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453B1 - 연선 케이블의 효과적인 연결을 위한 계단형 콘넥터 - Google Patents

연선 케이블의 효과적인 연결을 위한 계단형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453B1
KR102035453B1 KR1020190041861A KR20190041861A KR102035453B1 KR 102035453 B1 KR102035453 B1 KR 102035453B1 KR 1020190041861 A KR1020190041861 A KR 1020190041861A KR 20190041861 A KR20190041861 A KR 20190041861A KR 102035453 B1 KR102035453 B1 KR 102035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ember
stepped
twisted pair
connector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조
Original Assignee
김병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조 filed Critical 김병조
Priority to KR1020190041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453B1/ko
Priority to PCT/KR2020/004859 priority patent/WO202020964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 H01R4/20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having an uneven wire-receiving surface to improve th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연선 케이블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선 콘넥터로서, 도전성을 갖고,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몸체부재, 상기 제1 몸체부재의 일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다단 접속홀, 도전성을 갖고,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 몸체부재 및 상기 제2 몸체부재의 일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다단 접속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다단 접속홀 및 제2 다단 접속홀은 상기 다단 단차부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계단형의 내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선 케이블의 효과적인 연결을 위한 계단형 콘넥터다.

Description

연선 케이블의 효과적인 연결을 위한 계단형 콘넥터{Stepped Connector for effective connection of stranded conductor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의 내측에 위치한 연선을 손상시키지 않는 상태로 그 연선을 계단형으로 튜닝하여 연결시킬 수 있는 계단형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통전 기능을 수행하는 도체로서의 연선을 가장 중앙부로부터 외곽으로 갈수록 계단형으로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하고, 그 계단형의 연선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콘넥터의 내경이 계단형으로 절개되어, 다단의 접속홀을 구비한 계단형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콘넥터 몸체부재에 복수의 경계부재를 구비하거나 복수의 볼트공을 형성함에 따라 다단의 접속홀에 계단형 연선이 끼워진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콘넥터는 전기기구와 코드, 코드와 코드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접속 기구 또는 전기 기기나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학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품을 의미한다.
상호 연결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연선 케이블은 사이에 콘넥터를 개재하여 고정시킴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곧 상기 케이블 내측 중앙부에 배치되는 연선이 컨넥터 내주부와 접촉하는 것을 뜻한다. 이어서, 콘넥터의 외표면을 절연체로서의 접속재로 감싸서 마감시키에 따라, 그 콘넥터의 외표면을 외부와 절연시킬 수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750131호는 상기한 구조로 설계된 압축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 중 외주부에 배치되는 피복재를 제외시킨 내부 연선을 콘넥터 내주면에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장치를 기재하였다.
그러나 단순히 최외각에 형성된 연선의 외주부만을 콘넥터 내주면에 접촉하는 방식은 알루미늄과 같은 연성 재질의 케이블에서 효율을 떨어트릴 수 있다. 도체 소선들이 복수의 레이어를 이루고 있는 연선 케이블은 레이어 구조를 유지하기 위하여 각 레이어 사이에 차수테이프가 개재된다. 그러나 연성의 도체는 상기 차수테이프를 관통하지 못하고 늘어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차수테이프가 도체 내의 전류 흐름을 방해하여 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즉, 과도한 온도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안전사고에 대한 불안감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각 레이어 사이에 개재되는 차수테이프를 제거한 상태에서 콘넥터로 상호 연결시켜야 한다.
차수테이프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문헌의 기술로 복수의 케이블을 콘넥터로 연결한다면, 최외각에 배치되는 연선층과 내측에 배치되는 연선층에 가해지는 압력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이 각 레이어에 가해지는 압력이 F1 내지 F3로 가정했을 시, F1>F2>F3순으로 외력이 형성될 수 있어 내측 연선층에 압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없다. 또한 내측에 압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과도한 힘을 가한다면, 도체의 연성에 의해 길이가 늘어나 저항이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잇다. 즉, 상기 문헌의 기술 방식으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750131호 "복합 케이블을 위한 압축 커넥터 및 조립체와 이를 제조 및 사용하기 위한 방법" (2017. 06. 1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선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연결을 위한 계단형 연선 콘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연선을 연결할 시, 연선이 받는 힘의 균일성을 유지하는 계단형 연선 콘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연선을 연결할 시, 양호한 작업성을 구현할 수 있는 계단형 연선 콘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연선 케이블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선 콘넥터로서, 도전성을 갖고,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몸체부재, 상기 제1 몸체부재의 일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다단 접속홀, 도전성을 갖고,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 몸체부재 및 상기 제2 몸체부재의 일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다단 접속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다단 접속홀 및 제2 다단 접속홀은 상기 다단 단차부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계단형의 내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다단 접속홀의 내경이 계단형으로 전환되는 경계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몸체부재의 외표면은 상기 제1 몸체부재의 둘레 방향을 따라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경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다단 접속홀의 내경이 계단형으로 전환되는 경계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몸체부재의 외표면은 상기 제2 몸체부재의 둘레 방향을 따라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경계 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다단 접속홀은 상기 제1 몸체부재의 지름 방향으로 연통하는 복수의 제1 볼트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다단 접속홀은 상기 제2 몸체부재의 지름 방향으로 연통하는 복수의 제2 볼트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복트공은 계단형의 내경이 일정한 구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호 인접하여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볼트공의 중심은 상기 복수의 몸체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다단 접속홀 및 제2 다단 접속홀은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으로 인하여, 연선 케이블의 차수테이프 제거를 위한 연선의 변형을 배제하고, 케이블의 연결부위에 대응하는 연선을 계단식으로 형성하여, 연선의 절단이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레이어로 형성되는 각 소선층이 외력을 균일하게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더 나아가 맨홀 내의 지중에 끼워진 케이블의 연선에 콘넥터를 연결하는 작업에서 양호한 작업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삽입되는 단차 형상의 케이블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단형 콘넥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단형 콘넥터에 의해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형 콘넥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형 콘넥터에 의해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형 콘넥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계단형 콘넥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제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단형 콘넥터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복수의 케이블을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1 다단 접속홀(111)이 내측에 형성되는 제1 몸체부재(110) 및 제2 다단 접속홀(121)이 내측에 형성되는 제2 몸체부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재(110) 및 제2 몸체부재(120)는 일정한 방향으로 길이가 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전성을 갖고 있다. 상기 제1 다단 접속홀(111)은 상기 제1 몸체부재(110)의 내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계단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다단 접속홀(111)은 연선의 다단 단차부재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단 단차부재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다단 접속홀(121)도 상기 제1 다단 접속홀(111)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른 케이블의 다단 단차부재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다단 접속홀(111,121)은 내측으로 진행될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다단 접속홀(111,121)이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케이블(10')의 연결부분에서 연선부(11')로 가해지는 힘이 균일하게 분포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다단 접속홀(111,121)에 삽입된 상기 연선부(11')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선부(11')의 다단 단차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몸체부재(110) 및 제2 몸체부재(120)의 외표면을 가압시킬 수 있다. 즉, 다이스를 상기 복수의 몸체부재(110,120) 외주면에 결합한 상태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압착시켜, 상기 복수의 다단 접속홀(111,121)이 축을 중심으로 압착됨에 따라 종속적으로 상기 연선부(11') 및 복수의 몸체부재(110,120)가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이 때, 상기 다이스가 가압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별도로 제1 경계부재(112) 및 제2 경계부재(1122)가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몸체부재(110,120) 외주면을 둘러싸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형 콘넥터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케이블을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기한 일실시예와의 대표적인 차이점은 상기 복수의 다단 접속홀(111,121)에 압력을 가하는 별도의 볼트가 더 포함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이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몸체부재(110) 및 제2 몸체부재(120)의 외주면에는 별도의 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볼트공(113,123)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볼트공(113,123)은 상기 복수의 몸체부재(110,120)의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케이블(10')의 외주면에서 상기 연선부(11')를 향하여 주기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구성을 추가할 수 있음에 따라, 가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볼트공(113)은 상기 제1 몸체부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볼트공(123) 역시 상기 제2 몸체부재(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볼트공(113,123)에 결합되는 조임볼트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조임볼트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호 인접한 상기 복수의 볼트공(113,123)의 중심은 상기 복수의 몸통부재(110,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어긋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볼트공(113,123)이 지그재그로 배치됨에 따라 복수의 볼트헤드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형 콘넥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길이 방향 일측은 상기 연선부(11')가 삽입되는 제1 다단 접속홀(111')이 상기 제1 몸통부재(110') 내측에 형성되고, 길이 방향 타측은 접속 터미널부재(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 터미널부재(130')는 외부에 접속될 수 있도록 두께 방향을 관통하는 복수의 통공(131')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계단형 콘넥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제3 실시예와의 대표적인 차이점은 상기 제1 몸체부재(110') 내측에 형성된 상기 제1 다단 접속홀(111')을 추가적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조임볼트가 더 포함된다는 점이다. 즉, 상기 제1 몸체부재(110')에 복수의 볼트공(113')이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볼트공에 조임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상기 연선부(11')에 추가적인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볼트공(113')의 중심은 상기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몸체부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어긋나게 제작되어, 복수의 볼트헤드 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10, 10' : 케이블 11' : 연선부
110, 110' : 제1 몸체부재 111, 111' : 제1 다단 접속홀
112, 112' : 제1 경계부재 113, 113' : 제1 볼트공
120 : 제2 몸체부재 121 : 제2 다단 접속홀
122 : 제2 경계부재 123 : 제2 볼트공
130' : 접속 터미널부재 131' : 통공

Claims (5)

  1. 복수의 연선 케이블을 상호 연결시키는 콘넥터로서,
    도전성을 갖고,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몸체부재(110);
    상기 제1 몸체부재(110)의 일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다단 접속홀(111);
    도전성을 갖고,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 몸체부재(120); 및
    상기 제2 몸체부재(120)의 일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다단 접속홀(121);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다단 접속홀(111) 및 제2 다단 접속홀(121)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진행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계단형의 내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다단 접속홀(111,121)의 내주면은
    연선 케이블의 복수의 레이어층 외주면과 접하여 전기적으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선 케이블의 효과적인 연결을 위한 계단형 연선 콘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단 접속홀(111)의 내경이 계단형으로 전환되는 경계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몸체부재(110)의 외표면은
    상기 제1 몸체부재(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경계부재(1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다단 접속홀(121)의 내경이 계단형으로 전환되는 경계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몸체부재(120)의 외표면은
    상기 제2 몸체부재(1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경계 부재(122)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을 위한 계단형 연선 콘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단 접속홀(111)은
    상기 제1 몸체부재(110)의 지름 방향으로 연통하는 복수의 제1 볼트공(1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다단 접속홀(121)은
    상기 제2 몸체부재(120)의 지름 방향으로 연통하는 복수의 제2 볼트공(123)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볼트공(113,123)은
    계단형의 내경이 일정한 구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을 위한 계단형 연선 콘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호 인접하여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볼트공(113,123)의 중심은
    상기 복수의 몸체부재(110,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을 위한 계단형 연선 콘넥터.
  5. 복수의 연선 케이블을 상호 연결시키는 콘넥터로서,
    도전성을 갖고,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몸체부재(110');
    상기 제1 몸체부재(110')의 일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다단 접속홀(111');
    도전성을 갖고, 복수의 통공(131')이 두께 방향으로 연통되는 터미널부재(130)';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다단 접속홀(111)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진행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계단형의 내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다단 접속홀(111')의 내주면은
    연선 케이블의 복수의 레이어층 외주면과 접하여 전기적으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선 케이블의 효과적인 연결을 위한 계단형 연선 콘넥터.
KR1020190041861A 2019-04-10 2019-04-10 연선 케이블의 효과적인 연결을 위한 계단형 콘넥터 KR102035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861A KR102035453B1 (ko) 2019-04-10 2019-04-10 연선 케이블의 효과적인 연결을 위한 계단형 콘넥터
PCT/KR2020/004859 WO2020209648A1 (ko) 2019-04-10 2020-04-09 연선 케이블의 효과적인 연결을 위한 계단형 콘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861A KR102035453B1 (ko) 2019-04-10 2019-04-10 연선 케이블의 효과적인 연결을 위한 계단형 콘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453B1 true KR102035453B1 (ko) 2019-11-08

Family

ID=68542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861A KR102035453B1 (ko) 2019-04-10 2019-04-10 연선 케이블의 효과적인 연결을 위한 계단형 콘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5453B1 (ko)
WO (1) WO20202096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648A1 (ko) * 2019-04-10 2020-10-15 씨피케이 주식회사 연선 케이블의 효과적인 연결을 위한 계단형 콘넥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0131B1 (ko) 2010-02-18 2017-06-2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복합 케이블을 위한 압축 커넥터 및 조립체와 이를 제조 및 사용하기 위한 방법
KR101936760B1 (ko) * 2018-08-23 2019-04-03 강인기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592U (ko) * 1998-05-21 1999-12-15 전인수 분기접속단자용 단자커버
KR200394258Y1 (ko) * 2005-06-20 2005-08-31 (주)일흥 케이블 콘넥터의 연결구조
WO2007130811A2 (en) * 2006-05-05 2007-11-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ubular terminal for a cable
KR102035453B1 (ko) * 2019-04-10 2019-11-08 김병조 연선 케이블의 효과적인 연결을 위한 계단형 콘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0131B1 (ko) 2010-02-18 2017-06-2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복합 케이블을 위한 압축 커넥터 및 조립체와 이를 제조 및 사용하기 위한 방법
KR101936760B1 (ko) * 2018-08-23 2019-04-03 강인기 다단접지구조를 갖는 접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648A1 (ko) * 2019-04-10 2020-10-15 씨피케이 주식회사 연선 케이블의 효과적인 연결을 위한 계단형 콘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9648A1 (ko)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4458A (en) Method of connecting a co-axial cable to a connector
JP2018045762A (ja) 圧着端子
US20060128223A1 (en) Shielded cable-grounding structure
CN102082346A (zh) 连接器
US10811788B2 (en) Electric wire with terminal
EP3291379A1 (en) Cable connection device and power cable
KR102035453B1 (ko) 연선 케이블의 효과적인 연결을 위한 계단형 콘넥터
CN109273939B (zh) 连接器装置
US10333247B2 (en) Wire harness
WO2015030011A1 (ja) シールド電線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9021596A (ja)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6383271B2 (ja) 端子付き電線及び圧着装置
CN107431279A (zh) 单芯线以及电线束
JP6854144B2 (ja) コネクタ
US10630003B2 (en) Conductor connecting structure and wire harness
EP3291378A1 (en) Cable connection device
KR20210120708A (ko) 다단 접속홀이 형성된 부재를 포함하는 연선 계단형 콘넥터
CN102484325A (zh) 用于将多芯同轴电缆和电路板电连接特别是电接触的装置及电路布置和电设备
US20210066821A1 (en) Electric-wire-equipped termin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80131104A1 (en) Connection terminal
JP2021061208A (ja) 電線接続構造
JPH0797456B2 (ja) 配線用導体の製造方法
KR102132558B1 (ko) 계단형 콘넥터를 이용한 연선 케이블 연결 방법
JP6109011B2 (ja) 電力ケーブルの接続部
CN113381245B (zh) 用于将线缆与电构件连接的插接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