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004B1 -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004B1
KR102079004B1 KR1020190136557A KR20190136557A KR102079004B1 KR 102079004 B1 KR102079004 B1 KR 102079004B1 KR 1020190136557 A KR1020190136557 A KR 1020190136557A KR 20190136557 A KR20190136557 A KR 20190136557A KR 102079004 B1 KR102079004 B1 KR 102079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core
bolt
bolt coupling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배
윤호창
Original Assignee
대성씨앤씨(주)
우일정보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씨앤씨(주), 우일정보기술(주) filed Critical 대성씨앤씨(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자가 크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서도 접지연심을 접지연심의 소선들이 연심삽입공의 입구에 걸려 벌어지는 현상없이 편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 접지연심이 연심삽입공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접지연심의 소선들이 하나로 모여진 상태로 볼트결합공 측으로 삽입 및 유도될 수 있도록 한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접지동대의 측면과 상면에 각각 다수의 연심삽입공과 볼트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심삽입공과 볼트결합공은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이어 통하게 형성되며, 상기 연심삽입공에 삽입된 접지선의 접지연심은 상기 볼트결합공에 체결되는 가압볼트의 압력에 의해 상기 볼트결합공의 하부에 고정되는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심삽입공은 접지선의 접지연심보다 큰 직경의 입구와, 상기 접지연심보다 작은 직경의 출구와, 상기 입구와 출구의 사이에 형성되는 테이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GROUND CONN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자가 크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서도 접지연심을 접지연심의 소선들이 연심삽입공의 입구에 걸려 벌어지는 현상없이 편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 접지연심이 연심삽입공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접지연심의 소선들이 하나로 모여진 상태로 볼트결합공 측으로 삽입 및 유도될 수 있도록 한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개폐기의 접지동대는 지상개폐기의 케이블 접지선과 외함접지선 및 대지접지선을 접속시켜 접지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접지동대는 볼트단자 취부식으로 접지선을 접속하여 접지선의 불완전 접속과 진동, 충격 등으로 접지선이 볼트단자에서 이탈하거나, 지락전류 등 고장전류 발생시 접촉저항의 증가로 접지선이 단선되고, 볼트단자를 접지동대에 부착시켜 주는 지지볼트가 이탈되어 이상전압이 유입되고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실제 현장에서 개폐기 각 단자별 케이블의 중선선과 외함접지선 및 대지접지선의 접속을 접지동대를 사용하지 않고 나연동선을 이용하여 단락되지 않은 다른 중선선이나 외함접지선 및 대지접지선에 편법으로 접속하여 사용하고 있어 공사품질이 저하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는 실정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는 직사각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접지동대(100)가 구비되고, 상기 접지동대(100)는 측면 및 상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개의 연심삽입공(110) 및 볼트결합공(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심삽입공(110)과 볼트결합공(120)은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이어 통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심삽입공(110)에 피복을 벗겨 노출된 접지선(300)의 접지연심이 삽입되고, 상기 볼트결합공(120)에 가압볼트(200)가 결합되며, 연심삽입공(110)에 삽입된 접지연심(310)은 볼트결합공(120)에 결합되는 가압볼트(200)의 압력에 의해 볼트결합공(120)의 하부에 연결 및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는 연심삽입공의 입구가 접지연심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고, 그 직경으로 볼트결합공까지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연심삽입공에 접지연심을 삽입할 때 여러가닥의 소선들이 연심삽입공의 입구에 걸려 벌어지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다시 한 손으로 접지선을 잡고 다른 손으로 접지연심의 소선들을 벌어지지 않게 모아 잡은 상태에서 주의를 기울여 접지연심을 연심삽입공에 삽입해야만 되므로 작업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한다.
또한, 연심삽입공에 삽입된 접지연심을 가압볼트로 가압할 때 접지연심의 각 소선들이 가압볼트의 회전 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접지연심에 대한 가압볼트 고정이 불안정해 접지선의 볼트단자의 이탈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6760호(2019.04.04.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자가 크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서도 접지연심을 접지연심의 소선들이 연심삽입공의 입구에 걸려 벌어지는 현상없이 편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 접지연심이 연심삽입공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접지연심의 소선들이 하나로 모여진 상태로 볼트결합공 측으로 삽입 및 유도될 수 있도록 한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볼트결합공에 위치한 접지연심의 소선들이 가압볼트가 회전하면서 압박할 때, 그 회전 압박력에 의해 함께 회전되어 주변으로 흩어지는 현상없이 모여진 상태 그대로 가압볼트의 압력이 가해질 수 있게 하여 접지연심의 소선들을 보다 견고하면서도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의 한 형태는, 접지동대의 측면과 상면에 각각 다수의 연심삽입공과 볼트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심삽입공과 볼트결합공은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이어 통하게 형성되며, 상기 연심삽입공에 삽입된 접지선의 접지연심은 상기 볼트결합공에 체결되는 가압볼트의 압력에 의해 상기 볼트결합공의 하부에 고정되는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심삽입공은 접지선의 접지연심보다 큰 직경의 입구와, 상기 접지연심보다 작은 직경의 출구와, 상기 입구와 출구의 사이에 형성되는 테이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트결합공에 결합되는 가압볼트의 압력에 의해 회전하지 않은 상태로 접지연심을 상부에서 밀착 고정하는 접지연심 가압보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접지연심 가압보조수단은, 상기 볼트결합공의 나사산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반 형태로 형성된 몸체의 상면에 표면을 매끄럽게 처리한 표면처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하면에 요철 형태로 다수의 스파이크가 형성된 접지연심 밀착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연심 가압보조수단의 다른 형태는, 상기 볼트결합공의 나사산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반 형태로 형성된 몸체의 상부에 상기 볼트결합공의 나사골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볼트끼움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하면에 요철 형태로 다수의 스파이크가 형성된 접지연심 밀착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볼트끼움부는,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수직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직절개홈에 의해 수직절개홈 간에 탄성편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은 가압볼트의 하단부 둘레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접지동대의 측면과 상면에 각각 다수의 연심삽입공과 볼트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심삽입공과 볼트결합공은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이어 통하게 형성되며, 상기 연심삽입공에 삽입된 접지선의 접지연심은 상기 볼트결합공에 체결되는 가압볼트의 압력에 의해 상기 볼트결합공의 하부에 고정되는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심삽입공은 접지선의 접지연심보다 큰 직경의 입구와, 상기 접지연심보다 작은 직경의 출구와, 상기 입구와 출구의 사이에 형성되는 테이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가 크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편하게 삽입해도 접지연심의 소선들이 연심삽입공의 입구에 걸려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접지연심의 소선들을 가압보조수단의 접지연심 밀착부재가 회전없이 압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지연심의 소선들이 가압볼트의 회전 압력에 의해 주변으로 흩어져 분산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연심삽입공에 삽입된 접지연심이 보다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볼트결합공의 하부에 연결 및 고정될 수 있어, 장치의 성능 및 신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가압보조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은 본 발명 접지연심 밀착부재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접지연심 밀착부재에 의해 접지선의 접지연심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가압보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는 본 발명 접지연심 밀착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접지연심 밀착부재에 의해 접지선의 접지연심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동대(100)의 측면과 상면에 각각 다수의 연심삽입공(110)과 볼트결합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연심삽입공(110)과 볼트결합공(120)은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이어 통하게 형성되며, 상기 연심삽입공(110)에 삽입된 접지선(300)의 접지연심은 상기 볼트결합공(120)에 체결되는 가압볼트(200)의 압력에 의해 상기 볼트결합공(120)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에 있어,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심삽입공(110)의 입구(111)를 접지선(300)의 접지연심(31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하고, 연심삽입공(110)의 출구(112)는 상기 접지연심(310)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며, 상기 입구(111)와 출구(112)의 사이에 테이퍼(113)를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연심삽입공(110)을 형성하면, 접지선(300)을 접지동대(100)의 연심삽입공(110)에 삽입할 때, 연심삽입공(110)의 입구(111)가 접지연심(310)보다 직경이 크므로 작업자가 크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편하게 삽입해도 접지연심(310)의 소선들이 연심삽입공(110)의 입구(111)에 걸려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연심삽입공(110)의 내부로 계속 삽입되는 접지연심(310)의 소선들은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113)에 의해 출구(112) 측으로 좁혀지면서 하나로 모여진 상태로 출구(112)를 통과하여 볼트결합공(12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볼트결합공(120)의 하부에 위치한 접지연심(310)의 소선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로 모여진 상태로 출구(112)에 의해 지지되므로 볼트결합공(120)에 결합된 가압볼트(200)가 회전하면서 압박할 때, 접지연심(310)의 소선들이 가압볼트(200)의 회전 압력에 의해 주변으로 흩어져 분산되는 것을 줄일 수 있어 접지연심(310)의 연결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그러나, 상기 가압볼트(200)에 의한 접지연심(310)의 연결 및 고정은 견고할수록 보다 안정적인 접지가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압보조수단(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보조수단(400)은 가압볼트(200)가 볼트결합공(120)의 하부에 위치한 접지연심(310)의 소선들을 회전하면서 압박할 때, 상기 접지연심(310)의 소선들이 주변으로 흩어져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다 확실하면서 견고하게 상기 접지연심(310)을 볼트결합공(120)의 하부에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가압보조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은 본 발명 접지연심 밀착부재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접지연심 밀착부재에 의해 접지선의 접지연심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접지연심 가압보조수단(400)으로써 접지연심 밀착부재(410)가 구비된다. 상기 접지연심 밀착부재(410)는 볼트결합공(120)의 나사산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반 형태로 형성된 몸체(411)와, 상기 몸체(411)의 상면에 형성된 표면처리부(412)와, 상기 몸체(411)의 하면에 요철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스파이크(413)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411)는 볼트결합공(120)에 무리없이 용이하게 삽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상기 볼트결합공(120)의 내경에 형성된 나사산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야 하고, 상기 몸체(411)의 상면에 형성된 표면처리부(412)는 볼트결합공(120)에 삽입된 가압볼트(200)가 회전하면서 몸체(411)를 압박할 때, 상기 가압볼트(200)의 하단부가 표면처리부(412)에 미끄럼접촉되게 함으로써 가압볼트(200)의 회전력이 몸체(411)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몸체(411)의 하면에 형성된 스파이크(413)는 테이퍼(113)를 갖는 연심삽입공(110)에 의해 하나로 모여진 상태로 볼트결합공(120)의 하부에 위치한 접지연심(310)의 소선들을 수직으로 압박함은 물론 높은 마찰력으로 상기 접지연심(310)의 소선들을 보다 견고하면서도 확실하게 연결 및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의 가압보조수단(400)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접지연심 밀착부재(410)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작업자가 일일이 접지연심 밀착부재(410)를 볼트결합공(120)에 삽입해야만 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밀착부재(410)를 가압볼트(200)의 하부에 끼운 상태로 가압볼트(200)를 볼트결합공(12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압보조수단(400)의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가압보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는 본 발명 접지연심 밀착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접지연심 밀착부재에 의해 접지선의 접지연심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가압보조수단의 다른 실시예는 볼트결합공(120)의 나사산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반 형태로 형성된 몸체(421)와, 상기 몸체(42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볼트결합공(120)의 나사골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볼트끼움부(422)와, 상기 몸체(421)의 하면에 요철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스파이크(423)로 접지연심 밀착부재(420)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 몸체(42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볼트결합공(120)에 무리없이 용이하게 삽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상기 볼트결합공(120)의 내경에 형성된 나사산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야 하고, 상기 몸체(421)의 상부에 형성된 볼트끼움부(422)는 가압볼트(200)의 나사산 외경을 초과하지 않게 볼트결합공(120)의 나사골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져야만 한다. 이때, 상기 가압볼트(200)는 하단부에 상기 볼트끼움부(422)가 외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나사골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의 삽입구간(200a)을 갖는다.
또한, 상기 몸체(421)의 하면에 형성된 스파이크(413)는 테이퍼(113)를 갖는 연심삽입공(110)에 의해 하나로 모여진 상태로 볼트결합공(120)의 하부에 위치한 접지연심(310)의 소선들을 수직으로 압박함은 물론 높은 마찰력으로 상기 접지연심(310)의 소선들을 보다 견고하면서도 확실하게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먼저, 접지선(300)의 접지연심(310)을 연심삽입공(110)의 입구(111)에 삽입한다. 이렇게 상기 연심삽입공(110)의 입구(111)에 삽입된 접지연심(310)의 소선들은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113)에 의해 출구(112) 측으로 좁혀지면서 하나로 모여진 상태로 출구(112)를 통과하여 볼트결합공(12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접지연심 밀착부재(410)의 볼트끼움부(422)를 가압볼트(200)의 하단부 삽입구간(200a)의 외측으로 삽입하여 끼운다. 이렇게 가압볼트(200)는 하단부에 접지연심 밀착부재(420)가 끼움 결합된 상태로 볼트결합공(120)에 체결되고, 상기 접지연심 밀착부재(420)의 몸체(421) 하면이 볼트결합공(120)의 하부에 위치한 접지연심(310)의 소선들을 압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411)는 접지연심(310)에 접촉하기 전까지는 가압볼트(200)와 함께 회전하나, 상기 몸체(421)가 접지연심(310)에 접촉하면, 스파이크(423)에 의해 몸체(421)와 접지연심(310) 간에 발생한 높은 마찰력이 가압볼트(200)에 고정된 볼트끼움부(422)의 고정력보다 커져 몸체(421)는 회전하지 않고 가압볼트(200)만 헛돌게 됨으로써 상기 가압볼트(200)의 회전력이 몸체(421)에 전달되지 않은 상태로 접지연심(310)을 볼트결합공(120)의 하부에 연결 및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접지연심 밀착부재(420)는 몸체(421)의 상부측 볼트끼움부(422)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수직절개홈(422a)이 형성됨에 따라 다수의 탄성편(422b)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편(422b)은 볼트끼움부(422)를 가압볼트(200)의 하단부 삽입구간(200a)의 외측에 삽입할 때, 볼트끼움부(422)의 내경이 탄력적으로 신축될 수 있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가압볼트(200)의 하단부 삽입구간(200a)의 외경, 또는 볼트끼움부(422)의 내경에 대한 가공오차로 인해 볼트끼움부(422)가 가압볼트(200)의 삽입구간(200a) 외측에 삽입되어 끼워지지 못할 수 있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의미를 갖는다.
이같이 본 발명은 접지동대의 측면과 상면에 각각 다수의 연심삽입공과 볼트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심삽입공과 볼트결합공은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이어 통하게 형성되며, 상기 연심삽입공에 삽입된 접지선의 접지연심은 상기 볼트결합공에 체결되는 가압볼트의 압력에 의해 상기 볼트결합공의 하부에 고정되는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심삽입공은 접지선의 접지연심보다 큰 직경의 입구와, 상기 접지연심보다 작은 직경의 출구와, 상기 입구와 출구의 사이에 형성되는 테이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가 크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편하게 삽입해도 접지연심의 소선들이 연심삽입공의 입구에 걸려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접지연심의 소선들을 가압보조수단의 접지연심 밀착부재가 회전없이 압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지연심의 소선들이 가압볼트의 회전 압력에 의해 주변으로 흩어져 분산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연심삽입공에 삽입된 접지연심이 보다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볼트결합공의 하부에 연결 및 고정될 수 있어, 장치의 성능 및 신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접지동대
110: 연심삽입공 111: 입구
112: 출구 113: 테이퍼
120: 볼트결합공
200: 가압볼트
300: 접지선
310: 접지연심
400: 가압보조수단
410,420: 접지열심 밀착부재 411,421: 몸체
412: 표면처리부 413,423: 스파이크(spike)
422: 볼트끼움부 422a: 수직절개홈
422b: 탄성편

Claims (5)

  1. 접지동대(100)의 측면과 상면에 각각 다수의 연심삽입공(110)과 볼트결합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연심삽입공(110)과 볼트결합공(120)은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이어 통하게 형성되며, 상기 연심삽입공(110)에 삽입된 접지선(300)의 접지연심은 상기 볼트결합공(120)에 체결되는 가압볼트(200)의 압력에 의해 상기 볼트결합공(120)의 하부에 고정되는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심삽입공(110)은 접지선(300)의 접지연심보다 큰 직경의 입구(111)와, 상기 접지연심보다 작은 직경의 출구(112)와, 상기 입구(111)와 출구(112)의 사이에 형성되는 테이퍼(113)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트결합공(120)에 결합되는 가압볼트(200)의 압력에 의해 회전하지 않은 상태로 접지연심을 상부에서 밀착 고정하는 접지연심 가압보조수단(4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지연심 가압보조수단(400)은 상기 볼트결합공(120)의 나사산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반 형태로 형성된 몸체(421)의 상부에 상기 볼트결합공(120)의 나사골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볼트끼움부(42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421)의 하면에 요철 형태로 다수의 스파이크(423)가 형성된 접지연심 밀착부재(4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끼움부(422)는,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수직절개홈(422a)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직절개홈(422a)에 의해 수직절개홈(422a) 간에 탄성편(422b)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422b)은 가압볼트(200)의 하단부 둘레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
KR1020190136557A 2019-06-27 2019-10-30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 KR102079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952 2019-06-27
KR20190076952 2019-06-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004B1 true KR102079004B1 (ko) 2020-02-19

Family

ID=6967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557A KR102079004B1 (ko) 2019-06-27 2019-10-30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0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909B1 (ko) 2021-08-02 2021-12-22 대성씨앤씨 주식회사 다단접지 단자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3240A (ja) * 1996-12-06 1998-09-02 Panduit Corp 自動的に千鳥配列状態に配置されたワイヤを備えたモジュラプラグコネクタ
JP2007080821A (ja) * 2005-09-13 2007-03-29 Ls Industrial Systems Co Ltd 電磁接触器用コイルターミナルアセンブリ
KR101936760B1 (ko) 2018-08-23 2019-04-03 강인기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3240A (ja) * 1996-12-06 1998-09-02 Panduit Corp 自動的に千鳥配列状態に配置されたワイヤを備えたモジュラプラグコネクタ
JP2007080821A (ja) * 2005-09-13 2007-03-29 Ls Industrial Systems Co Ltd 電磁接触器用コイルターミナルアセンブリ
KR101936760B1 (ko) 2018-08-23 2019-04-03 강인기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909B1 (ko) 2021-08-02 2021-12-22 대성씨앤씨 주식회사 다단접지 단자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9782A (en) Electrical connector jacket
US6935891B2 (en) Snap fitting electrical connector
DE69734971T2 (de) Koaxialkabelverbinder
US3437980A (en) Internal,integrally formed cord grip for electrical wiring devices
US4919370A (en) Cable fitting
US5374017A (en) Cable fitting
EP1468477B1 (en) Flexible interconnect cable strain relief facility
AT503089B1 (de) Aufsatzteil
US7064273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ical split snap ring retainer
WO1997006580A1 (de) Kabelanschlusselement
KR102079004B1 (ko)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
DE102009010492B3 (de) Kabelordnender Einsatz für Steckverbinder
US4944699A (en) Splicing connector
EP3022806A1 (de) Vorrichtung zur elektrischen kontaktierung einer abschirmung eines elektrischen kabels
US10367344B2 (en) Cable armor stop
EP3223373A1 (de) Steckverbindervorrichtung
US7867015B1 (en) Strain relief device for protection of power cords
US6247235B1 (en) Sheathing slitter and cutter tool
EP3382821B1 (de) Schutzvorrichtung für steckverbinder, verwendung und verfahren
US6264492B1 (en) Compact branch connector for at least one branch cable into a main cable
CA3106127A1 (en) Electrical box cable connector
EP2071676A2 (de) Steckeranordnung
KR20190097283A (ko)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
EP1632009B1 (de) Kontaktelement und komplementäre leitungskammer für einen stecker oder eine buchse in schneidklemmtechnik
WO2001051256A1 (de) Elektrische handwerkzeugmaschine, insbesondere winkelschleif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