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816B1 -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816B1
KR101688816B1 KR1020160113638A KR20160113638A KR101688816B1 KR 101688816 B1 KR101688816 B1 KR 101688816B1 KR 1020160113638 A KR1020160113638 A KR 1020160113638A KR 20160113638 A KR20160113638 A KR 20160113638A KR 101688816 B1 KR101688816 B1 KR 101688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conduit
nail
sensing unit
wall
ste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113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4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in the conduits or du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 H02G2200/20Identification of installed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내 배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벽체에 못/해머드릴 등으로 구멍을 뚫거나 못을 박을 때, 전선이 이입된 전선관(PVC파이프/금속강관)의 상부로 매설된 관통감지부에 의해 하부에 배전 전선관이 있음을 청각 및 시각적으로 알려줌과 동시에 앵글형차단철판에 못 등이 접촉되면 배전 전선관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게 시공함으로써, 배전 전선관이 손상될 상황을 작업자가 쉽게 알아차릴 수 있게 하여 배전 전선관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indoor distribution conduit protection system}
본 발명은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벽체에 못/해머드릴 등으로 구멍을 뚫거나 못을 박을 때, 전선이 이입된 전선관(PVC파이프/금속강관)의 상부로 매설된 관통감지부에 의해 하부에 배전 전선관이 있음을 청각 및 시각적으로 알려줌과 동시에 앵글형차단철판에 못 등이 접촉되면 배전 전선관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게 시공함으로써, 배전 전선관이 손상될 상황을 작업자가 쉽게 알아차릴 수 있게 하여 배전 전선관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전기공사에 있어서, 전기의 경우 전기박스(콘센트박스/스위치박스/아웃렛) 끼리 상호 연결되면서 벽체 등에 매입되고, 미장 등에 의해 마감된 후, 벽지나 타일 등의 최종마감재로 마감되어 있기 때문에 매입된 관로 위치를 쉽게 알지 못하게 된다.
배전 전선관 매입 시 일반적으로 수평 또는 수직으로 매입하지만, 상황이 여의치 못하여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을 수 있다.
특히, 철근 콘크리트벽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파이프의 유동으로 인해 위치가 쉽게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매입된 배전 전선관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욕실의 세면대 설치 시 벽체 내부에 매입된 온수 냉수 배관을 파손하게 되거나, 벽체에 벽걸이 시계 등 생활용품을 설치하기 위해 못을 박거나, 천정에 전등을 설치하기 위해, 해머드릴 등으로 천공을 하다가 배전 전선관 내에 인입된 전선의 절단 또는 피복의 벗겨짐으로 인한 누전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벽체에 못이 박힐 때 벽체에 박히는 못이 배전 전선관을 파손시키면서 전선에 손상을 입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벽체에 못이 박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못(5)은 벽체(1)의 표면에 부착된 마감벽지(2)를 통과하여 벽체(1)의 콘크리트에 박히게 되는데, 벽체(1)에 박히는 못(5)이 전기배관(3)을 파손시키면서 전선에 손상을 입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배관탐지기를 동원하여 배관을 찾기도 하였으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금속이 아닌 배관재로 시공된 경우 쉽게 찾지 못하였으며, 특히 워낙 고가의 장비여서 가정에서 구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렇게 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배관보호구가 출원되었으나, 이러한 배관보호구는 못을 박았을 때 측면으로 슬립되도록 유도하고 있으나, 해머드릴과 같은 경우는 배관보호구를 통과하여 진행하게 되므로 사실상 보호가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벽체에 못이나 해머드릴 등으로 박을 때, 전선배관이 있는 곳일 경우 못이나 해머드릴이 벽체로 들어오면 쉽게 알 수 있는 경고를 하여 전선배관을 완전히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보호수단이 등록특허공보 제10-0988248호(2010년 10월 18일 공고, 발명의 명칭 : 공동주택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구성은 탄력적으로 하향이동하도록 설치된 보호판체에 못이 닿으면 주판체와 보조판체로 이루어진 보호판체가 아래로 밀리면서 단부가 스위치에 닿게 되고, 스위치는 경보장치를 작동시켜 못을 박는 사람에게 배관이 있음을 경보하여 더 이상 작업 진행을 하지 않도록 알려주는 구성으로, 그 구성이 복잡함은 주관체에 연결된 보조판체가 원활하게 슬라이드 되지 못하여 접점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배관 보호장치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많은 부품이 들어가게 되므로 제작과정도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849172호에서는 못에 의해 보호장치의 커버를 뚫고 보호철판에 닿게 되면 보호철판이 밀려 스위치를 눌러 경고를 하게 하고, 보호철판이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하므로 못이나 해머드릴이 가하는 충격을 흡수하게 하여 전기배관을 보호하고자 하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 역시 못이 보호철판의 중앙부에만 접촉될 때만 보호철판이 수평으로 눌려지면서 양측에 형성된 누름스위치판이 양측의 스위치와 접촉이 되어서 경고음을 발생하게 되지만, 보호철판의 일측으로 못이 접촉하게 되면 양측에 형성된 누름스위치판의 일측면 스위치와 접점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접점불량으로 경고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전기배관 보호장치의 시공방법은 전선관을 전기배관과 전기배관 보호장치를 결속밴드로 연결하여 시공하게 되므로, 이미 전선배관이 시공된 상태에서는 결속밴드를 연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국내에 개시된 등록특허 제10-0943190호의 구성은 타격에 의해 상부보호판을 타격하면 상부보호판이 벌어져 타공체가 이탈하면서 공명박스를 타격하여 소리를 발생시키고, 동시에 연기발생장치로 신호를 보내 굴삭기 작업자가 쉽게 알아차릴 수 있게 한 지중 배전의 배전선 보호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구성은 굴삭기의 작업에 의해 공명소리를 빨리 들지 못함은 물론 지중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습기로 인해 연기발생장치가 가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던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지중 배전의 배전선 보호장치를 제작하는데에도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KR) 등록특허 제10-0988248호 (KR) 등록특허 제10-0849172호 (KR) 등록특허 제10-094319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벽체에 못/해머드릴이 박히게 될 때, 벽체 내부의 배전 전선관 상부에 배치된 관통감지부에 못/해머드릴이 관통되면서 관통감지부의 상부전도체와 하부전도체가 도전성이 있는 못/해머드릴에 의해 통전되어 알람부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하고, 관통감지부 내의 칼라 액상이 분출되게 하여 배전 전선관의 위치를 작업자에게 청각 및 시각적으로 알려주기 때문에, 배전 전선관이 절단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전 전선관의 파손으로 인해 단전 또는 누전 사고를 당하거나 주거하는 중에 벽체를 뜯어내는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시공을 간단하게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못/해머드릴 등이 관통감지부를 통과하더라도 앵글형차단철판에 접촉이 되면서 배전 전선관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게 하여 배전 전선관을 보호할 수 있도록 2중으로 보호장치를 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은, 앵글형차단철판 및 관통감지부를 제작하는 제작단계;와
건축물의 벽체에 배전 전선관을 시공하는 단계;와
상기 배전 전선관의 전방에 간격을 두고 상기 제작된 앵글형차단철판을 매설하는 매설단계;와
상기 앵글형차단철판의 전방에 간격을 두고 관통감지부를 매설하는 매설단계;와
상기 벽체를 몰탈로 미장 마감하여 벽지나 타일로 최종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관통감지부와 연결되어 관통감지부에 못 또는 헤머드릴이 관통될 경우 경보음을 울리는 알람부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감지부는 상부전도체와 하부전도체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상부전도체와 하부전도체 간에는 절연체가 개재되고, 상기 절연체에는 색소가 용해된 액상이 함침되며, 상기 관통감지부의 외표면은 상기 절연체에 함침된 액상이 외부로 누수 또는 증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 소재로 포장 또는 밀봉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앵글형차단철판는 절곡각은 예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전도체와 하부전도체는 알루미늄 박지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체에 함침되는 액상은 변압기에 사용된 후 폐기되어 재활용된 폐절연유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못이나 해머드릴이 관통감지부를 관통하게 되면 관통감지부의 상부전도체와 하부전도체 간에 관통된 못/해머드릴에 의해 통전되어 알람부에 경보가 작동되므로 못/해머드릴의 하부에 배전 전선관이 있음을 청각적으로 알려준다.
또한, 관통감지부 내에 함유된 색소가 용해된 액상이 분출되어 못/해머드릴의 하부에 배전 전선관이 있음을 시각적으로 알려준다.
또한, 앵글형차단철판은 못/해머드릴이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게 함으로써 못이 배전 전선관에 도달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못이나 해머드릴이 배전 전선관을 파손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전선로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벽체에 못이 박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장치를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통감지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관통감지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에 대한 주된 요지는 콘크리트 벽체(10) 등에 매설되는 배전 전선관(20) 전방으로 미리 제작된 앵글형차단철판(30)과 관통감지부(40)를 매설되게 시공하고, 시공 후 생활용품의 설치를 위해 못/해머드릴(60) 등으로 벽체(10)에 구멍을 뚫을 때, 상기 배전 전선관(20)의 전방에 설치된 관통감지부(40)에서 배전 전선관(20)의 위치를 작업자에게 경보음 및 액상(44)을 통해 청각 및 시각적으로 알려줌과 동시에 앵글형차단철판(30)에 의해 못/해머드릴 등이 배전 전선관(20)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게 하여 배전 전선관(20)의 파손에 의한 배전선로의 전기적 장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시공되는 본 발명의 주된 요지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앵글형차단철판의 제작단계
앵글형차단철판(30)은 못/해머드릴(60) 등의 타격에 의한 수직강도에 견딜 수 있는 금속의 띠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띠 형태를 내부로 절곡하여 "ㄱ"형상의 앵글로 이루어지게 구성한다.
이때 내부로 절곡된 각도는 전방으로 60~120°로 절곡하되, 절곡의 각도는 예각으로 형성하고, 배전 전선관(20)이 앵글형차단철판(30)의 예각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업자에 의해 침투되는 못/해머드릴(60) 등이 앵글형차단철판(30)에 접촉할 때,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하부에 설치되는 배전 전선관(20)을 비켜나가게 할 수 있도록 앵글형차단철판(30)을 미리 제작한다.
2) 관통감지부의 제작단계
관통감지부(40)는 못/해머드릴(60)이 침투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띠 형상의 직사각형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전도체(41) 및 하부전도체(42)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제작한다. 이때 상기 상부전도체(41) 및 하부전도체(42)는 얇은 박지의 전도체이며, 바람직하기로는 알루미늄 박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띠 형상의 관통감지부(40)에 폭은 하부에 설치되는 배전 전선관(20)의 직경보다 넓은 것이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전도체(41) 또는 하부전도체(42) 각각에는 알람부(50)를 작동하는 스위치 단자에 연결되게 제작한다.
상기 알람부(50)는 상기 관통감지부(40)에 못이 침투되는 것이 감지되면 알람부(50)에 의해 경보를 울리는 것으로, 관통감지부(40)에 못이 침투되면 침투된 못/해머드릴(60)에 의해 상부전도체(41)와 하부전도체(42)가 도통되고, 따라서 알람부(50)의 엠프회로 의 ON/OFF 스위치 단자에 연결된 상부전도체(41)와 하부전도체(42) 간의 도통에 의해 엠프회로가 작동되어 알람부(50)에 의해 경보음이 울리도록 제작한다(이러한 엠프회로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구체적 회로는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전도체(41)와 하부전도체(42) 사이에는 절연체(43)를 개재하고, 외표면을 포장 또는 밀봉코팅(45) 되게 제작한다.
이때 상기 절연체(43)는 상부전도체(41)와 하부전도체(42)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절연체(43)에는 적색, 청색, 황색 등의 색소가 용해된 액상(44)이 함침 될 수 있으며, 액상(44)을 함침하는 절연체(43)는 스폰지, 면, 마 등의 액상(44)을 흡수할 수 있는 물체이면 되며, 바람직하기로는 폐자원 활용을 위해 폐의류를 재활용한 천연섬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상(44)은 전기적으로 부도체인 절연유이며, 바람직하기로는 폐자원을 재활용하기 위해 변압기 등에 사용된 후 폐기된 폐절연유 또는 폐식용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상(44)을 부도체로 하는 것은 일반 액체인 경우 상부전도체(41)와 하부전도체(42) 간의 절연체(43)에 함침된 액상(44)이 도체가 되어 상부전도체(41)와 하부전도체(42)를 도통하게 되므로 못 등의 침투를 감지하는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상부전도체(41)와 하부전도체(42) 간에 색소가 용해된 액상(44)이 함침된 절연체(43)를 개재한 상기 관통감지부(40)의 외표면은 액상(44)이 외부로 누수 또는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닐 등의 방수 소재로 포장 또는 밀봉코팅(45)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감지부(40)의 외표면의 밀봉코팅(45)은 관통감지부(40)를 벽체에 매설한 후, 수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액상(44)이 누수 또는 증발되어 감지기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3) 배전 전선관 시공단계
건축물의 전기 및 통신공사에 있어서, 전기의 경우 전기박스(콘센트박스/스위치박스/아웃렛) 끼리 상호 연결되면서 벽체(10) 등에 매입되게 배전 전선관(20)을 시공한다.
4) 앵글형차단철판 시공단계
상기 벽체(10)에 매입된 배전 전선관(20)을 보호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상기 제작된 앵글형차단철판(30)을 간격을 두고 설치되게 시공한다.
이때 간격은 배전 전선관(20)을 보호할 수 있게 0.5~2Cm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상기 수치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배전 전선관(20)을 보호할 수 있는 간격이라면 좋은 것이다.
5) 관통감지부 시공단계
상기 배전 전선관(20)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된 앵글형차단철판(30)의 전방으로 간격을 두고 배전 전선관(20)의 위치 알림을 시각 및 청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해 미리 제작된 관통감지부(40)를 설치되게 시공한다. 상기 간격 역시 0.5~2cm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때 관통감지부(40)와 연결된 알람부(50)는 벽체(10)에 매설되어도 좋으나, 벽체(10)의 표면에 수평되게 설치하여 경고음이 실내로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벽체 마감단계
상기 배전 전선관(20)을 보호하기 위하여 앵글형차단철판(30)과 관통감지부(40)의 설치 시공이 끝나면, 벽체(10)를 몰탈로 미장하여 마감한 후, 벽지나 타일 등의 최종마감재로 마감되게 시공한다.
상기와 같이 시공된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시스템의 작동 상태는 다음과 같다.
벽체(10)나 천정 등에 생활용품이나 전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못/해머드릴(60)로 구멍을 뚫는 과정에서 못/해머드릴(60)이 관통감지부(40)를 관통하게 되면, 알람부(50)가 경보음을 울리게 한다.
즉, 상기 관통감지부(40)의 상부전도체(41) 또는 하부전도체(42) 각각에는 알람부(50)를 작동하는 스위치 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못/해머드릴(60)이 관통감지부로 침투되면 침투된 못/해머드릴(60)에 의해 상부전도체(41)와 하부전도체(42)가 도통되고, 따라서 알람부(50)의 엠프회로 의 ON/OFF 스위치 단자에 연결된 상부전도체(41)와 하부전도체(42) 간의 도통에 의해 엠프회로가 작동되어 알람부(50)에 의해 경보음이 울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경보음을 듣고 작업자는 배전 전선관(20)의 위치를 알고 작업을 중단하게 된다.
한편, 공사의 소음 등으로 알람부(50)의 경보음을 못 듣게 되면, 관통감지부(40)를 관통하는 못/해머드릴(60)과 상부전도체(41) 및 밀봉코팅(45)의 틈 사이로 분출되는 칼라 액상(44)에 의해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하부에 배전 전선관(20)이 있음을 알아차리고 작업을 중단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업자가 상기 액상(44)이나 경보음을 통해 배전 전선관(20)의 위치를 인식하지 못하여 못/해머드릴(60) 등이 벽체(10)를 통해 배전 전선관(20)의 위치로 전진하더라도 배전 전선관(20)의 전방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60~120°의 각도의 앵글형차단철판(30)에 접촉이 되면서 배전 전선관(20)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므로 배전 전선관(20)의 단전이나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벽체 20. 배전 전선관
30. 앵글형차단철판 40. 관통감지부
41. 상부전도체 42, 하부전도체
43. 절연체 44. 액상
45. 밀봉코팅 50. 알람부
60. 못/해머드릴

Claims (2)

  1. 앵글형차단철판(30) 및 관통감지부(40)를 제작하는 제작단계;
    건축물의 벽체(10)에 배전 전선관(20)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배전 전선관(20)의 전방에 간격을 두고 상기 제작된 앵글형차단철판(30)을 매설하는 매설단계;
    상기 앵글형차단철판(30)의 전방에 간격을 두고 관통감지부(40)를 매설하는 매설단계;
    상기 벽체(10)를 몰탈로 미장 마감하여 벽지나 타일로 최종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관통감지부(40)와 연결되어 관통감지부(40)에 못 또는 헤머드릴이 관통될 경우 경보음을 울리는 알람부(50)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감지부(40)는 상부전도체(41)와 하부전도체(42)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상부전도체(41)와 하부전도체(42) 간에는 절연체(43)가 개재되고, 상기 절연체(43)에는 색소가 용해된 액상(44)이 함침되며, 상기 관통감지부(40)의 외표면은 상기 절연체(43)에 함침된 액상이 외부로 누수 또는 증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 소재로 포장 또는 밀봉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

  2. 삭제
KR1020160113638A 2016-09-05 2016-09-05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 KR101688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638A KR101688816B1 (ko) 2016-09-05 2016-09-05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638A KR101688816B1 (ko) 2016-09-05 2016-09-05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816B1 true KR101688816B1 (ko) 2016-12-22

Family

ID=57723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638A KR101688816B1 (ko) 2016-09-05 2016-09-05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8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196B1 (ko) 2016-12-02 2017-10-23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
KR102040521B1 (ko) * 2018-11-29 2019-11-05 (주)신덕엔지니어링 감전사고 방지용 콘센트가 적용된 옥내 전선관 보호장치 시공방법
KR102258368B1 (ko) 2020-12-31 2021-05-28 이창우 인테리어 경량칸막이 벽체용 후매립 아웃렛박스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2498A (ko) * 2011-12-07 2014-09-23 제너럴 아토믹스 레이저 기계가공에의 이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515921B1 (ko) * 2014-11-12 2015-05-04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2498A (ko) * 2011-12-07 2014-09-23 제너럴 아토믹스 레이저 기계가공에의 이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515921B1 (ko) * 2014-11-12 2015-05-04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196B1 (ko) 2016-12-02 2017-10-23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
KR102040521B1 (ko) * 2018-11-29 2019-11-05 (주)신덕엔지니어링 감전사고 방지용 콘센트가 적용된 옥내 전선관 보호장치 시공방법
KR102258368B1 (ko) 2020-12-31 2021-05-28 이창우 인테리어 경량칸막이 벽체용 후매립 아웃렛박스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816B1 (ko)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
CA2987127C (en) Pipe assembly
KR101688819B1 (ko)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장치
US9594183B2 (en) Method for buried service detection using a mains socket
KR101795791B1 (ko) 지중송전선로의 전선보호관
KR10111618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KR100988248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US9923344B2 (en) System for operating and monitoring power cables
KR101562625B1 (ko) 지하매설관 특정위치 탐지시스템 및 방법
KR101789198B1 (ko)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시스템 설치방법
CA2444369A1 (en) Electrical ground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KR20180063486A (ko) 아파트 간선용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
KR101435182B1 (ko) 송전, 배전용 지중 전선로 보호관
KR102172000B1 (ko) 공동주택 전선의 배선 시스템
KR101515921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KR20180131326A (ko)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시스템 설치방법
KR101440799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KR20180131325A (ko)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
KR101789196B1 (ko)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
KR20180063487A (ko) 아파트 간선용 전선관 보호장치
KR101284634B1 (ko) 누수 및 결로로 인한 통신장애 및 기계적 오류를 보완한 직접 디지털 제어기기 및 건물용 시스템
KR102040521B1 (ko) 감전사고 방지용 콘센트가 적용된 옥내 전선관 보호장치 시공방법
KR100855303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KR101132390B1 (ko)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
KR102040519B1 (ko) 배선 보호설비가 적용된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 배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