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761B1 -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 Google Patents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761B1
KR101096761B1 KR1020090134317A KR20090134317A KR101096761B1 KR 101096761 B1 KR101096761 B1 KR 101096761B1 KR 1020090134317 A KR1020090134317 A KR 1020090134317A KR 20090134317 A KR20090134317 A KR 20090134317A KR 101096761 B1 KR101096761 B1 KR 101096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ircuit breaker
input
main circuit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4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7676A (ko
Inventor
박명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엔티일렉트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엔티일렉트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엔티일렉트릭
Priority to KR1020090134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761B1/ko
Publication of KR20110077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6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having associated enclosure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Abstract

본 발명은, 분배전반의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차단기 및 서브차단기가 구성되고, 상기 메인차단기 및 서브차단기에 연결되어 메인차단기에서 공급된 전력을 서브차단기로 각각 분배하는 전원분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분배기는, 상기 메인차단기에 연결되는 입·출력 유니트에 입·출력 유니트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 결합유니트가 연속결합되는 하부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며 메인차단기와 연결되는 입·출력단자에 단자몸체 간의 사이가 좁게 형성되도록 세로방향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단자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단자부를 보호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에 의하면, 다수개의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가 각각 끼움식으로 연속결합되므로 제품의 호환성이 향상되고, 상부케이스에 형성된 보호편이 메인차단기와 서브차단기의 단자홈을 덮어 보호하기 때문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단자부의 단자몸체가 입·출력단자에 세로로 배열되어 고정됨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서브차단기가 연결되는 결합유니트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케이스의 하부에 결속확인돌기가 돌출되어 결속나사가 결속단자에 올바로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결합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단자의 연결불량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Figure R1020090134317
메인차단기, 서브차단기, 전원분배기, 단자부, 세로고정

Description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power controller for distributing case}
본 발명은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를 연속결합하며, 상부케이스의 보호편이 메인차단기와 서브차단기의 단자홈을 덮어 보호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단자부를 세로로 배열하여 고정하므로 제조비용의 절감 및 결합유니트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 내에는 그 구조물의 크기와 전력소모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배전반이 설치되며, 이러한 배전반은 외부의 변압기 등에서 인출되는 저압의 전기를 일련의 장치를 통해 각 부하에 배분함과 동시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배전반 내부에는 메인차단기와 다수의 서브차단기 및 그 외 각종 누전차단기들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차단기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일체형으로 형성된 전력분배기가 장착되 어 진다.
또한, 상기 전원분배기 내부에는 메인차단기와 서브차단기의 단자홈에 결합되어 메인차단기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서브차단기로 분배하는 역할을 하는 단자부가 판형상의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격자형으로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원분배기는 다수의 서브차단기 및 누전차단기의 설치시 차단기의 증가 수만큼 출력단자의 수도 많아져 전원분배기의 크기가 대형화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호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메인차단기와 서브차단기를 연결하는 단자부가 수평상태의 판체로 이루어져 격자형으로 결합되므로 단자부의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원분배기의 각종 정보를 식별하기 위해서 스티커와 같은 부착물을 붙여 사용해야 하므로 정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없어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복수개의 하부케이스가 연결부재에 의해 각각 연속적으로 결합되므로 호환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몸체의 보호편이 메인차단기 및 서브차단기의 단자홈을 덮어 보호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자부의 단자몸체가 입·출력단자에 세로로 배열되어 고정되므로 단자부의 제조비용을 절감하며 서브차단기가 연결되는 결합유니트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는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케이스에 결속확인돌기가 돌출되어 결속나사가 결속단자에 올바로 체결된 상태에서만 상부케이스가 하부케이스에 결합되므로 단자의 연결불량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분배전반의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차단기 및 서브차단기와;
상기 메인차단기 및 서브차단기에 연결되어 메인차단기에서 공급된 전력을 서브차단기로 각각 분배하는 전원분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분배기는,
상기 메인차단기에 연결되는 입·출력 유니트에 입·출력 유니트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 결합유니트가 연속결합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며 메인차단기와 연결되는 입·출력단자에 단자몸체 간의 사이가 좁게 형성되도록 세로방향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단자부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단자부를 보호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 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는, 복수개의 하부케이스가 연결부재에 의해 각각 결합되므로 제품의 호환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하부케이스와 대응하게 상부몸체가 연속결합되면서 상부몸체에 형성된 보호편이 메인차단기 및 서브차단기의 단자홈을 덮어 보호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부의 단자몸체가 입·출력단자에 세로로 배열되어 고정되므로 단자부의 제조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단자몸체 간의 사이가 좁아짐에 따라 서브차단기가 연결되는 결합유니트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케이스에 결속확인돌기가 하향돌출되어 결속나사가 결속단자에 체결된 상태에서만 상부케이스가 하부케이스에 결합되므로 단자의 연결불량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단자몸체에 입·출력단자가 설치된 상태 도이며, 도 5는 메인차단기와 서브차단기 및 전원분배기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메인차단기가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서브차단기가 설치된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분배전반(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차단기(100) 및 서브차단기(200)가 구성되고, 상기 메인차단기(100) 및 서브차단기(200)에 연결되어 메인차단기(100)에서 공급된 전력을 서브차단기(200)로 각각 분배하는 전원분배기(300)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분배기(300)는, 상기 메인차단기(100)에 연결되는 입·출력 유니트(311)에 입·출력 유니트(311)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 결합유니트(312)가 연속결합되는 하부케이스(31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케이스(310)의 내부에 장착되며 메인차단기(100)와 연결되는 입·출력단자(321)에 단자몸체(322) 간의 사이가 좁게 형성되도록 세로방향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단자부(320)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케이스(3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단자부(320)를 보호하는 상부케이스(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부케이스(310)는, 상기 입·출력단자(321)가 장착되도록 일측에 입·출력홈(311a)이 형성되는 입·출력 유니트(311)가 구비되고, 상기 입·출력 유니트(311)에 연속결합되어 단자몸체(322)를 수용하도록 내측에 수용공간(312a)이 형성된 결합유니트(312)가 구비되며, 상기 입·출력 유니트(311)와 결합유니트(312)가 서로 밀착되는 밀착면에 연결홈(313a)과 연결돌기(313b)가 각각 형성되는 연결부재(313)가 구비되고, 상기 입·출력 유니트(311)와 결합유니트(312)의 상부로 돌 출되어 상부케이스(330)가 결합되는 결합돌부(314)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돌부(314)는 후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출력단자(321)의 단부가 절곡되어 단자몸체(322)에 고정되는 절곡편(321a)이 구비된다.
상기 입·출력단자(321)는 단자몸체(322)의 단부에 상.하로 대향되게 고정되거나 상.하부 중 어느 한곳에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출력단자(321)는 스크류, 용접, 리벳 중 어느 하나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자부(320)의 단자몸체(322) 상부에 고정되어 서브차단기(200)와 연결되는 분배단자(32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330)는, 상기 하부케이스(3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메인차단기(100)와 서브차단기(200)의 단자홈(110)(210)을 보호하도록 보호편(331a)이 형성된 상부몸체(331)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체(331)의 하부에 메인차단기(100)와 서브차단기(200)의 단자홈(110)(210)으로 돌출되는 결속확인돌기(332)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몸체(331)의 하부에 하부케이스(310)와 결합되도록 결합홈(33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330)의 상면에 각각 구획되는 정보표시부(334)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정보표시부(334)는, 상기 상부케이스(330)의 표면에 요입되어 정보표시부재(334b)가 수납되는 수납홈(334a)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홈(334a)에 수납되는 정보표시부재(334b)가 구비되며, 상기 수납홈(334a)의 상부 일측이 개방되며 양측으로 요입되어 투시판(334d)이 장착되는 슬라이드홈(334c)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홈(334c)에 장착되어 정보표시부재(334b)를 보호하면서 정보표시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투시판(334d)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330)가 결합된 하부케이스(310)를 분배전반(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4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340)는 스크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결합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분배전반(10) 내부에는 외부의 전력을 공급받는 메인차단기(100)가 임의의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메인차단기(100)는 양측에 단자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단자홈(110)에는 결속나사(20)의 체결에 의해 결속단자(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메인차단기(100)의 일측에는 하부케이스(310)와 상부케이스(320)로 구성된 전원분배기(300)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전원분배기(300)의 결합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분배기(300)는, 하부케이스(310)의 입·출력 유니트(311)가 메인차단기(100)의 일측에 밀착되며, 상기 입·출력 유니트(311)의 일측에는 결합유니트(312)를 밀착시키되 연결돌기(313b)가 연결홈(313a)과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도록 한 후 결합유니트(312)를 가압하게 되면 입 ·출력 유니트(311)와 결합유니트(312)가 연결부재(313)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결합유니트(312)는 전원분배기(300)에 결합되는 서브차단기(200)의 수에 따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연속 반복적으로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하부케이스(310)의 내부에는 메인차단기(100)의 단자홈과 서브차단기(200)의 단자홈(2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단자부(320)가 장착된다.
상기 단자부(320)는 입·출력 유니트(311)의 입·출력홈(311a)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입·출력단자(321)가 구비되며, 상기 입·출력단자(321)의 단부에는 단자몸체(322)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절곡된 절곡편(321a)이 구비된다.
상기 입·출력단자(321)의 절곡편(321a)에는 단자몸체(322)가 세로방향으로 고정되며, 도 4에 도시된 비와 같이, 상기 입·출력단자(321)는 단자몸체(322)의 단부에 상,하로 대향되게 고정될 수도 있으며, 상,하부 중 어느 한곳에만 고정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입·출력단자(321)는 단자몸체(322)에 상,하로 대향되게 고정될 경우 입·출력단자(321)와 단자몸체(322)의 두께는 3mm이며 단자몸체의 폭은 2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입·출력단자(321)가 단자몸체(322)에 상,하부 중 어느 한곳에만 고정될 경우에는 입·출력단자(321)의 두께가 8mm이며 단자몸체(322)의 폭은 25mm인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단자몸체(322)가 세로로 고정되면 단자몸체(322) 간의 간격을 좁게 형성할 수 있으며, 단자몸체(322)가 위치하는 결합유니트(312)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어 결합유니트(312)의 양측으로 연결되는 서브차단기(200)의 폭도 줄일 수 있어 공간활용성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상기 입·출력단자(321)는 단자몸체(322)는 스크류, 용접, 리벳 중 어느 하나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단자부(320)를 하부케이스(310)에 결합시키되 입·출력단자(321)는 입·출력유니트(311)의 입·출력홈(311a)에 위치되도록 하고, 단자몸체(322)는 결합유니트(312)의 수용공간(312a)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케이스(310)에 단자부(3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차단기(100)의 일측에 하부케이스(310)를 위치시키고, 메인차단기(100)의 단자홈(110)에 입·출력단자(321)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입·출력단자(321)에 결속단자(30)를 끼운 후 결속나사(20)를 회전시켜 결합한다.
또한, 상기 결합유니트(312)의 양측방에 서브차단기(200)를 위치시키고, 서브차단기(200)의 단자홈(210)에 분배단자(323)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분배단자(323)에 결속단자(30)를 끼운 후 결속나사(20)를 회전시켜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전원분배기(300)에 메인차단기(100)와 서브차단기(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330)의 상부몸체(331)를 입·출력유니트(311)와 결합유니트(312)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부몸체(331)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333)이 입·출력유니트(311)와 결합유니트(312)의 상부에 돌출된 결합돌부(314)와 수직선상이 되도록 하여 결합시키면, 상부몸체(331)는 결합돌부(314)와 결합되면서 상,하부케이스(310)(330)가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부몸체(331)의 보호편(331a)은 메인차단기(100)와 서브차단기(200)의 단자홈(110)(210)을 덮어 보호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호편(331a)에 하향으로 돌출된 결속확인돌기(332)는 메인차단기(100)와 서브차단기(200)의 단자홈(110)(210)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결속확인돌기(332)는 메인차단기(100)와 서브차단기(200)의 단자홈(110)(210)에 구비된 결속나사(20)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부케이스(330)가 하부케이스(310)에 결합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330)에 다수의 서브차단기(200)로 분배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재(334b)를 수납할 수 있도록 정보표시부(334)가 형성된다.
상기 정보표시부(334)는 상부케이스(330)의 상면에 각각 구획되며, 상부몸체(331)의 표면에 요입되는 수납홈(334a)에 정보표시부재(334b)를 수납한 상태에서, 수납홈(334a)의 상부 양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된 슬라이드홈(334c)에 투명재질의 투시판(334d)을 슬라이드시켜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정보표시부(334)는 상부몸체(331)의 표면에 각각 구획되므로 다수의 서브차단기(200)로 분배되는 각종 정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원분배기(300)를 분배전반(1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하부케이스(310)에 단자부(320)가 결합되고, 단자부(320)에 메인차단기(100)와 서브차단기(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케이스(310)의 내측에서 고정부재(340)를 체결하게 되면 하부차단기(310)는 분배전반(10)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340)는 볼트 및 너트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스크류로 형성될수도 있으나 스크류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단자몸체에 입·출력단자가 설치된 상태도
도 5는 메인차단기와 서브차단기 및 전원분배기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메인차단기가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서브차단기가 설치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메인차단기 110: 단자홈
200: 서브차단기 210: 단자홈
300: 전원분배기 310: 하부케이스
311: 입·출력 유니트 311a: 입·출력홈
312: 결합유니트 313: 연결부재
313a: 연결홈 313b: 연결돌기
314: 결합돌부 320: 단자부
321: 입·출력단자 322: 단자몸체
323: 분배단자 330: 상부케이스
331: 상부몸체 332: 결속확인돌기
333: 결합홈 334: 정보표시부
334a: 수납홈 334b: 정보표시부재
334c: 슬라이드홈 334d: 투시판
340: 고정부재

Claims (12)

  1. 분배전반의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차단기 및 서브차단기와;
    상기 메인차단기 및 서브차단기에 연결되어 메인차단기에서 공급된 전력을 서브차단기로 각각 분배하는 전원분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분배기는,
    상기 메인차단기에 연결되는 입·출력 유니트에 입·출력 유니트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 결합유니트가 연속결합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며 메인차단기와 연결되는 입·출력단자에 단자몸체 간의 사이가 좁게 형성되도록 세로방향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단자부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단자부를 보호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케이스는,
    상기 입·출력단자가 장착되도록 일측에 입·출력홈이 형성되는 입·출력 유니트와;
    상기 입·출력 유니트에 연속결합되어 단자몸체를 수용하도록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결합유니트와;
    상기 입·출력 유니트와 결합유니트가 서로 밀착되는 밀착면에 연결홈과 연 결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입·출력 유니트와 결합유니트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부케이스가 결합되는 결합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부는 후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단자의 단부가 절곡되어 단자몸체에 고정되는 절곡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단자는 단자몸체의 단부에 상.하로 대향되게 고정되거나 상.하부 중 어느 한곳에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단자는 스크류, 용접, 리벳 중 어느 하나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의 단자몸체 상부에 고정되어 서브차단기와 연결되는 분배단자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메인차단기와 서브차단기의 단자홈을 호호하도록 보호편이 형성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메인차단기와 서브차단기의 단자홈으로 돌출되는 결속확인돌기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하부케이스와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면에 각각 구획되는 정보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정보표시부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표면에 요입되어 정보표시부재가 수납되는 수납홈과;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는 정보표시부재와;
    상기 수납홈의 상부 일측이 개방되며 양측으로 요입되어 투시판이 장착되는 슬라이드홈과;
    상기 슬라이드홈에 장착되어 정보표시부재를 보호하면서 정보표시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투시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가 결합된 하부케이스를 배전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스크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KR1020090134317A 2009-12-30 2009-12-30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KR101096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317A KR101096761B1 (ko) 2009-12-30 2009-12-30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317A KR101096761B1 (ko) 2009-12-30 2009-12-30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676A KR20110077676A (ko) 2011-07-07
KR101096761B1 true KR101096761B1 (ko) 2011-12-21

Family

ID=44917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4317A KR101096761B1 (ko) 2009-12-30 2009-12-30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7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6716A (ko) 2013-07-09 2015-01-19 권영민 부스바 과열경보 단자 지지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03560A1 (de) * 2020-03-19 2021-09-23 Ellenberger & Poensgen Gmbh Stromverteiler eines Bordnetzes eines Kraftfahrzeug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7508A (ja) 1997-05-23 1998-12-08 Nitto Kogyo Co Ltd 分電盤の母線支持台
KR100988056B1 (ko) 2009-09-08 2010-10-18 태인전력시스템(주)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7508A (ja) 1997-05-23 1998-12-08 Nitto Kogyo Co Ltd 分電盤の母線支持台
KR100988056B1 (ko) 2009-09-08 2010-10-18 태인전력시스템(주)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6716A (ko) 2013-07-09 2015-01-19 권영민 부스바 과열경보 단자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676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93553A1 (en) Modular solar box
KR100988056B1 (ko)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
KR100805392B1 (ko)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홀더
KR101506672B1 (ko) 전원 분배장치
KR101096761B1 (ko)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US7495932B2 (en) Electric apparatus with electric terminals and fused structures
KR20140089653A (ko) 배전반용 방열형 버스바 연결유닛
KR100996857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직결 장착대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KR200464646Y1 (ko) 배전반용 전원분배기
US8664805B2 (en)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CN106099512A (zh) 轨道式电源插座
US7295427B2 (en) Electrical component with flush side action fasteners for a load center basepan
KR100936253B1 (ko) 배전반용 전원분배기
US7245480B2 (en) Electrical component side action fasteners for a load center basepan
KR20170034123A (ko) 조립블록을 이용한 전원분배장치
CN205610195U (zh) 一种组装方便的自复式过欠压保护器
US7417849B2 (en) Electrical component fastener for a load center basepan
KR20100000309A (ko) 조립식 전원분배장치
KR100817887B1 (ko) 부스바 케이스
KR101302576B1 (ko) 스마트 분전반
JP4958282B2 (ja) ブレーカユニット
CA2530251C (en) Bus shroud
CN211957561U (zh) 一种空开断路器拼装结构
KR200449000Y1 (ko)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
KR100965561B1 (ko) 공동주택의 전기공급제어를 위한 제어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