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390B1 -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 - Google Patents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390B1
KR101132390B1 KR1020110129003A KR20110129003A KR101132390B1 KR 101132390 B1 KR101132390 B1 KR 101132390B1 KR 1020110129003 A KR1020110129003 A KR 1020110129003A KR 20110129003 A KR20110129003 A KR 20110129003A KR 101132390 B1 KR101132390 B1 KR 101132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ignal
main body
detection sensor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철
Original Assignee
(주)대림엠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림엠이씨 filed Critical (주)대림엠이씨
Priority to KR1020110129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상면과 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2안내홈(11a,11b)과, 외부 상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1안내홈(11a)과 상호 연통되는 안내공(11c)과, 양단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돌기(11d)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본체부(11)와; 제2안내홈(11b)에 삽입되어 제2가이드부(21-3)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12)과; 양단부에 돌기(11d)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13a)을 갖추고서, 본체부(11)의 양단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12)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13)와; 본체부(11)의 저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봉(14a)을 갖추고서, 맨홀(1)의 바닥면에 설치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4)와; 가이드봉(14a)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물에 뜨는 부양체(15)를 갖춘 외체(10): 상면 중앙에 형성되며 제1안내홈(11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이드부(21-1)와, 하면 중앙에 형성되며 제2안내홈(11b)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이드부(21-2)와,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체결부(21-3)를 갖추고서, 배전선(L1,L2)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절연재질의 바디부(21)와; 바디부(21)에 내설되어 배전선(L1,L2)의 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체재질의 금속관(22)과; 안내공(11c)을 관통해 제1가이드부(2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안내공(11c)을 따라 이동하는 기준막대(23)와; 배전선(L1,L2)의 외면을 감싸면서 배전선(L1,L2)을 압착고정하는 고정구(24-1)와, 고정구(24-1)의 둘레를 감싸면서 고정구(24-1)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체결부(21-3)에 체결되어 고정구(24-1)를 체결부(21-3)에 고정하는 결합구(24-2)로 이루어진 결속금구(24)를 갖춘 연결유닛(20): 본체부(11)의 상면에 설치되되, 기준막대(23)를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기준막대(23)에 의해 동작되어 제1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감지센서(30): 본체부(11)의 상면 양단부에 설치되며 제1감지센서(30)를 통과한 기준막대(23)에 의해 동작되어 제2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감지센서(40): 본체부(11)의 저면에 설치되며 부양체(15)에 의해 동작되어 수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감지센서(50): 제1감지센서(30)로부터 제1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보신호를 출력하고, 제2감지센서(40)로부터 제2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위험신호를 출력하며, 수위감지센서(50)로부터 수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침수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60): 제어부(60)로부터 경보신호 또는 위험신호 또는 침수경고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기(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플레이트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양체와 외체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센서를 통해 침수에 따른 전기합선으로부터 배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Underground Electroic Line Of Insulating Pipe}
본 발명은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통상 전신주에 전력선을 설치하거나 또는 지중에 매설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상 및 공중에 가설하는 방식은 시공성이나 소요되는 공사비 및 공사기간 등을 고려해보았을 때 지중에 매설하는 방식에 비해 훨씬 경제적으로 유리하면서도 공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도심지와 같이 건물이 매우 밀집해 있는 곳에서는 그 설치가 상당히 곤란할 뿐만 아니라, 설치한 이후에는 주변 경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으며, 고압의 전류를 요구하는 곳에서는 철탑과 같은 것을 도심지에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지중에 매설하는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한편, 지중에 매설하는 방식의 경우 대부분의 배전선은 단순히 전선을 맨홀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호 연결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전선으로 외력, 예컨대, 연장을 위해 배전선을 좌우에서 잡아당기거나 또는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해 배전선이 좌우로 심하게 흔들리는 것과 같이 배전선 상호 간에 강한 인장력이 발생하게 되면 배전선의 연결부위가 쉽게 단락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장마철과 같이 비가 많이 내릴 경우 맨홀이 커버에 의해 덮여 있다 하더라도 우수가 맨홀의 내부로 쉽게 유입되는데, 이로 인해 맨홀은 우수에 의해 서서히 잠기게 되며, 상호 연결된 배전선이 우수와 접촉할 경우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배전선이 외력에 의해 이동하였을 때에 이를 감지하여 중앙통제실에 상주하는 작업자에게 알려줄 만한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작업자는 일정주기로 맨홀 내에 설치된 배전선의 상태를 유관으로 확인해야하므로 관리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맨홀의 침수로부터 배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배전선의 이동시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어 관리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으며, 배전선의 결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배전선이 이동하더라도 항상 원위치로 오도록 유도할 수 있는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 상면과 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2안내홈과, 외부 상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1안내홈과 상호 연통되는 안내공과, 양단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돌기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본체부와; 제2안내홈에 삽입되어 제2가이드부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과; 양단부에 돌기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을 갖추고서, 본체부의 양단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와; 본체부의 저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봉을 갖추고서, 맨홀의 바닥면에 설치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가이드봉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물에 뜨는 부양체를 갖춘 외체:
상면 중앙에 형성되며 제1안내홈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이드부와, 하면 중앙에 형성되며 제2안내홈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이드부와,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체결부를 갖추고서, 배전선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절연재질의 바디부와; 바디부에 내설되어 배전선의 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체재질의 금속관과; 안내공을 관통해 제1가이드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안내공을 따라 이동하는 기준막대와; 배전선의 외면을 감싸면서 배전선을 압착고정하는 고정구와, 고정구의 둘레를 감싸면서 고정구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체결부에 체결되어 고정구를 체결부에 고정하는 결합구로 이루어진 결속금구를 갖춘 연결유닛:
본체부의 상면에 설치되되, 기준막대를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기준막대에 의해 동작되어 제1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감지센서:
본체부의 상면 양단부에 설치되며 제1감지센서를 통과한 기준막대에 의해 동작되어 제2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감지센서:
본체부의 저면에 설치되며 부양체에 의해 동작되어 수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감지센서:
제1감지센서로부터 제1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보신호를 출력하고, 제2감지센서로부터 제2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위험신호를 출력하며,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수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침수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제어부로부터 경보신호 또는 위험신호 또는 침수경고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감지센서와 제2감지센서, 제어부 및 송신기를 통해 배전선에 의해 이동하는 기준막대의 단계별 동작을 감지하여 이를 중앙통제실에 상주하는 작업자에게 알려주기 때문에 작업자가 배전선의 현재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신속하게 대응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체부에 내설되며 압축과 복원을 반복하는 스프링을 통해 바디부가 항상 원상태로 회복되도록 해 줌으로서 관리자가 위치 이동된 기준막대를 강제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시설물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매우 편리해 지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베이스플레이트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양체와 외체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센서를 통해 침수에 따른 전기합선으로부터 배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는, 외체(10), 연결유닛(20), 제1감지센서(30), 제2감지센서(40), 수위감지센서(50), 제어부(60), 송신기(70)로 구성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배전선(L1,L2)을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외체(10)는 절연기능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함체로서, 본체부(11)와 스프링(12), 커버(13), 베이스플레이트(14) 및 부양체(15)로 구성되어 내부로 삽입된 연결유닛(20) 및 연결유닛(20)을 매개로 연결된 배전선(L1,L2)을 외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외체(10)는 베이스플레이트(14)를 매개로 맨홀(1)의 바닥면에 설치고정된다.
상기 본체부(11)는 직사각형태를 이루는 관 형상으로, 내부 상면과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된 제1?2안내홈(11a,11b)이 각각 형성되고, 외부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1안내홈(11a)과 상호 연통되는 안내공(11c)이 형성되며, 양단부 내측면에는 상호 대향되게 돌출되는 돌기(11d)가 일체로 형성되며, 양단부 외면에는 외향으로 돌출된 플랜지(11e)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11e)는 맨홀(1)의 내부로 설치된 이음관(3,4)의 플랜지(미도시)에 서로 맞대어져 체결부재(볼트,너트)를 매개로 상호 이음된다.
상기 스프링(12)은 공지의 코일스프링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2안내홈(11b)에 삽입되어 제2가이드부(21-2)를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이후에 설명될 바디부(21)의 제2가이드부(21-2)가 배전선(L1,L2)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가이드부(21-2)를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고 있던 스프링(12)은 압축하게 되고, 배전선(L1,L2)에 가해지고 있던 외력이 제거되면 스프링(12)의 복원력에 의해 제2가이드부(21-2)는 원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상기 커버(13)는 삽입홈(13a)이 양단부에 구비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삽입홈(13a)을 매개로 본체부(11)의 돌기(11d)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본체부(11)의 양단부에 개폐가능하는 기능과 더불어 스프링(12)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참고로, 상기 커버(13)는 폐쇄된 상태에서 체결부재(나사볼트)를 매개로 본체부(11)에 고정된다. 따라서, 커버(13)를 개방상태로 만들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체부(11)에 체결된 체결부재(나사볼트)를 해체한 상태에서 개방해야하므로, 관리자 이외에 제3자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4)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으로서, 상면에는 본체부(11)의 저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가이드봉(14a)이 일체로 형성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맨홀(1)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어 본체부(11)가 맨홀(1)의 바닥면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부양체(15)는 물에 쉽게 뜨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베이스플레이트(14)의 가이드봉(14a)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맨홀(1)의 내부로 우수가 유입될 경우 우수에 의해 부양체(15)는 뜨게 되며, 이로 인해 본체부(11)의 저면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50)는 부양하는 부양체(15)에 의해 동작되어 수위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연결유닛(20)은 바디부(21)와 금속관(22), 기준막대(23) 및 결속금구(24)로 구성되어 배전선(L1,L2)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바디부(21)와 기준막대(23) 및 결속금구(24)는 합성수지 재질이다.
상기 바디부(21)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직육체형상의 바로서, 상면과 저면 중앙에는 각각 제1안내홈(11a)과 제2안내홈(11b)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이드부(21-1)와 제2가이드부(2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양단에는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체결부(21-3)가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바디부(21)의 내부는 배전선(L1,L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양단으로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부(21-1)의 상면 중앙에는 구멍이 형성되며, 이 구멍에는 이후에 설명될 기준막대(23)의 일단부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금속관(22)은 공지의 구리관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바디부(21)에 내설되어 배전선(L1,L2)의 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기준막대(23)는 공지의 환봉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안내공(11c)을 관통해 제1가이드부(2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안내공(11c)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막대(23)의 위치에 따라 배전선(L1,L2)에 인장력이 어느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어 후속조치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기준막대(23)의 말단부에 야광부재를 부착하여 야간에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결속금구(24)는 배전선(L1,L2)의 외면을 감싸면서 배전선(L1,L2)을 압착고정하는 고정구(24-1)와; 고정구(24-1)의 둘레를 감싸면서 고정구(24-1)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체결부(21-3)에 체결되어 고정구(24-1)를 체결부(21-3)에 고정하는 결합구(24-2)로 이루어지며, 이를 도 3의 확대도와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제1감지센서(30)와 제2감지센서(40), 수위감지센서(50), 제어부(60) 및 송신기(70)의 상호연관관계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감지센서(30)는 공지의 리밋스위치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본체부(11)의 상면에 설치되되, 기준막대(23)를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기준막대(23)에 의해 동작되어 제1감지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2감지센서(40)는 제1감지센서(30)와 동일한 공지의 리밋스위치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본체부(11)의 상면 양단부에 설치되며 제1감지센서(30)를 통과한 기준막대(23)에 의해 동작되어 제2감지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수위감지센서(50)는 공지의 스위치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본체부(11)의 저면에 설치되며 우수에 의해 부양된 부양체(15)에 의해 동작되어 수위감지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어부(60)는 제1감지센서(30)로부터 제1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보신호를 송신기(70)로 출력하고, 제2감지센서(40)로부터 제2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위험신호를 송신기(70)로 출력하며, 수위감지센서(50)로부터 수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침수경고신호를 송신기(70)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송신기(70)는 지상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제어부(60)로부터 전달된 경보신호 또는 위험신호 또는 침수경고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바디부(21)의 내부에서 금속관(22)을 매개로 상호 이음된 배전선(L1,L2)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바디부(21)는 이로 인해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바디부(21)의 제1가이드부(2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기준막대(23) 역시 안내공(11c)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기준막대(23)가 제1감지센서(30)를 지나게 되면 이로 인해 제1감지센서(30)가 동작되면서 제1감지신호를 제어부(60)로 전달하게 되고, 제1감지센서(30)로부터 제1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60)는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송신기(50)로 전달하며, 제어부(60)로부터 경보신호를 전달받은 송신기(50)는 경보신호를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로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준막대(23)가 제1감지센서(30)를 지나 제2감지센서(40)를 지나게 되면 제2감지센서(40)는 제2감지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하게 되고, 제2감지센서(40)로부터 제2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60)는 위험신호를 출력하여 송신기(50)로 전달하며, 제어부(60)로부터 위험신호를 전달받은 송신기(50)는 위험신호를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로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통제실에 상주하고 있는 관리자는 접수받은 경보신호 또는 위험신호를 통해 배전선(L1,L2)의 현재상태를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다.
한편, 장마철과 같이 비가 많이 내릴 경우 맨홀(1)이 커버(2)에 의해 덮여 있다 하더라도 우수가 맨홀(1)의 내부로 쉽게 유입되는데, 이로 인해 맨홀(1)은 우수에 의해 서서히 잠기게 된다. 이와 같이 우수가 상승하게 되면 우수에 의해 부양체(15)가 뜨게 되고, 부양체(15)가 상승하면서 수위감지센서(50)를 누르게 되면 이로 인해 수위감지센서(50)는 동작되어 수위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수위감지센서(50)로부터 수위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60)는 침수경고신호를 출력하여 송신기(50)로 전달하며, 제어부(60)로부터 침수경고신호를 전달받은 송신기(50)는 위험신호를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로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통제실에 상주하고 있는 관리자는 접수받은 침수경고신호를 통해 맨홀(1)의 내부가 침수의 위험에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 이에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으므로, 침수에 따른 전기합선으로부터 배전선(L1,L2)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베이스플레이트(14)를 매개로 외체(10)를 맨홀(1)의 바닥면에 설치해 준다.
상기와 같이 외체(10)를 설치해 준 상태에서 배전선(L1)을 외체(10)의 일단으로 삽입하여 타단을 통해 배출시켜 준다.
그리고, 배전선(L1,L2)의 일단부에 각각 결속금구(24)을 설치한 다음, 배전선(L1,L2)을 바디부(21)의 체결부(21-3)를 통해 내부로 삽입시켜 금속관(22)을 매개로 배전선(L1,L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금속관(22)을 매개로 배전선(L1,L2)이 연결되면, 배전선(L1,L2)에 설치된 결속금구(24)의 결합구(24-2)를 체결부(21-3)와 상호 체결시켜 배전선(L1,L2)이 고정되도록 해 준다.
상기 연결유닛(20)의 설치과정이 완료되면, 연결유닛(20)을 구성하는 바디부(21)의 제1가이드(21-1)과 제2가이드부(21-2)를 외체(10)을 구성하는 본체부(11)의 제1안내홈(11a)과 제2안내홈(11b)에 이동가능하게 설치해 주고, 제2안내홈(11b)에는 스프링(12)을 각각 설치해 준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이후에는 커버(13)의 삽입홈(13a)을 매개로 본체부(11)의 돌기(11d)에 삽입한 다음, 회동시켜 본체부(11)의 개구부를 폐쇄하고, 본체부(11)에 체결부재(나사볼트)를 체결하여 커버(13)를 고정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는 맨홀(1)의 양측을 통해 이음관(3,4)을 각각 삽입해 주고, 이음관(3,4)의 플랜지(미도시)를 외체(10)의 플랜지(11e)에 서로 맞대 준 후에 체결부재(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상호 이음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평상시에는 배전선(L1,L2)을 상호 연결하고 있는 연결유닛(20)은 외체(10)의 내부에 중앙에 위치해 있게 된다.
하지만, 배전선(L1,L2)로 외력(좌 또는 우)이 작용하는 경우 이로 인해 연결유닛(20)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바디부(21)에 설치된 기준막대(23) 역시 함께 이동하게 되며, 스프링(12)은 압축하게 된다.
이때, 기준막대(23)가 본체부(11)의 안내공(11c)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 제1감지센서(30)을 지나갈 경우 제1감지센서(30)는 기준막대(23)에 의해 동작되면서 제1감지신호를 제어부(60)로 전달하게 되고, 제1감지센서(30)로부터 제1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60)는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송신기(50)로 전달하며, 제어부(60)로부터 경보신호를 전달받은 송신기(50)는 경보신호를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로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준막대(23)가 제1감지센서(30)를 지나 제2감지센서(40)를 지나게 되면 제2감지센서(40)는 제2감지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하게 되고, 제2감지센서(40)로부터 제2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60)는 위험신호를 출력하여 송신기(50)로 전달하며, 제어부(60)로부터 위험신호를 전달받은 송신기(50)는 위험신호를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로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통제실에 상주하고 있는 관리자는 접수받은 경보신호 또는 위험신호를 통해 배전선(L1,L2)의 현재상태를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필요한 조치를 단계별로 취할 수 있어 시설물관리가 매우 용이해지는 이점이 생긴다.
한편, 상기 바디부(21)의 제2가이드부(21-2)에 의해 압축하게 되어 있던 스프링(12)은 배전선(L1,L2)에 가해지고 있던 외력이 제거되면 스프링(12)의 복원력에 의해 제2가이드부(21-2)는 원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가 위치 이동된 기준막대(23)를 강제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시설물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매우 편리해 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마철과 같이 비가 많이 내릴 경우 맨홀(1)이 커버(2)에 의해 덮여 있다 하더라도 우수가 맨홀(1)의 내부로 쉽게 유입되는데, 이로 인해 맨홀(1)은 우수에 의해 서서히 잠기게 된다. 이와 같이 우수가 상승하게 되면 우수에 의해 부양체(15)가 베이스플레이트(14)의 가이드봉(14a)을 따라 승강하게 되고, 부양체(15)가 상승하면서 수위감지센서(50)를 누르게 되면 이로 인해 수위감지센서(50)는 동작되어 수위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수위감지센서(50)로부터 수위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60)는 침수경고신호를 출력하여 송신기(50)로 전달하며, 제어부(60)로부터 침수경고신호를 전달받은 송신기(50)는 위험신호를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로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통제실에 상주하고 있는 관리자는 접수받은 침수경고신호를 통해 맨홀(1)의 내부가 침수의 위험에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 이에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침수에 따른 전기합선으로부터 배전선(L1,L2)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맨홀 2: 커버 3.4: 이음관
10: 외체 11: 본체부 11a: 제1안내홈
11b: 제2안내홈 11c: 안내공 11d: 돌기
11e: 플랜지 12: 스프링 13: 커버
14: 베이스플레이트 15: 부양체 20: 연결유닛
21: 바디부 21-1: 제1가이드부 21-2: 제2가이드부
21-3: 체결부 22: 금속관 23: 기준막대
24: 결속금구 30: 제1감지센서 40: 제2감지센서
50: 수위감지센서 60: 제어부 70: 송신기

Claims (1)

  1. 내부 상면과 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2안내홈(11a,11b)과, 외부 상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1안내홈(11a)과 상호 연통되는 안내공(11c)과, 양단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돌기(11d)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본체부(11)와; 제2안내홈(11b)에 삽입되어 제2가이드부(21-3)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12)과; 양단부에 돌기(11d)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13a)을 갖추고서, 본체부(11)의 양단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12)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13)와; 본체부(11)의 저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봉(14a)을 갖추고서, 맨홀(1)의 바닥면에 설치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4)와; 가이드봉(14a)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물에 뜨는 부양체(15)를 갖춘 외체(10):
    상면 중앙에 형성되며 제1안내홈(11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이드부(21-1)와, 하면 중앙에 형성되며 제2안내홈(11b)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이드부(21-2)와,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체결부(21-3)를 갖추고서, 배전선(L1,L2)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절연재질의 바디부(21)와; 바디부(21)에 내설되어 배전선(L1,L2)의 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체재질의 금속관(22)과; 안내공(11c)을 관통해 제1가이드부(2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안내공(11c)을 따라 이동하는 기준막대(23)와; 배전선(L1,L2)의 외면을 감싸면서 배전선(L1,L2)을 압착고정하는 고정구(24-1)와, 고정구(24-1)의 둘레를 감싸면서 고정구(24-1)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체결부(21-3)에 체결되어 고정구(24-1)를 체결부(21-3)에 고정하는 결합구(24-2)로 이루어진 결속금구(24)를 갖춘 연결유닛(20):
    본체부(11)의 상면에 설치되되, 기준막대(23)를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기준막대(23)에 의해 동작되어 제1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감지센서(30):
    본체부(11)의 상면 양단부에 설치되며 제1감지센서(30)를 통과한 기준막대(23)에 의해 동작되어 제2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감지센서(40):
    본체부(11)의 저면에 설치되며 부양체(15)에 의해 동작되어 수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감지센서(50):
    제1감지센서(30)로부터 제1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보신호를 출력하고, 제2감지센서(40)로부터 제2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위험신호를 출력하며, 수위감지센서(50)로부터 수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침수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60):
    제어부(60)로부터 경보신호 또는 위험신호 또는 침수경고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기(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
KR1020110129003A 2011-12-05 2011-12-05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 KR101132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003A KR101132390B1 (ko) 2011-12-05 2011-12-05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003A KR101132390B1 (ko) 2011-12-05 2011-12-05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2390B1 true KR101132390B1 (ko) 2012-04-03

Family

ID=4614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003A KR101132390B1 (ko) 2011-12-05 2011-12-05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3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182B1 (ko) 2014-03-31 2014-08-29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송전,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
KR102145874B1 (ko) * 2020-02-25 2020-08-19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물용 통신과 전기케이블 방수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143B1 (ko) 2009-02-24 2009-05-19 (주)협동전기감리단 지중배전선로의 전선연결대
KR100909263B1 (ko) 2009-04-08 2009-08-10 (주)백향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의 인입출 배전안내형 접속함
KR101083424B1 (ko) 2011-09-30 2011-11-14 주식회사 전우이피씨 배전선 안착용 전선라인 절연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143B1 (ko) 2009-02-24 2009-05-19 (주)협동전기감리단 지중배전선로의 전선연결대
KR100909263B1 (ko) 2009-04-08 2009-08-10 (주)백향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의 인입출 배전안내형 접속함
KR101083424B1 (ko) 2011-09-30 2011-11-14 주식회사 전우이피씨 배전선 안착용 전선라인 절연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182B1 (ko) 2014-03-31 2014-08-29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송전,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
KR102145874B1 (ko) * 2020-02-25 2020-08-19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물용 통신과 전기케이블 방수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351B1 (ko) 배전형 지중선로의 보호를 위한 전선관
KR10111618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US6872883B2 (en) Mast lighting system
US8047805B2 (en) Solid state sump pump control
US6303857B1 (en) Mast lighting system
KR102131877B1 (ko)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US20140167763A1 (en) Tracer wire connector devices and methods for use
AU2018282392B2 (en) A method for tripping a residual current device, a secondary protection device for tripping a residual current device, an electrical protection unit and a mounting bracket
Parise et al. Electrical safety of street light systems
KR101132390B1 (ko)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
US20160172827A1 (en) System for operating and monitoring power cables
KR10108290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관
KR20090020665A (ko) 가로등 누전 경보장치
KR101688816B1 (ko)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
KR102056171B1 (ko)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
KR101180275B1 (ko) 지중배전용 관로 연결구
KR101275193B1 (ko) 지중용 또는 지상형 개폐기 및 변압기의 야생동물 및 습기침투 방지용 차폐막
KR100887987B1 (ko)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
KR101266228B1 (ko) 접지구조를 갖는 옥내용 아웃렛박스
CN203786866U (zh) 一种智能标志桩、检测电路、保护报警装置及其预警系统
KR101132388B1 (ko) 지중배전 케이블의 절연형 접속커넥터
KR101487901B1 (ko) 지중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검출 기술이 적용된 장치
KR102153395B1 (ko)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
KR20110017143A (ko)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 기초의 설치공법
KR100446344B1 (ko) 전주의 접지시공방법과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