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263Y1 - 단자대 - Google Patents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263Y1
KR200282263Y1 KR2020020007709U KR20020007709U KR200282263Y1 KR 200282263 Y1 KR200282263 Y1 KR 200282263Y1 KR 2020020007709 U KR2020020007709 U KR 2020020007709U KR 20020007709 U KR20020007709 U KR 20020007709U KR 200282263 Y1 KR200282263 Y1 KR 2002822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erminal block
groove
support memb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성산업
Priority to KR2020020007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2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2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263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전기배선에 사용되는 단자대에 관한 본 고안은, 내부에 수납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양측단 칸막이에 옥내전기반에 결합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블록함체; 상기 블록함체의 수납홈에 수납되며,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주전선을 안착시켜 지지하기 위한 지지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부에는 결합공이 관통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공과 연통하도록 그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홈과 대향하는 가압홈과 상기 가압홈의 상측으로 연통하여 옥내전기반에 연결하기 위한 접속전선의 단부가 삽입되는 설치홈이 형성된 덮개부재; 및 상기 결합공에 끼워져 상기 지지부재와 덮개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단자대는 적산전력계와 연결되는 계량용전선을 단자대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옥내로 인입하는 전선을 절단할 필요가 없어 작업이 간단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상기 계량용 전선을 보호고정구로 보호한 상태에서 볼트로 조여 고정하므로 계량용 전선의 고정시, 볼트에 의해 상기 전선이 절단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신뢰성있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주전선과 계량용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터미날블록의 구성부품을 간단히 하고, 고정에 필요한 구멍수의 가공공수를 최대한 줄임으로써 생산단가를 절감하며,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필요시 나사를 이용해 간단히 분해조립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단자대에 연결된 전선을 잡고있는 유지력이 커서, 전선이 큰 힘으로 조여지며 견고히 고정되어 양 전선의 접속에 관한 신뢰성이 크고, 상기 단자대 자체에 방열구를 형성할 경우, 전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킴으로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다른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단자대{Terminal block}
본 고안은 단자대(torminal block)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자대가 불록형태의 도체로 이루어지며, 특히 단자대로부터 계랑기로 이어지는 계량용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 옥내로 인입하는 주(main)전선을 절단하지 않아도 되는 구조를 갖는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는 단자대는 용량 및 구조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대부분 별도의 비도전체 박스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자대는 옥외에서 옥내로 인입되는 인입선과 옥내에 매설되어 각종 부하에 전력을 제공하는 옥내선 및 적산전력계로 연결되는 전선을 상호 연결하는 전선접속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단자대는 여러개의 단자를 비도전체 박스에 수납한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며, 적절한 단자대끼리 연결하여 필요한 전압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적산전력계는 옥내의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을 계량하기 위한 계랑기로서 단자대의 부하측 단자에 계량용 전선으로 연결되어 부하측으로 흐르는 전기량을 체크한다.
단자대에 인입선과 옥내선 및 계량용전선을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단자대로하여금 전선을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하는데, 전선의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각종 슬리브류를 사용하였다. 이는 인입선과 옥내선 및 계량용전선의 단부를 도체인 슬리브에 삽입한 후, 상기 슬리브를 조임으로서 소성변형시켜 각 전선의 고정 및 접속을 이루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의 슬리브를 사용하여 접속을 이루는 방법은 슬리브를 재활용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슬리브를 일회용으로만 사용할 수 밖에 없어 자원의 낭비 요인이 된다. 또한 슬리브가 완전히 소성변형하므로, 필요에 의해 각 전선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 슬리브를 다시 벌려 확장시키거나 또는 절단하여야 하므로 매우 힘이들고 작업이 번거롭다. 아울러 슬리브내에 고정되어 있는 전선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별도의 방열수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그만큼 전선의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이 슬리브를 사용하는 방법 이외에, 여러 가지 부품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터미널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조임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터미널의 설치구에 인입선의 단부를 삽입 고정시키고, 동시에 옥내선 및 계량용전선의 단부도 동일한 방법으로 반대측 설치구에 삽입하고 나사등으로 고정하여 인입선과 옥내선 및 적산전력계의 접속을 이루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터미널형 단자대에는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부품의 수가 많아 유지보수가 복잡하며, 특히 전선의 단부를 지지하며 고정시키는 힘이 약하여 접속유지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며, 이러한 고정력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상기 나사를 강하게 조일 경우, 상호 맞물려 있는 전선이 끊어질 우려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옥내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와 같이 단자대를 설치하는 이유는 공지의 사실과 같이 적산전력계를 설치하기 위함이다. 사실 각 가옥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인입선을 굳이 절단하지 않고 바로 옥내로 전입시켜도 옥내에서 각종 부하에 적절한 전기를 공급할 수 있지만, 사용한 전력량을 계량하기 위한 적산전력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부득이하게 전선을 절단하고 절단된 부위를 단자대에 고정하고 다시 연결시켜야 한다.
즉, 적산전력계에 연결되는 계량용전선을, 인입되는 주전선에 연결시켜야 하지만, 마땅한 연결수단이 없으므로, 연결수단으로서 단자대를 설치하고 단자대에 주전선의 절단부위와 계량용전선을 접속하여야 하였다. 이에 따라, 각 가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을 인입시키기 위하여는, 각 가구에 인입되는 주전선을 절단하여야 하므로, 특히 아파트와 같이 가구 밀집도가 높은 경우에는 아파트 전체의 전기배선이 복잡해지고 작업이 불편하고 특히 전선의 낭비가 심하였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단자대를 통해 옥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을 설치할 때, 전선을 절단할 필요없이 옥내의 각종 부하에 접속할 수 있는 단자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단자대에서 상호 절단된 전선을 접속시킬 때에도 볼트에 의해 고정하여 전선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력을 크게하여 전선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또 상기 볼트에 의한 강한 조임력에도 전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 단자대를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구성부품 및 가공공수를 최소화하여 제작을 손쉽게 하며,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필요시 나사를 이용해 간단히 분해 조립을 할 수 있도록 한 단자대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단자대 자체에 복수의 방열구를 형성하여 전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발생하여 전기의 전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 단자대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단자대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단자대의 결합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단자대에 주전선과 계량용전선이 접속되는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단자대에 주전선과 계량용전선이 접속되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단자대내에 분리된 두개의 주전선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단자대내에 서로 다른 직경의 두개의 주전선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블록함체 2: 터미날 블록
10: 지지부재 11: 돌출부재
12 : 걸림턱 15, 40, 42: 볼트
16: 덮개부재 17: 보조부재
18: 전선보호고정구 21 : 주전선
23: 계량용 전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수납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양측단 칸막이에 옥내전기반에 결합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블록함체; 상기 블록함체의 수납홈에 수납되며,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주전선을 안착시켜 지지하기 위한 지지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부에는 결합공이 관통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공과 연통하도록 그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홈과 대향하는 가압홈과 상기 가압홈의 상측으로 연통하여 옥내전기반에 연결하기 위한 접속전선의 단부가 삽입되는 설치홈이 형성된 덮개부재; 및 상기 결합공에 끼워져 상기 지지부재와 덮개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단자대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단자대는 전선을 절단할 필요없이 옥내의 각종 부하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블록함체(1)와, 지지부재(10) 및 덮개부재(16)가 결합된 한쌍의 터미날 블록(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블록함체(1)는 옥내에 비치된 적산계량기등에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터미날 블록(2)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1a)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수납홈(1a)의 사이에는 칸막이(1b)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양측단 칸막이(1b)의 상면 중앙에는 계량기등에 결합하기 위한 관통홀(1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블록함체(1)는 비도전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플라스틱 사출물로 생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칸막이(1b)에 의해 구획된 3개의 수납홈(1a)이 형성된 블록함체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터미날블록(2)의 지지부재(10) 및 덮개부재(16)는 구리와 같은 도체로 이루어져, 그에 적용되는 전선이 절단되어 이격된 상태라 하더라도 전선의 양 단부를 견고히 고정하고 전기를 통하게 하는 매체의 역할을 한다.
지지부재(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의 블록형태를 취하며, 상면에는 지지홈(10a)이 형성되어 있고, 저면 중앙에는 블록함체(1)의 수납부(1a)에 지지되기 위한 돌출부재(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홈(10a)은 주전선(21)(도2에 도시)이 놓여져 지지되는 장소로서 부분원호형의 단면형상을 가져 바닥이 둥글게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홈(10a)이 이루는 부분원호는 반원호보다 작은 부분원호이다.
상기 지지홈(10a)의 내부에는 지지부재(10)의 돌출부재(11)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두 개의 설치공(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공(11a)에는 고정나사(40)가 끼워져 지지부재(10)를 블록함체(1)의 수납홈(1a)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설치공(11a)의 내부면에는 걸림턱(12)(도3에 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10)의 양단에는 두 개 씩의 암나사홀(10b)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 홀(10b)은 후술할 덮개부재(16)의 암나사홀과 연통하여 볼트(15)를 매개로 지지부재(10)와 덮개부재(16)를 결합하기 위하여 마련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10)의 상부에 결합하는 덮개부재(16)는 지지부재(10)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대략 육면체 형상의 블록형태를 취하되, 상면에는 계량용 전선의 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설치홈(17a)을 갖는 보조부재(17)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10)를 향하는 저면에는 주전선(21)의 삽입방향으로 가압홈(16a)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홈(16a)은 보조부재(17)의 설치홈(17a)과 연결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지지부재(10)의 지지홈(10a)와 같이 부분원호의 형상을 취함으로써, 지지부재(10)에 덮개부재(16)을 결합하면 지지홈(10a)과 가압홈(16a)이 상호 마주하며 타원형상의 공간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설치홈(17a)은 가압홈(16a)과 지지홈(10a)간에 주전선(21)이 삽입되어 고정될 때에 계량용전선(23)의 단부를 삽입시켜 주선선(21)과 계량용전선(23)이 접속을 이루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0)의 암나사홀(10b)과 대응하는 위치의 덮개부재(16)에도 암나사홀(16b)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볼트(15)를 매개로 지지부재(10)와 덮개부재(16)가 결합된다.
상기 보조부재(17)에는 설치홈(17a)의 수직방향으로 관통암나사홀(17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후술할 전선보호고정구를 매개로 계량용전선(23)이 주전선(21)측으로 가압되어 주전선(21)과의 접속을 이룰 수 있도록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보조부재(17)에는 그의 상면과 설치홈(17a)을 향하여 끼워지는 실질적으로 "ㄷ"자 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진 전선보호고정구(18)가 설치된다. 상기 전선보호고정구(18)의 상단부재(18a)는 보조부재(17)의 관통암나사홀(17b)과 연통하는 홀(19)을 가짐으로써, 고정볼트(42)에 의해 고정되며, 하단부재(18b)는 상기 고정볼트(42)를 조임에 따라 상기 계량용 전선(23)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보호하면서 주전선(21)측으로 가압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지지부재(10)와 덮개부재(16)에 다수의 방열구(도면에 미표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방열구의 개수는 지지부재(10)나 덮개부재(16)의 크기에 따라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생산단계에서 방열구의 직경도 달리하여 방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방열구는 타원형이나 각형으로 형성할 수 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10)와 덮개부재(16)를 결합하여 세트화한 터미날블록(2)의 크기는 건물의 크기나 세대수에 따라 그에 맞는 여러 종류가 구비되어 있어, 작업시 적용되는 전선의 굵기에 대응하는 지지부재(10) 및 덮개부재(16)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또한 지지부재(10) 및 덮개부재(16)의 외관의 형상도 본 실시예에서와 달리 변형시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0)의 지지홈(10a) 및 덮개부재(16)의 가압홈(16a)의 반경은 양측으로 인입되는 주전선의 크기에 따라 변경하여 후가공처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아파트의 경우 바닥층의 옥내반에서 단자대로 인입되는 주전선의 직경은 전체 세대수를 수용할 수 있는 용량부하를 가지는 것을 선택하고, 상기 단자대에서 인출되어 상층으로 올라가는 주전선은 각 층별 세대수가 수용하는 용량부하를 가지는 것을 선택함으로써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각 세대를 수용하는 용량부하에 맞게 인입되는 주전선 직경의 변경에 따라 인입측 상기 지지부재(10)의 지지홈(10a)과 인출측 지지홈(10a')의 반경크기를 달리하여 가공하고,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 대응하는 덮개부재(16)의 가압홈(16a)도 마찬가지로, 상기 지지홈(10a, 10a')와 동일하게 가공한다.
도 5는 주선선이 절단된 상태로 홈(12a,16a)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즉, 홈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일측의 주전선(21)과 타측의 주전선(21')과의 굵기가 서로 다른 경우라도 홈의 양단부에서 삽입된 양측의 주전선(21, 21')을 확실하게 조여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옥외에서 들어오는 인입전선과 부하로 연결되는 옥내전선과의 충분한 접속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때에도 물론 계량용전선을 견고히 접속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터미날블록의 조립상태를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의 종단면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홈(10a)과 가압홈(16a)사이에 설치된 주전선(21)은, 대체로 둥근단면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주전선(21)이 설치된 지지홈(10a)과 가압홈(16a)의 크기는 주선선(21)의 굵기에 대응하여 선택되어야 하므로, 주선선(21)의 굵기에 대응한 적당한 크기의 홈이 형성된 지지부재(10) 및 덮개부재(16)를 선택하여 전선을 게재시킨다. 전선의 굵기에 대응한 적당한 크기의 홈이라 함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홈(10a)에 주전선(21)을 안착한 후, 덮개부재(16)를 씌웠을 때, 지지부재(10)의 상면과 덮개부재(16)의 저면이 이격된 상태를 의미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구되는 용량에 맞는 굵기의 주전선을 배선하기 위해서는 먼저 주선선(21)의 굵기에 대응한 적당한 크기의 홈을 갖는 지지부재(10)를 선택하여 주전선(21)을 안착시킨 후, 덮개부재(16)를 주전선(21)의 상부에 씌우고, 지지부재(10)와 덮개부재(16)를 결합시킨다. 지지부재(10)와 덮개부재(16)를 결합시키기 위해, 볼트(15)를 관통구(16b)를 통해 결합공(10b)에 끼운 상태로, 볼트(15)를 점차 조이면 가압홈(16a)은 주전선(21)을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하강한다. 상기 볼트(15)를 계속 조여서 마침내 지지부재(10)의 상면과 덮개부재(16)의 저면이 상호 접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있던 지지부재(10)와 덮개부재(16)가 볼트(15)의 조임에 따라 주전선(21)을 소성변형시키며 서로 근접하여 결합을 이루므로, 주전선(21)은 홈(10a,16a)내에서 견고히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상태에서 보조부재(17)를 관통하고 있는 고정볼트(42)를 조임에 따라 상기 고정볼트(42)의 하단부는 전선보호고정구(18)의 하단부재(18b)를 가압하고, 이 하단부재(18b)에 의해 주전선(21)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는 계량용 전선(23)을 가압하여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에 주전선 및 계량용전선을 설치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아울러 도면에서 화살표 A방향은 옥외방향이고 화살표 B방향이 옥내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화살표 C방향은 적산전력계가 위치하는 방향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에 적용된 주전선(21)의 일부부위가 피복이 벗겨져 도체선이 노출되어 있으며, 이 상태로 보조부재(17)의 설치홈(17a)에 계량용전선(23)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계량용전선(23)의 단부는 피복이 제거된 상태로 설치홈(17a)에 삽입되어 주전선(21)의 노출부와 전기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하며, 전선보호고정구(18)의 하단부재(18b)로 하여금 계량용 전선(23)을 누르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42)를 조여 계량용전선(23)의 단부를 주전선(21)의 노출부측으로 가압하여 주전선(21)과 계량용전선(23)과의 접속을 이룬다. 이와 같이 주전선(21)과 계량용전선(23)이 볼트(42)에 의해 강한 힘으로 접속하고 있으므로, 계량용전선(23)은 설치홈(17a)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접속에 의해 옥외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공급되는 전기의 일부는 계량용전선(23)을 타고 적산전력계(미도시)로 이동하고, 나머지 대부분의 전기는 옥내의 각종 부하에 인가된다.결국 적산전력계로 향하는 계량용전선(23)을 설치하기 위해 종래에는 주전선(21)을 절단하여야 하였지만, 본 고안에 따른 단자대에서는 주선전(21)을 절단하지 않고 계량용전선(23)을 간단히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이 훨씬 간단하며 사용되는 부품도 매우 감소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본 고안의 단자대는, 적산전력계와 연결되는 계량용전선을 단자대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옥내로 인입하는 전선을 절단할 필요가 없어 작업이 간단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상기 계량용 전선을 보호고정구로 보호한 상태에서 볼트로 조여 고정하므로 계량용 전선의 고정시, 볼트에 의해 상기 전선이 절단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신뢰성있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주전선과 계량용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터미날블록의 구성부품을 간단히 하고, 고정에 필요한 구멍수의 가공공수를 최대한 줄임으로써 생산단가를 절감하며,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필요시 나사를 이용해 간단히 분해조립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단자대에 연결된 전선을 잡고있는 유지력이 커서, 전선이 큰 힘으로 조여지며 견고히 고정되어 양 전선의 접속에 관한 신뢰성이 크고, 상기 단자대 자체에 방열구를 형성할 경우, 전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킴으로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다른 효과를 가진다.

Claims (10)

  1. 내부에 수납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양측단 칸막이에 옥내전기반에 결합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블록함체;
    상기 블록함체의 수납홈에 수납되며,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주전선을 안착시켜 지지하기 위한 지지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부에는 결합공이 관통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공과 연통하도록 그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홈과 대향하는 가압홈과 상기 가압홈의 상측으로 연통하여 옥내전기반에 연결하기 위한 접속전선의 단부가 삽입되는 설치홈이 각각 형성된 덮개부재; 및
    상기 상기 지지부재와 덮개부재의 결합공에 끼워져 그들을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단자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함체는 비도전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와 덮개부재는 도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그의 저면 중앙에 블록함체의 수납부에 수납되어 지지되기 위한 돌출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홈에는 돌출부재를 수직으로 관통하며 내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제1 고정수단을 매개로 블록함체의 수납홈에 고정하기 위한 설치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을 가지고 덮개부재의 상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며, 수직으로 관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된 보조부재를 더 포함하는 단자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의 상면과 설치홈을 향하여 끼워지도록 구비된 전선보호고정수단; 및
    상기 전선보호고정수단 및 보조부재를 관통하여 고정하는 제2 고정수단
    을 더 포함하는 단자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보호고정구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의 상단부재는 보조부재의 고정홀과 연통하는 홀을 가지며, 하단부재는 상기 제2 고정수단의 고정력 제공시 상기 접속전선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보호하면서 주전선측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7. 제 5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고정수단은 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 및 가압홈의 단면형상은 대략 반원보다 짧은 부분원호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및 덮개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구를 더 포함하는 단자대.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홈과 덮개부재의 가압홈은 주전선이 인입되는 홈부위와 인출되는 홈부위의 반경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KR2020020007709U 2002-03-15 2002-03-15 단자대 KR2002822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709U KR200282263Y1 (ko) 2002-03-15 2002-03-15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709U KR200282263Y1 (ko) 2002-03-15 2002-03-15 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263Y1 true KR200282263Y1 (ko) 2002-07-19

Family

ID=73074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709U KR200282263Y1 (ko) 2002-03-15 2002-03-15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2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081Y1 (ko) 2008-07-16 2010-06-10 황형인 전력량계의 개방형 단자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081Y1 (ko) 2008-07-16 2010-06-10 황형인 전력량계의 개방형 단자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30675B (zh) 电的成排接线端子块
US7264514B2 (en) Rotary socket assembly
US6497592B1 (en) Voltage terminal connector assembly
US6777611B2 (en) Switch/power drop unit for modular wiring system
US7294017B2 (en) Electrical receptacle and junction box free of wire-nuts
US6443783B1 (en)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
WO2003096509A2 (en) Through-wall electrical system
US5032092A (en) Power distribution block
US6747864B2 (en) Distribution board with uninterruptible socket terminal block
US6220872B1 (en) Modular power supply
US20100018739A1 (en) Enclosure for wiring devices
KR101059678B1 (ko) 태양광발전용 인버터
US20060216988A1 (en) Electrical receptacle and junction box free of wire-nuts
US6910903B2 (en) Receptacle mounting bracket attached to frame
US6267613B1 (en) Electrical terminal block and receptacles
KR200282263Y1 (ko) 단자대
KR101022720B1 (ko)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
CA2144887A1 (en) Terminal box
CN209896277U (zh) 灯组件、灯座及接线结构
GB2166303A (en) An adaptor for connecting electrical connectors to electrical accessory outlet connectors
US11070040B1 (en) Quick connect electrical junction box
CN212784022U (zh) 一种快速对接插头
US6471532B2 (en) Electrical adapter
GB1584638A (en) Multiway connector and screening partition
CN216289074U (zh) 一种单相接线插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