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896Y1 - 플라스틱 전력계함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전력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896Y1
KR200191896Y1 KR2020000008093U KR20000008093U KR200191896Y1 KR 200191896 Y1 KR200191896 Y1 KR 200191896Y1 KR 2020000008093 U KR2020000008093 U KR 2020000008093U KR 20000008093 U KR20000008093 U KR 20000008093U KR 200191896 Y1 KR200191896 Y1 KR 2001918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ter
plastic
upper cov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0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riority to KR2020000008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8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8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간에 전원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전력계함에 관한 것으로, 개폐기와 타이머, 계량기 및 차단기가 장치되는 함이 플라스틱에 의해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계량기와 개폐기 및 타이머 등의 장치가 부착되도록 고정용리브들이 내부 전면에 형성되며, 하부쪽에 상기 차단기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하부공간을 두고 격판(40)이 결합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의 전면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단부에 차양(21)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차양 하부쪽에 검침창(22)이 형성되는 상부커버(20)와;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에서 상기 베이스의 하부공간에 개폐되도록 지지되는 하부커버(30)로 구성되어, 구조물의 벽에 베이스(10)를 먼저 설치한 상태에서 내부 장치들을 부착할 수 있도록 되고, 무게가 가벼워 설치작업이 쉽도록 하며, 베이스(10)가 절연체이므로 접지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치 공정이 단축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도록 하고, 또한, 상부커버(20)의 검침창(22) 상부에 차양(21)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우천시 검침창(22)이 젖는 것을 방지하여 검침이 용이하도록 하는 플라스틱 전력계함이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전력계함{a wattmeter housing by plastic}
본 고안은 야간에 전원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개폐기와 계량기 및 차단기 등이 내부에 장치되는 전력계함에 관한 것으로, 중량이 가볍고 누전 및 감전의 위험성이 제거되어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수명이 길고 계량기의 계측이 용이하도록 하는 플라스틱에 불연성을 가미한 전력계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력계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사각틀 형상의 베이스(1)가 형성되고, 베이스(1)의 후면부에 나사체결구멍이 형성된 브라켓이 일체로 결합되며, 전면 개구부의 상부와 하부에 상부커버(2) 및 하부커버(3)가 각기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에서, 베이스(1)는 철판을 절곡시켜 사각틀로 형성한 것으로, 내부에 격판이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격판의 상부 공간에 계량기와 개폐기 및 타이머 등이 서로 통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격판 하부 공간에 차단기가 개폐기에 제어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부커버(2)는 계량기를 검침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 구부에 검침창(4)이 결합되며, 베이스(1) 전면의 상부 공간에 개폐 가능하게 일측이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이 봉인에 의해 개폐가 제한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부커버(3)는 베이스(1) 전면의 하부 공간에 개폐 가능하게 일측이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에 잠금수단(5)이 장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전력계함은 베이스(1) 내부에 목재 합판을 부착하고, 상기 목재 합판에 계량기와 개폐기 및 타이머 등 장치들을 고정한 후 베이스(1)의 후면에 형성되는 브라켓에 의해 다른 구조물에 노출되게 설치하도록 하며, 상부 공간에 장착되는 개폐기가 외부 전원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여, 타이머의 자동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개폐기의 개폐에 따라 외부의 전원이 일정 시간동안 입력되게 되고, 출력되는 전력이 계량기에 의해 검출되게 되며, 상부커버(2)에 형성된 검침창(4)을 통해 계량기를 검침하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종래 전력계함은 철제로 형성되고 외부에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누전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를 하며, 내부에 장착되는 계량기와 제어장치 등을 베이스(1)에 장착한 상태로 설치하는 것이 통례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전력계함은 함의 무게가 무겁고 내장되는 장치들이 부착되는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힘들었으며, 여러 작업인원을 필요로 하고, 고무바킹에 의해 전체를 방수 처리해야 하며, 누전방지를 위한 접지작업 등으로 인해 설치 공정이 많아져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식성이 큰 철판으로 형성되고,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쉽게 부식되어 훼손되고 수명이 짧았으며, 접지를 할지라도 누전 및 감전, 합선의 위험성 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중량이 가볍도록 하고, 누전 및 감전, 방전의 위험성이 없도록 하여 접지공정이 제거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 안전성 및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수명이 길고 계량기의 계측이 용이하도록 하는 플라스틱 전력계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이다.
도 1은 종래 전력계함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력계함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력계함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 전력계함의 베이스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 전력계함의 베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상부커버의 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 전장품의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11 : 힌지돌기
12a,12b,12c,12d,12e : 고정용리브 14 : 인서트볼트
15a,15b,15c : 부착판 16,17 : 잠금고리
20 : 상부커버 21 : 차양
22 : 검침창 23 : 상부힌지
30 : 하부커버 31 : 하부힌지
40 : 격판 51 : 개폐기
52 : 타이머 53 : 계량기
54 : 배수계량기 55 : 차단기
본 고안은 고충격 플라스틱에 의해 성형되는 것으로, 커버가 개폐되도록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계량기와 제어장치가 부착되도록 고정용리브들이 내부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쪽에 하단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격판이 하부공간을 형성하며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전면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일측이 힌지에 의해 베이스의 일측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에 차양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차양 하부쪽에 검침창이 형성되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에서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일측이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이 베이스 하부의 타측부에 개폐되도록 하는 하부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커버(20)와 하부커버(30)가 개폐되도록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양 측면부와 상면 및 저면부가 일체로 형성된 베이스(10)의 내부 전면에 계량기와 개폐기(선택적), 타이머, 배수계량기(선택적) 등의 장치가 부착되도록 하는 고정용리브(12a,12b,12c,12d,12e)들이 일체로 성형된다. 또한, 베이스(10)의 하부쪽에 저면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격판(4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저면과 격판(40) 사이의 하부공간에 차단기를 설치하도록 되며, 베이스(10)의 일측면에 상부커버(20) 및 하부커버(30)를 지지하기 위한 힌지돌기(11)들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부커버(20) 및 하부커버(3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잠금고리(16),(17)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10)는 각 모서리부위가 곡면으로 형성되고, 그 내벽면에는 외곽부와 중간부에 고정 설치용 고정볼트들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되도록 볼트구멍(13)들이 형성되며, 고정용리브(12a,12b,12c,12d,12e)의 주변에 각종 장치를 용이하게 고정하기 위한 인서트볼트(14)와 체결용보스(e) 및 슬리트체결홈(c)들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10)의 격판(40)은 베이스(10)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 사이에 리브(18)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리브(18)에 연속되는 격판(40)이 베이스(10) 양 측면의 내면에 형성되는 레일형 리브(d)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리브(18)와 격판(40)의 밀착부에 복수개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한편, 베이스(10)의 전면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덮이는 상부커버(20)는 도 2와 도 3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단부에 차양(21)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차양(21)의 하부쪽에 볼록렌즈로 형성되는 검침창(22)이 형성되며, 일측이 상부힌지(23)에 의해 베이스(10)의 일측 힌지돌기(1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타측에 봉인수단이 체결되도록 잠금고리(24)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커버(20)의 하부에서 베이스(10)의 전면 하부에 개폐 가능하게 덮이는 하부커버(3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측이 하부힌지(31)에 의해 상기 베이스(10) 일측 힌지돌기(1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이 베이스(10)의 잠금고리(17)에 착탈 하도록 하는 잠금고리(32)가 일체로 형성되며, 하단면에 관통구멍(b)이 형성되고, 잠금고리(32)가 형성되는 타측 연부에 손잡이용의 노취부(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베이스(10) 후면과 구조물 사이에 탄력적으로 압축이 가능한 밀착패드(19)를 삽입시키고 볼트구멍(13)에 삽입되는 고정볼트들에 의해 외부 구조물에 설치하며, 베이스(10)에 돌출된 고정용리브 및 나사홈에 의해 계량기와 타이머, 차단기 등을 부착한다. 또한, 도 4와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부 전원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개폐기(51)가 격판(40) 상부의 중간부 고정용리브(12c)에 부착되고, 개폐기(51)에 제어 가능하게 연결되는 타이머(52)가 개폐기(51)의 상부에 돌출된 고정용리브(12a)에 부착되며, 개폐기(51)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계량기(53)가 타이머(52)의 측부에 형성된 고정용리브(12b)에 부착되도록 된다. 또한, 전원이 단상일 때 계량기(53) 및 개폐기(51)의 출력측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배수계량기(54)가 계량기(53)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용리브(12d)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도록 되며, 격판(40)의 하부공간에 형성된 고정용리브(12e)에 설치되는 차단기(55)가 개폐기(51)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된다.
한편, 베이스(10)의 전면 외곽부와 상부커버(20) 및 하부커버(30)의 외곽부 사이에는 고무 오링(O-ring)이 기밀 하게 삽입되고, 격판(40) 상면에 스펀지가 삽입되어 기밀이 유지되도록 된다. 또한, 개폐기(51)가 부착되도록 하는 고정용리브(12c)와 차단기(55) 및 배수계량기(54)가 부착되도록 하는 고정용리브(12d),(12e) 주변에는 여러 개의 핀구멍들이 형성되는 부착판(15a,15b,15c)이 형성되어 장치들의 부착이 용이하고 부착위치의 오차를 수용하도록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밀착패드(19)가 구조물 사이에 삽입되어 구조물과 베이스(10) 사이의 불균형을 탄력적으로 수용하게 되며, 플라스틱을 성형하여 형성하므로 차단기(55) 장착부분을 일체로 형성하고, 그 하부공간을 격판(40)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부커버(20)와 하부커버(30)에 의해 전면 개구부가 독립적으로 개폐되도록 하고, 배수계량기(54)를 부착할 수 있는 고정용리브(12d)가 형성되어 단상 계량기 및 삼상 계량기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제조가 간단한데 비해 실용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베이스(10)의 전면 외곽부와 상부커버(20) 및 하부커버(30)의 배면 사이에 기밀용 오링과 스펀지가 삽입되어 방수효과가 향상되며, 내식성과 내구성 및 재활용성이 큰 플라스틱 재질에 의해 성형되므로 수명이 길어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플라스틱 성형에 의해 제조되므로 중량이 가볍고 생산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구조물의 벽에 베이스(10)를 먼저 설치한 상태에서 내부 장치들을 부착할 수 있도록 되고, 무게가 가벼워 설치작업이 쉽도록 하며, 베이스(10)가 절연체이므로 접지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치 공정이 단축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상부커버(20)의 검침창(22) 상부에 차양(21)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검침부가 볼록렌즈로되어 우천시 검침창(22)이 젖는 것을 방지하고 검침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중량이 가볍도록 하고 접지공정이 제거되도록 하므로 안전성 및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수명이 길어지도록 하며, 계량기와 개폐기 등 각 장치 부착구조를 개선하여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사용 전력을 검출하는 계량기와 제어장치들이 상기 계량기에 통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함에 있어서,
    상기 함이 플라스틱에 의해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계량기 및 제어장치가 부착되도록 고정용리브들이 내부에 형성되며, 하부쪽에 상기 차단기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하부공간을 두고 격판(40)이 결합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의 전면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단부에 차양(21)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차양 하부쪽에 검침창(22)이 형성되는 상부커버(20)와;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에서 상기 베이스의 하부공간에 개폐되도록 지지되는 하부커버(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전력계함.
  2.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개페기 및 배수계량기를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고정용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전력계함.
  3.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고정용리브들 주변에 핀구멍들이 형성되는 부착판((15a,15b,15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전력계함.
KR2020000008093U 2000-03-22 2000-03-22 플라스틱 전력계함 KR2001918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093U KR200191896Y1 (ko) 2000-03-22 2000-03-22 플라스틱 전력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093U KR200191896Y1 (ko) 2000-03-22 2000-03-22 플라스틱 전력계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896Y1 true KR200191896Y1 (ko) 2000-08-16

Family

ID=1964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093U KR200191896Y1 (ko) 2000-03-22 2000-03-22 플라스틱 전력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896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000Y1 (ko) 2008-02-26 2010-06-09 (주)세진상아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
KR200453737Y1 (ko) 2009-11-05 2011-05-27 선도전기주식회사 전자식 전력량계
KR101138458B1 (ko) * 2011-11-29 2012-04-26 (주)키삭 계량기 일체형 함체
KR101455294B1 (ko) * 2013-10-04 2014-10-31 남영기전 주식회사 원격검침 계량기함
KR102075401B1 (ko) * 2018-12-21 2020-02-10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전력 계량기의 봉인 및 도전 방지 방법
KR102075406B1 (ko) * 2018-12-21 2020-02-10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전력 계량기의 봉인 및 도전 방지 방법
KR20200078305A (ko)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전력 계량기의 봉인 및 도전 방지 방법
KR20200112789A (ko) * 2019-08-26 2020-10-05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전력 계량기의 봉인 및 도전 방지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000Y1 (ko) 2008-02-26 2010-06-09 (주)세진상아 계량기박스용 부품고정판
KR200453737Y1 (ko) 2009-11-05 2011-05-27 선도전기주식회사 전자식 전력량계
KR101138458B1 (ko) * 2011-11-29 2012-04-26 (주)키삭 계량기 일체형 함체
KR101455294B1 (ko) * 2013-10-04 2014-10-31 남영기전 주식회사 원격검침 계량기함
KR102075401B1 (ko) * 2018-12-21 2020-02-10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전력 계량기의 봉인 및 도전 방지 방법
KR102075406B1 (ko) * 2018-12-21 2020-02-10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전력 계량기의 봉인 및 도전 방지 방법
KR20200078305A (ko)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전력 계량기의 봉인 및 도전 방지 방법
KR102420810B1 (ko) 2018-12-21 2022-07-14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봉인 및 도전방지가 가능한 전력 계량기
KR20200112789A (ko) * 2019-08-26 2020-10-05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전력 계량기의 봉인 및 도전 방지 방법
KR102664572B1 (ko) 2019-08-26 2024-05-09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전력 계량기의 봉인 및 도전 방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1896Y1 (ko) 플라스틱 전력계함
WO2011142685A2 (en) Distribution meter cabinet with ventilation device for mounting on the posts, walls or on the stand to post on public areas, either independently or side-to-side
US6975504B2 (en) Overall watthour metter enclosure safety replacement window
CN207801001U (zh) 充电桩装配结构
PL62127Y1 (pl) Puszka przylaczeniowa instalacji elektrycznej PL PL
CN215069832U (zh) 一种配备防雨罩的户外断路器
CN215678517U (zh) 一种防窃电计量箱
JP2738377B2 (ja) 防水機能付き屋外設置筐体
CN214099741U (zh) 一种用于电能表的防水电池盒
US9385514B2 (en) Power housing with articulating door and faceplate assembly
KR200188468Y1 (ko) 옥외용 가설 분전반
KR20090103402A (ko) 가로등 단자함 관리구의 커버가 개선된 가로등주
CN211628941U (zh) 一种带有指示灯的开关
CN217004374U (zh) 防水控制盒以及智慧路灯
CN204929486U (zh) 一种防水防尘型音视一体化警报控制器
JP3024486U (ja) 屋外機器用筐体の防水構造
CN217521242U (zh) 一种防水电表箱结构
CN217984104U (zh) 一种户外环网柜密封防浸水装置
CN219305195U (zh) 防水通信设备箱
CN220270540U (zh) 一种地上水表箱
CN218631858U (zh) 一种塑壳式断路器
CN218512515U (zh) 一种防水型电表箱
CN212841419U (zh) 一种路灯灯杆
CN214429056U (zh) 一种具有防漏电功能的防爆配电箱
CN219203897U (zh) 校园用电设备配电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