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263Y1 - 배전함용 계량기 고정판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배전함용 계량기 고정판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263Y1
KR200248263Y1 KR2020010019135U KR20010019135U KR200248263Y1 KR 200248263 Y1 KR200248263 Y1 KR 200248263Y1 KR 2020010019135 U KR2020010019135 U KR 2020010019135U KR 20010019135 U KR20010019135 U KR 20010019135U KR 200248263 Y1 KR200248263 Y1 KR 2002482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box
meter
fixed
fixing plat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계기
Priority to KR2020010019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2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2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263Y1/ko

Links

Landscapes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전함용 계량기 고정판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내부로 인입되는 전원의 사용량을 표시하는 계량기나 과전압 발생시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스위치가 부착 설치되는 배전함에 계량기와 차단스위치가 설치된 계량기 고정판을 배전함에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계량기나 차단스위치의 설치작업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배전함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판의 상하측 단부에 배전함에 고정하기 위한 록킹돌기를 돌출 성형하고 상기 고정판의 록킹돌기와 대응되도록 배전함 내측 상하측면에 록킹홈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배전함 내부에 고정판을 밀어 넣어 고정판의 록킹돌기가 록킹홈에 끼워지도록 한 배전함용 계량기 고정판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함용 계량기 고정판의 고정구조{STRUCTURE OF WIRING BOX}
본 고안은 배전함용 계량기 고정판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내부로 인입되는 전원의 사용량을 표시하는 계량기나 과전압 발생시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스위치가 부착 설치되는 배전함에 계량기와 차단스위치가 설치된 계량기 고정판을 배전함에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계량기나 차단스위치의 설치작업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배전함용 계량기 고정판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전기의 사용량을 표시하는 계량기와 인입된 전원의 누전이나 과전압 발생과 같은 전압의 이상 발생시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스위치가 설치되었으며 상기 계량기와 차단스위치는 건물의 측벽에 전방이 개방된 상태로 매몰되게 설치되는 배전함의 내측에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상기 계량기와 차단스위치는 배전함 내부의 소정위치에 나사체결에 의하여 각각 고정 설치되었으며 상기 계량기와 차단스위치의 고정작업은 통상적으로 배전함이 벽면에 설치된 후 작업이 이루어졌다.
즉, 상기 배전함에 고정되는 계량기 및 차단스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형상으로 성형된 배전함(100)의 내부 전면에 계량기(G)와 차단스위치(S)의 나사체결을 위한 고정구멍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멍의 규격에 맞게 계량기(G)와 차단스위치(S)를 위치시킨 후 각각 나사 체결공정에 의하여 설치작업이 이루어졌다.
이때, 상기 계량기는 계량기 자체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배전함의 내측면에 나사에 의하여 고정이 이루어 졌으며 상기 차단스위치는 차단스위치의 상하측에 소정 규격으로 규격화된 고정홈에 별도의 고정클립을 록킹시킨 후 상기 고정클립을 상기 배전함의 내측면에 나사 결합시키므로서 계량기와 차단스위치의 고정이 이루어 졌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작업공정에 의하여 배전함에 설치되는 계량기 및 차단스위치는 상기 배전함이 건물의 건축인 상태에서 벽면에 설치된 상태로 설치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건물의 건축에 따른 작업장소의 번잡함에 따른 신속 정확한 작업이 불가능하였으며 그에 따른 계량기 및 차단스위치의 고정을 위한 나사체결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계량기나 차단스위치를 별도의 고정판을 이용하여 배전함에 설치되도록 하였으나 이는 상기 고정판을 배전함에 나사체결과 같은 작업공수를 필요로 하게되어 계량기나 차단스위치의 설치를 위한 작업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게되는 폐단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전함 내부에 설치되는 계량기 및 차단스위치가 부착되는 계량기 고정판을 배전함의 내측면에 용이하게 고정 설치되도록 하여 계량기 및 차단스위치의 고정 작업이 용이하며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장 환경에 구애받지 않으며 작업성이 향상되도륵 한 배전함용 계량기 고정판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배전함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판의 상하측 단부에 배전함에 고정하기 위한 록킹돌기를 돌출 성형하고 상기 고정판의 록킹돌기와 대응되도록 배전함 내측 상하측면에 록킹홈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배전함 내부에 고정판을 밀어 넣어 고정판의 록킹돌기가 록킹홈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서 소기의 목적이 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배전함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계량기 고정판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계량기 고정판의 고정상태를 보인 배전함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전함의 요부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전함 12 : 록킹홈
20 : 고정판 22 : 록킹돌기
G : 게량기 S : 차단스위치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인 배전함용 계량기 고정판의 고정구조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계량기 고정판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계량기 고정판의 고정상태를 보인 배전함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전함의 요부를 보인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함(10)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판(20)의 상하측 단부에 배전함(10)에 고정하기 위한 록킹돌기(22)를 돌출 성형하고 상기 고정판(20)의 록킹돌기(22)와 대응되도록 배전함(10) 내측 상하측면에 록킹홈(12)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배전함(10) 내부에 고정판(20)을 밀어 넣어 고정판(20)의 록킹돌기(22)가 록킹홈(12)에 끼워지도록 한 구성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30)은 고정판의 중앙을 보강 고정하는 고정나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전함(10) 내부 상하측면에 형성된 록킹홈(12)은 고정판(20)의 록킹돌기(22)와 서로 대응되도록 적당한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배전함(10)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고정판(20)의 상하측 단부에 형성된 록킹돌기(22)가 결합되어 고정판(20)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록킹돌기(22)는 고정판(20)의 상하측 단부에 일체로 돌출 성형되며 상기 록킹돌기(22)가 돌출 성형된 고정판(20)은 배전함(10) 내부에 상하측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배전함(10)의 상하측 길이에 맞게 형성되며 그 단부에 록킹돌기(22)가 돌출되어 배전함(10)의 록킹홈(12)에 끼워지게 되어 고정판(20)의 고정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된 고정판(20)은 배전함(10)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고정판(20) 자체의 탄성력으로 약간 휘어진 상태로 밀리면서 상하측 단부에 돌출된 록킹돌기(22)가 록킹홈(12)에 끼워지며 이와 동시에 고정판(20)의 탄성력에 의하여 록킹돌기(22)가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어 고정판(20)의 고정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배전함(10)에 고정 된 고정판(20) 중앙의 임의 위치에 고정나사(30)를 체결시키면 배전함(10)으로부터 고정판(20)의 중앙부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고정판(20)의 견고한 고정이 유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된 고정판(20)의 전면에는 계량기(G)나 차단스위치(S)를 먼저 결합한 후 계량기(G)나 차단스위치(S)가 결합된 고정판(20)을 배전함(10)의 소정 위치에 결합시키면 배전함(10)에 계량기(G)나 차단스위치(S)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배전함(10)에 고정된 고정판(20)은 중앙에 체결된 고정나사(30)를 해체한 후 고정판(20)의 중앙부위를 인위적으로 당겨주면 고정판(20)의 중앙부가 전방으로 휘어지며 이와 동시에 록킹홈(12)에 끼워진 록킹돌기(22)가 이탈되면서 고정판(20)이 분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전함용 계량기 고정판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면 배전함 내부에 설치되는 계량기 및 차단스위치가 부착되는 계량기 고정판을 배전함의 내측면에 용이하게 고정 설치되도록 하여 계량기 및 차단스위치의 고정 작업이 용이하며 동시에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전함이 설치되는 작업장 환경에 구애받지 않은 상태로 계량기 및 차단스위치의 용이한 설치작업이 가능하게되는 이점이 제공된다.

Claims (1)

  1. 배전함(10)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판(20)의 상하측 단부에 배전함(10)에 고정하기 위한 록킹돌기(22)를 돌출 성형하고 상기 고정판(20)의 록킹돌기(22)와 대응되도록 배전함(10) 내측 상하측면에 록킹홈(12)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배전함(10) 내부에 고정판(20)을 밀어 넣어 고정판(20)의 록킹돌기(22)가 록킹홈(12)에 끼워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함용 계량기 고정판의 고정구조.
KR2020010019135U 2001-06-25 2001-06-25 배전함용 계량기 고정판의 고정구조 KR2002482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135U KR200248263Y1 (ko) 2001-06-25 2001-06-25 배전함용 계량기 고정판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135U KR200248263Y1 (ko) 2001-06-25 2001-06-25 배전함용 계량기 고정판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263Y1 true KR200248263Y1 (ko) 2001-10-31

Family

ID=73104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135U KR200248263Y1 (ko) 2001-06-25 2001-06-25 배전함용 계량기 고정판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2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060B1 (ko) 2017-03-10 2018-08-21 이근승 노출형 계량기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060B1 (ko) 2017-03-10 2018-08-21 이근승 노출형 계량기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4318B2 (en) Electrical box with recessed faceplate
US5600093A (en) Dual purpose electrical box
US9502874B2 (en) Bracket and sleeve assembly
US6441304B1 (en) Electrical outlet assembly
CA2551509C (en) Pull out extension contained in electrical box
US7449633B2 (en) Electrical box for concrete walls
US8245862B2 (en) Electrical box with recessed faceplate
KR101168785B1 (ko) 전기장치를 벽에 설치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
KR101148123B1 (ko) 베이스 플레이트 및 고정부재로 구성된 조립체 유닛을구비한 버스 바 시스템
EP1882289B1 (en) Auxiliary support frame for at least one piece of electrical equipment
GB2113021A (en) Electrical collector rail with connectable adapter
BRPI0608936A2 (pt) estrutura de sustentação e grupo de peças, incluindo tal estrutura para montar um aparelho elétrico na parede
US5853098A (en) Repositioning backplate for an electrical outlet box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200248263Y1 (ko) 배전함용 계량기 고정판의 고정구조
US7425150B1 (en) Electrical speed box with single-drive locking pin
RU2451376C2 (ru) Электр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бытовых комплектов
KR20170034123A (ko) 조립블록을 이용한 전원분배장치
KR102094658B1 (ko) Frp 절연지지대의 체결방법 및 그에 결합되는 컷아웃스위치(cos)용 브래킷의 체결구조
KR200226073Y1 (ko) 계량기용 배전함 구조
JP4025603B2 (ja) 配線用ボックス間柱固定金具
KR200254024Y1 (ko) 계량기 함
KR200226074Y1 (ko) 배전함용 차단스위치의 결합구조
US6372989B1 (en) Equipment carrier for electric installation equipment
EP3514900B1 (en) Junction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