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720B1 -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 - Google Patents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720B1
KR101022720B1 KR1020080118825A KR20080118825A KR101022720B1 KR 101022720 B1 KR101022720 B1 KR 101022720B1 KR 1020080118825 A KR1020080118825 A KR 1020080118825A KR 20080118825 A KR20080118825 A KR 20080118825A KR 101022720 B1 KR101022720 B1 KR 101022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eter
meter box
connecting piece
terminal block
tru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055A (ko
Inventor
김대규
Original Assignee
김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규 filed Critical 김대규
Publication of KR20100002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파트, 다세대 주택, 오피스텔과 같은 사무용 건물 등에서 각 세대 또는 각 실의 전기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전기계량기가 설치되는 전기계량기함에 있어서 상기 전기계량기함 내에 통과되는 전력간선을 분기하여 상기 전기계량기함 내의 전기계량기 등으로 접속되는 분기선을 현장에서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분기할 수 있도록 한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전력간선이 통과하면서 전기적 접속이 되도록 한 U자형 단면을 가진 도체를 일정 간격으로 두고 다수 개 배치하고 그 외부를 절연 수지로 성형하여 일체화된 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도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그 길이 방향의 일부분에 형성된 연장접속편 결합홈에 연장접속편이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 일체, 분기선, 연장 접속편

Description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Terminal Block for Electric Watt Meter Box}
본 발명은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파트, 다세대 주택, 오피스텔과 같은 사무용 건물 등에서 각 세대 또는 각 실의 전기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전기계량기가 설치되는 전기계량기함에 있어서, 상기 전기계량기함 내에 통과되는 전력간선을 분기하여 상기 전기계량기함 내의 전기계량기 등으로 접속되는 분기선을 현장에서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분기할 수 있도록 한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에 관한 것이다.
통상, 여러 층으로 된 아파트, 다세대 주택, 오피스텔과 같은 사무용 건물 등에서 각 세대 또는 각 실의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 세대 또는 각 실별로 전기계량기가 설치되는데 이 전기계량기들은 그 내부에 각 층별 또는 구간별로 하나 이상의 전기계량기를 수용하는 전기계량기함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전기계량기함은 그 내부에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계량기에 대하여 상기 전기계량기함 내부로 통과하는 전력간선에서 분기된 분기선에 의하여 상기 전 기계량기함과 전기적 접속이 되어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고, 상기 분기선을 상기 전기계량기함 내부로 통과하는 상기 전력간선으로부터 분기하기 위하여 터미널블록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 상기 전력간선과 분기선을 분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터미널블록은 상기 터미널 블록 내에 도통되는 전선 결속용 클립을 설치하고, 상기 전선 결속용 클립에 상기 전력간선과 분기선을 모두 수용하여 상기 전선 결속용 클립을 압착하여 상기 전력간선과 분기선을 전기적으로 고정 결속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상기 종래의 터미널블록은 상기 전선 결속용 클립에 끼워지는 전력간선 및 분기선의 굵기에 상관없이 고정할 수 있으나, 현장에서 상기 전력간선과 분기선을 전기적으로 고정 결속하기 위하여 상기 전선 결속용 클립에 대하여 압착 공구를 사용하여 압착하여야 하는데 상기 압착 공구를 사용할 공간이 적어 압착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압착이 느슨할 경우 상기 분기선이 상기 전력간선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터미널블록은 상기 전기계량기함 내부로 통과하는 접지선에 대해서도 분기하여야 하는데, 상기 접지선을 분기하기 위하여 분기되는 분기 접지선을 현장에서 압착공구를 사용하여 압착할 경우 그 압착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또한 여러 개의 접지 분기선을 하나로 하여 압착할 경우 압착이 느슨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접지선 분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아파트, 다세대 주택, 오피스텔과 같은 사무용 건물 등에서 각 세대 또는 각 실의 전기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전기계량기가 설치되는 전기계량기함에 있어서 상기 전기계량기함 내에 통과되는 전력간선을 분기하여 상기 전기계량기함 내의 전기계량기 등으로 접속되는 분기선을 현장에서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분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설치가 간편한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기계량기함 내에 통과되는 접지선을 분기하는데 있어서 상기 접지선 분기 작업이 현장에서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분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설치가 간편한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은, 다수 개의 전기계량기가 설치되는 전기계량기함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계량기함 내를 통과되는 전력 간선 및 접지선을 분기하는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에 있어서, 상기 전력 간선이 통과되어 그 내부에 상기 전력 간선과 전기적 접속이 되도록 한 U자형 단면을 가진 도체를 일정 간격으로 두고 다수 개 배치하고 상기 도체 외부를 절연 수지로 성형하여 일체화된 몸체와, 상기 전력 간선과 전기적 접속이 된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도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접속편이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연장 접속편은 상기 전력 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간선 접속편과. 상기 간선 접속편과 단차지게 연장 구성되어 상기 전력 간선을 분기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분기선 결합나사들을 구비한 분기선 접속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체의 내면 일부분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그 나사홈에 나사 결합된 렌치볼트를 구비하여, 상기 전력 간선이 상기 도체 내부로 통과될 때 상기 전력 간선 상부에 상기 간선 접속편을 배치하여 상기 렌치볼트를 조임으로써 상기 전력 간선 및 상기 간선 접속편이 상기 몸체에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간선 접속편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에서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부분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기 간선 접속편이 상기 전력 간선의 상부에 배치될 때 상기 몸체와 계합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접지선 통과공을 형성하여 상기 접지선 통과공 내부에 접지선을 다수 개로 분기하는 접지선 분기편을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 개의 전기계량기가 설치되는 전기계량기함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계량기함 내를 통과되는 전력 간선 및 접지선을 분기하는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에 있어서, 상기 전력 간선이 통과되어 그 내부에 상기 전력 간선과 전기적 접속이 되도록 한 U자형 단면을 가진 도체를 일정 간격으로 두고 다수 개 배치하고 상기 도체 외부를 절연 수지로 성형하여 일체화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접지선 통과공을 형성하여 상기 접지선 통과공 내부에 접지선을 다수 개로 분기하는 접지선 분기편이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접지선 분기편은 상기 접지선 통과공 내부에 고정 설치되었을 때 양측이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노출된 부분을 가지며, 상기 양측의 노출된 부분에 각각 상기 접지선을 다수 개로 분기하기 위한 접지선 결합나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는 U자형 단면을 가진 도체가 일정 간격으로 2개로 배치된 것이 상하 2단으로 배치하고 그 외부를 절연 수지로 성형하여 일체화된 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지선 분기편에서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노출된 부분 중 일측에 구비된 접지선 결합나사는 인입 접지선용이고, 다른 일측에 구비된 접지선 결합나사는 인출 접지선용 및 다수개의 전기계량기 접지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은 U자형 단면을 가진 도체를 일정 간격으로 두고 다수 개 배치하고 그 외부를 절연 수지로 성형하여 일체화된 몸체를 구성하게 하고 상기 도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그 길이 방향의 일부분에 형성된 연장접속편 결합홈에 상기 전력간선과 접속되는 간선 접속편과 상기 몸체의 외부로 연장되어 분기선과 접속되는 분기선 접속편으로 이루어진 연장접속편이 결합되는 함으로써 전기계량기함 설치에 있어서 현장 조립 설치가 간편하고 분기선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전기적으로 안정된 조립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은 U자형 단면을 가진 도체를 일정 간격으로 두고 다수 개 배치하고 그 외부를 절연 수지로 성형하여 일체화된 몸체를 구성하게 하고 그 몸체 하부에 접지선 통과공을 형성하여 상기 접지선 통과공에 접지선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분기할 수 있는 접지선 분기편을 고정 설치함으로써, 전기계량기함 내 통과하는 접지선에 대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그 분기선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전기적으로 안정된 조립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전선이 접속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연장접속편 결합 사시도 및 본체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렌치볼트(12)를 체결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은 아파트, 다세대 주택, 오피스텔과 같은 사무용 건물 등에서 각 세대 또는 각 실의 전기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전기계량기가 설치되는 전기계량기함에서 그 전기계량기함 내에 통과되는 전력간선(4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전기계량기 함 내에 전기계량기 등의 전기 기구에 접속되는 분기선(50)을 전기적으로 분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전력간선(40)이 통과하면서 전기적 접속이 되도록 한 U자형 단면을 가진 도체(10)들과 그 주위를 절연하는 절연수지를 일체화하여 성형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덮는 덮개(2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수지는 ABS 수지등과 같은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재료로 한다.
상기 U자형 단면을 가진 도체(10)들은 상기 전력간선(40)의 수에 따라 결정되는데 상기 전력간선(40)은 통상 3상 4선식으로 되어 있어 본 발명의 도 1 내지 4에서는 3상 4선식 전력 간선을 기준으로 하여 4개로 형성된 것으로 하고 상기 몸체(100)의 중앙 하부에는 그 하부에 접지선(60)이 통과하는 접지선 통과공(61)도 형성되어 있다.
상기 U자형 단면을 가진 도체(10)들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일렬로 일정 간격(절연 간격)을 두고 4개로 배치할 수 있고, 도 5와 같이 2단으로 하여 상하 2개씩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도체(10)는 그 길이 방향의 일부분에 연장접속편 결합홈(13)을 하방으로 길게 형성하고 상기 연장접속편 결합홈(13)에 연장접속편(30)의 결합돌기(34)를 삽입하여 상기 연장접속편(3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연장접속편 결합홈(13)는 상기 도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중앙부분에 형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접속편(30)은 상기 전력간선(40)과 접속되는 간선 접속편(33)과 상기 몸체의 외부로 연장되어 분기선(50)과 접속되는 분기선 접속편(31)으로 구성되고, 상기 간선 접속편(33)은 상기 U자형 단면을 가진 도체(10)로 전력선이 용이하게 통과되도록 반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일부분에 상기 연장접속편 결합홈(13)에 결합되는 상기 결합돌기(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간선 접속편(33)의 상기 몸체(100) 외부 방향 일단부에는 상향으로 단차지게 연장되어 상기 분기선 접속편(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기선 접속편(31)은 상기 전기계량기 함 내에 전기계량기 등의 전기 기구에 접속되는 분기선(50)을 고정 접속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전기계량기 등의 전기 기구는 단상으로 2선(RST 선 중 1선 및 중성선)만 접속되면 되므로 상기 몸체내의 U자형 단면을 가진 도체(10)들 중 2개만 연장 형성되면 족하다.
상기 분기선 접속편(31)은 적어도 하나 이상(통상 2-4개 정도임, 도 1 내지 3, 5)에는 4개로 도시되어 있음)의 분기선 결합나사(32)에 의하여 상기 분기선(50)과 전기적 접속이 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분기선 결합나사(32)는 상기 분기선(50)의 일단부에 형성된 분기선 결합단자(51)와 스프링 와셔(미도시)를 사이에 두고 분기선 결합단자(51)와 나사 결합되어 견고하게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분기선 결합단자(51)와 상기 분기선 결합나사(32)는 견고히 결합되는 것이라면 볼트 너트로 대체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U자형 단면을 가진 도체(10)의 내면의 일부분에는 나사홈(11)을 형성하여 상기 U자형 홈으로 통과되는 전력간선(40) 또는 상기 전력간선(40)이 그 하부로 통과되는 상기 간선 접속편(33)[상기 전력간선(40)에서 상기 U자형 홈을 통과하는 부분 또는 간선 접속편(33)의 하부를 통과하는 부분은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도록 피복이 제거된 상태이다]을 상기 나사홈(11)에 결합되는 렌치볼트(12)에 의하여 압착하여 전기적,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고정 접속할 수 있다.
상기 렌치볼트(12)는 육각 또는 사각렌치에 의하여 조립되는 것이나 상기 렌치볼트(12)의 홈 하부에 십자형 홈을 형성하여 상기 육각 또는 사각렌치뿐만 아니라 십자 드라이버로도 상기 전력간선(40)을 상기 U자형 단면을 가진 도체(10)에 고 정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나사홈(11)은 상기 U자형 단면을 가진 도체(10)의 내면에 일정 간결을 두고 2개를 형성하여 상기 나사홈(11)에 결합되는 렌치볼트(12)에 의하여 고정 접속되는 상기 전력간선(40)이 같은 굵기로 통과하는 경우 외에 상기 전력간선(40)이 다른 굵기의 전선으로 된 경우에도 상하로 고정 접속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분기선 접속편(31)은 상기 몸체(100)의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어 기계적으로 약할 수 있으나, 상기 간선 접속편(33)과 단차지게 연장되어 있는 관계로 기계적인 면에서 보강된다.
상기 분기선 접속편(31)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자형 단면을 가진 도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할 수 있고, 상기 U자형 단면을 가진 도체(1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0)는 상기 전기계량기함의 바닥면(300)에 고정결합하기 위하여 바닥면 결합공(21)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면 결합공(21)은 상기 몸체(100)의 상부로부터 바닥면 고정나사(310)로 상기 바닥면(300)에 고정되며, 상기 바닥면(300)과의 고정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좌우 1개씩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100)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도체[상기 U자형 단면을 가진 도체(10) 및 연장 접속편(20)]가 사람의 접촉으로 인한 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체를 감싸도록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덮개(200)를 설치한다.
상기 덮개(200)는 하면에 다수개의 결합공(210)을 형성하고 상기 덮개 결합나사(220)가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덮개 결합공(22)과 결합되어 상기 덮개(200)가 상기 몸체(100) 상부를 덮도록 한다. 상기 덮개(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선 접속편(31)이 연장된 부분까지 덮을 수 있는 구조로 할 수 있고, 그 외 전기계량기 함의 형태 및 내부 조립구조에 따라 그 형상을 달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는 상기 U자형 단면을 가진 도체(10)를 일정 간격으로 두고 2개 배치하여 그 외부를 절연 수지로 성형하여 일체화된 몸체(100)를 상하 2단으로 적층하여 배치한 것이다.
상기 상하 2개의 몸체(100) 중 상단에 있는 상부 몸체(110)는 하부 몸체(120)와 결합하는 결합공(111)이 형성되어 하부 몸체(120)와 결합되고, 상기 하부 몸체(120)는 상기 바닥면 결합공(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바닥면(300)과 결합된다.
그 외 제2 실시예의 구성은 상하 2단으로 결합된 것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특징으로 하는 구성과 동일하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본체 단면도이며, 도 8은 제3 실시예에서 접지 선 분기 상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는 도 6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계량기함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계량기함 내를 통과되는 전력간선(40) 및 접지선(60)을 분기하는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으로서, 상기 전력간선(40)을 분기하는 구조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전력간선(40)이 통과하면서 전기적 접속이 되도록 한 U자형 단면을 가진 도체(10)를 일정 간격으로 두고 다수 개 배치하고 그 외부를 절연 수지로 성형하여 일체화된 몸체(100)로 구성되고, 상기 도체(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그 길이 방향의 일부분에 연장접속편 결합홈(13)을 형성하며, 상기 연장접속편 결합홈(13)에 결합되는 간선 접속편(33)과 상기 간선 접속편(33)에서 상기 몸체(10)의 외부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분기선(50)과 접속되는 분기선 접속편(33)으로 이루어진 연장 접속편(30)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본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접지건(60)을 분기하는 구조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100)의 하부의 특정 부분(중간 부분이 바람직 함)에 접지선 통과공(61)을 형성하여 상기 접지선 통과공(61)에 접지선(60)을 통과하도록 하는 구조로서 상기 접지선 통과공(61)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반원형으로 하여도 좋고, 하기에서 설명하는 접지선 분기편(62)가 고정설치될 수 있게 긴 사각형 홈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접지선 분기편(62)을 상기 몸체(100)에 고정 설치하는 구조는 상기 접지선 분기편(62)의 대략 중간 부분에 접지선 분기편 결합공(64)를 형성하고, 상기 접지선 분기편 결합공(64)에 접지선 분기편 고정나사(65)를 관통하여 상기 몸 체(100)에 고정 결합하는 구조이다.
상기 접지선 분기편(62)은 동으로 된 일정 두께를 가지는 긴 막대 형상의 동편이며, 그 폭은 접지선 전류 수용용양에 적합한 정도로 하고, 그 길이는 상기 몸체(100) 외부로 양측이 일정 길이만큼 노출되는 부분이 있을 정도의 길이로 하면 된다. 상기 노출되는 부분은 각각 상기 접지선을 분기하기 위한 접지선 결합나사(32)가 형성되고, 그 노출된 부분은 2세대 분기용일 경우 그 일측이 상기 접지선 나사(32)가 1개 형성되어 있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접지선 나사(32)가 3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노출된 부분의 양측에 각각 상기 접지선 나사(32)가 2개씩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지선(60)을 분기하는 구조를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선이 상기 전기계량기 함내를 관통할 때 인입되는 접지선(도 8에서 하부에 있는 접지선)은 상기 접지선 분기편(62)의 일측의 상기 접지선 나사(32)가 1개 형성된 부분과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된 3개의 상기 접지선 나사(32) 중 가장 외부에 형성된 1개의 접지선 나사(32)는 다음 계량기 함에 인입하기 위한 인출 접지선을 전기적으로 결합하며, 나머지 2개의 접지선 나사(32)에는 각각 접지 분기선(60‘)이 좌우로 분기된다.
상기 접지선(60) 및 접지 분기선(60‘)와 상기 접지선 나사(32)와의 전기적 결합은 상기 접지선(60) 및 접지 분기선(60‘)을 피복을 벗겨 그 피복이 벗겨진 부분에 압착 터미널을 설치하여 상기 접지선 나사(32)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게 할 수 있고, 상기 접지선(60) 및 접지 분기선(60‘)을 피복을 벗겨 그 피복이 벗겨진 부 분을 상기 접지선 나사(32)에 고정될 수 있는 형태로 하여 상기 접지선 나사(32)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상기 접지선(60)을 분기함으로써 전기계량기함 내 통과하는 접지선에 대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그 분기선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전기적으로 안정된 조립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는 상기 U자형 단면을 가진 도체(10)를 일정 간격으로 두고 2개 배치하여 그 외부를 절연 수지로 성형하여 일체화된 몸체(100)를 상하 2단으로 적층하여 배치한 것이다.
상기 상하 2개의 몸체(100) 중 상단에 있는 상부 몸체(110)는 하부 몸체(120)와 결합하는 결합공(111)이 형성되어 하부 몸체(120)와 결합되고, 상기 하부 몸체(120)는 상기 바닥면 결합공(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바닥면(300)과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의 제4 실시예는 상기 하부 몸체(120)의 하부의 일정 부위에는 접지선 통과공(61)을 형성하고, 상기 접지선 통과공(61)에 접지선 분기편(62)을 고정 설치하여, 상기 접지선 분기편(62)에서 상기 하부 몸체(120)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 접지선 결합나사(63)를 형성하여 접지선(60)을 분기하는 구조로 된 것으로서, 제3 실시예에서 몸체(100)를 상하 2단(110,120)으로 한 것 이외에 제3 실시예에서 특징으로 하는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전선이 접속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연장접속편 결합 사시도 및 본체 단면도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본체 단면도
도 8은 제3 실시예에서 접지선 분기 상태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몸체 110: 상부 몸체
120: 하부 몸체 10: 도체
11: 나사홈 12: 렌치볼트
13: 연장접속편 결합홈 20: 절연수지
21: 바닥면 결합공 22: 덮개 결합공
30: 연장 접속편 31: 분기선 접속편
32: 분기선 결합나사 33: 간선 접속편
34: 결합돌기 40: 전력간선
50: 분기선 51: 분기선 결합단자
60: 접지선 61: 접지선 통과공
60‘: 접지 분기선 62: 접지선 분기편
63: 접지선 결합나사 64: 접지선 분기편 결합공
65: 접지선 분기편 고정나사 200: 덮개
210: 결합공 덮개 결합나사 220: 덮개 결합나사
300: 전기계량기함 바닥면 310: 바닥면 고정나사

Claims (9)

  1. 다수 개의 전기계량기가 설치되는 전기계량기함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계량기함 내를 통과되는 전력 간선 및 접지선을 분기하는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에 있어서,
    상기 전력 간선이 통과되어 그 내부에 상기 전력 간선과 전기적 접속이 되도록 한 U자형 단면을 가진 도체를 일정 간격으로 두고 다수 개 배치하고 상기 도체 외부를 절연 수지로 성형하여 일체화된 몸체와,
    상기 전력 간선과 전기적 접속이 된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도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접속편이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연장 접속편은 상기 전력 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간선 접속편과, 상기 간선 접속편과 단차지게 연장 구성되어 상기 전력 간선을 분기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분기선 결합나사들을 구비한 분기선 접속편으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의 내면 일부분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그 나사홈에 나사 결합된 렌치볼트를 구비하여, 상기 전력 간선이 상기 도체 내부로 통과될 때 상기 전력 간선 상부에 상기 간선 접속편을 배치하여 상기 렌치볼트를 조임으로써 상기 전력 간선 및 상기 간선 접속편이 상기 몸체에 고정되게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선 접속편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에서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부분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기 간선 접속편이 상기 전력 간선의 상부에 배치될 때 상기 몸체와 계합되는 구조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에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접지선 통과공을 형성하여 상기 접지선 통과공 내부에 접지선을 다수 개로 분기하는 접지선 분기편을 고정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U자형 단면을 가진 도체가 일정 간격으로 2개로 배치된 것이 상하 2단으로 배치하고 그 외부를 절연 수지로 성형하여 일체화된 몸체로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
  6. 다수 개의 전기계량기가 설치되는 전기계량기함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계량기함 내를 통과되는 전력 간선 및 접지선을 분기하는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에 있어서,
    상기 전력 간선이 통과되어 그 내부에 상기 전력 간선과 전기적 접속이 되도록 한 U자형 단면을 가진 도체를 일정 간격으로 두고 다수 개 배치하고 상기 도체 외부를 절연 수지로 성형하여 일체화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접지선 통과공을 형성하여 상기 접지선 통과공 내부에 접지선을 다수 개로 분기하는 접지선 분기편이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접지선 분기편은 상기 접지선 통과공 내부에 고정 설치되었을 때 양측이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노출된 부분을 가지며, 상기 양측의 노출된 부분에 각각 상기 접지선을 다수 개로 분기하기 위한 접지선 결합나사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선 분기편에서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노출된 부분 중 일측에 구비된 접지선 결합나사는 인입 접지선용이고, 다른 일측에 구비된 접지선 결합나사는 인출 접지선용 및 다수개의 전기계량기 접지선용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
KR1020080118825A 2008-06-24 2008-11-27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 KR1010227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9360 2008-06-24
KR1020080059360 2008-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055A KR20100002055A (ko) 2010-01-06
KR101022720B1 true KR101022720B1 (ko) 2011-03-24

Family

ID=41812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825A KR101022720B1 (ko) 2008-06-24 2008-11-27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7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113B1 (ko) * 2013-06-13 2014-10-31 주식회사 현대이에스지 전력계량기 접속분기기
KR101936760B1 (ko) * 2018-08-23 2019-04-03 강인기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
CN109273874B (zh) * 2018-11-07 2023-09-26 国网四川省电力公司资阳供电公司 一种位于电表箱内的导线连接装置
CN117805461B (zh) * 2024-02-29 2024-05-03 山东有宝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具备快速接线功能的抗震电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887Y1 (ko) * 2006-09-07 2006-12-07 채석 케이블 접속 단자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887Y1 (ko) * 2006-09-07 2006-12-07 채석 케이블 접속 단자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055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37611B (zh) 引线端子
US7339121B2 (en) Multi wire union box
KR101022720B1 (ko)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
KR20180068446A (ko) 콘센트 설치 구조
KR20090017141A (ko) 전선 연결용 커넥터
US20100084186A1 (en) Fixture box enclosure
CN104600441A (zh) 快速接线端子
KR101090558B1 (ko) 분전반
CN204333288U (zh) 一种快速接线端子
KR100593885B1 (ko) 전선 연결 접속기
KR20090017140A (ko) 전선 연결용 커넥터
KR200383307Y1 (ko) 입출력전원선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전력량계
KR200346213Y1 (ko) 전기 계량기함 터미널
CN201697941U (zh) 使用接线框的电表外壳
US7915543B2 (en) Isolator assembly, receptacle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068743B1 (ko) 전선 접속구와 이를 구비한 터미널블럭
KR100594909B1 (ko) 분,배전반용 주차단기와 모선부스바의 접속장치
KR200445019Y1 (ko) 단자대
CN2242531Y (zh) 一户一表专用接线盒
US11070040B1 (en) Quick connect electrical junction box
KR101178797B1 (ko) 방수용 전선 접속 커넥터
KR200282263Y1 (ko) 단자대
KR100593884B1 (ko) 전선 연결 및 분기접속기
KR101459286B1 (ko) 자동화판넬용 전기콘센트
KR20100011226U (ko)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