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814B1 -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814B1
KR101779814B1 KR1020170056111A KR20170056111A KR101779814B1 KR 101779814 B1 KR101779814 B1 KR 101779814B1 KR 1020170056111 A KR1020170056111 A KR 1020170056111A KR 20170056111 A KR20170056111 A KR 20170056111A KR 101779814 B1 KR101779814 B1 KR 101779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ase
fixing
connecting means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주)금정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정이엔씨 filed Critical (주)금정이엔씨
Priority to KR1020170056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내부에는 전선이 삽입되는 이음수단; 상기 이음수단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이음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전선을 고정하는 연결수단; 및 상기 이음수단과 연결수단의 연결부분을 고정하는 고정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선로에 장착되는 전선의 연결부분에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다중의 고정결합구조를 통해 외부의 충격에서도 이음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Electric wire connection device for electric wiring inhouse construction work}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이 연결되는 부분에 장착되면서도 전선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 등에서는 미관을 고려하여 전선 등을 지상에 설치하지 않고 지하에 매설하고 있다.
이때 전선 케이블이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전선보호관을 지하에 매설하고 그 내측으로 전선 케이블을 내입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렇게 케이블을 내입 설치하는 전선보호관은 보통 지중전선관(E.L.P)이나 PE 전선관, PVC HI 전선관을 사용하게 되는데, 지중전선관은 자유자재로 구부러지고 장애물의 우회시공이 가능하며, 편형 강도가 크므로 지중에 매설하였을 때 웬만한 하중에도 찌그러지지 않고, 전선과의 마찰계수가 적어 전선의 포설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전선보호관의 연결부위는 접착테이프로 여러 번 감아서 붙인 다음 강화 퍼티를 이음부 표면에 도포하여 수분유입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 전선보호관 연결구조는 강도가 취약하여 지반침하시 토압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음부에 바른 퍼티가 경시변화에 의해 탈거되면서 이음부에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71324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중선로에 장착되는 전선의 연결부분에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다중의 고정결합구조를 통해 외부의 충격에서도 이음부의 파손을 방지할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의 구성을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측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내부에는 전선이 삽입되는 이음수단; 상기 이음수단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이음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전선을 고정하는 연결수단; 및 상기 이음수단과 연결수단의 연결부분을 고정하는 고정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음수단은 중공 형상으로 내 측면에 간격을 두고 케이스 결합홈이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중공 형상으로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내 측면에는 간격을 두고 케이스 결합홈이 형성되는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중앙에는 전선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전선 통로의 둘레에는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 고정구가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전선 지지판;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전선 지지판과 전선 지지판의 사이에 장착되고 중앙에는 전선을 감싸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완충부재가 장착되는 강도 지지구; 상기 케이스의 외 측면을 감싸고 중앙에는 전선 안내 지지공이 형성되는 마감 커버; 상기 전선 안내 지지공에 삽입장착되고 내부로 삽입되는 전선을 보호하면서 감싸는 전선 안내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케이스 결합홈과 대응하는 부분에 케이스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중앙 상, 하부에는 전선 연결 고정공이 형성되는 연결 몸체; 상기 전선 연결 고정공의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홈; 상기 전선 연결 고정공의 내부에 장착되면서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하는 전선 슬라이딩 고정구; 상기 전선 슬라이딩 고정구와 전선 연결 고정공의 사이에 삽입장착되면서 상기 전선 슬라이딩 고정구를 가압하여 전선의 연결부분을 고정하는 이동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신축성을 지닌 고정 와이어가 장착되고 상기 고정 와이어의 끝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지면 고정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선로에 장착되는 전선의 연결부분에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다중의 고정결합구조를 통해 외부의 충격에서도 이음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의 구성을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시간은 줄고 작업효율은 향상될 뿐만 아니라 부품의 교체시 해당되는 부품만을 교체함으로써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를 구성하는 전선 지지판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를 구성하는 강도 지지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를 구성하는 연결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를 구성하는 연결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를 구성하는 전선 지지판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를 구성하는 강도 지지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를 구성하는 연결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를 구성하는 연결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발명인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10)는 양측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내부에는 전선(W)이 삽입되는 한 쌍의 이음수단(20)과, 상기 이음수단(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수단(30)과, 상기 이음수단(20)과 연결수단(30)의 연결부분을 고정하는 고정커버(40)로 대별된다.
즉 상기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10)는 연결수단(30)을 중심으로 양측에 이음수단(20)을 각각 장착한 후 상기 연결수단(30)과 이음수단(20)의 연결부분을 고정커버(40)를 통해 다시 한번 더 고정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수단(3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이음수단(20)은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연결수단(30)의 일 측에 장착되는 이음수단(20)의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음수단(20)은 외부 케이스(21)와, 상기 외부 케이스(21)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 케이스(22)와, 상기 내부 케이스(22)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전선 지지판(23) 및 강도 지지구(24)와, 상기 케이스(21, 22)의 외 측면을 감싸는 마감 커버(25)와, 상기 마감 커버(25)에 장착되는 전선 안내고정구(2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 케이스(21)는 중공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 측면에는 간격을 두고 케이스 결합홈(2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케이스(21)는 단면이 사각형이나 다각형 등의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외부 케이스(21)의 단면은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외부 케이스(21)는 원통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 측면에는 간격을 두고 케이스 결합홈(21a)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외부 케이스(21)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 케이스(22)는 중공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 측면에는 간격을 두고 케이스 결합홈(2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 케이스(22)는 단면이 사각형이나 다각형 등의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내부 케이스(22)는 외부 케이스(21)의 단면과 동일한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내부 케이스(22)는 외부 케이스(21)와 마찬가지로 원통 형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부 케이스(22)의 외주면은 상기 외부 케이스(21)의 내주면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케이스(22)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전선 지지판(23)은 내부 케이스(22)의 내부 공간(22b)에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 지지판(23)은 중앙에 전선(W)이 통과하는 전선 통로(23a)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 통로(23a)의 둘레에는 전선(W)을 고정하는 전선 고정구(23b)가 장착된다.
즉 상기 전선 지지판(23)은 내부 케이스(22)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면서 전선 통로(23a)를 관통하는 전선(W)을 전선 고정구(23b)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선 고정구(23b)는 공지된 가압 구성을 택일하여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된 도면과 같이 상기 전선 고정구(23b)는 전선 가압 고정구(23b-1)와 상기 전선 가압 고정구(23b-1)를 가압하는 스프링(23b-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선 고정구(23b)는 스프링(23b-2)의 탄성 및 전선 가압 고정구(23b-1)를 이용하여 상기 전선 통로(23a)의 전선(W)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내부 케이스(22)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강도 지지구(24)는 내부 케이스(22)의 내부 공간(22b)에 설치되면서 상기 전선 지지판(23)과 전선 지지판(23)의 사이에 장착된다.
즉 상기 강도 지지구(24)는 전선 지지판(23)과 전선 지지판(23)의 내부 공간(22b)에 배치되어 케이스(21, 22)의 내부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강도 지지구(24)의 내부 중앙에는 케이스(21, 22)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전선(W)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완충부재(24a)가 장착된다.
상기 케이스(21, 22)의 외 측면을 감싸는 마감 커버(25)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21, 22)의 외 측면과 둘레 일부를 감싸면서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21, 22)와 마감 커버(25)는 나사 등을 통해 고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마감 커버(25)의 중앙에는 내부 케이스(22)의 내부 공간(22a)으로 삽입되는 전선(W)을 안내할 수 있도록 전선 안내 지지공(25a)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전선 안내 지지공(25a)에 삽입장착되는 전선 안내고정구(26)는 중공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즉 상기 전선 안내고정구(26)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면서 상기 전선 안내 지지공(25a)에 삽입장착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22)의 내부 공간(22b)으로 삽입되는 전선(W)을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전선 안내고정구(26)는 전선(W)의 삽입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선(W)의 파손이나 단락 현상 등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전선(W)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이음수단(20)과 이음수단(20)의 사이에 장착되는 연결수단(30)은 연결 몸체(31)와, 상기 연결 몸체(31)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32)과, 상기 가이드 홈(32)에 각각 장착되고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하는 전선 슬라이딩 고정구(33)와, 상기 가이드 홈(32)에 삽입장착되면서 전선 슬라이드 고정구(33)를 가압하여 전선(W)의 연결부분을 고정하는 이동 고정구(34)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 몸체(3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21, 22)의 케이스 결합홈(21a, 22a)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케이스 결합돌기(31a)가 형성되고, 전선(W)과 전선(W)의 고정되는 중앙의 상, 하부에는 전선 연결 고정공(31b)이 관통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몸체(31)는 케이스(21)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 몸체(31)의 전선 연결 고정공(31b)의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32)은 대칭형성되고 상기 전선 연결 고정공(31b)의 내부에 삽입되는 전선 슬라이딩 고정구(33)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전선 연결 고정공(31b)의 내부에 장착되는 전선 슬라이딩 고정구(33)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양측 끝단이 가이드 홈(32)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전선 슬라이딩 고정구(33)는 전선 연결 고정공(31b)에 삽입장착되면서 가이드 홈(32)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선 슬라이딩 고정구(33)는 이동 고정구(34)의 작동에 따라 내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외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전선 슬라이딩 고정구(33)와 전선 연결 고정공(31a)의 사이에 장착되는 이동 고정구(34)는 내부를 향해 삽입장착되면서 상기 전선 슬라이딩 고정구(33)를 가압하여 전선(W)의 연결부분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 고정구(34)의 내면은 전선 슬라이딩 고정구(33)의 외면과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동 고정구(34)는 슬라이딩 고정구(33)와 전선 연결 고정공(31a)의 사이에 삽입되면서 내부의 경사면을 이용하여 상기 전선 슬라이딩 고정구(33)의 외면을 가압하여 상기 전선 슬라이딩 고정구(33)의 내면에 전선(W)의 연결부분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 고정구(34)의 끝단에는 상기 전선 슬라이딩 고정구(33)의 가압 후 고정될 수 있도록 공지된 브라켓(미도시) 등이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이음수단(20)과 연결수단(30)의 연결부분을 고정하는 고정커버(40)는 상, 하 또는 좌, 우로 분리형성되고 양측 끝단에는 볼트 및 너트를 통해 고정할 수 있도록 연결부(42)가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커버(40)는 도시된 도면의 고정커버 이외에도 연결부분을 고정하는 고정된 고정커버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10)는 외부 케이스(21)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신축성을 지닌 고정 와이어(50)가 장착되고 상기 고정 와이어의(50) 끝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지면 고정구(52)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10)는 외부 케이스(21)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고정 와이어(50)를 장착하여 상기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10)의 위치확인과 함께 상기 고정 와이어(50)의 신축성 및 길이변화를 통해 지면의 함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동주택 전기를 고정하는 전선(W)의 연결부분으로 중앙에 전선(W)이 통과하는 전선 통로(23a)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 통로(23a)의 둘레에는 전선(W)을 고정하는 전선 고정구(23b)가 장착되는 전선 지지판(23)을 간격을 두고 장착한다.
이때 상기 전선(W)은 전선 지지판(23)을 구성하는 전선 고정구(23b)를 통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W) 및 전선 지지판(23)을 원통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 측면에는 간격을 두고 케이스 결합홈(22a)이 형성되는 내부 케이스(22)의 내부 공간(22b)에 삽입장착한다.
이때 상기 전선 지지판(23)과 전선 지지판(23)의 사이에 위치한 전선(W)은 내부 중앙에 케이스(21, 22)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전선(W)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완충부재(24a)가 장착되는 강도 지지구(24)를 통해 지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 케이스(22)의 외부에 원통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 측면에는 간격을 두고 케이스 결합홈(21a)이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21)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1, 22)의 외 측면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21, 22)의 외 측면과 둘레 일부를 감싸는 마감 커버(25)를 장착하여 한 쌍의 이음수단(20)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음수단(20)과 이음수단(20)의 사이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21, 22)의 케이스 결합홈(21a, 22a)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케이스 결합돌기(31a)가 형성되고 전선(W)과 전선(W)의 고정되는 중앙의 상, 하부에는 전선 연결 고정공(31b)이 관통형성되는 연결 몸체(31)와, 상기 연결 몸체(31)의 전선 연결 고정공(31b)의 양측에 대칭형성되는 가이드 홈(32)과, 상기 전선 연결 고정공(31b)의 내부에 장착되는 전선 슬라이딩 고정구(33)와, 상기 전선 슬라이딩 고정구(33)와 전선 연결 고정공(31a)의 사이에 장착되는 이동 고정구(34)로 구성되는 연결수단(30)을 장착한다.
즉 상기 연결수단(30)은 케이스 결합홈(21a, 22a)과 결합되는 케이스 결합돌기(31a)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21, 22)에 결합되고, 상기 전선(W)의 연결부분은 전선 슬라이딩 고정구(33)를 통해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서로 다른 전선(W)의 연결부분은 전선 연결 고정공(31b)의 내부에 삽이된 상태에서 상기 전선 슬라이딩 고정구(33)와 이동 고정구(34)의 작동을 통해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음수단(20)과 연결수단(30)의 연결부분으로 중공형의 원통 형상으로 양측 끝단에 연결부(42)가 구비되는 고정커버(40)를 장착하면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더불어 상기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는 일 측에 이음수단(20)을 구성한 후, 상기 이음수단(20)의 끝단에 연결수단(30)을 장착한 다음, 반대 측의 이음수단(20)을 장착할 수 있음을 밝힌다.
이때 상기 전선(W)의 연결부분은 길게 형성하여 용이하게 결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20 : 이음수단, 21 : 외부 케이스,
22 : 내부 케이스, 23 : 전선 지지판,
24 : 강도 지지구, 25 : 마감 커버,
30 : 연결수단, 31 : 연결 몸체,
32 : 가이드 홈, 33 : 전선 슬라이딩 고정구,
34 : 이동 고정구, 40 : 고정커버,
50 : 고정 와이어.

Claims (4)

  1. 양측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내부에는 전선이 삽입되는 이음수단; 상기 이음수단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이음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전선을 고정하는 연결수단; 및 상기 이음수단과 연결수단의 연결부분을 고정하는 고정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음수단은, 중공 형상으로 내 측면에 간격을 두고 케이스 결합홈이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중공 형상으로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내 측면에는 간격을 두고 케이스 결합홈이 형성되는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중앙에는 전선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전선 통로의 둘레에는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 고정구가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전선 지지판;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전선 지지판과 전선 지지판의 사이에 장착되고 중앙에는 전선을 감싸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완충부재가 장착되는 강도 지지구; 상기 케이스의 외 측면을 감싸고 중앙에는 전선 안내 지지공이 형성되는 마감 커버; 상기 전선 안내 지지공에 삽입장착되고 내부로 삽입되는 전선을 보호하면서 감싸는 전선 안내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케이스 결합홈, 내부 케이스의 케이스 결합홈과 대응하는 부분에 케이스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중앙 상, 하부에는 전선 연결 고정공이 형성되는 연결 몸체; 상기 전선 연결 고정공의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홈; 상기 전선 연결 고정공의 내부에 장착되면서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하는 전선 슬라이딩 고정구; 및 상기 전선 슬라이딩 고정구와 전선 연결 고정공의 사이에 삽입장착되면서 상기 전선 슬라이딩 고정구를 가압하여 전선의 연결부분을 고정하는 이동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신축성을 지닌 고정 와이어가 장착되고 상기 고정 와이어의 끝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지면 고정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KR1020170056111A 2017-05-02 2017-05-02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KR101779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111A KR101779814B1 (ko) 2017-05-02 2017-05-02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111A KR101779814B1 (ko) 2017-05-02 2017-05-02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9814B1 true KR101779814B1 (ko) 2017-10-10

Family

ID=6019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111A KR101779814B1 (ko) 2017-05-02 2017-05-02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8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656B1 (ko) * 2019-04-29 2020-02-19 주식회사에스에이티 도로 매설용 전선케이블 보호장치
KR102233162B1 (ko) * 2021-01-11 2021-03-29 주식회사 대광종합기술 지중배전선의 고장구간 감시용 알림장치
KR20210001573U (ko) * 2019-12-30 2021-07-08 이복례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243B1 (ko) * 2007-01-26 2007-05-02 (주)건일엠이씨 공동주택용 전선보호관 이음장치
KR101448173B1 (ko) * 2014-06-09 2014-10-10 주식회사 정림이엔씨건축사사무소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243B1 (ko) * 2007-01-26 2007-05-02 (주)건일엠이씨 공동주택용 전선보호관 이음장치
KR101448173B1 (ko) * 2014-06-09 2014-10-10 주식회사 정림이엔씨건축사사무소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656B1 (ko) * 2019-04-29 2020-02-19 주식회사에스에이티 도로 매설용 전선케이블 보호장치
KR20210001573U (ko) * 2019-12-30 2021-07-08 이복례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
KR200494247Y1 (ko) * 2019-12-30 2021-09-03 조한용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
KR102233162B1 (ko) * 2021-01-11 2021-03-29 주식회사 대광종합기술 지중배전선의 고장구간 감시용 알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814B1 (ko)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KR101007070B1 (ko)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US8006721B2 (en) Anti-kink device for hoses, in particular vacuum cleaner hoses
US20110120582A1 (en) Configurable conduit body
KR20210135197A (ko)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0884331B1 (ko) 공동주택용 전선 보호관 연결구조
KR101709324B1 (ko) 변전소의 특고압 인입전선용 절연형 커넥터
KR101289778B1 (ko) 케이블 보호관 연결구
KR102236448B1 (ko) 전주용 접지몰딩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주
KR20210023517A (ko) 고전압 전선 방호관
KR102101717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선 연결장치
KR100830928B1 (ko) 건축물 내부 벽체 전선보호관
KR101736498B1 (ko) 해저케이블 접속장치
KR101580154B1 (ko) 탄성 클램프가 구비된 배관 보수용 커플링
KR101033644B1 (ko)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
KR200451739Y1 (ko) 고정부재가 구비된 배선용 박스
KR102133707B1 (ko) 건축용 통신선 보호관접속구조
JP2008245417A (ja) ケーブル保護管及び分岐管継手
KR20190093452A (ko) 공동주택 전기의 배전선 연결장치
KR20110008871U (ko) 아울렛 박스의 공용 커버
KR200449900Y1 (ko) 케이블용 클램프
KR20080040348A (ko) 접지선이 내장된 전선보호관
KR100585842B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102239486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1625113B1 (ko)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