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395B1 -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395B1
KR102153395B1 KR1020200046411A KR20200046411A KR102153395B1 KR 102153395 B1 KR102153395 B1 KR 102153395B1 KR 1020200046411 A KR1020200046411 A KR 1020200046411A KR 20200046411 A KR20200046411 A KR 20200046411A KR 102153395 B1 KR102153395 B1 KR 102153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distribution
connector
switchboard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삼용
Original Assignee
(주)이산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산기술단 filed Critical (주)이산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046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을 저압으로 변환하는 배전반(110)과, 인입 배전선로(121) 및 인출 배전선로(122)를 주름신축구조(A)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전 커넥터(120)와, 배전 커넥터(120)와 여유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배전 커넥터(120)를 감싸는 절연 보호관(130)과, 배전 커넥터(120)와 절연 보호관(130) 사이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도록, 배전 커넥터(120)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23a)에 안착되는 원호 형상의 전단부(141)와, 전단부(141)로부터 연장되어 절연 보호관(130) 내측면에 이격 형성된 후크(131)에 삽입된 압축 스프링(142)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후단부(143)로 구성되는, 내진 클립스프링부(140)를 포함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시에 배전 커넥터(120)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진동을 탄성적으로 흡수하도록 하여서, 배전선로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STRUCTURE CONNECTING DISTRIBUTION LINE BETWEEN PADMOUNMTED AND DISTRIBUTION BOARD}
본 발명은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시에 배전 커넥터 및 배전선로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진동을 탄성적으로 흡수하도록 하여 배전선로의 단선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도시지역의 전력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도로변에 전신주를 이용한 가공시설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가공시설은 안전상의 이유와 도시 미관상의 이유로 지중 시설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지중 배전선로는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관에 설치되며 커넥터를 통하여 지상의 배전반에 연결되고, 커넥터는 일단이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인입되는 인입전선과 연결되고 타단이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되는 인출전선에 연결되어 전력공급원으로부터 배전반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배전반으로부터 전력수용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
하지만, 지중 설치 특성상, 배전반과 지중배관 사이를 통해 우수에 의해 침수가 발생하며, 이러한 침수에 의하여 누전 및 감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커넥터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누전이 발생하기 쉬우며, 작업자가 부주의로 커넥터와 접촉하여 누전 및 감전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지진 발생시 진동하는 인입전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외력이 직접적으로 커넥터에 전달되어 인입전선이 커넥터로부터 탈락하여 누전이 발생하거나, 감전 또는 화재와 같은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배전함과 지중배관 사이를 통한 침수로 인해 발생하는 누전 및 감전사고를 방지하고, 지진 발생시 인입전선이 커넥터로부터 탈락하여 누전과 이로 인한 감전 또는 화재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55995호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한국등록특허 제10-1625628호 (지중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용 접속구조)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시에 배전 커넥터 및 배전선로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진동을 탄성적으로 흡수하도록 하여 배전선로의 단선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고압을 저압으로 변환하는 변압기와, 변환된 전력을 분배하는 분배기와, 전력을 차단하는 차단기와, 누전검출기를 내측에 수용되며, 적어도 하나의 측면판에 환기 및 통풍을 위한 통풍구가 형성된, 배전반; 상기 분배기로부터 지중으로 인출되고, 절연피복이 박리된 도체심선의 종단은 주름신축구조로 형성된 인입 배전선로와, 지중으로 인입되고, 상기 인입 배전선로의 종단과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절연피복이 박리된 도체심선의 종단은 주름신축구조로 형성된 인출 배전선로와, 상기 인입 배전선로 및 상기 인출 배전선로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인입 배전선로의 종단과 상기 인출 배전선로의 종단은 볼트체결되어 상호 고정되는, 배전 커넥터; 상기 배전 커넥터와 이격되어 상기 배전 커넥터를 감싸는 절연 보호관; 및 상기 배전 커넥터와 상기 절연 보호관 사이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배전 커넥터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안착되는 원호 형상의 전단부와, 상기 전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절연 보호관 내측면에 이격 형성된 후크에 삽입된 압축 스프링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후단부로 구성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시에 상기 배전 커넥터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진동을 흡수하도록 하는, 내진 클립스프링부;를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는 대향하는 한쌍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에 형성된 날개에 각각 볼트체결되어 결합되고, 상기 인입 배전선로가 삽입되는 상기 커버의 상단 넥 및 상기 인출 배전선로가 삽입되는 상기 커버의 하단 넥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 배전선로의 외측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원호 형상의 전단부와, 상기 전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절연 보호관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슬라이드가능하도록 결합된 가이드로 삽입된 압축 스프링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후단부로 구성되는, 상단 내진 클립스프링부, 및 상기 인출 배전선로의 외측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원호 형상의 전단부와, 상기 전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절연 보호관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슬라이드가능하도록 결합된 가이드로 삽입된 압축 스프링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후단부로 구성되는, 하단 내진 클립스프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절연 보호관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심선의 주름신축구조는 복수의 골과 마루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전 커넥터 내측면에는 온도센서가 형성되고,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상기 배전 커넥터 내부의 과열, 단선 또는 단전여부를 식별하여 상기 배전반의 차단기를 제어하고 경고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전 커넥터 하단 내측면에는 우수의 유입 및 결로에 따른 침수를 감지하는 침수감지센서가 형성되고, 상기 침수감지센서는 상기 누전검출기와 연동하여 경고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전반은 상기 인출 배전선로의 매설위치 및 가설경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진 클립스프링부는 상기 배전 커넥터를 중심축으로 120°간격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 내진 클립스프링부는 상기 인입 배전선로를 중심축으로 120°간격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단 내진 클립스프링부는 상기 인출 배전선로를 중심축으로 120°간격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시에 배전 커넥터 및 배전선로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진동을 탄성적으로 흡수하도록 하여 배전선로의 단선을 방지하도록 하며, 배전선로의 주름신축구조 결합에 의해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의 진동 또는 전압인가에 따른 고온에 대해 신축적으로 변형되도록 하여 단선을 방지하도록 하고, 커버의 요홈의 요철구조에 의해 배전선로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며 외부로부터의 우수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의 배전 커넥터 및 절연 보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의 정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3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3의 인입 배전선로 및 인출 배전선로의 주름신축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1의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의 온도감지 및 침수감지 구성을 분리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는, 전체적으로, 고압을 저압으로 변환하는 배전반(110)과, 인입 배전선로(121) 및 인출 배전선로(122)를 주름신축구조(A)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전 커넥터(120)와, 배전 커넥터(120)와 여유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배전 커넥터(120)를 감싸는 절연 보호관(130)과, 배전 커넥터(120)와 절연 보호관(130) 사이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도록, 배전 커넥터(120)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23a)에 안착되는 원호 형상의 전단부(141)와, 전단부(141)로부터 연장되어 절연 보호관(130) 내측면에 이격 형성된 후크(131)에 삽입된 압축 스프링(142)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후단부(143)로 구성되는, 내진 클립스프링부(140)를 포함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시에 배전 커넥터(120)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진동을 탄성적으로 흡수하도록 하여서, 배전선로의 단선을 방지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우선, 배전반(110)은 콘크리트 지반(10)과 내진설비(미도시)를 개재하여 고정되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소 또는 변전소로부터 송전되는 고압을 저압으로 변환하는 변압기와, 변환된 전력을 분배하는 분배기와, 전력을 차단하는 차단기와, 누전검출기를 내측에 수용하고, 적어도 하나의 측면판에 환기 및 통풍을 위한 통풍구(111)가 형성된다.
다음, 배전 커넥터(120)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110)의 분배기로부터 지중으로 인출되고, 절연피복(121a)이 박리된 도체심선(121b)의 종단은 주름신축구조(A)로 형성된 인입 배전선로(121)와, 지중으로 인입되어 수용가로 연결되고, 인입 배전선로(121)의 종단과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절연피복(122a)이 박리된 도체심선(122b)의 종단은 주름신축구조(A)로 형성된 인출 배전선로(122)와, 인입 배전선로(121) 및 인출 배전선로(122)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커버(123)로 구성되고, 인입 배전선로(121)의 종단과 인출 배전선로(122)의 종단은 볼트체결되어 상호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배전 커넥터(120)는 인입 배전선로(121)와 인출 배전선로(122)의 주름신축구조(A) 결합에 의해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의 진동 또는 전압인가에 따른 고온에 대해 신축적으로 변형되도록 하여 단선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체심선(121b,122b)의 주름신축구조(A)는 복수의 골과 마루로 구성되어서, 탄성적 진동흡수 효과를 보다 높일 수도 있다.
또한,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 커넥터(120)의 커버(123)는 대향하는 한쌍으로 분리 형성되고 외측면에 형성된 날개(123b)에 각각 볼트체결되어 결합되고, 인입 배전선로(121)가 삽입되는 커버(123)의 상단 넥 및 인출 배전선로(122)가 삽입되는 커버(123)의 하단 넥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요홈(B)이 형성되어서, 요홈(B)의 요철구조에 의해 인입 배전선로(121) 및 인출 배전선로(122)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외부로부터의 우수의 침투를 방지할 수도 있다.
다음, 절연 보호관(130)은 지중에 매설되어 토압을 지지하되,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 커넥터(120)와 이격되어 배전 커넥터(120)를 감싸서 보호한다.
다음, 내진 클립스프링부(140)는 배전 커넥터(120)와 절연 보호관(130) 사이에 방사형으로 탄성적으로 결합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시에 배전 커넥터(120)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진동을 흡수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진 클립스프링부(140)는, 배전 커넥터(120)의 커버(123) 외측면에 만입 형성된 가이드홈(123a)에 안착되는 원호 형상의 전단부(141)와, 전단부(141)로부터 연장되어 절연 보호관(130) 내측면에 이격 형성된 상하 후크(131)에 삽입된 압축 스프링(142)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후단부(143)로 구성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시에 배전 커넥터(120)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진동을 탄성적으로 흡수한다.
즉, 내진 클립스프링부(140)는 전단부(141) 및 후단부(143)의 탄성구조에 의해 수평방향 진동을 흡수하고, 압축 스프링(142)은 수직방향 진동을 흡수하도록 하여서, 배전선로의 단선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진 클립스프링부(140)는 배전 커넥터(120)를 중심축으로 120°간격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어서, 배전 커넥터(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인입 배전선로(121)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상단 내진 클립스프링부(150) 및 인출 배전선로(122)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하단 내진 클립스프링부(160)를 더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배전선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내진 클립스프링부(150)는, 인입 배전선로(121)의 절연피복(121b) 외측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원호 형상의 전단부(151)와, 전단부(151)로부터 연장되어 절연 보호관(130) 내측면에 만입형성된 가이드홈(132)에 상하 슬라이드가능하도록 결합된 가이드(152a)로 상하 양단에 삽입된 압축 스프링(153)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후단부(152)로 구성된다.
또한, 하단 내진 클립스프링부(160)는, 인출 배전선로(122)의 절연피복(122b) 외측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원호 형상의 전단부(161)와, 전단부(161)로부터 연장되어 절연 보호관(130) 내측면에 만입형성된 가이드홈(132)에 상하 슬라이드가능하도록 결합된 가이드(162a)로 상하 양단에 삽입된 압축 스프링(163)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후단부(143)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내진 클립스프링부(150)는 인입 배전선로(121)를 중심축으로 120°간격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하단 내진 클립스프링부(160)는 인출 배전선로(122)를 중심축으로 120°간격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152a,162a)는 절연 보호관(130)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23a)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수직방향으로 진동에 따라 유동하도록 하여서 인입 배전선로(121)와 인출 배전선로(122)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 커넥터(120) 내측면에는 온도센서(171)가 형성되고, 온도센서(171)에 의해 배전 커넥터(120) 내부의 과열, 단선 또는 단전여부를 식별하여 배전반(110)의 제어부(112)를 통해 차단기를 제어하고 경고정보를 관리자 단말기 또는 관제서버로 제공하여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전 커넥터(120) 하단 내측면에는 우수의 유입 및 결로에 따른 침수를 감지하는 침수감지센서(172)가 형성되고, 침수감지센서(172)는 배전반(110)의 제어부(112)를 통해 누전검출기와 연동하여 경고정보를 관리자 단말기 또는 관제서버로 제공하여서,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전반(110)은 인출 배전선로(122)의 매설위치 및 가설경로 정보를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제공하여서, 이를 활용하여 지중 배전선로의 유지보수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의 구성에 의해서,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시에 배전 커넥터 및 배전선로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진동을 탄성적으로 흡수하도록 하여 배전선로의 단선을 방지하도록 하며, 배전선로의 주름신축구조 결합에 의해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의 진동 또는 전압인가에 따른 고온에 대해 신축적으로 변형되도록 하여 단선을 방지하도록 하고, 커버의 요홈의 요철구조에 의해 배전선로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며 외부로부터의 우수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배전반 111 : 통풍구
112 : 제어부 120 : 배전 커넥터
121 : 인입 배전선로 122 : 인출 배전선ㄹ
123 : 커버 130 : 절연 보호관
131 : 후크 132 : 가이드홈
140 : 내진 클립스프링부 141 : 전단부
142 : 압축 스프링 143 : 후단부
150 : 상단 내진 클립스프링부 151 : 전단부
152 : 압축 스프링 153 : 후단부
160 : 하단 내진 클립스프링부 161 : 전단부
162 : 압축 스프링 163 : 후단부
171 : 온도센서 172 : 침수감지센서

Claims (10)

  1. 고압을 저압으로 변환하는 변압기와, 변환된 전력을 분배하는 분배기와, 전력을 차단하는 차단기와, 누전검출기를 내측에 수용되며, 적어도 하나의 측면판에 환기 및 통풍을 위한 통풍구가 형성된, 배전반;
    상기 분배기로부터 지중으로 인출되고, 절연피복이 박리된 도체심선의 종단은 주름신축구조로 형성된 인입 배전선로와, 지중으로 인입되고, 상기 인입 배전선로의 종단과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절연피복이 박리된 도체심선의 종단은 주름신축구조로 형성된 인출 배전선로와, 상기 인입 배전선로 및 상기 인출 배전선로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인입 배전선로의 종단과 상기 인출 배전선로의 종단은 볼트체결되어 상호 고정되는, 배전 커넥터;
    상기 배전 커넥터와 이격되어 상기 배전 커넥터를 감싸는 절연 보호관;
    상기 배전 커넥터와 상기 절연 보호관 사이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배전 커넥터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안착되는 원호 형상의 전단부와, 상기 전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절연 보호관 내측면에 이격 형성된 후크에 삽입된 압축 스프링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후단부로 구성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시에 상기 배전 커넥터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진동을 흡수하도록 하는, 내진 클립스프링부;
    상기 인입 배전선로의 외측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원호 형상의 전단부와, 상기 전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절연 보호관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슬라이드가능하도록 결합된 가이드로 삽입된 압축 스프링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후단부로 구성되는, 상단 내진 클립스프링부; 및
    상기 인출 배전선로의 외측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원호 형상의 전단부와, 상기 전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절연 보호관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슬라이드가능하도록 결합된 가이드로 삽입된 압축 스프링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후단부로 구성되는, 하단 내진 클립스프링부;를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대향하는 한쌍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에 형성된 날개에 각각 볼트체결되어 결합되고,
    상기 인입 배전선로가 삽입되는 상기 커버의 상단 넥 및 상기 인출 배전선로가 삽입되는 상기 커버의 하단 넥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절연 보호관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심선의 주름신축구조는 복수의 골과 마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 커넥터 내측면에는 온도센서가 형성되고,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상기 배전 커넥터 내부의 과열, 단선 또는 단전여부를 식별하여 상기 배전반의 차단기를 제어하고 경고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 커넥터 하단 내측면에는 우수의 유입 및 결로에 따른 침수를 감지하는 침수감지센서가 형성되고, 상기 침수감지센서는 상기 누전검출기와 연동하여 경고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은 상기 인출 배전선로의 매설위치 및 가설경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 클립스프링부는 상기 배전 커넥터를 중심축으로 120°간격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내진 클립스프링부는 상기 인입 배전선로를 중심축으로 120°간격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단 내진 클립스프링부는 상기 인출 배전선로를 중심축으로 120°간격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
KR1020200046411A 2020-04-17 2020-04-17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 KR102153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411A KR102153395B1 (ko) 2020-04-17 2020-04-17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411A KR102153395B1 (ko) 2020-04-17 2020-04-17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395B1 true KR102153395B1 (ko) 2020-09-08

Family

ID=72471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411A KR102153395B1 (ko) 2020-04-17 2020-04-17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3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187B1 (ko) * 2022-10-05 2023-06-08 주식회사 에스씨전력기술 변압기가 구비된 지중 배전전로의 배전함 시스템 구축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411B1 (ko) * 2007-08-14 2008-01-17 박혜숙 지중배전용 케이블보호관 연결장치
KR101155995B1 (ko) 2011-10-21 2012-06-18 주식회사 일산전기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KR101625628B1 (ko) 2015-09-22 2016-05-30 서천전기공사(주) 지중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용 접속구조
KR101869055B1 (ko) * 2018-02-27 2018-06-20 주식회사 정우디엔아이 지중 배전선 커넥터
KR101954841B1 (ko) * 2018-10-04 2019-03-06 (주)하나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 접속전용 커넥터
KR20190054568A (ko) * 2017-11-14 2019-05-22 오영태 무동력 냉각 구조를 구비한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411B1 (ko) * 2007-08-14 2008-01-17 박혜숙 지중배전용 케이블보호관 연결장치
KR101155995B1 (ko) 2011-10-21 2012-06-18 주식회사 일산전기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KR101625628B1 (ko) 2015-09-22 2016-05-30 서천전기공사(주) 지중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용 접속구조
KR20190054568A (ko) * 2017-11-14 2019-05-22 오영태 무동력 냉각 구조를 구비한 수배전반
KR101869055B1 (ko) * 2018-02-27 2018-06-20 주식회사 정우디엔아이 지중 배전선 커넥터
KR101954841B1 (ko) * 2018-10-04 2019-03-06 (주)하나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 접속전용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187B1 (ko) * 2022-10-05 2023-06-08 주식회사 에스씨전력기술 변압기가 구비된 지중 배전전로의 배전함 시스템 구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567B1 (ko) 송전 철탑의 낙뢰 방지 구조
KR101625628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용 접속구조
KR102153395B1 (ko)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
KR20090019946A (ko) 송전선 구조물의 낙뢰 처리장치
KR101329800B1 (ko)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을 위한 절연형 분전함
KR100673388B1 (ko) 지중 매설용 고압선지지대
KR101440799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CN209980817U (zh) 阻水电缆
KR102104387B1 (ko) 전선이탈 방지장치, 분전반용 안전시스템, 분전반 및 분전반 전원 연결 방법
KR100775849B1 (ko) 전주용 접지판
KR101943369B1 (ko) 지중배전선로 전선 연결대의 안전장치
KR102259502B1 (ko) 누설전류 측정 장치
US7855337B2 (en) Electrical systems, facilities, and methods with power pedestals having EUFER grounding
KR100786318B1 (ko) 지중케이블 연결을 위한 매설형 배관구조
CN201577158U (zh) 一种具有增强防雷能力的铁路综合视频监控系统
KR101132390B1 (ko)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
KR101171059B1 (ko) 배전선 접지장치
CN113131419A (zh) 一种用于地下电缆敷设的安全防护装置
KR100708295B1 (ko) 전주용 배전선 접지판
JP2002315169A (ja) 電気施設の防雷方法
CN210957741U (zh) 一种电缆敷设布置结构
KR20210007116A (ko) 동축 케이블 어셈블리
KR100786310B1 (ko) 지중전선의 분배전용 함체의 감전방지장치
KR101485031B1 (ko) 지중 배전선로 전선 연결대의 안전장치
CN214849546U (zh) 一种安全性高的防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