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760B1 -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760B1
KR101936760B1 KR1020180098586A KR20180098586A KR101936760B1 KR 101936760 B1 KR101936760 B1 KR 101936760B1 KR 1020180098586 A KR1020180098586 A KR 1020180098586A KR 20180098586 A KR20180098586 A KR 20180098586A KR 101936760 B1 KR101936760 B1 KR 101936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ing
ground
coupling
bolt
coupling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기
Original Assignee
강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인기 filed Critical 강인기
Priority to KR1020180098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7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접지동대; 접지선의 피복을 벗겨 노출시킨 접지연심을 다수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접지동대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수평 방향으로 천공 형성되고, 접지동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직경이 다른 연심삽입공; 상기 접지동대의 상부 평면에서 상기 연심삽입공에 이르기까지, 상기 연심삽입공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천공 형성되고, 내주연에 상기 가압볼트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결합공; 상기 볼트결합공과 나사 결합되고,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연심삽입공에 삽입된 접지연심을 가압하여, 상기 접지연심을 접지동대에 고정하는 다수의 가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볼트는 연심삽입공 내에 삽입되는 제1결합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접지동대 외부로 돌출 연장되는 제2결합구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2결합구간은 접지터미널이 복층으로 설치되고, 상기 접지터미널 상부 제2결합구간에는 회전방지 와셔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방지 와셔 상부의 제2결합구간에는 체결너트가 설치되도록 하여, 접지연심 연결부(A)와 접지터미널 연결부(B)를 하나의 접지동대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GROUND CONN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접지동대에 접지연심 연결부와 접지터미널 연결부를 동시 구현함으로써, 종래 대비 3배 이상 많은 접지선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개폐기의 접지동대는 지상개폐기의 케이블 접지선과 외함접지선 및 대지접지선을 접속시켜 접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종래의 접지동대는 볼트단자 취부식으로 접지선을 접속하여 접지선의 불완전 접속과 진동, 충격 등으로 접지선이 볼트단자에서 이탈하거나, 지락전류 등 고장전류 발생시 접촉저항의 증가로 접지선이 단선되고, 볼트단자를 접지동대에 부착시켜 주는 지지볼트가 이탈되어 이상전압이 유입되고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제 현장에서 개폐기 각 단자별 케이블의 중선선과 외함접지선 및 대지접지선의 접속을 접지동대를 사용하지 않고 나연동선을 이용하여 단락되지 않은 다른 중선선이나 외함접지선 및 대지접지선에 편법으로 접속하여 사용하고 있어 공사품질이 저하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접지동대(100)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지동대(100)와, 접지선(300)의 피복을 벗겨 노출시킨 접지연심을 다수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접지동대(100)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수평 방향으로 천공 형성되고, 접지동대(1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직경이 다른 연심삽입공(110)과, 상기 연심삽입공(110)에 접지연심이 삽입되면, 삽입된 접지연심을 가압하여 상기 연심삽입공(110)에 고정하는 가압볼트(200)를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접지동대(100)의 상부 평면에서 상기 연심삽입공(110)에 이르기까지, 상기 연심삽입공(110)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천공 형성되고, 내주연에 상기 가압볼트(200)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결합공(120)이 각각의 연심삽입공(110)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볼트결합공(120)과 나사 결합되고,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연심삽입공(110)에 삽입된 접지연심을 가압하여, 상기 접지연심을 접지동대(100)에 고정하는 다수의 가압볼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의 접지동대(100)의 구성은 접지선의 연결이 연심삽입공을 이용한 접지로 제한되고 있어, 보다 많은 수의 접지를 요하는 경우 애로사항을 갖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846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나의 접지동대에 접지연심 연결부와 접지터미널 연결부를 동시 구현함으로써, 종래 대비 3배 이상 많은 접지선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접지동대; 접지선의 피복을 벗겨 노출시킨 접지연심을 다수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접지동대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수평 방향으로 천공 형성되고, 접지동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직경이 다른 연심삽입공; 상기 접지동대의 상부 평면에서 상기 연심삽입공에 이르기까지, 상기 연심삽입공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천공 형성되고, 내주연에 상기 가압볼트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결합공; 상기 볼트결합공과 나사 결합되고,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연심삽입공에 삽입된 접지연심을 가압하여, 상기 접지연심을 접지동대에 고정하는 다수의 가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볼트는 연심삽입공 내에 삽입되는 제1결합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접지동대 외부로 돌출 연장되는 제2결합구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2결합구간은 접지터미널이 복층으로 설치되고, 상기 접지터미널 상부 제2결합구간에는 회전방지 와셔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방지 와셔 상부의 제2결합구간에는 체결너트가 설치되도록 하여, 접지연심 연결부(A)와 접지터미널 연결부(B)를 하나의 접지동대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심삽입공을 접지동대의 폭 방향을 관통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연심삽입공의 길이를 연심길이의 2~3배로 형성하여 연심삽입공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의 접지선이 동시 접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볼트는 무두렌치볼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동대의 재질은 알루미늄재질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접지동대에 접지연심 연결부와 접지터미널 연결부를 동시 구현함으로써, 종래 대비 3배 이상 많은 접지선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공정의 간소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접지장치와 연결되는 지중매설 접지봉 등의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지중설비작업을 간소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접지동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대용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장치에 접지선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장치의 분해단면도.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장치를 접지선 연결 작업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대용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장치에 접지선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장치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접지동대(100), 연심삽입공(110), 볼트결합공(120), 가압볼트(130), 회전방지와셔(140), 체결너트(15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아울러 각 구성요소 간 유기적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접지동대(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접지동대(100)는 복수의 접지선(1)들을 한 곳에 연결하기 위한 본체로서의 역할을 하는데, 외형적 특징으로는 직육면체의 블록형태로 형성되고, 물리적 특성으로는 도전성이 뛰어난 동과 같은 재질을 이용해 널리 제작된다.
본 발명에서는 접지동대(100)를 도전성과 가공성 및 내구성이 뛰어난 알루미늄재질을 이용해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접지동대(10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연심삽입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연심삽입공(110)은 상기 접지동대(100)의 몸체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수평 방향으로 천공하여 형성되는데, 상기 연심삽입공(110)에는 접지선(1)의 피복을 벗겨 노출시킨 접지연심(2)을 삽입하여 전기적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각각의 연심삽입공(110)은 직경이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직경이 다른 접지선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연심삽입공(110)을 접지동대(100)의 폭 방향을 관통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연심삽입공(110)의 길이를 연심길이의 2~3배로 형성하여 연심삽입공(110)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의 접지선(1)이 동시 접지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기존에는 연심삽입공(110)의 길이을 연심길이에 맞게 형성함으로써, 연심삽입공(110) 1개에 접지선(1) 1개씩을 연결하던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접지동대(100)의 폭을 확장하고, 연심삽입공(110)의 길이를 2~3배로 확장시켜 연심삽입공(110) 1개에 접지선(1) 2개가 양측에서 마주보고 삽입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접지동대(100)의 상부 평면에서 상기 연심삽입공(110)에 이르기까지, 상기 연심삽입공(110)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천공 형성되는 볼트결합공(120)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결합공(120)은 내주연에 가압볼트(130)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볼트결합공(120)은 접지동대(100) 상부 평면에 2열로 형성되며, 각각에 가압볼트(130)를 결합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압볼트(1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가압볼트(130)는 볼트머리가 없는 무두렌치볼트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볼트(130)는 볼트결합공(120)과 나사 결합되어 연심삽입공(110)에 삽입된 접지연심(2)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접지연심(2)을 접지동대(100)에 고정한다.
상기 가압볼트(130)는 연심삽입공(110) 내에 삽입되는 제1결합구간(131)을 형성하고, 상기 접지동대(100) 외부로 돌출 연장되는 제2결합구간(132)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가압볼트(130)의 제1결합구간(131)을 이용해 접지연심 연결부(A)를 형성할 수 있고, 제2결합구간(132)을 이용해 접지터미널 연결부(B)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1개의 접지동대(100)에 접지연심 연결부(A)와 접지터미널 연결부(B)를 동시 구현함으로써, 종래 대비 3배 이상 많은 접지선(1)을 동시에 연결 접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인 바, 가압볼트(130)의 구조개선을 통해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개선효과를 얻게 된다.
이하, 상기 가압볼트(130)의 구조개선을 통해 접지연심 연결부(A)와 접지터미널 연결부(B)를 형성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접지연심 연결부(A)는 접지동대(100)의 연심삽입공(110)에 접지선(1)의 접지연심(2)이 삽입되도록 하고, 가압볼트(130)를 접지동대(100)의 볼트결합공(120)에 나선 결합시킴으로써, 가압볼트(130)의 선단이 접지연심(2)을 압착 고정시켜 접지연심 연결부(A)의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가압볼트(130)의 일측 선단은 접지연심(2)을 가압하는 가압단부가 되고, 타측 선단은 가압볼트(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외력단부가 된다. 상기 외력단부에는 육각렌치 등의 도구를 이용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렌치홈(13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렌치홈(133)을 가압단부측에도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가압볼트(130)의 일측 렌치홈(133)이 마모 등의 이유로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가압볼트(130)를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고, 접지연심(2)을 가압하는 가압단부측의 렌치홈(133)은 접지연심(2)의 슬립을 방지하는 요철구조를 제공하여 접지연심(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접지터미널 연결부(B)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접지동대(100)의 상측으로 가압볼트(130)의 제2결합구간(132)이 연장되고, 상기 제2결합구간(132)의 외경에 접지터미널(3)이 관통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접지터미널(3)은 판상의 도전체로서, 일단부가 접지선(1)의 접지연심(2)을 감싸도록 압착 결합되며, 평면상에 가압볼트(130)의 제2결합구간(132)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은 2개가 형성되며, 각각의 관통홀은 접지동대(100) 상부로 연장된 2개의 가압볼트(130)를 동시 관통하여 결합된다.
상기한 접지터미널(3)은 가압볼트(130)의 제2결합구간(132)에 복수 개가 적층 결합될 수 있는데, 접지동대(100)의 좌우측 방향에서 교변 설치가 가능하다.
첨부도면에서는 좌우양측에서 각각 1개씩의 접지터미널(3)의 교변 설치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접지터미널(3)의 설치가 끝나고 나면, 상기 접지터미널(3) 상부로 돌출된 제2결합구간(132)에는 회전방지 와셔(140)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방지 와셔(140) 상부로 돌출된 제2결합구간(132)에는 체결너트(15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체결너트(150)의 체결력은 회전방지 와셔(140)와 접지터미널(3), 접지동대(100)를 압착시키게 되고, 회전방지 와셔(140)의 탄발력에 의해 체결너트(150)의 풀림이 제한된다.
또한, 상기 체결너트(150)의 체결력에 의해 가압볼트(130)의 제1결합구간(131) 나사산이 더욱 조여져서 접지연심(2)을 한번 더, 압착 고정시키게 된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여 접지장치에 접지선을 연결하는 작업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5a는 접지동대(100)를 폭방향으로 절개한 측단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지동대(100)가 준비된다. 상기 접지동대(100)에는 양측면을 관통하는 연심삽입공(110)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동대(100)의 상부 평면에 연심삽입공(110)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결합공(1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볼트결합공(120)은 접지동대(100)의 폭 방향 좌우 양측단에 각각 1개씩이 형성된다.
이후,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심삽입공(110)에 접지선(1)의 피복을 벗겨낸 접지연심(2)이 삽입된다.
이때, 접지선(1)은 접지동대(100)의 양측 방향에서 각각 1개씩이 동시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접지선을 1개만 접속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접지연심(2)이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볼트(130)를 볼트결합공(120)에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가압볼트(130)의 단부에는 렌치홈(133)이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는 육각렌치(4)나 전동공구를 이용해 가압볼트(130)를 회전시켜 제1결합구간(131)의 수나산과 볼트결합공(120)의 암나사산이 상호 나선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압볼트(130)는 볼트결합공(120)을 관통하여 접지연심(2)을 가압하여 접지연심(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도 5b의 요부 확대도를 참조하면, 가압볼트(130)의 가압측 단부가 접지연심(2)을 가압할 때, 접지연심(2)이 짓눌려 형상이 변형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가압볼트(130) 가압측 단부에 렌치홈(133)을 형성할 경우, 접지연심(2)의 변형된 살 부분이 렌치홈(133)의 내측 공간으로 파고들어 채워지고, 채워진 살 부분이 요철돌기 역할을 해서 접지연심의 수평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억지력을 제공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는 가압볼트(130)의 가압측 단부를 평탄하게 형성한 경우보다 높은 억지력을 갖게 된다.
상기 도 5b까지의 과정을 통해 접지연심 연결부(A)가 형성된다.
이후,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볼트결합공(120)에 체결된 가압볼트(130)의 제2결합구간(132)에 접지터미널(3)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접지터미널(3)은 평면상에 가압볼트(130)의 제2결합구간(132)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관통홀을 접지동대(100) 상부로 연장된 2개의 가압볼트(130)의 위치에 맞춰 동시에 관통시켜 안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접지터미널(3)은 접지동대(100)의 좌우측 방향에서 교변 설치가 가능하다. 물론, 가압볼트(130)의 제2결합구간(132)의 연장 길이에 따라서는 보다 많은 수의 접지터미널(3)을 교번 설치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접지터미널(3)의 설치가 끝나고 나면, 도 5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접지터미널(3) 상부로 돌출된 제2결합구간(132)에는 회전방지 와셔(140)가 설치된다.
이때, 회전방지 와셔(140)는 링 형상의 판체를 가공하여 외력에 의한 탄발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후, 도 5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방지 와셔(140) 상부로 돌출된 제2결합구간(132)에 체결너트(150)가 결합된다.
상기 체결너트(150)의 암나사산과 제2결합구간(132)의 수나산이 상호 나선 결합됨에 따라 회전방지 와셔(140)와 접지터미널(3), 접지동대(100)를 압착시키게 되고, 회전방지 와셔(140)의 탄발력에 의해 체결너트(150)의 회전 및 풀림이 억제된다.
또한, 상기 체결너트(150)의 체결시, 체결력에 의해 가압볼트(130)의 제1결합구간(131) 나사산이 회전하여 접지연심(2)을 한번 더 압착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5c,5d,5e까지의 과정을 통해 접지터미널 연결부(B)가 형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접지연심 연결부(A)와 접지터미널 연결부(B)를 하나의 접지동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대비 3배 이상 많은 접지선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공정의 간소화는 물론, 접지장치와 연결되는 지중매설 접지봉 등의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지중설비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접지동대 110 : 연심삽입공
120 : 볼트결합공 130 : 가압볼트
131: 제1결합구간 132: 제2결합구간
133: 렌치홈 140: 회전방지 와셔
150: 체결너트 1: 접지선
2: 접지연심 3: 접지터미널
A: 접지연심 연결부 B: 접지터미널 연결부

Claims (5)

  1. 접지선(1)의 피복을 벗겨 노출시킨 접지연심을 다수로 삽입 가능하도록, 접지동대(100)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수평 방향으로 천공 형성되고, 접지동대(1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직경이 다른 연심삽입공(110);과
    상기 접지동대(100)의 상부 평면에서 상기 연심삽입공(110)에 이르기까지, 상기 연심삽입공(110)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천공되며, 내주연에 가압볼트(130)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나의 연심삽입공(110)에 대응하여 접지동대(100) 상부 평면에 2열로 형성되는 볼트결합공(120);과
    상기 볼트결합공(120)과 나사 결합되고,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연심삽입공(110)에 삽입된 접지연심을 가압하여, 상기 접지연심을 접지동대(100)에 고정하도록 다수의 가압볼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에 있어서,
    양측단부에 렌치홈(133)이 형성된 다수의 가압볼트(130);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볼트(130)는 상기 연심삽입공(110) 내에 삽입되는 제1결합구간(131)을 형성하여 접지연심(2)을 가압고정하고, 상기 접지동대(100) 외부로 돌출 연장되는 제2결합구간(132)을 형성하여 상기 제2결합구간(132)에는 복수개의 접지터미널(3)이 복층으로 설치되고, 상기 접지터미널(3) 상부에 회전방지 와셔(140)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방지 와셔(140) 상부의 제2결합구간(132)에는 체결너트(150)가 설치되도록 하여, 다수의 직경이 다른 상기 연심삽입공(110)이 형성된 접지연심 연결부(A)와 상기 복수개의 접지터미널(3)이 복층으로 형성된 접지터미널 연결부(B)를 하나의 접지동대(100)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98586A 2018-08-23 2018-08-23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 KR101936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586A KR101936760B1 (ko) 2018-08-23 2018-08-23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586A KR101936760B1 (ko) 2018-08-23 2018-08-23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760B1 true KR101936760B1 (ko) 2019-04-03

Family

ID=6616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586A KR101936760B1 (ko) 2018-08-23 2018-08-23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7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453B1 (ko) * 2019-04-10 2019-11-08 김병조 연선 케이블의 효과적인 연결을 위한 계단형 콘넥터
KR102079004B1 (ko) 2019-06-27 2020-02-19 대성씨앤씨(주)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
KR102201980B1 (ko) 2020-01-22 2021-01-11 이윤배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용 볼트, 볼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볼트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금형
KR102341909B1 (ko) * 2021-08-02 2021-12-22 대성씨앤씨 주식회사 다단접지 단자대
WO2023286972A1 (ko) * 2021-07-13 2023-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055A (ko) * 2008-06-24 2010-01-06 김대규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
KR101780648B1 (ko) * 2011-04-13 2017-09-21 팬듀트 코포레이션 컨덕터 블록 및/또는 장착 브래킷을 포함하는 접지 바 조립체
KR101798467B1 (ko) 2017-08-02 2017-11-16 강인기 동관단자 비 결합식 접지동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055A (ko) * 2008-06-24 2010-01-06 김대규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
KR101780648B1 (ko) * 2011-04-13 2017-09-21 팬듀트 코포레이션 컨덕터 블록 및/또는 장착 브래킷을 포함하는 접지 바 조립체
KR101798467B1 (ko) 2017-08-02 2017-11-16 강인기 동관단자 비 결합식 접지동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453B1 (ko) * 2019-04-10 2019-11-08 김병조 연선 케이블의 효과적인 연결을 위한 계단형 콘넥터
WO2020209648A1 (ko) * 2019-04-10 2020-10-15 씨피케이 주식회사 연선 케이블의 효과적인 연결을 위한 계단형 콘넥터
KR102079004B1 (ko) 2019-06-27 2020-02-19 대성씨앤씨(주)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
KR102201980B1 (ko) 2020-01-22 2021-01-11 이윤배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용 볼트, 볼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볼트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금형
WO2023286972A1 (ko) * 2021-07-13 2023-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41909B1 (ko) * 2021-08-02 2021-12-22 대성씨앤씨 주식회사 다단접지 단자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760B1 (ko)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
EP1742303A2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electrical ground
US9660402B2 (en) Conductor assembly for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PL175306B1 (pl) Klinowe złącze uziemiające
WO1987005447A1 (en) A cable jointing clamp
US4787855A (en) Multiple bushing connector apparatus
US3401370A (en) Separable connector for underground system
US20100297891A1 (en) Connector for high electrical power applications
US7595455B2 (en) Kenny clamp
CN106415940B (zh) 用于电设备的连接装置和具有连接装置的电设备
JP5797702B2 (ja) 分離式直線スリーブ
KR101798467B1 (ko) 동관단자 비 결합식 접지동대
US3492629A (en) Device for joining cables
US2727086A (en) Solderless electrical wiring connector
EP3499646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using the same
KR102186578B1 (ko) 단위 길이로 분리와 결합되는 접지선
WO2018124883A1 (en) Safety device for electric power cable end
CN209981511U (zh) 一种微型低压短路、接地个人保安线
CN207459209U (zh) 一种新型接地线紧固装置
RU226984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роводников
KR20190098608A (ko)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KR101597353B1 (ko) 절연관통형 리드선 접속용 커넥터
KR200212545Y1 (ko) 스테인리스 스틸 접지봉
CN207504202U (zh) 内嵌式电杆接地螺栓组件
KR102029968B1 (ko) 단선방지 복합 단자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