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247Y1 -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 - Google Patents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247Y1
KR200494247Y1 KR2020190005366U KR20190005366U KR200494247Y1 KR 200494247 Y1 KR200494247 Y1 KR 200494247Y1 KR 2020190005366 U KR2020190005366 U KR 2020190005366U KR 20190005366 U KR20190005366 U KR 20190005366U KR 200494247 Y1 KR200494247 Y1 KR 2004942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wire
pipe
connecting pipe
connection pip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5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573U (ko
Inventor
이복례
Original Assignee
조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한용 filed Critical 조한용
Priority to KR2020190005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247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5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5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2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2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6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plug and fixed wall ho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이 통과되도록 하여 전선을 보호하는 연결관을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여도 연결부를 통해 쉽게 결합할 수 있으며, 연결관들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연결관과 연결될 때 연결관과 밀착 결합되므로, 연결관과 연결부가 이탈되지 않고, 연결부에 전선이 이격되어 통과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연결관 내부에 전선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이격체를 다수 형성하여 연결관이 굴곡지도록 설치되거나 길게 형성되어도 전선간의 간격을 이격시켜 합선으로 인한 누전,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연결관을 제조할 때 내부에 이격체와 전선을 하나의 모듈로 형성하므로, 현장에서 사용시 쉽게 배선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선이 내부로 통과되도록 통과홀이 내부에 형성되고, 내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다수 형성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끝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양측에 연결관이 연결되도록 하며, 내부에 전선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양측 방향으로 연결관의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다수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관 내부에 형성되어 전선이 삽입되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이격체를 포함하여, 상기 이격체를 통해 간격 이격되는 전선이 연결관에 삽입된 상태로 연결관이 형성되어 시공현장에서 절단을 통해 사용되고, 연결부를 통해 추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Standing wire conduit for electric work}
본 고안은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이 통과되도록 하여 전선을 보호하는 연결관을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여도 연결부를 통해 쉽게 결합할 수 있으며, 연결관들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연결관과 연결될 때 연결관과 밀착 결합되므로, 연결관과 연결부가 이탈되지 않고, 연결부에 전선이 이격되어 통과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연결관 내부에 전선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이격체를 다수 형성하여 연결관이 굴곡지도록 설치되거나 길게 형성되어도 전선간의 간격을 이격시켜 합선으로 인한 누전,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연결관을 제조할 때 내부에 이격체와 전선을 하나의 모듈로 형성하므로, 현장에서 사용시 쉽게 배선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electrical wire)은 전력용 및 통신용 등으로 사용되는 선류의 총칭으로 나선과 절연전선의 두 종류가 있다. 이 중에서 나선은 겉에 아무것도 싸지 아니한 전선을 말하며, 절연전선은 나선의 겉을 고무나 에나멜과 같은 절연물질로 둘러싼 것을 말한다. 이러한 전선을 건물에 배선할 때에는 외부(즉, 건물의 내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전선 인입 및 인출용 맨홀을 사용하거나 건물의 바닥, 벽체 및 천정에 전선보호용 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전선보호용 파이프는 전선과 파이프가 서로 분리된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건물에 배선을 할 경우 전선보호용 파이프를 먼저 매설한 후, 매설된 파이프를 따라 전선을 삽입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전선보호용 파이프에 전선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파이프(전선보호용 파이프, 이하 파이프라 함)의 일단으로 전선을 밀어 넣은 다음, 타단을 통해 당겨야 하므로 배선작업이 상당히 복잡하고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건물의 구조상 파이프가 굴곡지게 매설되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며, 이에 따라 작업 시간의 지연 및 공기연장에 따른 총공사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파이프 내에 다수의 전선을 미리 삽입한 후 건물에 매설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전선을 별도로 삽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굴곡진 부분을 포함한 모든 위치에서 전선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은 다수의 전선이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하나의 다발로 묶이므로 전반적으로 강도가 약해 전선이 손상될 우려가 높고, 상호 접촉된 전선의 간섭에 의해 피복이 벗겨져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합성수지로 제작된 파이프를 사용하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이나 여러 구조물을 매설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휘어질 경우, 해당부위에 흠결이 생기고 그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피복이 벗겨져 안전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1은 연결봉, 상기 연결봉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도선, 상기 도선의 일단에 마련되어 연결봉의 외부로 노출되는 접촉돌기 및 상기 도선의 타단에 마련되어 연결봉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접촉돌기가 삽입 가능한 형상의 접촉홈을 포함하도록 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 1은 연결봉 간을 커넥터로 연결할때 결합돌기와 결합돌기가 연결봉의 끝단에만 형성되므로, 연결봉의 길이가 맞지않아 절단해야 하는 경우 별도의 길이로 형성되는 연결봉을 사용해야 하며, 현장에서 절단 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2는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되는 원형관체와, 원형관체 내에 다수개 배치되어 전선이 인입되는 홈이 형성된 전선지지판과, 원형관체 내에 다수개 배치되고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져 전선지지판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판과, 원형관체의 개방구를 개폐하도록 되고 상기 전선지지판과 금속판에 맞물리게 형성되어 전선을 눌러주는 커버와, 일측이 절개된 원형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커버가 고정된 원형관체에 끼워지고 원형 관체의 개방구를 커버로 개폐함으로써 형성되는 원형관체와 커버 사이의 틈새를 덮는 차단수단을 구비하는 고정클립과, 금속판에 연결되어 전선에 흐르는 누설전류를 감지하는 누전감지기와, 누전감지기에서 전달된 신호에 의해 관리부서에 경고하는 경보장치가 구비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 2는 전선의 외측을 감싸 보호하는 원형관체를 커버로 덮어 폐쇄시키고, 고정클립으로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원형관체끼리 연결하도록 하는 연결부의 구성이 없으므로, 다수의 원형관체를 연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원형관체를 절단할 경우 고정클립 및 커버도 그 길이에 맞도록 절단 또는 재생산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1 :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0732호(2009.10.22.) 선행특허 2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9167호(2013.04.23.)
본 고안은 전선이 통과되도록 하여 전선을 보호하는 연결관을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여도 연결부를 통해 쉽게 결합할 수 있으며, 연결관들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연결관과 연결될 때 연결관과 밀착 결합되므로, 연결관과 연결부가 이탈되지 않고, 연결부에 전선이 이격되어 통과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연결관 내부에 전선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이격체를 다수 형성하여 연결관이 굴곡지도록 설치되거나 길게 형성되어도 전선간의 간격을 이격시켜 합선으로 인한 누전,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연결관을 제조할 때 내부에 이격체와 전선을 하나의 모듈로 형성하므로, 현장에서 사용시 쉽게 배선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선이 내부로 통과되도록 통과홀이 내부에 형성되고, 내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다수 형성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끝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양측에 연결관이 연결되도록 하며, 내부에 전선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양측 방향으로 연결관의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다수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관 내부에 형성되어 전선이 삽입되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이격체를 포함하여, 상기 이격체를 통해 간격 이격되는 전선이 연결관에 삽입된 상태로 연결관이 형성되어 시공현장에서 절단을 통해 사용되고, 연결부를 통해 추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관의 결합홈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므로, 연결관을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더라도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또는 실리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양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체가 원형 테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관의 통과홀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전선이 통과되도록 하여 전선을 보호하는 연결관을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여도 연결부를 통해 쉽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관들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연결관과 연결될 때 연결관과 밀착 결합되므로, 연결관과 연결부가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부에 전선이 이격되어 통과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연결관 내부에 전선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이격체를 다수 형성하여 연결관이 굴곡지도록 설치되거나 길게 형성되어도 전선간의 간격을 이격시켜 합선으로 인한 누전,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관을 제조할 때 내부에 이격체와 전선을 하나의 모듈로 형성하므로, 현장에서 사용시 쉽게 배선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의 연결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의 연결부 정면 및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하나의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고안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고안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선(1)이 내부로 통과되도록 통과홀(12)이 내부에 형성되고, 내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11)이 다수 형성되는 연결관(10), 상기 연결관(10)의 끝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양측에 연결관(10)이 연결되도록 하며, 내부에 전선(1)이 관통되는 관통홀(23)이 형성되며, 양측 방향으로 연결관(10)의 결합홈(11)에 삽입 결합되도록 결합돌기(21)가 다수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20) 및 상기 연결관(10) 내부에 형성되어 전선(1)이 삽입되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이격체(30)를 포함하여, 상기 이격체(30)를 통해 간격 이격되는 전선(1)이 연결관(10)에 삽입된 상태로 연결관(10)이 형성되어 시공현장에서 절단을 통해 사용되고, 연결부(10)를 통해 추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관(10)의 결합홈(11)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므로, 연결관(10)을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더라도 결합돌기(21)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20)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또는 실리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양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체(22)가 원형 테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관(10)의 통과홀(12)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선(1)이 내부로 통과되도록 통과홀(12)이 내부에 형성되고, 내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11)이 다수 형성되는 연결관(10), 상기 연결관(10)의 끝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양측에 연결관(10)이 연결되도록 하며, 내부에 전선(1)이 관통되는 관통홀(23)이 형성되며, 양측 방향으로 연결관(10)의 결합홈(11)에 삽입 결합되도록 결합돌기(21)가 다수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20) 및 상기 연결관(10) 내부에 형성되어 전선(1)이 삽입되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이격체(30)를 포함하여, 상기 이격체(30)를 통해 간격 이격되는 전선(1)이 연결관(10)에 삽입된 상태로 연결관(10)이 형성되어 시공현장에서 절단을 통해 사용되고, 연결부(10)를 통해 추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관(10)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내부에 통과홀(12)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전선(1)이 통과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내주연에 다수의 결합홈(11)이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의 상기 연결관(10)은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더라도 결합홈(11)이 형성되므로, 연결부(20)를 통해 다른 연결관(10)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1)은 내주연에 형성되므로, 연결관(10)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어 결합홈(11)이 형성되는 연결관(10)의 외주연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결합홈(11)으로 인한 내구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관(10)의 내부에는 이격체(30)가 다수 형성되어 전선(1)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연결관(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이격체(30)에 전선이 통과되는 한쌍의 전선홀(31)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연결관(10)을 제조할 때 전선(1)이 전선홀(31)에 삽입된 상태로 이격체(30)를 통해 이격되어 연결관(10)과 일체로 제조되도록 한다.
이렇게 제조된 상기 연결관(10)은 필요에 따라 절단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전선(1)이 내장되므로, 현장에서 쉽게 배전함에서 전선(1)을 연결하여 배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관(10)의 길이를 현장에서 임의로 절단하고, 부족한 경우 연결부(20)를 통해 다른 연결관(10)과 연결하여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2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 방향으로 연결관(10)이 연결되도록 다수의 결합돌기(21)와 삽입체(22)가 형성되어 양측에 연결관(10)이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20)는 연결관(10)의 끝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양측에 연결관(10)이 연결되도록 하며, 내부에 전선(1)이 관통되는 관통홀(23)이 형성되며, 양측 방향으로 연결관(10)의 결합홈(11)에 삽입 결합되도록 결합돌기(21)가 다수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20)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또는 실리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양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체(22)가 원형 테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관(10)의 통과홀(12)에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20)의 양측에 형성되는 결합돌기(21)는 연결관(10)의 결합홈(11)에 삽입 결합되며, 삽입체(22)는 연결관(10)의 내주연에 삽입되어 결합력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삽입체(22)는 원형의 테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는 전선(1)이 통과되어 관통홀(23)을 통해 관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통홀(23)은 전선(1)이 관통되어 통과되므로, 건물의 내외부에 설치되는 전선(1)이 중첩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상기의 구성을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건물에 설치되는 전선(1)을 연결관(10)에 삽입하여 통과시키고, 연결부(20) 관통홀(23)에 전선(1)을 통과시킨뒤 연결부(20)를 연결관(10)에 결합한다.
그리고 다른 연결관(10)에 전선(1)을 삽입하여 통과시키고, 전선(1)이 통과된 연결관(10)을 연결부(20)에 결합하여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임의의 길이로 연결관(10)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10)의 길이가 맞지 않을 때에는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결합홈(11)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므로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전선이 통과되도록 하여 전선을 보호하는 연결관을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여도 연결부를 통해 쉽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관들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연결관과 연결될 때 연결관과 밀착 결합되므로, 연결관과 연결부가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부에 전선이 이격되어 통과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연결관 내부에 전선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이격체를 다수 형성하여 연결관이 굴곡지도록 설치되거나 길게 형성되어도 전선간의 간격을 이격시켜 합선으로 인한 누전,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관을 제조할 때 내부에 이격체와 전선을 하나의 모듈로 형성하므로, 현장에서 사용시 쉽게 배선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 : 전선
10 : 연결관 11 : 결합홈
12 : 통과홀
20 : 연결부 21 : 결합돌기
22 : 삽입체 23 : 관통홀
30 : 이격체 31 : 전선홀

Claims (3)

  1.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선(1)이 내부로 통과되도록 통과홀(12)이 내부에 형성되고, 내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11)이 다수 형성되는 연결관(10);
    상기 연결관(10)의 끝단에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양측에 연결관(10)이 연결되도록 하며, 내부에 전선(1)이 관통되는 관통홀(23)이 형성되며, 양측 방향으로 연결관(10)의 결합홈(11)에 삽입 결합되도록 결합돌기(21)가 다수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20) 및
    상기 연결관(10) 내부에 형성되어 전선(1)이 삽입되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이격체(30)를 포함하여,
    상기 이격체(30)를 통해 간격 이격되는 전선(1)이 연결관(10)에 삽입된 상태로 연결관(10)이 형성되어 시공현장에서 절단을 통해 사용되고, 연결부(10)를 통해 추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관(10)의 결합홈(11)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므로, 연결관(10)을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더라도 결합돌기(21)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연결부(20)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또는 실리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양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체(22)가 원형 테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관(10)의 통과홀(12)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
  2. 삭제
  3. 삭제
KR2020190005366U 2019-12-30 2019-12-30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 KR2004942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366U KR200494247Y1 (ko) 2019-12-30 2019-12-30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366U KR200494247Y1 (ko) 2019-12-30 2019-12-30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573U KR20210001573U (ko) 2021-07-08
KR200494247Y1 true KR200494247Y1 (ko) 2021-09-03

Family

ID=76861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5366U KR200494247Y1 (ko) 2019-12-30 2019-12-30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24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498Y1 (ko) 2000-03-03 2000-11-15 고병기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KR100706785B1 (ko) 2006-12-15 2007-04-13 (주)신명이앤씨 지중 케이블 관로의 연결구
KR101771074B1 (ko) * 2017-04-17 2017-08-24 (주)오성이엠 지중 매설형 배전선 연결 장치
KR101779814B1 (ko) * 2017-05-02 2017-10-10 (주)금정이엔씨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0732A (ko) 2008-04-18 2009-10-22 한장우 전선보호구
KR101259167B1 (ko) 2013-01-22 2013-04-30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498Y1 (ko) 2000-03-03 2000-11-15 고병기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KR100706785B1 (ko) 2006-12-15 2007-04-13 (주)신명이앤씨 지중 케이블 관로의 연결구
KR101771074B1 (ko) * 2017-04-17 2017-08-24 (주)오성이엠 지중 매설형 배전선 연결 장치
KR101779814B1 (ko) * 2017-05-02 2017-10-10 (주)금정이엔씨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573U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3888B2 (en) Electrical junction assembly for wiring harness
KR100909263B1 (ko) 지중배전선의 인입출 배전안내형 접속함
US4486620A (en) Aerial communications cable splice closure and end cap useful therewith
KR101104836B1 (ko) 전주용 접지 장치
KR102153686B1 (ko)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
ATE450873T1 (de) Verbindungselement für eine elektrische abschirmungsanordnung
KR100884331B1 (ko) 공동주택용 전선 보호관 연결구조
KR100838634B1 (ko) 이중 박판도체를 이용한 관로 탐사선 및 그 연결 방법
KR101818237B1 (ko) 지중 배전선 커넥터
KR200494247Y1 (ko)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
KR101046400B1 (ko)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ES2916207T3 (es) Conjunto conector de cables con conectores liberables
KR100838633B1 (ko) 압착 편조선을 이용한 관로 탐사선 및 그 연결 방법
KR101289778B1 (ko) 케이블 보호관 연결구
KR10162614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KR101095471B1 (ko) 케이블접속구조체
KR101247364B1 (ko)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선용 배전반
KR101266228B1 (ko) 접지구조를 갖는 옥내용 아웃렛박스
KR20210023517A (ko) 고전압 전선 방호관
KR100766576B1 (ko) 전력 케이블의 보호커버 설치구조
KR101002792B1 (ko)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
KR101596744B1 (ko) 지중송전선로의 전선 보호관
KR200439820Y1 (ko) 케이블 보호관
KR100866027B1 (ko) 망상전극의 나동선 접합용 관형 십자 슬리브
AU689731B2 (en) Casing for a junction in a flat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