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074Y1 - 도어핸들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도어핸들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074Y1
KR200279074Y1 KR2020020008056U KR20020008056U KR200279074Y1 KR 200279074 Y1 KR200279074 Y1 KR 200279074Y1 KR 2020020008056 U KR2020020008056 U KR 2020020008056U KR 20020008056 U KR20020008056 U KR 20020008056U KR 200279074 Y1 KR200279074 Y1 KR 200279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fastening
groove
coupling protrus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0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규중
Original Assignee
공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공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8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0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074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 방향 탄성력을 가지는 고정구로 개폐문의 내측에 도어핸들이 지지되도록하여 도어핸들의 간단하고 용이한 설치작업을 이루게 하는 도어핸들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정구조는 결합돌기의 소정지점에 관통된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며 상하부가 “S”자 형태로 굴곡되는 상,하지지호면이 일체성 있게 형성된 고정구와,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하고 상기 나선홈과 통하는 부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고정구와 체결홈의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용이한 제작으로 제작성을 향상하고, 별도의 조립공구가 없이도 신속하고 용이한 조립으로 조립성이 향상되고, 도어핸들의 수리점검시 간편하고 신속한 착탈을 이루어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핸들의 고정구조{Fixed Structure for Handle Assembly}
본 고안은 도어핸들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 방향 탄성력을 가지는 고정구로 개폐문의 내측에 도어핸들이 지지되도록하여 도어핸들의간단하고 용이한 설치작업을 이루게 하는 도어핸들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 분전반, 제어반, 전화단자함, 휴즈박스, 각종 계량기박스, 보온함 등은 사각형태의 함체로 되어 있으며, 외부와 통하는 전면부에 개폐문이 유설 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필요에 따라 개폐문을 열고 용도에 따른 검침이나 수리 등을 이룰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어린이들의 부주의한 조작에 의하여 각종 안전사고가 유발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잠금장치의 기능을 가지는 도어핸들이 상기 개폐문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핸들은 개폐문에 배치되어 나사못으로 결합되거나 체결기능을 가지는 고정핀에 의하여 고정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나사못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경우에는 개폐문에 나사못이 관통될 수 있는 체결공이 가공되어야 하고, 그 체결공과 대응하도록 도어핸들에 본체와 일체성 있게 체결리브를 형성하여 나사못으로 체결하기 때문에 체결공의 가공과 동시에 조립공정의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고정핀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어핸들 본체의 중앙을 관통하는 고정홈을 형성하고, 이 고정홈에 고정핀을 삽입하여서 개폐문의 내측과 도어핸들이 탄력지지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해야 하므로 핸들본체의 중앙을 관통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야 하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성형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공수가 길어지면서 불안정된 체결상태가 되므로 제품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핸들의 본체를 관통하지 않고도 탄발력에 의해 도어핸들에 지지되면서 개폐문의 내측과 도어핸들 본체에 탄지되어 본체가 개폐문을 밀착 지지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이루게 함으로 간편하고 용이하면서 안정된 조립을 이루도록 하는 도어핸들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면에 마련되어 있는 수납부의 하부에 키하우징을 취부하여 잠금레버가 탄지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면의 상하단에 돌출되여 형성되고 내부에는 나선홈이 형성된 결합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를 고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의 소정지점에 관통된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며 상하부가 “S”자 형태로 굴곡되는 상,하지지호면이 일체성 있게 형성된 고정구와,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하고 상기 나선홈과 통하는 부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부싱은 원통형의 일면이 평면으로 개방되고 전면에 체결안내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이 도어핸들에 적용되어진 상태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도어핸들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고정구가 도어핸들을 고정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고정구를 도어핸들에 결속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수납부
20 ; 잠금레버 22 ; 키하우징
30 ; 푸시버튼 32 ; 걸림턱
40 ; 결합돌기 42 ; 나선홈
50 ; 체결홈 60 ; 고정구
62,62a ; 지지호면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도어핸들을 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도어핸들을 종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3은 본 고안의 고정구가 도어핸들을 고정한 상태를 평면도로 도시하고, 도 4는 본 고안의 고정구를 도어핸들에 결속한 상태을 배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어핸들의 고정구조는, 전면에 수납부(12)가 마련되고 후면이 돌출된 본체(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수납부(12)에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탄지되고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키하우징(22)이 내장되어 취부되는 잠금레버(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수납부(12) 하부쪽에 탄력 가능하게 탄지되고, 상단에 걸림턱(32)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레버(20) 하단부의 회동운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푸시버튼(30)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 후면의 상하단에 돌출되고 내부에 나선홈(42)이 형성된 결합돌기(40)로 이루어지는 도어핸들(100)을 구성하고 있다.
결합돌기(40)는 본체(10)의 후방에 관(PIPE)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데, 여기서 관 형태만을 한정하지 않고 사각, 다각형 등으로 제작하여도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결합돌기(40)의 길이방향 소정지점에는 측면출입이 가능하도록 관통되어 있는 체결홈(50)이 형성되어 고정구(60)의 지지호면(62)(62a)이 출입을 이루도록 되어 있으며, 결합돌기(40)에는 부싱(80)이 결합되어 있다.
부싱(80)은 상기 결합돌기(40)를 수용하고 상기 나선홈(42)과 통할 수 있도록 전면에 체결안내홈(82)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통형의 일면이 평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부싱(80)은 상기 고정구(60)가 사용될 경우에는 이용되지 않거나 함께 사용되어 체결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정구(60)는 상하부에 결합돌기(40)의 체결홈(50)에 삽입되어 개폐문(70)의내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S”자 형태로 굴곡되는 상하지지호면(62)(62a)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상,하지지호면(62)(62a)은 일체성있게 연결되어 단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홈(50)은 직사각형태로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고정구(60)가 출입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본체(10)를 개폐문(70)에 삽입하여 밀착배치하고, 결합돌기(40)의 체결홈(50)으로 고정구(60)의 상하로 형성되어 있으며 단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상하지지호면(62)(62a)의 선단부를 삽입시키면 도 3에서와 같이 본체(10)와 개폐문(70)의 내측에 탄력지지되어 본체(10)가 개폐문(70)과 밀착 지지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60)의 상,하지지호면(62)(62a)은 “S”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적어도 하나이상의 점접촉을 하고 있어 면접촉과는 다른게 다양한 형상에 대한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고정구(60)의 상,하지지호면(62)(62a)가 체결홈(50)에 삽입되면 도 4에서와 같이 전체가 결속되어지면 본체(10)의 후면에서 밀착되게 하면 걸림절곡부(62)(62a)는 그 탄발력에 의해 개폐문(70)의 내측과 본체(10)의 체결홈(50)에 탄지되어 본체(10)가 개폐문(70)에 밀착지지 된다.
한편, 고정구(60)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나사못(88)을 사용하여 개폐문(70)에 본체(10)을 조립할 수 있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를 개폐문(70)에 배치한 상태에서 결합돌기(40)에 부싱(80)을 결합하면 결합돌기(40)가 내장되고 결합돌기(4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나선홈(42)과 체결안내홈(82)가 연결되므로 나사못(88)로 체결을 이루면 부싱(80)의 지지로 안전하고 견고한 체결상태를 이루어 조립상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고정구(60)와 나사못(88)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사용한다면 더욱 안정되고 신뢰적인 체결상태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본체(10)가 개폐문(70)에 간단하고 용이하며 신속한 체결을 이루게 되므로 별도의 공구나 장비 없이 손쉽게 조립공정을 이루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고정구와 체결홈의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용이한 제작으로 제작성을 향상하고, 별도의 조립공구가 없이도 신속하고 용이한 조립으로 조립성이 향상되고, 도어핸들의 수리점검시 간편하고 신속한 착탈을 이루어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면에 마련되어 있는 수납부의 하부에 키하우징을 취부하여 잠금레버가 탄지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면의 상하단에 돌출되여 형성되고 내부에는 나선홈이 형성된 결합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를 고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의 소정지점에 관통된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며 상하부가 “S”자 형태로 굴곡되는 상,하지지호면이 일체성 있게 형성된 고정구와,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하고 상기 나선홈과 통하는 부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의 고정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원통형의 일면이 평면으로 개방되고 전면에 체결안내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의 고정구조.
KR2020020008056U 2002-03-19 2002-03-19 도어핸들의 고정구조 KR200279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056U KR200279074Y1 (ko) 2002-03-19 2002-03-19 도어핸들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056U KR200279074Y1 (ko) 2002-03-19 2002-03-19 도어핸들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074Y1 true KR200279074Y1 (ko) 2002-06-22

Family

ID=73055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056U KR200279074Y1 (ko) 2002-03-19 2002-03-19 도어핸들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0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783B1 (ko) 2016-06-15 2016-09-06 주식회사 태광칼륨 문개폐용 핸들의 잠금구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783B1 (ko) 2016-06-15 2016-09-06 주식회사 태광칼륨 문개폐용 핸들의 잠금구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7115A (ko)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US5997362A (en) Connector
US6986535B2 (en) Latch device
KR200279074Y1 (ko) 도어핸들의 고정구조
US6459058B1 (en) Operating device having operating button adapted to slide in housing while being pushed to effect switching operation
CA2175160C (en) Over-center toggle latch with switch
JP4495613B2 (ja) スイッチ装置
CN113141781A (zh) 包含可配置端子座的电池组
US6471536B1 (en) Zero Insertion Force socket having mechanical fastening device
JP3721809B2 (ja) 扉付きコンセント
JP4122979B2 (ja) スイッチ
JP2003187897A (ja) 露出コンセント
JPH07183055A (ja) プリント基板用端子台
KR100605566B1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하우징
KR200294129Y1 (ko) 노출형 콘센트
JP2919455B2 (ja) コンセント
KR200217971Y1 (ko) 배전반의 개폐장치
JP2002171634A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H11135197A (ja) コンセント
JP3963148B2 (ja) モジュラジャック
JP3351864B2 (ja) 押釦スイッチ
JPH08237833A (ja) 配線器具および配線装置
KR20000024992A (ko) 도어용 자물쇠
JPH09320678A (ja) コンセント
JP2006302717A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