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737B1 - 개별 분전함 커버 - Google Patents

개별 분전함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737B1
KR101808737B1 KR1020150135394A KR20150135394A KR101808737B1 KR 101808737 B1 KR101808737 B1 KR 101808737B1 KR 1020150135394 A KR1020150135394 A KR 1020150135394A KR 20150135394 A KR20150135394 A KR 20150135394A KR 101808737 B1 KR101808737 B1 KR 101808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ner frame
opening
distributo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6340A (ko
Inventor
정찬근
Original Assignee
정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찬근 filed Critical 정찬근
Priority to KR1020150135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737B1/ko
Publication of KR20170036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4Hinged covers 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개별 분전함 커버는 다수개의 분전반이 수용되는 분전함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분전반과 대응되는 위치에 개방된 개구부가 구비되는 분전함도어, 분전함도어와 접하여 탄성 지지되는 탄성편이 구비되어, 개구부의 외측둘레에 결합되는 프레임부 및 프레임부에 외주연이 고정되고,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윈도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별 분전함 커버 {INDIVIDUAL COVER FOR DISTRIBUTION BOX}
본 발명은 분전반(distribution board)이 수용되는 분전함의 커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분전함의 전면에 구비되는 투명창을 개별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세대의 구분을 용이하게 하고 조립 및 보수를 간편하게 한 분전함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의 건축형태 및 주거환경은 여러 구분된 세대가 하나의 건물을 구획함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아파트, 오피스텔, 상가, 다가구, 다세대 주택 등 다수의 세대가 하나의 건물내에서 전기, 수도, 도시가스등을 분배하여 사용하고 있고, 이를 분배하는 분배기에는 각 세대별로 사용량을 계측할 수 있는 계측기가 구비된다.
전기의 경우 건물의 외벽 또는 복도, 계단실 등에 배전반에서 배선된 간선이 분기되며, 각 분기회로마다 스위치 및 계측기를 설치한 분전반이 설치된다.
분전반의 전면에는 전류가 공급된 상태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식의 계기판이 구성되므로, 분전반을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분전함의 전면에는 도1에 도시된 것처럼,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에 투명한 창을 결합하여 계기판을 외부에서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하였었다.
하지만, 가로로 길게 창이 형성되는 종래기술의 경우 분전함의 전면에 투명창을 설치하기 위한 공정이 까다로웠고, 부분적으로 파손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도 전체적인 교체작업을 필요로 하기에, 교체 및 보수에 따른 비용 및 인건비가 크게 발생 된다는 단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0069909호 '계량기함'에서는 각각의 세대별로 분기되어 있는 분전반에 개별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계량기함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삽입부의 외주연에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가 분전함의 내측에 걸려 고정되는 구성이므로, 체결력을 얻기 위해 너트부재를 필요로 하였고, 다양한 두께의 분전함에 두루 활용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분전함의 전면창을 세대별로 구분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장착되어 다양한 두께의 분전함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며, 계기판의 시인성을 높인 분전함 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개별 분전함 커버는 다수개의 분전반이 수용되는 분전함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분전반과 대응되는 위치에 개방된 개구부가 구비되는 분전함도어, 분전함도어와 접하여 탄성 지지되는 탄성편이 구비되어, 개구부의 외측둘레에 결합되는 프레임부 및 프레임부에 외주연이 고정되고,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윈도우를 포함한다.
또는, 프레임부는 분전함도어의 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외측프레임 및 개구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내측프레임을 포함하고, 내측프레임의 측면에 탄성편이 구비된다.
그리고, 외측프레임은 외측둘레가 후방으로 만곡되어 연장되며 만곡된 끝단이 분전함도어의 전면과 접하고, 탄성체로 형성된다.
또는, 윈도우는 내측프레임이 개구부로 삽입된 끝단에 구비되어, 분전함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윈도우는 중심부가 두껍고 외측둘레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는 볼록렌즈부를 포함한다.
또는, 탄성편은 일단부의 일측이 내측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외측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되되 만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편은 만곡된 타단부에 형성되는 단턱인 고정단을 포함한다.
또는, 개구부는 외측둘레에 탄성편이 진입할 수 있는 너비로 형성되는 삽입홈 및 고정단과 대응되는 너비로 형성되어 고정단이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별 분전함 커버는 세대별로 분전함 커버가 구비되므로, 기존의 길이가 길었던 전면창과 비교하여 설치가 간단하고, 교체 및 보수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분전반이 수용되는 분전함 전면도어의 두께가 특정되지 않아도, 다양한 두께의 전면 분전함도어에 장착될 수 있어 범용성이 크며, 투명창에 볼록렌즈를 구성하여 분전반에 표시되는 계측량을 확인할 수 있는 시인성을 높인 효과가 있고, 전면창을 함몰형성하여 외부충격에 노출될 가능성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분전함 및 분전함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전함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전함 커버의 정면도 및 탄성편을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전함 커버의 개구부 및 탄성편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전함 커버의 외측프레임 및 탄성편이 분전함도어를 가압하여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전함 커버의 윈도우가 볼록렌즈로 구현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전함 커버의 윈도우가 일부분 볼록렌즈로 구현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전함 커버의 외측프레임이 사각형으로 실시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별 분전함 커버는 하기 되는 것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전함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전함 커버의 정면도 및 탄성편을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전함 커버의 개구부 및 탄성편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전함 커버는 크게 내측공간에 다수개의 분전반(10)이 수용되는 분전함(100), 분전함(100)의 전면에 결합되는 개폐수단인 분전함도어(200), 분전함도어(200)에 각각의 분전반(10)과 대응되는 위치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210), 분전함도어(200)의 개구부(210)에 장착되는 프레임부(300) 및 프레임부(3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외측둘레가 프레임부(300)에의해 고정되는 윈도우(400)로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상기된 각각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분전함(100)은 배전반에서 배선된 간선을 다시 분기 배선하는 분전반(10)이 내부에 수용되는 함체(housing)이나, 분전반(10)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라면 충분할 것이고, 반드시 측면 및 배면등이 갖춰진 함체 또는 케이스(case)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전함(100)의 개방된 전면이 분전함도어(200)와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고, 그 형상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분전함(100)의 내측공간에는 계측기가 전면을 향하도록 다수개의 분전반이 고정된다.
분전함도어(200)는 분전함(100)과 일측에서 힌지결합되고, 타측에 잠금장치 또는 걸림장치가 구비되어 분전함(100)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분전반(10)이 수용되는 분전함(100) 및 분전함(100) 전면에 구비되는 분전함도어(200)의 결합구성, 개폐여부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구부(210)는 분전함도어(200)의 전면에 개방되어 형성되는 통공으로 분전함(100)의 내부에 수용된 분전반(10)의 개수와 동일한 숫자로 구비되며, 분전반(10)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구부(210)는 분전반(10)의 전면을 관찰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지닌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10)의 외측둘레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절개된 삽입홈(212) 및 고정홈(214)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12)은 후술될 탄성편(330)이 간섭없이 통과할 수 있는 너비로 형성되며, 개구부(210)의 외측둘레에서 마주보는 방향에 서로 대향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홈(214)는 후술될 고정단(332)의 단턱이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너비로 형성되며, 개구부(210)의 외측둘레에서 마주보는 방향에 서로 대향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부(3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분전함도어(200)의 전면과 접하는 외측프레임(310), 분전함도어(200)의 (210)에 삽입되는 내측프레임(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전함 커버의 외측프레임 및 탄성편이 분전함도어를 가압하여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외측프레임(310)은 분전함도어(200)의 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프레임(310)은 내측프레임(320)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연장되는 외측둘레가 내측프레임(320)의 타단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외측프레임(310)의 만곡되어 연장된 끝단은 분전함도어(200)의 전면과 접하게 된다. 외측프레임(310)은 탄성력을 지닌 재질로 구현되어, 도 5에서와 같이, 분전함도어(200)의 전면과 접하게 될 때, 탄성력에 의해 분전반도어(200)의 전면을 가압하는 효과를 얻게 되고, 이는 후술될 탄성편(330)과 함께 유기적으로 분전함도어(200)의 전면 및 배면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프레임(310) 및 내측프레임(320)은 일체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고, 내측프레임(320)은 분전함도어(200) 개구부(210)의 직경보다 근소하게 작은 직경을 지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측프레임(320)은 상술하였던 바와 같이, 일단이 외측프레임(310)과 연결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편(330)은 내측프레임(320)의 외측둘레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단단히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외측프레임(310)과 내측프레임(320)이 연결되는 반대편 끝단부에 그 일측이 고정된다.
상세하게는, 탄성편(330)은 내측프레임(320)의 외측둘레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외측프레임(310)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측프레임(320)이 형성하는 원의 둘레를 따라 일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편(330)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으며, 만곡되어 연장된 탄성편(330)의 끝단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고정홈(214)과 결합될 수 있는 고정단(332)이 구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전함 커버의 윈도우가 볼록렌즈로 구현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전함 커버의 윈도우가 일부분 볼록렌즈로 구현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전함 커버의 외측프레임이 사각형으로 실시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윈도우(400)는 내측프레임(320)의 개구부(210)로 삽입되는 끝단에 외측둘레가 고정되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판상의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400), 외측프레임(310) 및 내측프레임(320)은 일체로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PC(polycarbonate)나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또는 PP(polypropylene)등의 재질로 실시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가공방법 및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400)는 분전반(10)의 전면을 관찰할 수 있도록 분전함도어(200)의 전면에 결합되며, 분전함도어(200)의 전면 및 외측프레임(310)으로부터 분전함(100)의 내측을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된다. 윈도우(400)의 위치가 외측프레임(310) 및 분전함도어(200)의 전면에서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되므로, 외부의 충격에 노출될 가능성이 낮아지게 되어 파손의 위험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윈도우(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의 두께가 두껍고 외곽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볼록렌즈부(41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분전반(10)의 전면 계측기를 확인하는데 시인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400)의 일부만을 볼록렌즈부(410)로 구비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분전함(10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윈도우(400)는 함몰되는 깊이를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한 깊이로 구현하여, 볼록렌즈부(410)와 분전반(10)의 간격을 조절함으로 적절한 초점거리를 확보하여 시인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전함 커버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하나 이상의 분전반(10)이 분전함(1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분전함(100)의 전면 개방면이 분전함도어(200)에 의해 개폐된다.
각각의 분전반(10)의 전면과 대응되는 위치로 분전함도어(200)에 형성된 개구부(210)에 윈도우(400) 및 탄성편(330)이 구비된 프레임부(300)가 장착된다.
프레임부(300)의 장착은 외측프레임(310)이 분전함(100)의 전면을 향하도록 하여 내측프레임(320)을 개구부(210)에 삽입하되, 개구부(210)의 삽입홈(212)으로 탄성편(330)이 통과되도록 한다.
삽입홈(212)으로 탄성편(330)이 통과되어 외측프레임(310)이 분전함도어(200)의 전면과 접하게 되면, 프레임부(300)를 회전시켜 탄성편(330)의 끝단에 형성된 고정단(332)이 고정홈(214)에 걸려 간섭되도록 한다.
탄성편(330) 및 외측프레임(3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탄성을 지닌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분전함도어(200)의 전면과 배면을 상호 유기적으로 가압하여 지지하게 되며, 고정단(332)이 고정홈(214)에 걸려서 회전을 제약하므로, 프레임부(300)가 분전함도어(200)에 체결되는 것이다.
이때, 탄성편(330)이 일방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므로 분전함도어(200)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도 두루 체결될 수 있고, 탄성편(330)의 파손없이 장착 및 제거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 분전반
100 : 분전함
200 : 분전함도어 210 : 개구부
212 : 삽입홈 214 : 고정홈
300 : 프레임부 310 : 외측프레임
320 : 내측프레임 330 : 탄성편
332 : 고정단
400 : 윈도우 410 : 볼록렌즈부

Claims (8)

  1. 다수개의 분전반이 수용되는 분전함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분전반과 대응되는 위치에 원형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구비되는 분전함도어;
    상기 분전함도어와 접하여 탄성 지지되는 탄성편이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의 외측둘레에 결합되고, 상기 분전함도어의 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외측프레임과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원형의 내측프레임이 포함되며, 상기 내측프레임의 측면에 상기 탄성편이 구비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외주연이 고정되고,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편은 일단부의 일측이 상기 내측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외측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되되, 상기 내측프레임이 형성하는 원의 둘레를 따라 일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되 만곡된 타단부에 형성되는 단턱인 고정단;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외측둘레에 상기 탄성편이 진입할 수 있는 너비로 형성되는 삽입홈; 및
    상기 고정단과 대응되는 너비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단이 걸려서 고정되는 고정홈;
    을 포함하는 개별 분전함 커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은
    외측둘레가 후방으로 만곡되어 연장되며 만곡된 끝단이 상기 분전함도어의 전면과 접하고, 탄성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분전함 커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내측프레임이 상기 개구부로 삽입된 끝단에 구비되어, 분전함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분전함 커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중심부가 두껍고 외측둘레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는 볼록렌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분전함 커버.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135394A 2015-09-24 2015-09-24 개별 분전함 커버 KR101808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394A KR101808737B1 (ko) 2015-09-24 2015-09-24 개별 분전함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394A KR101808737B1 (ko) 2015-09-24 2015-09-24 개별 분전함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340A KR20170036340A (ko) 2017-04-03
KR101808737B1 true KR101808737B1 (ko) 2017-12-13

Family

ID=58588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394A KR101808737B1 (ko) 2015-09-24 2015-09-24 개별 분전함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7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3991A (zh) * 2020-05-28 2020-09-01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齐齐哈尔供电公司 配电箱转门式防触电保护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1846A (ja) * 2004-01-19 2005-07-2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計器装置の誤読防止機構
KR200430799Y1 (ko) * 2006-08-23 2006-11-10 주식회사 뉴영이시티 세대별 전기 계량기 함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1846A (ja) * 2004-01-19 2005-07-2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計器装置の誤読防止機構
KR200430799Y1 (ko) * 2006-08-23 2006-11-10 주식회사 뉴영이시티 세대별 전기 계량기 함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340A (ko) 201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9637B1 (en) Stainless steel faceplates with labels
RU2663221C2 (ru) Рамочная сборка для коммутационной панели и относящиеся к ней рама и коммутационная панель
US8237064B2 (en) Cover plate and kit of parts, including said plate, for wall mounting of an electrical apparatus
KR101182565B1 (ko) 어셈블리 키트
US7973237B2 (en) Outlet assembly
EP2780994B1 (en) Electrical socket apparatus
EA012758B1 (ru) Опорная рама и группа деталей, включающая такую раму, для настенного монтажа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5608029B2 (ja) 配線器具用取付枠
KR101808737B1 (ko) 개별 분전함 커버
JP2013219979A (ja) 電線引込支柱及びそれを用いた配電システム
JP2016140144A (ja) 住宅用分電盤
US4180303A (en) Plug-in electrical receptacle extender
KR200430799Y1 (ko) 세대별 전기 계량기 함체
JP2017211246A (ja) 電力量計収納ケース
JP6953174B2 (ja) キャビネット
JP7049937B2 (ja) 分電盤ハウジング
JP6869805B2 (ja) キャビネット
AU2013204051A1 (en) Housing for receiving a trailer module
KR200426565Y1 (ko) 칸막이용 측면 프레임
JP5372637B2 (ja) 計量箱
JP6085487B2 (ja) 電気器具収容体、および電気器具の設置構造
GB2453162A (en) Outlet mounted flush with a wall or panel
KR200451947Y1 (ko) 천정 보수용 커버
JP2019205236A (ja) 配線器具覆い具、及び配線器具覆い部材の設置構造
JP2011036021A (ja) 配線装置用アダプタおよび配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