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228B1 - 접지구조를 갖는 옥내용 아웃렛박스 - Google Patents
접지구조를 갖는 옥내용 아웃렛박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6228B1 KR101266228B1 KR1020120059195A KR20120059195A KR101266228B1 KR 101266228 B1 KR101266228 B1 KR 101266228B1 KR 1020120059195 A KR1020120059195 A KR 1020120059195A KR 20120059195 A KR20120059195 A KR 20120059195A KR 101266228 B1 KR101266228 B1 KR 1012662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x body
- box
- grounding
- outlet box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5—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wall or panel outl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01R13/713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with ground fault protec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21—Details concerning the disconnection itself, e.g. at a particular instant, particularly at zero value of current, disconnection in a predetermined order
- H02H3/023—Details concerning the disconnection itself, e.g. at a particular instant, particularly at zero value of current, disconnection in a predetermined order by short-circui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외부로부터 들어온 전화선이나 전기선 등을 건물의 각 층으로 분산시켜 배선시킬 수 있도록 건물의 뼈대인 철골 구조에 연결 지지되는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수직의 벽체나 천장에 매입 설치되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소재로 구성되는 아웃렛박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박스 본체의 내, 외면에 체결을 통해 상호 통전 상태로 연결 고정되는 금속소재의 내, 외부 접지구를 두되, 외부 접지구에는 건물의 철근에 걸어 접지할 수 있는 걸이구를 두도록 한 것으로,
아웃렛 박스 내에 배선된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고 피복이 벗겨진 와이어부가 내부 접지구에 접촉되는 경우, 전기가 공급된 상태에서는 자동으로 누전상태가 체크되어 누전 차단기가 작동되도록 하여 전원을 차단토록 하고 전기가 공급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기기에서 누전이 발생하는 곳을 찾아주는 메가 테스터기의 사용 시, 접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나 전선의 손상 여부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여 전원의 공급 전에 장비나 배선의 점검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기나 사용자에게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접지구조를 갖는 옥내용 아웃렛 박스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박스 본체의 내, 외면에 체결을 통해 상호 통전 상태로 연결 고정되는 금속소재의 내, 외부 접지구를 두되, 외부 접지구에는 건물의 철근에 걸어 접지할 수 있는 걸이구를 두도록 한 것으로,
아웃렛 박스 내에 배선된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고 피복이 벗겨진 와이어부가 내부 접지구에 접촉되는 경우, 전기가 공급된 상태에서는 자동으로 누전상태가 체크되어 누전 차단기가 작동되도록 하여 전원을 차단토록 하고 전기가 공급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기기에서 누전이 발생하는 곳을 찾아주는 메가 테스터기의 사용 시, 접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나 전선의 손상 여부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여 전원의 공급 전에 장비나 배선의 점검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기나 사용자에게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접지구조를 갖는 옥내용 아웃렛 박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의 외부로부터 들어온 전화선이나 전기선 등을 건물의 각 층으로 분산시켜 배선시킬 수 있도록 건물의 뼈대인 철골 구조에 연결 지지되는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수직의 벽체나 천장에 매입 설치되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소재로 구성되는 아웃렛박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박스 본체의 내, 외면에 체결을 통해 상호 통전 상태로 연결 고정되는 금속소재의 내, 외부 접지구를 두되, 외부 접지구에는 건물의 철근에 걸어 접지할 수 있는 걸이구를 두도록 한 것으로,
아웃렛 박스 내에 배선된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고 피복이 벗겨진 와이어부가 내부 접지구에 접촉되는 경우, 전기가 공급된 상태에서는 자동으로 누전상태가 체크되어 누전 차단기가 작동되도록 하여 전원을 차단토록 하고 전기가 공급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기기에서 누전이 발생하는 곳을 찾아주는 메가 테스터기의 사용 시, 접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나 전선의 손상 여부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여 전원의 공급 전에 장비나 배선의 점검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기나 사용자에게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접지구조를 갖는 옥내용 아웃렛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건축물에서 전화선 또는 전기배선을 위해 사용되는 옥내용 배선박스는 건물천정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실링박스(concrete ceiling box)와 건물내벽의 철근사이에 가설되는 콘크리트 월 박스(concrete wall box)로 구분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박스는 배관을 외부로 연결한다 하여 아웃렛박스(outlet box)라고 칭하며, 종래 건물 내벽용 아웃렛박스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종래 건물 내벽용 아웃렛박스는 전면이 개방된 사각함체상의 박스본체(1)와, 이 박스본체(1)의 개방된 전면을 덮으며 중앙부에 연결부재가 장착되는 커버(미 도시함)를 구비한다.
박스본체(1)의 일면에는 다수의 연결관(1a)이 일체로 마련되며, 이 연결관(1a)들을 통해 전선 등의 배관이 분기된다.
상기 박스본체(1)는 건물벽체용 철근에 아웃렛박스를 취부하면서 철근의 안쪽과 바깥쪽에 거푸집을 대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면, 아웃렛박스가 건물벽체에 매립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기존 아웃렛박스의 박스본체(1)는 일반적으로 제조가 용이하고 내수성이 우수하며 내 부식성이 있어 사용 수명이 오래가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하고 있다.
하지만 박스본체(1)가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관계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노출된다.
벽체 내에 매설된 아웃렛박스의 박스본체(1)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선을 삽입하는 전선 삽입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선관에 삽입되는 전선은 모듈박스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기기 및 제어기기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아웃렛 박스 내에 배선되는 전선은 주로 연결관(1a)의 날카로운 내연부 엣지 부분(1a')에 마찰 접촉되는 경우 피복이 쉽사리 벗겨지게 되는 바,
배선작업이나 기타 이유로 아웃렛 박스 내에 배선된 전선(W)에 피복 손상부(W')가 발생되고 이 부위가 도 8에서와 같이 연결관(1a) 입구의 날카로운 내연부 엣지 부분(1a')에 접촉되는 경우더라도 절연체의 소재로 된 박스본체(1)내에서는 전선의 피복 손상부(W')가 건물에 접지상태로 시공되는 벽체내의 철근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 해 전기가 공급되기 전의 상태에서 메가 테스터기로 사전 검사를 하더라도 비 접지 상태로 확인되는 관계로 전선의 피복 손상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정상으로 판단하고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피복이 손상된 전선이 방치되는 경우에도 여전히 비 누전 상태로 유지되어 누전 차단기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지속적인 전선의 유동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 적층이 이루어질 경우 합선이나 스파크 발생 등의 이유로 화재의 우려가 초래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웃렛 박스 내에 배선된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고 피복이 벗겨진 와이어부가 발생되고 이 부위가 박스내의 내부 접지구에 접촉되는 경우,
전기가 공급된 상태 또는 메가 테스터기의 사용 시, 누전으로 체킹되어 누전 차단기가 작동되도록 하여 전원을 차단토록 하거나 또는 장치나 전선의 손상 여부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여 전원의 공급 전에 장비나 배선의 점검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기나 사용자에게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접지구조를 갖는 옥내용 아웃렛 박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박스 본체의 내, 외면에 체결을 통해 상호 통전 상태로 연결 고정되는 금속소재의 내, 외부 접지구를 두되, 외부 접지구에는 건물의 철근에 걸어 접지할 수 있는 걸이구를 두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아웃렛 박스 내에 배선된 전선의 피복 손상 발생 시 이를 박스내의 내부 접지구에서 접촉을 감지될 수 있도록 하여 전기가 공급된 상태 또는 메가 테스터기의 사용 시, 누전으로 체킹되어 누전 차단기가 작동되도록 하여 전원을 차단토록 하거나 또는 장치나 전선의 손상 여부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여 전원의 공급 전에 장비나 배선의 점검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기나 사용자에게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벽체용으로 구성한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이는 배면 예시도.
도 3은 도 1의 설치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배선된 전선의 손상부위와 내부 접지구의 접촉상태를 보이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슬라브용으로 적용한 다른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설치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7은 임의의 기존 아울렛 박스를 보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배선된 전선의 손상부위를 보이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이는 배면 예시도.
도 3은 도 1의 설치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배선된 전선의 손상부위와 내부 접지구의 접촉상태를 보이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슬라브용으로 적용한 다른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설치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7은 임의의 기존 아울렛 박스를 보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배선된 전선의 손상부위를 보이는 요부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벽체용으로 구성한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설치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를 보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되는 사각함체상의 박스본체(10)와, 상기 박스본체(10)의 내면으로 입구부(11')가 노출되는 다수의 전선 연결관(11)이 일체로 마련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10)의 내면에 고정되게 부착되며 고정부(21)의 양단에 접촉편(22)(22')을 절곡 구성하되 양 접촉편(22)(22')에는 전선(W)의 배선을 방해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입구부(11')의 직경보다 같거나 작은 규격으로 구성되는 원형의 접촉연부(23)를 구비하는 금속소재의 내부 접지구(20)와;
상기 박스본체(10)의 외면에 나사(S)를 통해 고정되게 부착되며 일측으로 벽체에 시공되는 철근(F)에 걸어 연결시키기 위한 걸이구(31)가 구비되고 내면부에는 상기 내부 접지구(20)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접전돌부(32)를 구비하는 금속 소재의 외부 접지구(3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내, 외부 접지구(20)(30)은 전도성이 우수한 동판이나 구리판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특정한 소재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내부 접지구(20)는 설치될 박스본체(10)의 내면 형상에 따라 변경 구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박스본체(10)가 사각 함체상의 박스 형태로 도시된 것을 감안하여 "ㄷ"형 단면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박스본체(10)의 내면에 고정되는 내부 접지구(20)의 양 접촉편(22)(22')에 구성되는 접촉연부(23)는 피복이 손상되는 전선(W)의 피복 손상부위가 잘 접촉될 수 있도록 입구부(11')와 같은 직경으로 구성하거나 약간 작게 즉 접촉연부(23)가 입구부(11')에서 안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상기 박스본체(10)내에 내부 접지구(20)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박스본체(10)의 외면에서 접전돌부(32)가 내부 접지구(20)에 접촉되는 상태로 외부 접지구(30)를 끼워 준 상태에서 나사(S)를 이용하여 조여 주게 되면 내, 외부 접지구(20)(30)가 상호 통전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 구성된다.
이와 같이 내, 외부 접지구(20)(30)가 적용 설치된 아웃렛 박스는 기존의 일반적인 아웃렛 박스와 마찬가지로 도 3에서와 같이 벽체에 매설되어 건물의 외부로부터 들어온 전화선이나 전기선 등을 건물의 각 층으로 분산시켜 배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한편 전선 연결관(11)의 입구부(11')로 유입 배선되는 전선(W)이 배선작업이나 기타 이유로 아웃렛 박스 내에 배선된 전선(W)에 피복 손상부가 발생되고 이 부위가 도 4에서와 같이 내부 접지구(20)의 접촉편(22)(22')에 형성되는 접촉연부(23)에 접촉되는 경우, 피복이 손상된 해당 전선은 내, 외부 접지구(20)(30)와 걸이구(31)를 통해 벽체 내에 접지 상태로 시공된 철근(F)에 통전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해 아웃렛 박스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메가 테스터기로 사전 검사를 하는 경우 접지상태로 판별되어 전원의 인가 전에 전선의 이상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게 되며,
또한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내, 외부 접지구(20)(30) 및 철근(F)으로 이어지는 누전상태를 발생시킴으로써 누전 차단기가 작동되도록 하여 전원을 자동적으로 차단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5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접지구조를 천장의 슬라브용에 시공되는 아웃렛 박스에 적용토록 한 것으로, 걸이구(31)를 대칭되게 한 조로 구성하여 철근에 걸어 연결되도록 한 것으로, 작용과 효과는 상기한 벽체용 아웃렛 박스에 적용된 접지구조와 동일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10:박스본체
11:전선 연결관
11':입구부
20:내부 접지구
21:고정부
22,22': 접촉편
23:접촉연부
30:외부 접지구
31:걸이구
32:접전돌부
11:전선 연결관
11':입구부
20:내부 접지구
21:고정부
22,22': 접촉편
23:접촉연부
30:외부 접지구
31:걸이구
32:접전돌부
Claims (1)
- 전면이 개방되는 사각함체상의 박스본체(10)와, 상기 박스본체(10)의 내면으로 입구부(11')가 노출되는 다수의 전선 연결관(11)이 일체로 마련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10)의 내면에 고정되게 부착되며 고정부(21)의 양단에 접촉편(22)(22')을 절곡 구성하되 양 접촉편(22)(22')에는 상기 입구부(11')의 직경보다 같거나 작은 규격으로 구성되는 원형의 접촉연부(23)를 구비하는 금속소재의 내부 접지구(20)와,
상기 박스본체(10)의 외면에 나사(S)를 통해 고정되게 부착되며 일측으로 벽체에 시공되는 철근(F)에 걸어 연결시키기 위한 걸이구(31)가 구비되고 내면부에는 상기 내부 접지구(20)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접전돌부(32)를 구비하는 금속 소재의 외부 접지구(30)를 각각 포함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구조를 갖는 옥내용 아웃렛박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9195A KR101266228B1 (ko) | 2012-05-31 | 2012-05-31 | 접지구조를 갖는 옥내용 아웃렛박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9195A KR101266228B1 (ko) | 2012-05-31 | 2012-05-31 | 접지구조를 갖는 옥내용 아웃렛박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66228B1 true KR101266228B1 (ko) | 2013-05-21 |
Family
ID=48666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9195A KR101266228B1 (ko) | 2012-05-31 | 2012-05-31 | 접지구조를 갖는 옥내용 아웃렛박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6228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1896B1 (ko) * | 2019-09-16 | 2020-02-03 | 신문식 | 천장 매립형 단자함 |
KR102098280B1 (ko) | 2019-04-25 | 2020-05-26 | 김선기 | 건축물 옥내 접지용 접지 커넥터 |
KR102147483B1 (ko) | 2019-06-04 | 2020-08-24 | 김선기 | 건축물 옥내 접지용 전선 결합 커넥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6031Y1 (ko) | 2004-07-19 | 2004-11-04 | 유인섭 | 아웃트렛 박스의 분할형 철근걸이 |
KR200372444Y1 (ko) | 2004-10-19 | 2005-01-14 | 유인섭 | 배선용(配線用) 아웃렛 박스 |
KR200436995Y1 (ko) | 2006-12-05 | 2007-10-23 | (주)대교에이스 | 벽부용 아웃렛박스 |
-
2012
- 2012-05-31 KR KR1020120059195A patent/KR10126622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6031Y1 (ko) | 2004-07-19 | 2004-11-04 | 유인섭 | 아웃트렛 박스의 분할형 철근걸이 |
KR200372444Y1 (ko) | 2004-10-19 | 2005-01-14 | 유인섭 | 배선용(配線用) 아웃렛 박스 |
KR200436995Y1 (ko) | 2006-12-05 | 2007-10-23 | (주)대교에이스 | 벽부용 아웃렛박스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8280B1 (ko) | 2019-04-25 | 2020-05-26 | 김선기 | 건축물 옥내 접지용 접지 커넥터 |
KR102147483B1 (ko) | 2019-06-04 | 2020-08-24 | 김선기 | 건축물 옥내 접지용 전선 결합 커넥터 |
KR102071896B1 (ko) * | 2019-09-16 | 2020-02-03 | 신문식 | 천장 매립형 단자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40368977A1 (en) | Modular Device System for Electrical Wiring | |
KR101262797B1 (ko) |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 |
KR101266228B1 (ko) | 접지구조를 갖는 옥내용 아웃렛박스 | |
KR101209892B1 (ko) | 분기 부스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및 분기 부스바 키트 | |
KR101116185B1 (ko) |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 |
KR100909098B1 (ko) | 합선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 접속체 | |
CN202503231U (zh) | 一种内置接线端子的接线盒 | |
US20150136915A1 (en) | Riser glove, enclosure glove and strain releasing connectors | |
KR100749724B1 (ko) |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안전 콘센트박스 | |
KR101811007B1 (ko) | 시공이 편리한 분전반 | |
KR101205337B1 (ko) | 공동주택의 절연형 분전함 | |
KR100648421B1 (ko) | 건축물 내부 벽체 전선 보호관 | |
KR101132390B1 (ko) |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 | |
KR20220110426A (ko) | 레이스웨이와 콘센트의 결합구조 | |
KR101132388B1 (ko) | 지중배전 케이블의 절연형 접속커넥터 | |
US20060252304A1 (en) | Method and power feed for electrical inspections | |
KR20100135148A (ko) | 분전반 | |
CN212162462U (zh) | 建筑工地用楼层临时用电的随层安装装置 | |
KR200494247Y1 (ko) |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 | |
CN216850356U (zh) | 一种客房和卫生间等电位连接系统 | |
WO2019218214A1 (zh) | 一种墙板以及可安装管线的墙板系统 | |
KR101380772B1 (ko) | 노출형 전기계량기 함 | |
KR200492152Y1 (ko) | 건물 벽체의 매입 박스용 고정 시스템 | |
KR200462112Y1 (ko) | 인출 전선의 연결이 용이한 콘센트 | |
KR100669946B1 (ko) | 공동주택용 확장형 천장 전기단자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