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113B1 -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 Google Patents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113B1
KR101625113B1 KR1020150183533A KR20150183533A KR101625113B1 KR 101625113 B1 KR101625113 B1 KR 101625113B1 KR 1020150183533 A KR1020150183533 A KR 1020150183533A KR 20150183533 A KR20150183533 A KR 20150183533A KR 101625113 B1 KR101625113 B1 KR 101625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or
connector
ground
fixing member
inser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183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1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2Cable lay-ou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맨홀(M)에 설치되는 배전반(10)과;
좌우측방으로 관통된 관통부(21)와, 좌측면에 구비되고 'ㅁ'자 링 형상으로 좌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삽입부(22)와, 둘레부에 구비되는 나사산부(23)를 구비하여, 배전반(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절연 재질의 고정부재(20)와;
우측부에 구비되고 'ㅇ'자 링 형상으로 우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삽입부(31a), 좌우측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고정부재(20)의 나사산부(23)와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나사산부(31b)를 구비한 체결체(31)와, 상기 체결체(31)의 삽입부(3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체결체(31)의 삽입부(31a) 보다 우측방으로 도출되며 탄성을 갖는 수분흡수체(32)를 갖춘 제1기밀부재(30)와;
좌우측방으로 관통된 관통부(41)와, 우측면에 구비되고 고정부재(20)의 삽입부(22)보다 작은 'ㅁ'자 링 형상으로 우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삽입부(42)와, 우측단 둘레부에 구비되는 나사산부(43)를 구비하여, 지중에 매설되며, 우측단이 맨홀(M)의 내부로 돌출되는 지중배관(40)과;
좌측부에 구비되고 'ㅇ'자 링 형상으로 좌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삽입부(51a), 좌우측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지중배관(40)의 나사산부(43)와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나사산부(51b)를 구비한 체결체(51)와, 상기 체결체(51)의 삽입부(5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체결체(51)의 삽입부(51a) 보다 좌측방으로 도출되며 탄성을 갖는 수분흡수체(52)를 갖춘 제2기밀부재(50)와;
'ㅁ'자 형상으로 좌우측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61a), 우측단에 설치되는 플랜지부(61b), 좌측단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고정부(61c)를 갖추고서, 우측단이 고정부재(20)의 삽입부(22)에 삽탈되는 절연재질의 제1보호체(61)와, 'ㅁ'자 형상으로 좌우측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우측부 내면이 우측으로 갈수록 외측방으로 경사지는 관통부(62a), 좌측단에 설치되는 플랜지부(62b)를 갖추고서, 좌측단이 지중배관(40)의 삽입부(42)에 삽탈되고 우측단이 제1보호체(61)의 관통부(61a)에 삽탈되는 절연재질의 제2보호체(62)와, 제1보호체(61)의 플랜지부(61b)를 고정부재(2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체결체(63)와, 제2보호체(62)의 플랜지부(62b)를 지중배관(4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체결체(64)와, 제1보호체(61)의 고정부(61c)와 나사산 결합되며 제1보호체(61)의 고정부(61c)를 관통하여 제2보호체(62)를 가압하는 제3체결체(65)를 갖춘 보호기구(60)와;
좌측방으로 개구된 개구부(71a)를 구비하고 우측부에 배전반(10)으로부터의 제1지중배전케이블(L1)이 연결되며 제1보호체(61)의 관통부(61a) 및 제2보호체(62)의 관통부(62a)에 좌우측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전 재질의 제1접속체(71)와, 제1접속체(7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바퀴부(72)와, 제1보호체(61)의 관통부(61a)에 수용되며 일단이 고정부재(20)의 좌측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1접속체(71)에 설치되어 제1접속체(71)를 좌측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제1스프링(73)과, 우측방으로 개구된 개구부(74a)를 구비하고 좌측부에 지중배관(40)으로부터의 제2지중배전케이블(L2)이 연결되며 제1보호체(61)의 관통부(61a) 및 제2보호체(62)의 관통부(62a)에 좌우측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접속체(71)와 맞닿는 도전 재질의 제2접속체(74)와, 제2접속체(74)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바퀴부(75)와, 제2보호체(62)의 관통부(62a)에 수용되며 일단이 지중배관(20)의 우측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접속체(74)에 설치되어 제2접속체(74)를 우측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제2스프링(76)과, 일단이 제1접속체(71)의 개구부(71a)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접속체(74)의 개구부(74a)에 설치되어 제1접속체(71) 및 제2접속체(7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선(77)을 갖춘 접속기구(70);
고정부재(20)의 좌측부에 설치되고, 제1보호체(61)에 수용되며, 제1접속체(71)의 위치 변화를 측정하여, 제1접속체(71)가 초기 위치에서 이동하여 일정시간 동안 위치 변화가 없을 시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제1초음파센서(80);
지중배관(40)의 우측부에 설치되고, 제2보호체(62)에 수용되며, 제2접속체(74)의 위치 변화를 측정하여, 제2접속체(74)가 초기 위치에서 이동하여 일정시간 동안 위치 변화가 없을 시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제2초음파센서(9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DISTRIBUTING BOARD FOR CONNECTING THE CABLE OF UNDERGROUND POWER DISTRIBUTION}
본 발명은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주에 전력선을 설치하거나 또는 지중에 매설하게 되는 데, 지상 및 공중 가설 방식은 시공성이나 소요되는 공사비 및 공사기간을 고려하여 볼 때 지중에 매설하는 방식보다 훨씬 경제적이면서 공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도심지와 같이 건물이 매우 인접하게 밀집된 곳에서는 그 설치가 상당힌 곤란한 단점이 있어 도심지나 고압의 전류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지중에 매설하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된다.
한편,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케이블의 경우, 지중에 매설되어 맨홀을 통해 지상으로 인출되고, 지상에 위치한 배전반을 통해 또 다른 배전반 또는 수용가로 배전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지상까지 지중배전케이블을 인출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우며, 지상에 배전반이 설치됨으로써 설치공간을 확보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지중의 공동구 또는 맨홀에 배전반을 설치하고, 상기 배전반을 통해 또 다른 배전반 또는 수용가로 배전을 한다.
하지만, 이때 배전반에 연결된 지중배전케이블에 외력이 작용할 경우, 배전반과 지중배전케이블의 연결부가 쉽게 손상되고, 이러한 손상에 의해 전력 배전에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260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중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배전하는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맨홀(M)에 설치되는 배전반(10)과;
좌우측방으로 관통된 관통부(21)와, 좌측면에 구비되고 'ㅁ'자 링 형상으로 좌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삽입부(22)와, 둘레부에 구비되는 나사산부(23)를 구비하여, 배전반(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절연 재질의 고정부재(20)와;
우측부에 구비되고 'ㅇ'자 링 형상으로 우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삽입부(31a), 좌우측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고정부재(20)의 나사산부(23)와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나사산부(31b)를 구비한 체결체(31)와, 상기 체결체(31)의 삽입부(3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체결체(31)의 삽입부(31a) 보다 우측방으로 도출되며 탄성을 갖는 수분흡수체(32)를 갖춘 제1기밀부재(30)와;
좌우측방으로 관통된 관통부(41)와, 우측면에 구비되고 고정부재(20)의 삽입부(22)보다 작은 'ㅁ'자 링 형상으로 우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삽입부(42)와, 우측단 둘레부에 구비되는 나사산부(43)를 구비하여, 지중에 매설되며, 우측단이 맨홀(M)의 내부로 돌출되는 지중배관(40)과;
좌측부에 구비되고 'ㅇ'자 링 형상으로 좌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삽입부(51a), 좌우측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지중배관(40)의 나사산부(43)와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나사산부(51b)를 구비한 체결체(51)와, 상기 체결체(51)의 삽입부(5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체결체(51)의 삽입부(51a) 보다 좌측방으로 도출되며 탄성을 갖는 수분흡수체(52)를 갖춘 제2기밀부재(50)와;
'ㅁ'자 형상으로 좌우측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61a), 우측단에 설치되는 플랜지부(61b), 좌측단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고정부(61c)를 갖추고서, 우측단이 고정부재(20)의 삽입부(22)에 삽탈되는 절연재질의 제1보호체(61)와, 'ㅁ'자 형상으로 좌우측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우측부 내면이 우측으로 갈수록 외측방으로 경사지는 관통부(62a), 좌측단에 설치되는 플랜지부(62b)를 갖추고서, 좌측단이 지중배관(40)의 삽입부(42)에 삽탈되고 우측단이 제1보호체(61)의 관통부(61a)에 삽탈되는 절연재질의 제2보호체(62)와, 제1보호체(61)의 플랜지부(61b)를 고정부재(2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체결체(63)와, 제2보호체(62)의 플랜지부(62b)를 지중배관(4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체결체(64)와, 제1보호체(61)의 고정부(61c)와 나사산 결합되며 제1보호체(61)의 고정부(61c)를 관통하여 제2보호체(62)를 가압하는 제3체결체(65)를 갖춘 보호기구(60)와;
좌측방으로 개구된 개구부(71a)를 구비하고 우측부에 배전반(10)으로부터의 제1지중배전케이블(L1)이 연결되며 제1보호체(61)의 관통부(61a) 및 제2보호체(62)의 관통부(62a)에 좌우측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전 재질의 제1접속체(71)와, 제1접속체(7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바퀴부(72)와, 제1보호체(61)의 관통부(61a)에 수용되며 일단이 고정부재(20)의 좌측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1접속체(71)에 설치되어 제1접속체(71)를 좌측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제1스프링(73)과, 우측방으로 개구된 개구부(74a)를 구비하고 좌측부에 지중배관(40)으로부터의 제2지중배전케이블(L2)이 연결되며 제1보호체(61)의 관통부(61a) 및 제2보호체(62)의 관통부(62a)에 좌우측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접속체(71)와 맞닿는 도전 재질의 제2접속체(74)와, 제2접속체(74)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바퀴부(75)와, 제2보호체(62)의 관통부(62a)에 수용되며 일단이 지중배관(20)의 우측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접속체(74)에 설치되어 제2접속체(74)를 우측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제2스프링(76)과, 일단이 제1접속체(71)의 개구부(71a)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접속체(74)의 개구부(74a)에 설치되되, 단선방지를 위해 늘어뜨려진 상태로 설치되어, 제1접속체(71) 및 제2접속체(7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선(77)을 갖춘 접속기구(70);
고정부재(20)의 좌측부에 설치되고, 제1보호체(61)에 수용되며, 제1접속체(71)의 위치 변화를 측정하여, 제1접속체(71)가 초기 위치에서 이동하여 일정시간 동안 위치 변화가 없을 시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제1초음파센서(80);
지중배관(40)의 우측부에 설치되고, 제2보호체(62)에 수용되며, 제2접속체(74)의 위치 변화를 측정하여, 제2접속체(74)가 초기 위치에서 이동하여 일정시간 동안 위치 변화가 없을 시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제2초음파센서(9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중배전케이블이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배전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5는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의 고정부재 및 제1보호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5는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의 고정부재 및 제1보호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X-X선 단면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은 배전반(10)과, 고정부재(20)와, 제1기밀부재(30)와, 지중배관(40)과, 제2기밀부재(50)와, 보호기구(60)와, 접속기구(70)와 제1초음파센서(80)와, 제2초음파센서(90)를 포함하며, 지중배전케이블이 연결된다.
배전반(10)은 지중에 매설된 맨홀(M)에 설치된다. 그리고 배전반(10)은 배전을 위한 전기적 구성을 갖는다.
고정부재(20)는 좌우측방으로 관통된 관통부(21)와, 좌측면에 구비되고 'ㅁ'자 링 형상으로 좌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삽입부(22)와, 둘레부에 구비되는 나사산부(23)를 구비하여, 배전반(10)의 측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부재(20)는 관 형상을 이루며,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기밀부재(30)는 체결체(31)와, 상기 체결체(31)에 설치되는 수분흡수체(32)를 갖추며, 링 형상을 이룬다.
제1기밀부재(30)의 체결체(31)는 우측부에 구비되고 'ㅇ'자 링 형상으로 우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삽입부(31a)와, 좌우측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고정부재(20)의 나사산부(23)와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나사산부(31b)를 갖춘다.
제1기밀부재(30)의 수분흡수체(32)는 제1기밀부재(30)의 체결체(31)의 삽입부(3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기밀부재(30)의 체결체(31)의 삽입부(31a) 보다 우측방으로 도출되며, 탄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1기밀부재(30)의 수분흡수체(32)는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지중배관(40)은 좌우측방으로 관통된 관통부(41)와, 우측면에 구비되고 고정부재(20)의 삽입부(22)보다 작은 'ㅁ'자 링 형상으로 우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삽입부(42)와, 우측단 둘레부에 구비되는 나사산부(43)를 구비하여, 지중에 매설되며, 우측단이 맨홀(M)의 내부로 돌출된다. 이러한 지중배관(40)은 절연재질로 이루어진다.
제2기밀부재(50)는 체결체(51)와, 상기 체결체(51)에 설치되는 수분흡수체(52)를 갖춘다.
제2기밀부재(50)의 체결체(51)는 좌측면에 구비되고 'ㅇ'자 링 형상으로 좌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삽입부(51a)와, 좌우측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지중배관(40)의 나사산부(43)와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나사산부(51b)를 갖춘다.
제2기밀부재(50)의 수분흡수체(52)는 제2기밀부재(50)의 체결체(51)의 삽입부(5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제2기밀부재(50)의 체결체(51)의 삽입부(51a) 보다 좌측방으로 도출되며 탄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수분흡수체(52)는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보호기구(60)는 제1보호체(61)와, 제2보호체(62)와, 제1체결체(63)와, 제2체결체(64)와, 제3체결체(65)를 갖춘다.
제1보호체(61)는 'ㅁ'자 형상으로 좌우측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61a)와, 우측단에 설치되는 플랜지부(61b)와, 좌측단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고정부(61c)를 갖추고서, 우측단이 고정부재(20)의 삽입부(22)에 삽탈된다. 이러한 제1보호체(61)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다.
제2보호체(62)는 'ㅁ'자 형상으로 좌우측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우측부 내면이 우측으로 갈수록 외측방으로 경사지는 관통부(62a)와, 좌측단에 설치되는 플랜지부(62b)를 갖추고서, 좌측단이 지중배관(40)의 삽입부(42)에 삽탈되고 우측단이 제1보호체(61)의 관통부(61a)에 삽탈된다. 이러한 제2보호체(62)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체결체(63)는 제1보호체(61)의 플랜지부(61b)를 고정부재(2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체결체(63)는 제1보호체(61)의 플랜지부(61b)와 나사산 체결된다.
제2체결체(64)는 제2보호체(62)의 플랜지부(62b)를 지중배관(4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체결체(64)는 제2보호체(62)의 플랜지부(62b)와 나사산 체결된다.
제3체결체(65)는 제1보호체(61)의 고정부(61c)와 나사산 결합되며, 제1보호체(61)의 고정부(61c)를 관통하여 제2보호체(62)를 가압한다.
접속기구(70)는 제1접속체(71)와, 제1바퀴부(72)와, 제1스프링(73)과, 제2접속체(74)와, 제2바퀴부(75)와, 제2스프링(76)을 갖춘다.
제1접속체(71)는 좌측방으로 개구된 개구부(71a)를 구비하고, 우측부에 배전반(10)으로부터의 제1지중배전케이블(L1)이 연결되며, 제1보호체(61)의 관통부(61a) 및 제2보호체(62)의 관통부(62a)에 좌우측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접속체(71)는 도전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바퀴부(72)는 제1접속체(7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스프링(73)은 제1보호체(61)의 관통부(61a)에 수용되며, 일단이 고정부재(20)의 좌측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1접속체(71)에 설치되어, 제1접속체(71)를 좌측방으로 탄발지지한다.
제2접속체(74)는 우측방으로 개구된 개구부(74a)를 구비하고, 좌측부에 지중배관(40)으로부터의 제2지중배전케이블(L2)이 연결되며, 제1보호체(61)의 관통부(61a) 및 제2보호체(62)의 관통부(62a)에 좌우측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접속체(71)와 맞닿는다. 이러한 제2접속체(74)는 도전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2바퀴부(75)는 제2접속체(74)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제2스프링(76)은 제2보호체(62)의 관통부(62a)에 수용되며, 일단이 지중배관(20)의 우측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접속체(74)에 설치되어, 제2접속체(74)를 우측방으로 탄발지지한다.
연결선(77)은 일단이 제1접속체(71)의 개구부(71a)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접속체(74)의 개구부(74a)에 설치되되, 단선방지를 위한 여유분의 길이만큼 늘어뜨려진 상태로 설치되어, 제1접속체(71) 및 제2접속체(74)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1초음파센서(80)는 고정부재(20)의 좌측부에 설치되고, 제1보호체(61)에 수용되며, 제1접속체(71)의 위치 변화를 측정하여, 제1접속체(71)가 초기 위치에서 이동하여 일정시간 동안 위치 변화가 없을 시 이상신호를 출력한다.
제2초음파센서(90)는 지중배관(40)의 우측부에 설치되고, 제2보호체(62)에 수용되며, 제2접속체(74)의 위치 변화를 측정하여, 제2접속체(74)가 초기 위치에서 이동하여 일정시간 동안 위치 변화가 없을 시 이상신호를 출력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제2지중배전케이블(L2)이 인출되는 또 다른 맨홀에서 작업을 하던 중 제2지중배전케이블(L2)이 당겨져 외력이 작용하면, 제2지중배전케이블(L2)은 도 7과 같이 좌측방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접속기구(70)의 제2접속체(74)는 도 7과 같이 좌측방으로 이동하면서 제1접속체(71)와 이격되고, 제2스프링(76)에 의해 완충력을 제공받는다. 이때 제1접속체(71)와 제2접속체(74)가 이격되면, 제1접속체(71)와 연결된 제1지중배전케이블(L1)과 배전반(10)의 연결부에는 외력이 적게 작용한다. 따라서 제1지중배전케이블(L1) 및 배전반(10)의 연결부는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제1접속체(71) 및 제2접속체(74)가 이격되어도 연결선(77)에 의해 통전이 계속 이루어지고 있어 지중배전라인은 단전이 되지 않는다.
이후, 또 다른 맨홀에서 발생한 외력이 사라지면, 제2접속체(74)는 접속기구(70)의 제2스프링(76)의 복원력에 의해 윈위치로 용이하게 복귀한다.
또한,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배전반(10)에서 작업을 하던 중 제1지중배전케이블(L1)이 당겨져 외력이 작용하면, 제1지중배전케이블(L1)은 도 8과 같이 우측방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접속기구(70)의 제1접속체(71)는 도 8과 같이 우측방으로 이동하면서 제2접속체(74)와 이격되고, 제1스프링(73)에 의해 완충력을 제공받는다. 이때 제1접속체(71)와 제2접속체(74)가 이격되면서 제2접속체(74)와 연결된 제2지중배전케이블(L2)과 또 다른 맨홀에 구비된 전기기기 연결부에는 외력이 적게 작용한다. 따라서 제2지중배전케이블(L2)은 상기 전기기기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제1접속체(71) 및 제2접속체(74)가 이격되어도 연결선(77)에 의해 통전이 계속 이루어지고 있어 지중배전라인은 단전이 되지 않는다.
이후, 배전반(10)에서 발생한 외력이 사라지면, 제1접속체(71)는 접속기구(70)의 제1스프링(73)의 복원력에 의해 윈위치로 용이하게 복귀한다. 이때 제2보호체(62)의 관통부(62a)의 우측부 내면이 경사져 있어, 제1접속체(71)는 제1바퀴부(72)를 통해 쉽게 원위치 복귀가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스프링(73) 및 제2스프링(76)의 복원력에 문제가 발생하여, 도 9와 같이 제1접속체(71) 및 제2접속체(74)가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을 시, 제1초음파센서(80) 및 제2초음파센서(90)는 제1접속체(71) 및 제2접속체(74)의 이상위치를 감지하고, 이상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그러면 외부에 구비된 알람장치(알람등, 알람 스피커 등)는 상기 이상신호를 수신하여, 경고 조명 또는 경고음을 출력하고, 외부 관리자는 이를 확인하여, 손상된 제1스프링(73) 및 제2스프링(76)을 교체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제1보호체(61) 및 제2보호체(62)가 서로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최초 설치 및 보수 시 제1보호체(61) 및 제2보호체(62)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편리하게 설치 및 보수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제1보호체(61)는 고정부재(20)의 삽입부(22)에 삽탈되고, 제2보호체(62)는 지중배관(40)의 삽입부(42)에 삽탈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체결체(63) 및 제2체결체(64)를 통해 제1보호체(61) 및 제2보호체(62)를 고정부재(20) 및 지중배관(40)에 최종 고정하기 전에, 제1보호체(61) 및 제2보호체(62)를 고정부재(20)의 삽입부(22) 또는 지중배관(40)의 삽입부(42)에 임시로 삽입한 상태에서, 설치 또는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기밀부재(30) 및 제2기밀부재(50)를 통해, 배전반(10)의 외벽 또는 맨홀(M)의 외벽을 타고 물이 보호기구(6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누전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지진 등이 발생하여 외력이 발생할 경우, 제1스프링(73) 및 제2스프링(76)의 완충력에 의해 배전반(10)에 가해지는 외력을 줄일 수 있다.
10; 배전반 20; 고정부재
30; 제1기밀부재 40; 지중배관
50; 제2기밀부재 60; 보호기구
70; 접속기구 80; 제1초음파센서
90; 제2초음파센서

Claims (1)

  1. 지중에 매설된 맨홀(M)에 설치되는 배전반(10)과;
    좌우측방으로 관통된 관통부(21)와, 좌측면에 구비되고 'ㅁ'자 링 형상으로 좌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삽입부(22)와, 둘레부에 구비되는 나사산부(23)를 구비하여, 배전반(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절연 재질의 고정부재(20)와;
    우측부에 구비되고 'ㅇ'자 링 형상으로 우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삽입부(31a), 좌우측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고정부재(20)의 나사산부(23)와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나사산부(31b)를 구비한 체결체(31)와, 상기 체결체(31)의 삽입부(3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체결체(31)의 삽입부(31a) 보다 우측방으로 도출되며 탄성을 갖는 수분흡수체(32)를 갖춘 제1기밀부재(30)와;
    좌우측방으로 관통된 관통부(41)와, 우측면에 구비되고 고정부재(20)의 삽입부(22)보다 작은 'ㅁ'자 링 형상으로 우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삽입부(42)와, 우측단 둘레부에 구비되는 나사산부(43)를 구비하여, 지중에 매설되며, 우측단이 맨홀(M)의 내부로 돌출되는 지중배관(40)과;
    좌측부에 구비되고 'ㅇ'자 링 형상으로 좌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삽입부(51a), 좌우측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지중배관(40)의 나사산부(43)와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나사산부(51b)를 구비한 체결체(51)와, 상기 체결체(51)의 삽입부(5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체결체(51)의 삽입부(51a) 보다 좌측방으로 도출되며 탄성을 갖는 수분흡수체(52)를 갖춘 제2기밀부재(50)와;
    'ㅁ'자 형상으로 좌우측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61a), 우측단에 설치되는 플랜지부(61b), 좌측단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고정부(61c)를 갖추고서, 우측단이 고정부재(20)의 삽입부(22)에 삽탈되는 절연재질의 제1보호체(61)와, 'ㅁ'자 형상으로 좌우측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우측부 내면이 우측으로 갈수록 외측방으로 경사지는 관통부(62a), 좌측단에 설치되는 플랜지부(62b)를 갖추고서, 좌측단이 지중배관(40)의 삽입부(42)에 삽탈되고 우측단이 제1보호체(61)의 관통부(61a)에 삽탈되는 절연재질의 제2보호체(62)와, 제1보호체(61)의 플랜지부(61b)를 고정부재(2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체결체(63)와, 제2보호체(62)의 플랜지부(62b)를 지중배관(4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체결체(64)와, 제1보호체(61)의 고정부(61c)와 나사산 결합되며 제1보호체(61)의 고정부(61c)를 관통하여 제2보호체(62)를 가압하는 제3체결체(65)를 갖춘 보호기구(60)와;
    좌측방으로 개구된 개구부(71a)를 구비하고 우측부에 배전반(10)으로부터의 제1지중배전케이블(L1)이 연결되며 제1보호체(61)의 관통부(61a) 및 제2보호체(62)의 관통부(62a)에 좌우측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전 재질의 제1접속체(71)와, 제1접속체(7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바퀴부(72)와, 제1보호체(61)의 관통부(61a)에 수용되며 일단이 고정부재(20)의 좌측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1접속체(71)에 설치되어 제1접속체(71)를 좌측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제1스프링(73)과, 우측방으로 개구된 개구부(74a)를 구비하고 좌측부에 지중배관(40)으로부터의 제2지중배전케이블(L2)이 연결되며 제1보호체(61)의 관통부(61a) 및 제2보호체(62)의 관통부(62a)에 좌우측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접속체(71)와 맞닿는 도전 재질의 제2접속체(74)와, 제2접속체(74)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바퀴부(75)와, 제2보호체(62)의 관통부(62a)에 수용되며 일단이 지중배관(20)의 우측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접속체(74)에 설치되어 제2접속체(74)를 우측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제2스프링(76)과, 일단이 제1접속체(71)의 개구부(71a)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접속체(74)의 개구부(74a)에 설치되되, 단선방지를 위해 늘어뜨려진 상태로 설치되어, 제1접속체(71) 및 제2접속체(7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선(77)을 갖춘 접속기구(70);
    고정부재(20)의 좌측부에 설치되고, 제1보호체(61)에 수용되며, 제1접속체(71)의 위치 변화를 측정하여, 제1접속체(71)가 초기 위치에서 이동하여 일정시간 동안 위치 변화가 없을 시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제1초음파센서(80);
    지중배관(40)의 우측부에 설치되고, 제2보호체(62)에 수용되며, 제2접속체(74)의 위치 변화를 측정하여, 제2접속체(74)가 초기 위치에서 이동하여 일정시간 동안 위치 변화가 없을 시 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제2초음파센서(9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KR1020150183533A 2015-12-22 2015-12-22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KR101625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533A KR101625113B1 (ko) 2015-12-22 2015-12-22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533A KR101625113B1 (ko) 2015-12-22 2015-12-22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113B1 true KR101625113B1 (ko) 2016-05-27

Family

ID=56106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533A KR101625113B1 (ko) 2015-12-22 2015-12-22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1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689B1 (ko) * 2020-08-31 2021-11-09 주식회사 정우계전 광 방식의 거리 측정에 의한 전기설비의 내진장치 모니터링 및 지진 감지방법
KR102674686B1 (ko) 2023-11-06 2024-06-13 주식회사 우진엔지니어링 다수의 지중배전선 접속가능 안전형 지중배전라인 접속기구
KR102674685B1 (ko) 2023-11-06 2024-06-13 주식회사 우진엔지니어링 이상 감지기능을 갖춘 다기능 지중배전라인 접속형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5123A (ja) 2002-02-04 2003-08-22 Totaku Industries Inc 地中埋設用ケーブル保護管の固定方式
KR101352073B1 (ko) 2013-11-15 2014-01-15 양정모 지하에 매설되는 배전용 지중전선 연결관
KR101569868B1 (ko) 2015-04-22 2015-11-18 이윤경 토압으로부터 지중 배전선로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장치
KR101578062B1 (ko) 2015-07-20 2015-12-17 송인자 지중배전선로의 합선방지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5123A (ja) 2002-02-04 2003-08-22 Totaku Industries Inc 地中埋設用ケーブル保護管の固定方式
KR101352073B1 (ko) 2013-11-15 2014-01-15 양정모 지하에 매설되는 배전용 지중전선 연결관
KR101569868B1 (ko) 2015-04-22 2015-11-18 이윤경 토압으로부터 지중 배전선로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장치
KR101578062B1 (ko) 2015-07-20 2015-12-17 송인자 지중배전선로의 합선방지용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689B1 (ko) * 2020-08-31 2021-11-09 주식회사 정우계전 광 방식의 거리 측정에 의한 전기설비의 내진장치 모니터링 및 지진 감지방법
KR102674686B1 (ko) 2023-11-06 2024-06-13 주식회사 우진엔지니어링 다수의 지중배전선 접속가능 안전형 지중배전라인 접속기구
KR102674685B1 (ko) 2023-11-06 2024-06-13 주식회사 우진엔지니어링 이상 감지기능을 갖춘 다기능 지중배전라인 접속형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351B1 (ko) 배전형 지중선로의 보호를 위한 전선관
KR100909263B1 (ko) 지중배전선의 인입출 배전안내형 접속함
KR101625113B1 (ko)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KR101885834B1 (ko)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US8054628B2 (en) Method for operating a sealed for life compact secondary substation
KR102143458B1 (ko)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
KR100859863B1 (ko) 지중전선 보호용 전선배관의 고정체
KR101483492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KR101469892B1 (ko) 검전기 내장 접지형 엘보커넥터
KR10111618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CN105322479A (zh) 导管容纳器
KR101123909B1 (ko) 지중전선과 인입전선 간 배전을 위한 실외배전반
KR101991253B1 (ko) 내진 성능을 갖는 배전용 지중 전력케이블 구조
KR102231161B1 (ko) 지중 배전선로 접속구조체
KR101329800B1 (ko)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을 위한 절연형 분전함
KR101440799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KR101962367B1 (ko)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고정대
KR101259167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JP5888698B2 (ja) トンネル消火栓装置の据え付け方法
KR101835591B1 (ko)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
KR101987084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장치
KR102104387B1 (ko) 전선이탈 방지장치, 분전반용 안전시스템, 분전반 및 분전반 전원 연결 방법
KR100748265B1 (ko) 공동주택에 배선된 전선의 합선방지구조
KR101284634B1 (ko) 누수 및 결로로 인한 통신장애 및 기계적 오류를 보완한 직접 디지털 제어기기 및 건물용 시스템
KR101853925B1 (ko) 화재감지기 구조체 및 그 설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