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800B1 -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을 위한 절연형 분전함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을 위한 절연형 분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800B1
KR101329800B1 KR1020130096772A KR20130096772A KR101329800B1 KR 101329800 B1 KR101329800 B1 KR 101329800B1 KR 1020130096772 A KR1020130096772 A KR 1020130096772A KR 20130096772 A KR20130096772 A KR 20130096772A KR 101329800 B1 KR101329800 B1 KR 101329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le
case
distribution panel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명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명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명전기
Priority to KR1020130096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4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을 위한 절연형 분전함에 관한 것으로,
하단 내부에 단턱지게 형성되는 체결홈(P1)과, 측면에 관통형성되는 설치홀(P2)을 갖추며, 인입전선(L)이 수용되는 인입전선보호관(P):
후방 상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된 삽입홀(11a)이 형성되는 상판(11)과, 상면이 중심부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며, 중심부에 하방으로 관통된 배수홀(12a)이 형성된 하판(12)을 갖추며,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기홀(13)이 구비되는 케이스(10):
케이스(10)의 배수홀(1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배수관(DP):
힌지를 매개로 케이스(10)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0):
일단이 케이스(10)의 내부 후면에 설치되고, 타단이 돌출되는 이격부재(30):
패널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가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한편, 일측이 개구된 가이드홈(101a)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 외측방으로 개구되는 가이드홀(101b)이 상기 가이드홈(101a)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삽입홀(101c)이 가이드홀(101b)에 이웃되게 형성되고, 후면에 형성되어 후방으로 개구되는 개구홈(101d)이 가이드홈(101a)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단열재질의 배전패널(101);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홈(10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일면이 상기 개구홈(101d)을 통해 노출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면상발열체(102a)와, 면상발열체(102a)에 설치되며 면상발열체(102a)를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홈(101a)에 삽입할 시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홀(101b)를 따라 삽입되는 전기연결단자부(102b)를 갖춘 히터체(102); 배전패널(101)의 삽입홀(101c)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03a)를 갖추고서,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홀(101b)에 삽입된 전기연결단자부(102b)를 지지하는 고정체(103); 배전패널(101)의 전면에 설치되는 차단기(104);를 갖춘 배전반(100):
전후방으로 관통되며 전선(L)이 인입되는 인입홀(41a)을 갖추고서, 배전패널(10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전선인입체(41); 일단이 배전패널(101)의 상단에 설치되고 타단이 전선인입체(41)의 하단에 설치되어 배전패널(101)에 전선인입체(41)를 고정하며, 전선인입체 인입홀(41a)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선인입체 인입홀(41a)로 인입되는 전선(L)을 상기 인입홀(41a)로 안내하는 고정부(42a)와,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상방으로부터 전선(L)이 인입되는 제1인입홀(42b1)과 제1인입홀(42b1)과 이웃되게 상하 관통형성되며 제1인입홀(42b1)을 통과한 전선(L)이 하방으로부터 인입되는 제2인입홀(42b2)을 구비하며, 일단이 고정부(42a)에 설치되고 타단이 배전반(10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경사지는 낙수유도부(42b)를 구비한 낙수유도부재(42);를 갖춘 전선고정기구(40):
케이스(10)의 삽입홀(11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상단이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인입전선보호관(P)의 체결홈(P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결합부(51); 결합부(51)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홈(P1)의 하부에 위치하며, 케이스(10)의 상면에 밀착되는 기밀부(52); 결합부(51)의 하단에 구비되어, 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하며,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경사부(53);를 갖추며, 결합부(51) 및 경사부(53)에 인입전선(L)이 인입되는 인입홀(54)이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결합부(51) 및 경사부(53)에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이 통과하는 통과홀(55)이 관통형성되는 기밀부재(50):
상방으로 개구되며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는 스펀지체설치홈(61a)과, 하부에 관통형성되며 스펀지체설치홈(61a)과 연통되는 다수의 배수홀(61b)을 구비하여, 기밀부재(50)의 결합부(5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환 형상의 체결부(61); 스펀지체설치홈(6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스펀지체설치홈(61a) 보다 큰 높이를 갖는 스펀지체(62);를 갖춘 누수차단부재(60):
전선인입체(41)의 삽입홀(11)과 연통되어 전선(L)이 인입되는 제1연통홀(71a1)을 구비하며, 낙수유도부재(42)의 고정부(42a)에 대향되게 전선인입체(41) 및 배전패널(101)에 맞대어져 전선인입체(41)를 배전패널(101)에 고정하는 측판(71a)과, 하방으로 관통형성되는 제2연통홀(71b1)을 구비하며, 전선(L)이 인출되는 하판(71b)을 갖추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소화기구본체(71); 소화기구본체(71)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72); 내부에 소화물질이 충진되며, 화염에 녹는 재질로 이루어져, 소화기구본체(71)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소화체(73);를 갖춘 소화기구(70):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80):
상기 인입전선보호관(P)의 설치홀(P2)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을 통해 화재감지센서(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송신기(90):
케이스(10)의 상부에 배치되며,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을 통해 화재감지센서(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경보 음성을 발생하는 경보기(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배수가 용이하고, 인입전선을 안정적으로 보호하며, 화재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배전반(100)으로부터의 화염 진행을 초기에 차단하여, 대형 화재를 방지하며, 침투수를 단계적으로 차단하여, 침투수가 배전반으로 유입되지 않게 하고 케이스(10) 내부의 습도를 낮춤으로써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을 위한 절연형 분전함{Insulation Type Distributing Ca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을 위한 절연형 분전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의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는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목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변전소에서 상용전력으로 변환된 전력은 통상 분전함을 통해 각 가정으로 분배된다.
한편 상기 분전함의 경우 계단형 아파트 등에서는 계단 측에 설치되지만, 공동주택 또는 건축구조물의 주차공단 등지에서는 대부분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구석지고 협소한 장소의 폐쇄공간 내부 또는 옥외에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분전함은 내부로 침투수가 유입될 경우, 배수가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상기 분전함은 누전으로 인해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주변에서 바로 확인하기 어려웠으며, 내부전선을 따라 화염이 이동하여 대형 화재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더불어 상기 분전함은 침투수에 노출되기 용이하기 때문에, 누전으로 인한 전기합선과 같은 전기안전사고가 발생하기 쉽다.
등록특허 제10-1022752호 등록특허 제10-125916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수가 용이하고, 화재를 주변에 신속하게 알리며, 화재발생에 따른 화염의 이동을 차단하고, 화재에 신속하게 대처가능하도록 하며, 침투수에 의해 발생되는 낙수가 배전반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을 위한 절연형 분전함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단 내부에 단턱지게 형성되는 체결홈(P1)과, 측면에 관통형성되는 설치홀(P2)을 갖추며, 인입전선(L)이 수용되는 인입전선보호관(P):
후방 상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된 삽입홀(11a)이 형성되는 상판(11)과, 상면이 중심부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며, 중심부에 하방으로 관통된 배수홀(12a)이 형성된 하판(12)을 갖추며,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기홀(13)이 구비되는 케이스(10):
케이스(10)의 배수홀(1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배수관(DP):
힌지를 매개로 케이스(10)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0):
일단이 케이스(10)의 내부 후면에 설치되고, 타단이 돌출되는 이격부재(30):
패널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가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한편, 일측이 개구된 가이드홈(101a)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 외측방으로 개구되는 가이드홀(101b)이 상기 가이드홈(101a)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삽입홀(101c)이 가이드홀(101b)에 이웃되게 형성되고, 후면에 형성되어 후방으로 개구되는 개구홈(101d)이 가이드홈(101a)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단열재질의 배전패널(101);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홈(10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일면이 상기 개구홈(101d)을 통해 노출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면상발열체(102a)와, 면상발열체(102a)에 설치되며 면상발열체(102a)를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홈(101a)에 삽입할 시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홀(101b)를 따라 삽입되는 전기연결단자부(102b)를 갖춘 히터체(102); 배전패널(101)의 삽입홀(101c)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03a)를 갖추고서,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홀(101b)에 삽입된 전기연결단자부(102b)를 지지하는 고정체(103); 배전패널(101)의 전면에 설치되는 차단기(104);를 갖춘 배전반(100):
전후방으로 관통되며 전선(L)이 인입되는 인입홀(41a)을 갖추고서, 배전패널(10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전선인입체(41); 일단이 배전패널(101)의 상단에 설치되고 타단이 전선인입체(41)의 하단에 설치되어 배전패널(101)에 전선인입체(41)를 고정하며, 전선인입체 인입홀(41a)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선인입체 인입홀(41a)로 인입되는 전선(L)을 상기 인입홀(41a)로 안내하는 고정부(42a)와,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상방으로부터 전선(L)이 인입되는 제1인입홀(42b1)과 제1인입홀(42b1)과 이웃되게 상하 관통형성되며 제1인입홀(42b1)을 통과한 전선(L)이 하방으로부터 인입되는 제2인입홀(42b2)을 구비하며, 일단이 고정부(42a)에 설치되고 타단이 배전반(10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경사지는 낙수유도부(42b)를 구비한 낙수유도부재(42);를 갖춘 전선고정기구(40):
케이스(10)의 삽입홀(11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상단이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인입전선보호관(P)의 체결홈(P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결합부(51); 결합부(51)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홈(P1)의 하부에 위치하며, 케이스(10)의 상면에 밀착되는 기밀부(52); 결합부(51)의 하단에 구비되어, 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하며,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경사부(53);를 갖추며, 결합부(51) 및 경사부(53)에 인입전선(L)이 인입되는 인입홀(54)이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결합부(51) 및 경사부(53)에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이 통과하는 통과홀(55)이 관통형성되는 기밀부재(50):
상방으로 개구되며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는 스펀지체설치홈(61a)과, 하부에 관통형성되며 스펀지체설치홈(61a)과 연통되는 다수의 배수홀(61b)을 구비하여, 기밀부재(50)의 결합부(5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환 형상의 체결부(61); 스펀지체설치홈(6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스펀지체설치홈(61a) 보다 큰 높이를 갖는 스펀지체(62);를 갖춘 누수차단부재(60):
전선인입체(41)의 삽입홀(11)과 연통되어 전선(L)이 인입되는 제1연통홀(71a1)을 구비하며, 낙수유도부재(42)의 고정부(42a)에 대향되게 전선인입체(41) 및 배전패널(101)에 맞대어져 전선인입체(41)를 배전패널(101)에 고정하는 측판(71a)과, 하방으로 관통형성되는 제2연통홀(71b1)을 구비하며, 전선(L)이 인출되는 하판(71b)을 갖추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소화기구본체(71); 소화기구본체(71)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72); 내부에 소화물질이 충진되며, 화염에 녹는 재질로 이루어져, 소화기구본체(71)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소화체(73);를 갖춘 소화기구(70):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80):
상기 인입전선보호관(P)의 설치홀(P2)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을 통해 화재감지센서(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송신기(90):
케이스(10)의 상부에 배치되며,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을 통해 화재감지센서(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경보 음성을 발생하는 경보기(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배수가 용이하고, 인입전선을 안정적으로 보호하며, 화재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배전반으로부터의 화염 진행을 초기에 차단하여, 대형 화재를 방지하며, 침투수를 단계적으로 차단하여, 침투수가 배전반으로 유입되지 않게 하고 케이스 내부의 습도를 낮춤으로써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을 위한 절연형 분전함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패널을 후방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6의 X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차단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 7의 Y-Y선 단면도이고,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을 위한 절연형 분전함은 인입전선보호관(P), 케이스(10), 배수관(DP), 도어(20), 이격부재(30), 배전반(100), 전선고정기구(40), 기밀부재(50), 누수차단부재(60), 소화기구(70), 화재감지센서(80), 송신기(90) 및, 경보기(A)를 포함한다.
인입전선보호관(P)는 하단 내부에 내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되며 나사산이 구비되는 체결홈(P1)과, 측면에 관통형성되는 설치홀(P2)을 갖추며, 케이스(10)로 인입되는 인입전선(L)을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입전선보호관(P)은 전체적으로 원형 파이프 형상을 이룬다.
케이스(10)는 후방 상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된 삽입홀(11a)이 형성되는 상판(11)과, 상면이 중심부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며, 중심부에 하방으로 관통된 배수홀(12a)이 형성된 하판(12)을 갖추며,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기홀(13)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1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며, 내부가 전방으로 개구된다.
배수관(DP)은 케이스(10)의 배수홀(1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수관(DP)은 전체적으로 원형 파이프 형상을 이룬다.
도어(20)는 힌지를 매개로 케이스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이격부재(30)는 일단이 케이스(10)의 내부 후면에 설치되고, 타단이 돌출된다.
배전반(100)은 배전패널(101), 히터체(102), 고정체(103) 및, 차단기(104)를 갖추고서, 케이스(10) 내부의 습도를 낮춘다.
배전패널(101)은, 패널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가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한편, 일측이 개구된 가이드홈(101a)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 외측방으로 개구되는 가이드홀(101b)이 상기 가이드홈(101a)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삽입홀(101c)이 가이드홀(101b)에 이웃되게 형성되고, 후면에 형성되어 후방으로 개구되는 개구홈(101d)이 가이드홈(101a)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때 배전패널(101)의 하단부는 라운드 지기 때문에 히터체(102)를 삽입할 시 편리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배전패널(101)는 단열재질로 이루어지며, 이격부재(30)에 설치된다.
히터체(102)는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홈(10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일면이 상기 개구홈(101d)을 통해 노출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면상발열체(102a)와, 면상발열체(102a)에 설치되며 면상발열체(102a)를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홈(101a)에 삽입할 시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홀(101b)를 따라 삽입되는 전기연결단자부(102b)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히터체(102)는 전기연결단자부(102b)로 전기가 공급되면 면상발열체(102a)가 발열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히터체(102)는 면상발열체(102a)를 이용하지만, 발열을 하며 배전패널(101)에 수용가능한 구조를 가지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고정체(103)는 배전패널(101)의 삽입홀(101c)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03a)를 갖추고서,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홀(101b)에 삽입된 전기연결단자부(102b)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체(103)는 전기연결단자부(102b)를 지지함으로써, 히터체(102)가 배전패널(101)에 안정적으로 수용되도록 한다.
차단기(104)는 배전패널(101)의 전면에 다수 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차단기(104)는 케이스(10)의 삽입홀(11)을 통해 인입되는 전선(L)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전력은 차단기(104)를 경유하여 케이스(10)의 측방으로 인출되는 전선(미도시)을 통해 분배된다.
전선고정기구(40)는 전선인입체(41) 및 낙수유도부재(42)를 갖추고서, 전선(L1)이 배전반(100)의 차단기(104)에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전선인입체(41)는 전후방으로 관통되며 전선(L)이 인입되는 인입홀(41a)을 갖추고서, 배전반 배전패널(10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선인입체(41)는 패널 형상을 이룬다.
낙수유도부재(42)는 고정부(42a) 및 낙수유도부(42b)를 갖추고서, 전선인입체(41)를 배전패널(101)에 고정하고, 낙수를 하방으로 유도한다.
고정부(42a)는 일단이 배전패널(101)의 상단에 설치되고, 타단이 전선인입체(41)의 하단에 설치되어, 배전패널(101)에 전선인입체(41)를 고정한다. 이때 고정부(42a)는 전선인입체 인입홀(41a)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선인입체 인입홀(41a)로 전선(L)을 인입할 시 전선(L)이 안정적으로 인입되도록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42a)는 패널 형상을 이룬다.
낙수유도부(42b)는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상방으로부터 전선(L)이 인입되는 제1인입홀(42b1)과, 제1인입홀(42b1)과 이웃되게 상하 관통형성되며 제1인입홀(42b1)을 통과한 전선(L)이 하방으로부터 인입되는 제2인입홀(42b2)을 구비하며, 일단이 고정부(42a)에 설치되고 타단이 배전패널(10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경사진다. 이때 낙수유도부(42b)는 전선(L)이 굴곡지게 함으로써, 전선(L)을 따라 흐르는 낙수가 배전반(100)의 차단기(104)을 향해 이동하지 않도록 하며, 배전반(100)의 후방에 구비되어 그 효과를 더욱 증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낙수유도부(42b)는 패널 형상을 이룬다.
기밀부재(50)는 케이스(10)의 삽입홀(11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상단이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인입전선보호관(P)의 체결홈(P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결합부(51)와, 결합부(51)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홈(P1)의 하부에 위치하며, 케이스(10)의 상면에 밀착되어, 침투수가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플랜지 형상의 기밀부(52)와, 결합부(51)의 하단에 구비되어 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하며,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져 케이스(10)의 삽입홀(11a)로 누수되는 침투수가 하방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경사부(53)를 갖춘다. 그리고 기밀부재(50)는 결합부(51) 및 경사부(53)에 인입전선(L)이 인입되는 인입홀(54)이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결합부(51) 및 경사부(53)에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이 통과하는 통과홀(55)이 관통형성된다.
누수차단부재(60)는 환 형상의 체결부(61) 및 체결부(61)에 설치되는 스펀지체(62)를 갖추고서,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 침투수의 이동을 차단한다.
체결부(61)는 상방으로 개구되며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는 스펀지체설치홈(61a)과, 둘레부를 따라 하부에 관통형성되며 스펀지체설치홈(61a)과 연통되는 다수의 배수홀(61b)을 갖추고서, 기밀부재(50)의 결합부(5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스펀지체(62)는 스펀지체설치홈(6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침투수를 흡수한다. 이때 스펀지체(62)의 상단은 스펀지체설치홈(61a) 보다 큰 높이를 가져 스펀지체설치홈(61a)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스펀지체(62)는 케이스(10)의 내부 상면과 맞닿을 시 하부로 가압되면서, 케이스(10)에 밀착되어, 침투수가 측방으로 유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펀지체(62)는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침투수를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소화기구(70)는 소화기구본체(71), 도어(72) 및, 다수의 소화체(73)를 갖추고서, 배전반(100)으로부터 발생되는 화염을 차단한다.
소화기구본체(71)는 전선인입체(41)의 삽입홀(11a)과 연통되어 인입전선(L)이 인입되는 제1연통홀(71a1)을 구비하며, 낙수유도부재(42)의 고정부(42a)에 대향되게 전선인입체(41) 및 배전반(100)에 맞대어져 전선인입체(41)를 배전반(100)의 배전패널(D1)에 고정하는 측판(71a)과, 하방으로 관통형성되는 제2연통홀(71b1)을 구비하며, 인입전선(L)이 인출되는 하판(71b)을 갖추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72)는 힌지를 매개로 소화기구본체(71)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소화체(73)는 내부에 소화물질이 충진되며, 화염에 녹는 재질로 이루어져, 소화기구본체(71)의 내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소화체(73)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화물질은 일반적으로 소화기에 사용되는 소화분말이 사용된다. 이때 소화분말은 소화체(73)에 압축되어 내장되며, 소화체(73)는 인입전선(L) 보다 열에 약하고 튜브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재감지센서(80)는 케이스(10) 내부 상면에 설치되어, 배전반(100)에 화재가 발생할 시 이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화재감지센서(80)는 열에 의한 공기의 팽창을 이용하는 차동식 감지기, 이종합금이 열에 의한 변형을 감지하는 정온식 감지기, 반도체를 이용한 화재감지기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화재를 감지할 수만 있으면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송신기(90)는 상기 인입전선보호관(P)의 설치홀(P2)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무선송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화재감지센서(80)와 송신기(90)의 전기적 연결은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을 통해 이루어지며,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은 인입전선보호관(P)의 설치홀(P2) 및 기밀부재(50)의 통과홀(55)을 통과하여 화재감지센서(80)와 송신기(90)를 상호 연결한다.
경보기(A)는 케이스(10)의 상부에 배치되며,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을 통해 화재감지센서(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경보 음성을 발생한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을 위한 절연형 분전함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을 위한 절연형 분전함이 공동주택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기합선이 발생하여 배전반(100)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감지센서(80)는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화재신호를 송신기(90)를 통해 도 9와 같이 무선송출된다. 그리고 별도의 관리센터(미도시)에서는 상기 화재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이때 경보기(A)는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한 후 주변에 경보음을 방출하여, 주변 사람들이 위험을 즉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한다.
한편 화재 발생시, 화염은 인입전선(L)을 따라 도 9와 같이 인입전선(L)을 따라 진행하려고 한다.
이때 상기 화염이 인입전선(L)을 따라 소화기구본체(71) 내부로 진행하면, 열에 의해 소화체(73)는 터지고, 이와 동시에 소화물질이 화염으로 분출되어 화염의 진행을 저지한다.
따라서 화염은 인입전선(L)을 따라 케이스(10) 외부로 이동되지 않으며, 대형 화재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기밀부재(50)의 기밀부(52)에 의해 우천 시에도 내부로 침투수가 유입되지 않는다. 하지만 설치 후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 기밀부재(50)의 기밀부(52)와 케이스(10)의 상면 사이의 밀착이 느슨해지면, 침투수는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다.
그러면 상기 침투수는 도 10과 같이 기밀부재(50)의 결합부(51)의 외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기밀부재(50)의 경사부(53)를 따라 계속해서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침투수는 인입전선(L)을 따라 계속해서 하방으로 이동하고, 낙수유도부재(42)의 낙수유도부(42b)에 의해 하방으로 안내되어 계속해서 하방으로 낙하된다.
한편 상기 기밀부재(50)의 결합부(51)의 외면을 따라 흐르는 침투수 중 일부는 도 11과 같이 케이스(10)의 상면을 따라 측방으로 흐르려고 한다. 이때 상기 침투수는 누수차단부재(60)의 스펀지체(62)에 의해 흡수되어, 측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며, 스펀지체(62)에 흡수된 침투수는 시간이 경과하면 자중에 의해 도 11과 같이 누수차단부재(60)의 배수홀(61b)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배전반(100)의 후방에서 낙하하는 침투수는 도 12와 같이 케이스(10)의 하판(12)으로 낙하하고, 낙하된 침투수는 하판(12)의 경사면을 따라 배수관(DP)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침투수가 케이스(10)의 내부 후방으로 낙수 될 경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습도가 증가한다. 이렇게 습도가 증가할 경우 배전반(100)에 구비된 전기소자는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10) 내부에 습도가 증가했다는 판단이 들 경우, 작업자는 히터체(102)의 전기연결단자부(102b)를 통해 전기를 공급하여, 면상발열체(102a)가 발열하도록 한다.
그러면 면상발열체(102a)는 도 13과 같이 배전패널(101)의 개구홈(101d)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 후방으로 열을 발산하며, 이로 인해 케이스(10) 내부 후방의 습기가 제거됨과 함께 전체적으로 케이스(10) 내부의 습도가 낮아진다. 이때 배전반(100)은 전기소자를 다수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열에 취약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면상발열체(102a)를 통해 발산되는 열은 단열재질인 배전패널(101)에 의해 차단되어 배전반(100)의 열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스(10)로 유입된 침투수를 외부로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 케이스(10) 내부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며, 화재가 발생할 시, 즉각적으로 외부에 알릴 수 있어, 화재발생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반(100)에 화재가 발생할 시 화염이 케이스(10) 외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초기에 진화하여, 대형 화재를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10)의 삽입홀(11a)로 유입되는 침투수를 기밀부재(50)의 기밀부(52)로 1차 저지하고, 1차 저지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침투수를 기밀부재(50)의 경사부(53)를 통해 하방으로 유도하여, 배전반(100)으로 침투수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낙수유도부재(42)를 통해 상기 경사부(53)에 의해 유도된 침투수가 배전반(100)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특히 본 발명은 누수차단부재(60)를 통해, 상기 1차 저지를 통과한 침투수가 케이스(10)의 내부 상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배전반(100)으로 낙하하는 것을 2차 저지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침투수를 단계적으로 차단하여, 침투수가 배전반(100)으로 유입되지 않게 함으로써, 전기합선과 같은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반(100)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케이스(10) 내부의 습도를 낮출 수 있어, 전기합선과 같은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10; 케이스 11; 상판
12; 하판 A; 경보기
20; 도어 30; 이격부재
40; 전선고정기구 41; 전선인입체
42; 낙수유도부재 50; 기밀부재
51; 결합부 52; 기밀부
53; 경사부 54; 인입홀
60; 누수차단부재 61; 체결부
62; 스펀지체 70; 소화기구
71; 소화기구본체 72; 도어
73; 소화체 80; 화재감지센서
90; 송신기 100; 배전반
101; 배전패널 102; 히터체
103; 고정체 104; 차단기
P; 인입전선보호관 P1; 체결홈
P2; 설치홀 DP; 배수관

Claims (1)

  1. 하단 내부에 단턱지게 형성되는 체결홈(P1)과, 측면에 관통형성되는 설치홀(P2)을 갖추며, 인입전선(L)이 수용되는 인입전선보호관(P):
    후방 상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된 삽입홀(11a)이 형성되는 상판(11)과, 상면이 중심부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며, 중심부에 하방으로 관통된 배수홀(12a)이 형성된 하판(12)을 갖추며,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기홀(13)이 구비되는 케이스(10):
    케이스(10)의 배수홀(1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배수관(DP):
    힌지를 매개로 케이스(10)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0):
    일단이 케이스(10)의 내부 후면에 설치되고, 타단이 돌출되는 이격부재(30):
    패널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가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한편, 일측이 개구된 가이드홈(101a)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 외측방으로 개구되는 가이드홀(101b)이 상기 가이드홈(101a)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삽입홀(101c)이 가이드홀(101b)에 이웃되게 형성되고, 후면에 형성되어 후방으로 개구되는 개구홈(101d)이 가이드홈(101a)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단열재질의 배전패널(101);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홈(10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일면이 상기 개구홈(101d)을 통해 노출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면상발열체(102a)와, 면상발열체(102a)에 설치되며 면상발열체(102a)를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홈(101a)에 삽입할 시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홀(101b)를 따라 삽입되는 전기연결단자부(102b)를 갖춘 히터체(102); 배전패널(101)의 삽입홀(101c)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03a)를 갖추고서,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홀(101b)에 삽입된 전기연결단자부(102b)를 지지하는 고정체(103); 배전패널(101)의 전면에 설치되는 차단기(104);를 갖춘 배전반(100):
    전후방으로 관통되며 전선(L)이 인입되는 인입홀(41a)을 갖추고서, 배전패널(10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전선인입체(41); 일단이 배전패널(101)의 상단에 설치되고 타단이 전선인입체(41)의 하단에 설치되어 배전패널(101)에 전선인입체(41)를 고정하며, 전선인입체 인입홀(41a)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선인입체 인입홀(41a)로 인입되는 전선(L)을 상기 인입홀(41a)로 안내하는 고정부(42a)와,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상방으로부터 전선(L)이 인입되는 제1인입홀(42b1)과 제1인입홀(42b1)과 이웃되게 상하 관통형성되며 제1인입홀(42b1)을 통과한 전선(L)이 하방으로부터 인입되는 제2인입홀(42b2)을 구비하며, 일단이 고정부(42a)에 설치되고 타단이 배전반(10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경사지는 낙수유도부(42b)를 구비한 낙수유도부재(42);를 갖춘 전선고정기구(40):
    케이스(10)의 삽입홀(11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상단이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인입전선보호관(P)의 체결홈(P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결합부(51); 결합부(51)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홈(P1)의 하부에 위치하며, 케이스(10)의 상면에 밀착되는 기밀부(52); 결합부(51)의 하단에 구비되어, 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하며,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경사부(53);를 갖추며, 결합부(51) 및 경사부(53)에 인입전선(L)이 인입되는 인입홀(54)이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결합부(51) 및 경사부(53)에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이 통과하는 통과홀(55)이 관통형성되는 기밀부재(50):
    상방으로 개구되며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는 스펀지체설치홈(61a)과, 하부에 관통형성되며 스펀지체설치홈(61a)과 연통되는 다수의 배수홀(61b)을 구비하여, 기밀부재(50)의 결합부(5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환 형상의 체결부(61); 스펀지체설치홈(6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스펀지체설치홈(61a) 보다 큰 높이를 갖는 스펀지체(62);를 갖춘 누수차단부재(60):
    전선인입체(41)의 삽입홀(11)과 연통되어 전선(L)이 인입되는 제1연통홀(71a1)을 구비하며, 낙수유도부재(42)의 고정부(42a)에 대향되게 전선인입체(41) 및 배전패널(101)에 맞대어져 전선인입체(41)를 배전패널(101)에 고정하는 측판(71a)과, 하방으로 관통형성되는 제2연통홀(71b1)을 구비하며, 전선(L)이 인출되는 하판(71b)을 갖추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소화기구본체(71); 소화기구본체(71)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72); 내부에 소화물질이 충진되며, 화염에 녹는 재질로 이루어져, 소화기구본체(71)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소화체(73);를 갖춘 소화기구(70):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80):
    상기 인입전선보호관(P)의 설치홀(P2)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을 통해 화재감지센서(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송신기(90):
    케이스(10)의 상부에 배치되며,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을 통해 화재감지센서(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경보 음성을 발생하는 경보기(A):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을 위한 절연형 분전함.
KR1020130096772A 2013-08-14 2013-08-14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을 위한 절연형 분전함 KR101329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772A KR101329800B1 (ko) 2013-08-14 2013-08-14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을 위한 절연형 분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772A KR101329800B1 (ko) 2013-08-14 2013-08-14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을 위한 절연형 분전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800B1 true KR101329800B1 (ko) 2013-11-15

Family

ID=49857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772A KR101329800B1 (ko) 2013-08-14 2013-08-14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을 위한 절연형 분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80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321B1 (ko) 2015-03-23 2015-09-15 (주)준영이엔씨 관로식 지중 송전케이블용 절연 접속 어댑터
KR101563653B1 (ko) 2015-06-01 2015-10-28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공동주택의 지중배전선 분배전함
KR101587515B1 (ko) * 2015-07-29 2016-01-21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지중배전선의 안정적 설치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설치대
KR101619339B1 (ko) * 2015-06-22 2016-05-10 (주)세종기술단 전원공급제어를 위한 공동주택의 배전함
KR101625085B1 (ko) 2015-10-05 2016-05-30 금정엔지니어링(주) 공동주택의 배전선 이탈방지 전용 위치고정식 고정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245B1 (ko) 2005-08-09 2006-12-27 주식회사 금광통신 원적외선 발생 재료를 장착한 단자함
KR100777263B1 (ko) 2007-08-22 2007-11-22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1145351B1 (ko) 2012-02-06 2012-05-15 태형전기(주) 배전형 지중선로의 보호를 위한 전선관
KR101247348B1 (ko) 2012-11-20 2013-03-26 김종선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 선로용 감전방지형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245B1 (ko) 2005-08-09 2006-12-27 주식회사 금광통신 원적외선 발생 재료를 장착한 단자함
KR100777263B1 (ko) 2007-08-22 2007-11-22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1145351B1 (ko) 2012-02-06 2012-05-15 태형전기(주) 배전형 지중선로의 보호를 위한 전선관
KR101247348B1 (ko) 2012-11-20 2013-03-26 김종선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 선로용 감전방지형 커넥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321B1 (ko) 2015-03-23 2015-09-15 (주)준영이엔씨 관로식 지중 송전케이블용 절연 접속 어댑터
KR101563653B1 (ko) 2015-06-01 2015-10-28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공동주택의 지중배전선 분배전함
KR101619339B1 (ko) * 2015-06-22 2016-05-10 (주)세종기술단 전원공급제어를 위한 공동주택의 배전함
KR101587515B1 (ko) * 2015-07-29 2016-01-21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지중배전선의 안정적 설치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설치대
KR101625085B1 (ko) 2015-10-05 2016-05-30 금정엔지니어링(주) 공동주택의 배전선 이탈방지 전용 위치고정식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799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329800B1 (ko)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을 위한 절연형 분전함
KR101119624B1 (ko) 공동주택 엘이디 기구의 배전선 보호관
KR101247348B1 (ko)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 선로용 감전방지형 커넥터
KR101330205B1 (ko)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형 분전함
KR101219137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KR102242698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
CN109701182A (zh) 基于三取二模式的新型柔性直流换流变消防灭火系统
US8817471B2 (en) Overheat suppression systems and methods for an electrical housing
KR102045848B1 (ko)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1440799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KR101638939B1 (ko)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JP4766670B2 (ja) 防災防犯機器の防水構造
KR101259167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559832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장치
KR101193117B1 (ko) 공동주택의 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
KR101275193B1 (ko) 지중용 또는 지상형 개폐기 및 변압기의 야생동물 및 습기침투 방지용 차폐막
KR101190175B1 (ko)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101638937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336112B1 (ko) 공동주택의 엘이디(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
KR102153395B1 (ko)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
KR101205337B1 (ko) 공동주택의 절연형 분전함
KR101625085B1 (ko) 공동주택의 배전선 이탈방지 전용 위치고정식 고정구
KR101259168B1 (ko) 공동주택의 엘이디 통전 배전선 보호관
KR101619339B1 (ko) 전원공급제어를 위한 공동주택의 배전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