(A)를 플레이트 보디(B)의 부착용 개구(31)에 도입할 때의 가이드로서도 기능하기 때문에, 기능별로 다른 구성을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면 가공비용이 저감된다.
위치결정 홈(29)은,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구본체(A)의 유지 볼록부(26)가 플레이트 보디(B)에 형성된 걸림 누름편(35)의 전면(도9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위치결정 돌출부(37)의 전단부에 형성된 도입부(37a)가 위치결정 홈(29)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즉, 위치결정 홈(29)의 후단은 커버(20)의 후면으 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고, 기구본체(A)를 플레이트 보디(B)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위치결정 홈(29)과 위치결정 돌출부(37)가 임시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기구본체(A)의 플레이트 보디(B)에 대한 위치맞춤이 용이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예에서는, 위치결정 돌출부(37)를 플레이트 보디(B)의 좌우 각 변에 1개소씩 형성하고 있지만,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한 쪽에 대해서 위치결정 돌출부(37)를 복수 개소에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도시예에서는, 좌측면에 있어서 상하방향의 대칭위치의 2개소에 위치결정 돌출부(37)를 형성하고, 우측면에도 2개소에 위치결정 돌출부(37)를 형성하고 있다. 우측면에 있어서의 한쪽의 위치결정 돌출부(37)는 상하방향의 대칭위치인 중심위치에 형성되며, 다른 쪽의 위치결정 돌출부(37)는 하단부근이며 좌측면의 한 쪽의 위치결정 돌출부(37)의 우측에 형성되어 있다. 기구본체(A)에는 각 위치결정 돌출부(37)에 대응하는 부위에 위치결정 홈(26)이 형성된다. 도10의 구성예와 같이, 한 변의 복수 개소에 위치결정 돌출부(37)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한 변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1)의 신축을 복수 개소에서 규제하기 때문에, 기구본체(A)와 플레이트 보디(B)의 신축을 규제하는 효과가 높아진다. 또, 위치결정 돌출부(37)를 복수 개소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기체(1)의 신축을 규제하는 효과가 높기 때문에, 위치결정 돌출부(37)의 분포가 치우치지 않는다면 적당 개소에 형성하는 것만으로도 기구본체(A)와 화장 플레이트(C)의 노출용 개구(41) 간극의 변화를 경감하는 효과가 얻어지지만, 한층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체(1)의 신축을 규제하고자 하는 변의 연장방향에 있어서의 대칭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기구본체(A)에 위치결정 홈(29)을 형성하고, 플레이트 보디(B)에 위치결정 돌출부(37)를 형성하고 있지만, 기구본체(A)에 위치결정 돌출부를 형성하고, 플레이트 보디(B)에 위치결정 홈을 형성해도 좋다. 기구본체(A)와 플레이트 보디(B) 중 어느 쪽에 위치결정 돌출부(37)를 형성하는지는 기구본체(A)와 플레이트 보디(B)의 열수축률에 의해 결정하면 된다. 즉, 열수축이 작은 쪽에 위치결정 돌출부(37)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위치결정 홈(29)의 열수축률을 위치결정 돌출부(37)의 열수축률보다 크게 해 두는 것에 의해, 열수축이 생겼을 때에는, 위치결정 돌출부(37)에 위치결정 홈(29)의 내주면이 밀착해서, 위치결정 돌출부(37)와 위치결정 홈(29)이 한층 강고하게 결합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위치결정 돌출부(37)에 도입부(37a)를 형성하고 있지만, 위치결정 홈(29)에 도입부를 형성해도 좋고, 위치결정 돌출부(37)와 위치결정 홈(29)의 양쪽에 도입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상술한 콘센트의 일부의 부품을 변경함으로써, 도11에 나타내는 스위치가 부착된 콘센트를 구성할 수 있다. 도11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도5에 나타낸 보디(10)의 제1 및 제2덮개편(19a,19b) 대신에, 핸들 탑재대(19c)가 우측쪽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핸들 탑재대(19c)에는 시소동작하는 핸들(50)이 탑재된다. 핸들(50)은 우단부에 수동조작되는 조작체(50a)를 갖고, 조작체(50a)의 좌측면에 축부(50b)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조작체(50a)는 상하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되도록 핸들 탑재대(19c)에 대해서 후면의 일부를 접촉시키고 있다. 또한, 축부(50b) 는 스위치 부착용 개구(28)에 삽입통과되고, 축부(50b)의 전면에 형성된 축돌출부(50c)를 스위치 부착용 개구(28)의 앞가장자리에 형성된 축용 노치(28a)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축돌출부(50c)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도11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우측의 전압극용 구획(12c)에 수납되는 전압극용 부재(14)는 도5의 구성예에서는 2개의 핀수용 스프링(14a,14b)을 단자(14c)에 결합하고 있지만, 도11에 나타내는 구성예에서는 양 핀수용 스프링(14a,14b) 사이를 도전판(51)을 통해 접속하고 있다. 또한, 도전판(14c)에 있어서 핸들 탑재대(19c)의 근방부위에는 고정 접점(52)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단자(14c)에는 지지판(53)이 접속되어 있으며, 지지판(53)의 일단부에는 고정 접점(52)에 대해서 접촉이간하는 가동 접점(54)을 형성한 개폐부(55)의 일단가장자리를 접촉시키고 있다. 개폐부(55)는 고정 접점(52)에 가동 접점(54)을 접촉시키는 위치와 가동 접점(54)을 이간시키는 위치 사이에서, 상기 일단가장자리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개폐부(55)의 회동범위는 보디(10)의 내부형상에 의해 규정된다.
핸들(50)의 축부(50b)와 개폐부(55)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반전 스프링(56)이 유지되어 있으며, 핸들(50)의 요동에 따라 반전 스프링(56)이 신축하도록 되어 있다. 즉, 핸들(50)은 핸들 탑재대(19c)와의 관계로 규정되는 2위치 사이에서 요동가능하며, 핸들(50)의 한 쪽의 위치부터 다른 쪽의 위치로 요동시키면 중간위치에 있어서 반전 스프링(56)이 최압축되고, 그 위치를 넘으면 반전 스프링(56)이 급속히 신장하여, 개폐부(55)의 위치가 반전하게 되어 있다. 이 동작은 시소스위치와 동일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핸들(50)을 요동시키는 조작을 행하면, 개폐부(55)가 회동하여 가동 접점(54)이 고정 접점(52)에 대해서 접촉이간하므로, 핀수용 스프링(14a,14b)과 단자(14c) 사이의 전기회로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도5에 나타낸 콘센트와 같은 커버(20)를 사용하고 있어, 스위치의 유무에 관계 없이 커버(20)를 공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11에 나타내는 스위치부착 콘센트에 대응하는 화장 플레이트(40)는 노출용 개구(41)의 우측상부에 핸들(50)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용 노치(42)가 연속해서 형성된다. 노출용 노치(42)는 도12(a)에 나타내듯이, 직사각형상의 노출용 개구(41)와는 중복되지 않는 부위에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콘센트 기체(1)의 폭치수는 접속하는 플러그의 폭치수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20)의 측쪽에 핸들(50)을 설치하고 있는 것에 의해, 도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D)를 접속해도 플러그(D)에 중복되는 일없이 핸들(50)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플레이트 보디의 걸림 수용편과 걸림 누름편에 의해 보디와 커버를 전후방향에서 끼우기 때문에, 만일, 재료의 열수축에 의해 조립 볼록부와 조립 오목부의 결합이 얕아지거나, 조립 볼록부와 조립 오목부의 한 쪽이 파손되어 결합할 수 없게 되는 경우라도, 보디와 커버가 플레이트 보디에 의해 유지된 상태로 유지된다는 이점이 있다. 그 결과, 보디와 커버에 열수축률이 크게 다른 재료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재료의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고 하는 이 점이 있다.

Claims (6)

  1. 시공면에 후부를 매립함과 아울러 전면을 시공면으로부터 노출시킨 형태로 시공되는 기구본체와, 시공면에 접촉되는 형태로 시공면에 대해서 정위치에 고정되어 기구본체가 전방으로부터 장착되는 부착용 개구를 갖는 플레이트 보디를 갖고, 기구본체는, 후부의 보디와 전부의 커버의 한 쪽에 형성된 조립 볼록부와 다른 쪽에 형성된 조립 오목부의 요철결합에 의해 결합된 기체를 가지며, 플레이트 보디는, 보디의 외측면의 일부에 돌출되는 유지 돌출편의 후면이 접촉하도록 부착용 개구의 내측면에 돌출된 걸림 수용편과, 커버의 외측면의 일부에 돌출되는 유지 볼록부의 전면을 거는 걸림면을 가지며 부착용 개구의 내측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요성이 부여된 걸림 누름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는 열경화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보디의 전면측에 착탈가능하게 피착되어 상기 기구본체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노출용 개구를 갖는 화장 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기체의 외측면과 플레이트 보디의 내측면의 한 쪽에는 위치결정 돌출부가 돌출되고, 다른 쪽에는 위치결정 돌출부에 결합해서 상기 부착용 개구의 개구면내이며 위치결정 돌출부의 돌출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기체의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 결정 홈이 상기 방향에 있어서 부착용 개구의 개구면내에서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보디의 전면측에 착탈가능하게 피착되어 상기 기구본체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노출용 개구를 갖는 화장 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기체의 외측면과 플레이트 보디의 내측면의 한 쪽에는 위치결정 돌출부가 돌출되고, 다른 쪽에는 위치결정 돌출부에 결합해서 상기 부착용 개구의 개구면내이며 위치결정 돌출부의 돌출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기체의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결정 홈이 상기 방향에 있어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와 상기 플레이트 보디 중 열수축이 작은 쪽에 위치결정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돌출부와 상기 위치결정 홈 중 적어도 한 쪽은 다른 쪽과는 폭치수가 다른 테이퍼상의 도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
KR1020050007013A 2004-01-27 2005-01-26 배선기구 KR101124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19089 2004-01-27
JP2004019089A JP2005218177A (ja) 2004-01-27 2004-01-27 配線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862A true KR20060042862A (ko) 2006-05-15
KR101124519B1 KR101124519B1 (ko) 2012-03-15

Family

ID=34879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013A KR101124519B1 (ko) 2004-01-27 2005-01-26 배선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5218177A (ko)
KR (1) KR101124519B1 (ko)
CN (1) CN100377439C (ko)
TW (1) TWI27816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954U (ko) *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 베코 다용도 브라켓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2938B (zh) * 2014-08-07 2016-05-11 广州市新旗专利技术推广服务有限公司 膨胀固定式墙壁电源装置
TWI674719B (zh) * 2018-01-26 2019-10-11 帛漢股份有限公司 用於裝載電子零件的封裝盒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0886A (en) * 1989-08-09 1993-01-19 Lutron Electronics Co., Inc. Wallbox electric device assembly
US5434359A (en) * 1993-09-20 1995-07-18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box
JP3671605B2 (ja) * 1997-05-27 2005-07-13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ンセント
JP2001006470A (ja) * 1999-06-24 2001-01-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イッチ
JP3637845B2 (ja) * 2000-06-27 2005-04-13 松下電工株式会社 配線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954U (ko) *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 베코 다용도 브라켓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18177A (ja) 2005-08-11
TW200531389A (en) 2005-09-16
TWI278160B (en) 2007-04-01
KR101124519B1 (ko) 2012-03-15
CN100377439C (zh) 2008-03-26
CN1649215A (zh) 200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89167B2 (ja) コネクタ
KR101124519B1 (ko) 배선기구
JP6559723B2 (ja) 照明ユニット
JP6782448B2 (ja) Usbコンセント
JP6890275B2 (ja) Usbコンセント
JP2000243477A (ja) 端子装置
JP6837205B2 (ja) Usbコンセント
JP3546677B2 (ja) コンセント
JP4135509B2 (ja) テーブルタップ
JP4172395B2 (ja) コンセント
JP2007087893A (ja) テーブルタップ
JP2015153557A (ja) スイッチモジュール、スイッチおよびスイッチ装置
CN112313847B (zh) 盖块和配电盘
JPH06139903A (ja) 回路遮断器の付属装置
JP2826190B2 (ja) 抜け止めコンセント
JP3649017B2 (ja) 端子装置
JP4770630B2 (ja) コンセント
JP6811413B2 (ja) Usbコンセント
JP3860723B2 (ja) 遊技機
JP2005032595A (ja) コンセント
JP4122543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200279074Y1 (ko) 도어핸들의 고정구조
JP2002171634A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3098850B2 (ja) フロア用コンセント
JP3627508B2 (ja) 扉付きコンセ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