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0426A - 레이스웨이와 콘센트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레이스웨이와 콘센트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0426A
KR20220110426A KR1020210013752A KR20210013752A KR20220110426A KR 20220110426 A KR20220110426 A KR 20220110426A KR 1020210013752 A KR1020210013752 A KR 1020210013752A KR 20210013752 A KR20210013752 A KR 20210013752A KR 20220110426 A KR20220110426 A KR 20220110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eway
outlet
cable
piece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우석
Original Assignee
양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우석 filed Critical 양우석
Priority to KR1020210013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0426A/ko
Publication of KR20220110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04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63Installation, e.g. suspension, of conduit channel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6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t least one of the sheets or plates having integrally formed or integrally connected snap-in-fe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의 지하 공간 특히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등의 천장에 설치되어서 전기배선용 케이블과 통신배선용 케이블을 동시에 수용하면서 상기 케이블에 접지하여 사용하는 콘센트를 레이스웨이에 결합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레이스웨이에 콘센트를 고정 장착할 때 또는 전기배선용 케이블과 통신배선용 케이블을 증설할 때 발생하는 케이블의 손상을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발명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이스웨이와 콘센트의 결합구조{A Connection Structure of Raceway and Outlet}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의 지하 공간 특히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등의 천장에 설치되어서 전기배선용 케이블과 통신배선용 케이블을 동시에 수용하면서 상기 케이블에 접지하여 사용하는 콘센트를 레이스웨이에 결합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스웨이에 콘센트를 고정 장착할 때 또는 전기배선용 케이블과 통신배선용 케이블을 증설할 때 발생하는 케이블의 손상을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장에는 전기배선용 케이블과 통신배선용 케이블을 수용하는 레이스웨어(50)를 설치하게되는데, 상기 레이스웨이(50)는 헹거앙카볼트(도시하지 않았음)를 통해 천장에 설치된 후, 내부에는 전기배선용 케이블 또는 통신배선용 케이블이 배설되어지게 되고, 하부의 외측에는 전자기기 및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40)를 장착하게 된다.
상기 콘센트(40)는 레이스웨이(50)의 내부로 배선되어진 전기배선용 케이블 또는 통신배선용 케이블에 접속되어진다.
상기 레이스웨이(50)에 장착 고장되어지는 콘센트(40)의 결합은 도 5에서와 같이 콘센트(40)의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나사못결합구멍에 나사못(60)을 위치시킨 다음 레이스웨이(50)에 나사못(60)이 관통 체결되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나사못(60)을 레이스웨이(50)에 관통시켜 콘센트(40)를 장착 고정하는 결합 방식은 도면 5 의해 알 수 있듯이 콘센트(40)를 고정시키는 나사못(60)이 전기배선용 케이블 또는 통신배선용 케이블이 배선되어 있는 레이스웨이(50)를 관통하게 되어 나사못(60)에 의한 케이블 손상이 불가피한 단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상기의 나사못(60)이 레이스웨이(50)에 나사식 결합되어질 때 상기 레이스웨이(50) 내측으로 배선되어 있는 전기배선용 케이블 또는 통신배선용 케이블의 피복을 뚫고 들어가 양극과 음극으로 된 두 도선(導線)이 연결하는 문제를 야기시켜 합선에 의한 화재를 야기시킴은 물론, 레이스웨이(50) 내측으로 돌출되어진 나사못(60)의 뾰족한 끝단에 상기 전기배선용 케이블 또는 통신배선용 케이블의 피복이 긁히면서 쪼개져 도선(導線)이 외부로 노출되어져 전류가 전깃줄 밖으로 새어 흐름는 누전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나사못(60)을 이용하여 레이스웨이(50)에 콘센트(40)를 고정 장착하기 위해서는 전용 전동공구 등이 필요로할 뿐만 아니라, 속련공이 아닐 때에는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더불어, 나사못(60)을 이용하여 레이스웨이(50)에 콘센트(40)를 고정하는 방식은 레이스웨이(50)에 고정된 콘센트(40)의 설치위치 보정이 불가능한 단점을 거지고 있는 것이더.
본 발명은 종래 레이스웨이에 콘센트를 결합하는 구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각종 건축물의 지하 공간 특히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등의 천장에 설치되어서 전기배선용 케이블과 통신배선용 케이블이 배선되어지는 레이스웨이의 양측벽에서 하부로 연장되어서 걸림훅크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콘센트의 본체바디의 양쪽 측면 모서리 쪽으로 걸림돌부와 결합요부로 이루어진 결합부를 형성한 것으로써, 레이스웨이에 콘센트를 장착고정할때 나사못(피스)의 사용이 배제되어짐에 따라 콘센트를 레이스웨이에 고정할때 발생하는 전기배선용 케이블 또는 통신배선용 케이블의 피복을 나사못이 뚫고 들어가 양극과 음극의 도선(導線)이 나사못에 의해 연결되어 합선에 의한 화재가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함과 더불어 레이스웨이의 케이블안착로드상에 배선된 전기배선용 케이블 또는 통신배선용 케이블을 보수하거나 증설하고자 끌고당길때 나사못의 뾰족한 끝단에 상기 전기배선용 케이블 또는 통신배선용 케이블의 피복이 긁히면서 쪼개져 도선(導線)이 외부로 노출되어서 전류가 전기줄 밖으로 새어 흐름는 현상인 누전을 근본적으로 해소하였고, 레이스웨이에 콘센트를 훅크 조립방식으로 장착함에 따라 콘센트를 레이스웨이에서 위치 보정이 가능하여 소비자들로부터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시장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레이스웨이와 콘센트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정에 고정되어지는 헹거앙카볼트 상에 조립너트의 체결에 의해 상기의 헹거앙카볼트로 장착되는 탄성레이스웨이헹거편에 레이스웨이가 거치 형성되어지되, 상기 레이스웨이는 디귿자형으로 전기배선용 케이블 또는 통신배선용 케이블이 배선되어지는 케이블안착로드를 구비하고, 양측벽을 이루는 상단에서 수평을 이루며 형성되어진 거치편이 탄성레이스웨이헹거편의 걸이편에 얹혀진 상태로 설치되어지며, 양측벽 하부에는 콘센트의 결합부를 구성하는 걸림돌부가 걸림 고정되어지는 걸림훅크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걸림훅크중 하나의 걸리훅크의 외즉면은 콘센트의 본체바디의 양쪽측면 모서리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부가 미끄럼되어 질 수 있도록 하는 미끄럼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레이스웨이와:
상기 레이스웨이의 걸림훅크에 걸림 고정되어지는 걸림돌부와 상기 걸림훅크 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이루는 결합요부가 양쪽 측면 모서리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바디에는 플러그접속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접속부 내부로 이물질 또는 습기(수분)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커버가 힌지블럭에 힌지핀을 매개로 힌지설치되어 있는 커버바디가 조립구성되어서된 콘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센트는 레이스웨이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여 장착 위치의 보정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레이스웨이와 콘센트의 결합구조는, 각종 건축물의 지하 공간 특히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등의 천장(1)에 설치되어서 전기배선용 케이블 또는 통신배선용 케이블(K)이 배선되어지는 레이스웨이(120)의 양측벽에서 하부로 연장되어서 걸림훅크(123)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콘센트(110)의 본체바디(118)의 양쪽 측면 모서리 쪽으로 걸림돌부(117)와 결합요부(116) 이루어진 결합부를 형성한 것으로써,
첫째, 레이스웨이(120)에 콘센트(110)를 장착고정할때 나사못(피스)의 사용이 배제되어짐에 따라 콘센트(110)를 레이스웨이(120)에 고정할때 발생하는 전기배선용 케이블 또는 통신배선용 케이블(K)의 피복을 나사못이 뚫고 들어가 양극과 음극의 도선(導線)이 나사못에 의해 연결되어 합선에 의한 화재가 발샹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하였고;
둘째, 레이스웨이(120)의 케이블안착로드(121)상에 배선된 전기배선용 케이블 또는 통신배선용 케이블(K)을 보수하거나 증설하고자 끌어당길때 나사못의 뾰족한 끝단에 상기 전기배선용 케이블 또는 통신배선용 케이블(K)의 피복이 긁히면서 쪼개져 도선(導線)이 외부로 노출되어서 전류가 전기줄 밖으로 새어 흐름는 현상인 누전을 근본적으로 해소하였으며;
셋째, 레이스웨이(120)에 콘센트(110)를 훅크 조립방식으로 장착 설치함에 따라 콘센트(110)를 레이스웨이(120)에서의 위치 보정이 자유로워 소비자들로부터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시장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스웨이와 콘센트의 결합구조의 콘센트를 발췌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스웨이와 콘센트의 결합구조의 콘센트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스웨이와 콘센트의 결합구조로써, 콘센트를 레이스웨이에 조립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스웨이와 콘센트의 결합구조로써 레이스웨이에 콘센트를 장착 고정ㅎㄴ 상태의 예시도.
도5는 종래 레이스웨이와 콘센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레이스웨이와 콘센트의 결합구조는, .
천정(1)에 고정되어지는 헹거앙카볼트(10) 상에 조립너트(11)의 체결에 의해 상기의 헹거앙카볼트(10)로 장착되는 탄성레이스웨이헹거편(20)에 거치되어지는 레이스웨이(120)와, 상기 레이스웨이(120)에 조립 장착되어지는 콘센트(110)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이스웨이(120)는 디귿자형으로 전기배선용 케이블 또는 통신배선용 케이블(K)이 배선되어지는 케이블안착로드(121)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블안착로드(121)의 양측벽을 이루는 상단에서 수평을 이루며 형성되어진 거치편(122)이 형성되 있다.
상기 거치편(122)에는 탄성레이스웨이헹거편(20)의 걸이편(21)에 얹혀진 상태로 설치되어진다.
상기 케이블안착로드(121)의 양측벽을 이루는 하부에는 콘센트(110)의 결합부를 구성하는 걸림돌부(117)가 걸림 고정되어지는 걸림훅크(123)가 형성되어 있ㄷ다.
상기 걸림훅크(123)중 하나의 걸리훅크(123)의 외즉면은 콘센트(110)의 본체바디(118)의 양쪽측면 모서리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부(117)가 미끄럼되어 질 수 있도록 하는 미끄럼경사면(123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레이스웨이(120)에 조립 장착되어지는 콘센트(110)는 레이스웨이(120)의 걸림훅크(123)에 걸림 고정되어지는 걸림돌부(117)와 상기 걸림훅크(123) 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이루는 결합요부(116)가 양쪽 측면 모서리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바디(118)에는 플러그접속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접속부(112) 내부로 이물질 또는 습기(수분)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커버(115)가 힌지블럭(114)에 힌지핀을 매개로 힌지설치되어 있는 커버바디(111)가 조립구성된 것이다.
상기 콘센트(110)는 레이스웨이(120)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여 장착 위치의 보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스웨이와 콘센트의 결합구조는, 각종 건축물의 지하 공간 특히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등의 천장(1)에 설치하여 전기배선용 케이블 또는 통신배선용 케이블(K)을 배선하게된다.
도3 내지 도4 에서와 같이 레이스웨이(120)는 천장(1)으로 설치되어지는 헹거앙카볼트(10)에 조립되어지는 탄성레이스웨이헹거편(20)을 매개로 설치되어진다.
상기 헹거앙카볼트(10)에 조립되어지는 탄성레이스웨이헹거편(20)은 역방향 브이자형으로 중심의 연결편(도면에 번호표기하지 않음)이 헹거앙카볼트(10)로 끼워져 조립터트(11)의 조임에 의해 조립되어진다.
상기에서 기술한 탄성레이스웨이헹거편(20)은 일예로써, 그 구성이 다양할 수 있다.
상기에서 예시한 탄성레이스웨이헹거편(20)은 양측으로 벌려지려는 탄성력을 거지고 있는 것이어서, 걸림편(121)이 레이스웨이(120)의 거치편(122)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위치하여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탄성레이스웨이헹거편(20)에 거치되어진 레이스웨이(120)의 케이블안착로드(121)상에 전기배선용 케이블 또는 통신배선용 케이블(K)을 배선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배선되어진 전기배선용 케이블 또는 통신배선용 케이블(K)에는
전기의 옥내 배선에서, 실내에서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한 콘센트(110)를 설치하게 된다.
도 3은 레이스웨이(120)의 걸림훅크(123)에 콘센트(110)의 결합부를 구성하는 걸림돌부(117)를 걸어 고정시키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써, 먼저 일측의 걸림돌부(117)를 미끄럼경사면(123a)이 없는 걸림훅크(123)에 도3에서와 같이 위치시키게된다.
이때 걸림훅크(123)는 결합요부(116)로 삽입되어져 걸림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콘센트(110)의 걸림돌부(117)중 하나의 걸림돌부(117)를 도3에서와 같이 위치시킨 상태에서 미끄럼경사면(123a)이 있는 걸림훅크(123)로 콘센트(110)의 나머지 걸림돌부(117) 밀착시켜 밀어주게되면 미끄럼경사면(123a)에 걸림돌부(117)의 곡선면이 미끄럼되어지면서 상기 걸림훅크(123)를 넘어서게 된다.
도 4는 레이스웨이(120)에 콘센트(110)가 조립완료된 상태로써, 상기 레이스웨이(120)의 걸림훅크(123)을 콘센트(110)의 걸림돌부(117)가 넘어서 걸림과 동시에 콘센트(110)의 결합요부(116)에 레이스웨이(120)의 걸림훅크(123)가 삽입 위치한 상태로 조립 장착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레이스웨이(120)p 조립 장착되어진 콘센트(110)에는 상기 레이스웨이(120)의 케이블안착로드(121)에 배선되어진 전기배선용 케이블 또는 통신배선용 케이블(K)을 접속시켜 레이스웨이(120)가 설치되어진 공간의 실내에서 사용하는 가전 제품 등의 플러그를 접속시켜 사용하게되는 것이다.
110 : 콘센트 111 : 커버바디
112 : 플러그접속부 114 : 힌지블럭
115 : 보호커버 116 : 결합요부
117 : 걸림돌부 118 : 본체바디
120 : 레이스웨이 121 : 케이블안착로드
122 : 거치편 123 : 걸림훅크
123a : 미끄럼경사면

Claims (2)

  1. 천정(1)에 고정되어지는 헹거앙카볼트(10) 상에 조립너트(11)의 체결에 의해 상기의 헹거앙카볼트(10)로 장착되는 탄성레이스웨이헹거편(20)에 레이스웨이(120)가 거치 형성되어지되, 상기 레이스웨이(120)는 디귿자형으로 전기배선용 케이블 또는 통신배선용 케이블(K)이 배선되어지는 케이블안착로드(121)를 구비하고, 양측벽을 이루는 상단에서 수평을 이루며 형성되어진 거치편(122)이 탄성레이스웨이헹거편(20)의 걸이편(21)에 얹혀진 상태로 설치되어지며, 양측벽 하부에는 콘센트(110)의 결합부를 구성하는 걸림돌부(117)가 걸림 고정되어지는 걸림훅크(123)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걸림훅크(123)중 하나의 걸리훅크(123)의 외즉면은 콘센트(110)의 본체바디(118)의 양쪽측면 모서리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부(117)가 미끄럼되어 질 수 있도록 하는 미끄럼경사면(123a)이 형성되어 있는 레이스웨이(120)와:
    상기 레이스웨이(120)의 걸림훅크(123)에 걸림 고정되어지는 걸림돌부(117)와 상기 걸림훅크(123) 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이루는 결합요부(116)가 양쪽 측면 모서리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바디(118)에는 플러그접속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접속부(112) 내부로 이물질 또는 습기(수분)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커버(115)가 힌지블럭(114)에 힌지핀을 매개로 힌지설치되어 있는 커버바디(111)가 조립구성되어서된 콘센트(1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와 콘센트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110)는 레이스웨이(120)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여 장착 위치의 보정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와 콘센트의 결합구조.













KR1020210013752A 2021-01-30 2021-01-30 레이스웨이와 콘센트의 결합구조 KR202201104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752A KR20220110426A (ko) 2021-01-30 2021-01-30 레이스웨이와 콘센트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752A KR20220110426A (ko) 2021-01-30 2021-01-30 레이스웨이와 콘센트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426A true KR20220110426A (ko) 2022-08-08

Family

ID=82845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752A KR20220110426A (ko) 2021-01-30 2021-01-30 레이스웨이와 콘센트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04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8236A (ko) 2022-09-16 2024-03-25 주식회사 태라칸 콘센트가 구비된 레이스웨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8236A (ko) 2022-09-16 2024-03-25 주식회사 태라칸 콘센트가 구비된 레이스웨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5218A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circuit, circuit tester and method
US6325654B1 (en) Quick connect device for mounting a suspended electrical fixture
US7651353B2 (en) Modular wall panel electrical assembly
KR200457588Y1 (ko)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함
US4627675A (en) Wiring system with quick connect wire terminals
KR20220110426A (ko) 레이스웨이와 콘센트의 결합구조
GB2417367A (en) Electrical earthing nut
KR102015853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US6227903B1 (en) Circuit connector block
JPH0287920A (ja) カーペット下の電力用配線システムおよびアダプタ
US7888597B2 (en) Fixture box enclosure
KR101427406B1 (ko) 전기계량기함 설치대의 설치구조
KR101022720B1 (ko)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
KR101266228B1 (ko) 접지구조를 갖는 옥내용 아웃렛박스
RU2698470C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CN212968219U (zh) 一种新型电缆插销
WO2018083435A1 (en) Quicwire wiring system
KR101171700B1 (ko)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 계량기함 설치방법
US6774308B1 (en) Wire termination box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of installation
KR20130039107A (ko)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
RU203364U1 (ru) Монтажная накладка
KR100564294B1 (ko) 천장 전기 단자함
RU178371U1 (ru) Блок контактных зажимов для коммутации и ответвления силовых кабелей до 380 в и кабелей осветительных цепей
KR200412122Y1 (ko) 버스웨이 시스템
US11070040B1 (en) Quick connect electrical junction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