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325A -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325A
KR20180131325A KR1020170133039A KR20170133039A KR20180131325A KR 20180131325 A KR20180131325 A KR 20180131325A KR 1020170133039 A KR1020170133039 A KR 1020170133039A KR 20170133039 A KR20170133039 A KR 20170133039A KR 20180131325 A KR20180131325 A KR 20180131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alarm
unit
wiring pipe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오정근
이희관
Original Assignee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70133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1325A/ko
Publication of KR20180131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3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4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in the conduits o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벽체에 해머드릴 등으로 구멍을 뚫거나 못을 박을 때, 배선관의 상부에 매설된 관통감지부가 못에 관통되면서 알람부에서 경보음을 울리는 한편 관통감지부에 함침된 칼라 액상이 벽체의 외부로 분출되게 하여 배선관의 위치를 알려줌과 동시에 앵글형차단철판에 못 등이 접촉되면 배선관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게 함으로서, 전선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APARTMENT HOUSE BROADCASTING FACILITY WIRING PIPE PROTECTION DEVICE}
본 발명은 공동 주거시설인 아파트 등 주거 밀집시설의 전선로 보호장치인 선출원의 공동주택 전선관 보호장치를 공동 주택 방송설비 배선망에 그대로 적용한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벽체에 해머드릴 등으로 구멍을 뚫거나 못을 박을 때, 방송설비 배선이 인입된 배선관(PVC파이프/금속강관)의 상부에 매설된 관통감지부에 의해 하부에 배선관이 있음을 청각 및 시각적으로 알려줌과 동시에 앵글형차단철판에 못/해머드릴 등이 접촉되면 배선관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게 함으로서, 배선관이 손상될 상황을 작업자가 쉽게 알아차릴 수 있게 하여 배선관을 보호하는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방송설비공사에 있어서, 방송실에서 각 가정의 스피커로 이어지는 방송설비용 배선의 경우 배선박스(정션박스/스위치박스/아웃렛) 끼리 상호 연결되면서 벽체 등에 매입되고, 미장 등에 의해 마감된 후, 벽지나 타일 등의 최종마감재로 마감되어 있기 때문에 매입된 배선관 위치를 쉽게 알지 못하게 된다.
공동주택의 방송설비용 배선관 매입 시 일반적으로 수평 또는 수직으로 매입하지만, 상황이 여의치 못하여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을 수 있다.
특히, 철근 콘크리트벽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파이프의 유동으로 인해 위치가 쉽게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매입된 배선관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벽체에 벽걸이 시계 등 생활용품을 설치하기 위해 못을 박거나, 천정에 전등을 설치하기 위해 해머드릴 등으로 천공을 하다가 벽체 내부에 매입된 온수 냉수 배관을 파손하게 되거나 방송설비 배선관 내에 인입된 배선의 절단, 합선, 피복 벗겨짐 등에 의해 방송설비 배선이 훼손되며 이로인하여 비상방송 등이 전파되지 못하여 막대한 인적 물적 피해를 야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벽체에 못이 박힐 때 벽체에 박히는 못이 배선관을 파손시키면서 방송설비 배선에 손상을 입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는 방송설비 배선 분야와 유사한 전기설비 배관 분야에서 많이 시도되고 있으며 종래기술로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벽체에 못이 박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못(5)은 벽체(1)의 표면에 부착된 마감벽지(2)를 통과하여 벽체(1)의 콘크리트에 박히게 되는데, 벽체(1)에 박히는 못(5)이 전기배관(3)을 파손시키면서 전선에 손상을 입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배관탐지기를 동원하여 배관을 찾기도 하였으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금속이 아닌 배관재로 시공된 경우 쉽게 찾지 못하였으며, 특히 워낙 고가의 장비여서 가정에서 구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렇게 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배관보호구가 출원되었으나, 이러한 배관보호구는 못을 박았을 때 측면으로 슬립되도록 유도하고 있으나, 해머드릴과 같은 경우는 배관보호구를 통과하여 진행하게 되므로 사실상 보호가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벽체에 못이나 해머드릴 등으로 박을 때, 전선배관이 있는 곳일 경우 못이나 해머드릴이 벽체로 들어오면 쉽게 알 수 있는 경고를 하여 전선배관을 완전히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보호수단이 등록특허공보 제10-0988248호(2010년 10월 18일 공고, 발명의 명칭 : 공동주택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구성은 탄력적으로 하향이동하도록 설치된 보호판체에 못이 닿으면 주판체와 보조판체로 이루어진 보호판체가 아래로 밀리면서 단부가 스위치에 닿게 되고, 스위치는 경보장치를 작동시켜 못을 박는 사람에게 배관이 있음을 경보하여 더 이상 작업 진행을 하지 않도록 알려주는 구성으로, 그 구성이 복잡함은 주관체에 연결된 보조판체가 원활하게 슬라이드 되지 못하여 접점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849172호에서는 못에 의해 보호장치의 커버를 뚫고 보호철판에 닿게 되면 보호철판이 밀려 스위치를 눌러 경고를 하게 하고, 보호철판이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하므로 못이나 해머드릴이 가하는 충격을 흡수하게 하여 전기배관을 보호하고자 하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 역시 못이 보호철판의 중앙부에만 접촉될 때만 보호철판이 수평으로 눌려지면서 양측에 형성된 누름스위치판이 양측의 스위치와 접촉이 되어서 경고음을 발생하게 되지만, 보호철판의 일측으로 못이 접촉하게 되면 양측에 형성된 누름스위치판의 일측면 스위치와 접점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접점불량으로 경고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된 등록특허 제10-0943190호의 구성은 타격에 의해 상부보호판을 타격하면 상부보호판이 벌어져 타공체가 이탈하면서 공명박스를 타격하여 소리를 발생시키고, 동시에 연기발생장치로 신호를 보내 굴삭기 작업자가 쉽게 알아차릴 수 있게 한 지중 배전의 배전선 보호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구성은 굴삭기의 작업에 의해 공명소리를 빨리 들지 못함은 물론 지중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습기로 인해 연기발생장치가 가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던 것이다.
(KR) 등록특허 제10-0988248호 (KR) 등록특허 제10-0849172호 (KR) 등록특허 제10-094319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벽체에 못/해머드릴이 박히게 될 때 벽체 내부에 설치된 공동주택의 방송설비용 배선관 상부에 배치된 관통감지부에 못이 관통되면서 관통감지부의 상부전도체와 하부전도체가 도전성이 있는 못/해머드릴에 의해 통전되어 알람부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하고, 관통감지부 내의 칼라 액상이 분출되게 하여 상기 배선관의 위치를 작업자에게 청각 및 시각적으로 알려주기 때문에, 배선관이 절단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선관의 파손으로 인해 단전 또는 누전 사고를 당하거나 주거하는 중에 벽체를 뜯어내는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못/해머드릴 등이 관통감지부를 통과하더라도 앵글형차단철판에 접촉이 되면서 배선관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게 하여 배선관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의 구성은, 건축물의 벽체에 매립된 전선관의 전방에 간격을 두고 매설되는 앵글형차단철판과, 상기 앵글형차단철판의 전방에 간격을 두고 매설되는 관통감지부와, 상기 관통감지부와 연결되어 관통감지부에 못 또는 해머드릴이 관통될 경우 경보음을 울리는 알람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상부전도체와 하부전도체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상부전도체와 하부전도체 간에는 절연체가 개재되고, 상기 절연체에는 색소가 용해된 액상이 함침되며, 상기 관통감지부의 외표면은 상기 절연체에 함침된 액상이 외부로 누수 또는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 소재로 포장 또는 밀봉코팅 되게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전도체와 하부전도체는 알루미늄 박지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체에 함침되는 액상은 변압기에 사용된 후 폐기되어 재활용된 폐절연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앵글형차단철판의 절곡각은 예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못이나 해머드릴이 관통감지부를 관통하게 되면 관통감지부의 상부전도체와 하부전도체 간에 관통된 못/해머드릴에 의해 통전되어 알람부에 경보가 작동되므로 못/해머드릴의 하부에 배선관이 있음을 청각적으로 알려준다.
또한, 관통감지부 내에 함유된 색소가 용해된 액상이 분출되어 못/해머드릴의 하부에 전선관이 있음을 시각적으로 알려준다.
또한, 앵글형차단철판은 못/해머드릴이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게 함으로써 못이 배선관에 도달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못이나 해머드릴이 배선관을 파손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방송배선선로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벽체에 못이 박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를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통감지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관통감지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옥내용 경보 방송시스템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옥내용 경보 방송시스템을 이루는 감시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옥내용 경보 방송시스템에서 긴급차단부를 추가한 블록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의 주된 요지는 콘크리트 벽체(10) 등에 매설되는 배선관(20) 전방으로 앵글형차단철판(30)과, 관통감지부(40)를 배치하여 못/해머드릴(60) 등이 벽체(10)에 박힐 때, 상기 배선관(20)의 전방에 설치된 관통감지부(40)에서 전선관(20)의 위치를 작업자에게 경보음 및 액상(44)을 통해 알려줌과 동시에 앵글형차단철판(30)에 의해 못 또는 해머드릴 등이 배선관(20)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게 하여 배선관(20)의 파손에 의한 비상방송의 통신 장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주된 요지에 대하여 도면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10) 등에 매설되는 배선관(20)의 전방에 60 ~ 120°로 절곡된 앵글형차단철판(30)이 설치되고, 상기 앵글형차단철판(30)의 전방으로 못/해머드릴(60)이 침투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관통감지부(40)가 설치된다.
상기 앵글형차단철판(30)은 작업자에 의해 침투되는 못 등의 타격에 의한 수직강도에 견딜 수 있는 "ㄱ"형상의 앵글로 배선관(20)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작업자에 의해 침투되는 못/해머드릴 등이 양측으로 슬라이딩되게 하여 하부에 있는 배선관(20)을 비켜나가게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앵글형차단철판(30)의 절곡각은 60 ~ 120 °로 하되 예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감지부(40)는 못이 침투되는 것을 감지하는 수단으로서, 띠형의 상부전도체(41) 및 하부전도체(42)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상부전도체(41) 또는 하부전도체(42) 각각에는 알람부(50)를 작동하는 스위치 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상부전도체(41) 및 하부전도체(42)는 얇은 박지의 전도체이며 바람직하기로는 알루미늄 박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기 상부전도체(41) 및 하부전도체(42) 간에는 절연체(43)을 개재한다.
상기 절연체(43)는 상부전도체(41)와 하부전도체(42)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절연체(43)에는 적색, 청색, 황색 등의 색소가 용해된 액상(44)이 함침 될 수 있으며, 액상(44)을 함침하는 절연체는 스폰지, 면, 마 등의 액상(44)을 흡수할 수 있는 물체이면 되며, 바람직하기로는 폐자원 활용을 위해 폐의류를 재활용한 천연섬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상(44)은 전기적으로 부도체인 절연유이며, 바람직하기로는 폐자원을 재활용하기 위해 변압기 등에 사용된 후 폐기된 폐절연유 또는 폐식용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상(44)을 부도체로 하는 것은 일반 액체인 경우 상부전도체(41)와 하부전도체(42) 간의 절연체(43)에 함침된 액상(44)이 도체가 되어 상부전도체(41)와 하부전도체(42)를 도통하게 되므로 못/해머드릴(60) 등의 침투를 감지하는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상부전도체(41)와 하부전도체(42) 간에 색소가 용해된 액상(44)이 함침된 절연체(43)를 개재한 상기 관통감지부(40)의 외표면은 액상(44)이 외부로 누수 또는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닐 등의 방수 소재로 포장 또는 밀봉코팅(45)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감지부(40)의 외표면의 밀봉코팅(45)은 관통감지부(40)를 벽체에 매설한 후, 장기간 경과됨에 따라 액상(44)이 누수 또는 증발되어 감지기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관통감지부(40)는 띠 형상으로 하되, 상기 띠 형상의 관통감지부(40)의 폭은 하부에 설치되는 전선관(20)의 직경보다 넓은 것이 당연하다.
상기 알람부(50)는 상기 관통감지부(40)에 못이 침투되는 것이 감지되면 알림부(50)에 의해 경보를 울리는 것으로 관통감지부(40)에 못이 침투되면 침투된 못에 의해 상부전도체(41)와 하부전도체(42)가 도통되고, 따라서 알람부(50)의 엠프회로의 ON/OFF 스위치 단자에 연결된 상부전도체(41)와 하부전도체(42) 간의 도통에 의해 엠프회로가 작동되어 알림부(50)에 의해 경보음이 울린다(이러한 엠프회로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구체적 회로는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의 작동상태를 도 2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 등의 벽체(10)에 벽걸이 시계 등 생활용품을 설치하기 위해 못을 박거나, 천정에 전등을 설치하기 위해 못/해머드릴(60) 등으로 천공을 할 때, 박는 못/해머드릴(60) 등의 하부에 배선관(20)이 존재하면 배선관(20)의 상부에 위치한 관통감지부(40) 를 못/해머드릴(60)이 관통하게 된다.
즉, 못/해머드릴(60) 등이 관통감지부(40)를 관통하게 되면, 상기 알람부(50)가 경보음을 울리게 되고 이를 들은 작업자는 작업을 중단하게 된다.
한편, 공사의 소음 등으로 알람부(50)의 경보음을 못 듣게 되면 관통감지부(40)를 관통하는 못/해머드릴(60)과 상부전도체(41) 및 밀봉코팅(45)의 틈 사이로 분출되는 칼라 액상(44)에 의해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하부에 배선관(20)이 있음을 알아차리고 작업을 중단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업자가 상기 액상(44)이나 경보음을 통해 배선관(20)의 위치를 인식하지 못하여 못/해머드릴(60) 등이 벽체(10)를 통해 전선관(20)의 위치로 전진하더라도 배선관(20)의 전방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60~120°의 각도의 앵글형차단철판(30)에 접촉이 되면서 배선관(20)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므로 배선관(20)의 단전이나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공동 주거시설인 아파트 등 주거 밀집시설의 경보시설은 화재 지진 등의 재해가 발생시 각 가구별 비상 방송망을 통해 사이렌 또는 안내 방송으로 경보상황을 주민들에게 전파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보상황을 효과적으로 전파하기 위해 상기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를 이용한 옥내용 경보 방송시스템을 구축한다.
상기 옥내용 경보 방송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내용 경보 방송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수신부(100) 및 유선통신부(200)로 구성된 경보신호수신부와, 메인제어부(300), 무선통신부(400), 디스플레이부(500), 감시제어부(600), 방송설비(7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방송수신부(100)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난방송의 데이터 채널을 통한 외부로부터의 경보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DMB 재난방송의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여 경보신호의 분리를 담당한다.
상기 유선통신부(200)는 ADSL, 전용선, 광 랜 등 물리적으로 연결된 유선통신망을 통하여 외부로부터의 경보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메인제어부(300)는 상기 방송수신부(100) 및 유선통신부(200)를 통해 수신된 경보신호를 분석하여 유효한 경보신호인지, 중복되어 수신된 경보신호인지를 검증하고, 유효한 경보신호이거나 또는 새로운 경보신호이면 유효한 경보신호라고 판단하여, 상기 수신된 경보신호를 미리 설정된 수행 시나리오에 따라 건물 내부에서 경보상황으로 알리도록 한다.
상기 감시제어부(600)는 상기 메인제어부(300)를 통해 경보신호에 대한 수행 명령을 전달받아 건물 내의 방송설비(700)를 제어하여 경보방송 오디오가 건물 내로 전파되도록 한다.
상기 감시제어부(6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디오출력부(610), 제어출력부(630) 및 출력검지부(65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오디오출력부(610)는 경보상황에 따른 녹음방송, 육성 등의 경보방송 오디오신호를 방송설비(700)로 전달시킨다.
상기 제어출력부(630)는 경보신호에 따른 경보상황을 방송설비(700)로 전달시키는 것으로, 방송설비(700)의 전원제어를 위한 신호와 푸시 투 토크(Push To Talk; PTT) 제어를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출력검지부(650)는 방송설비(700)의 방송수행상태, 동작 상태를 감시하고, 그 결과를 수집하여 상기 메인제어부(300)로 전달한다.
따라서, 오디오출력부(610)와 제어출력부(630)로부터 출력된 경보방송은 방송설비(700)를 이용하여 건물 내 주민들에게 전파되고, 그 결과는 상기 출력검지부(650)로 전달된다.
상기 감시제어부(6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급차단부(67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긴급차단부(670)는 오디오출력부(610) 또는 제어출력부(630)를 통해 오보, 오조작, 조작실수에 따른 경보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상기 긴급차단부(670)는 방송설비(700)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오디오출력부(610)와 제어출력부(630)중에서 선택적으로 출력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방송설비(700)는 구내방송설비, 비상방송설비 등 건물 내에서 방송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부(400)는 상기 메인제어부(300)를 통해 수신된 경보신호를 원격지의 관리자단말기(미도시)로 전달하거나, 원격지의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원격신호를 수신 받는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통신부(400)는 상기 메인제어부(300)가 수신하여 처리하는 경보신호에 대하여 SMS 전송기능으로 원격지의 관리자단말기로 전달하며, 원격지의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ARS 전화접속에 대한 신호를 처리한다.
이때, 상기 메인제어부(300)는 무선통신부(400)로부터 수신한 ARS 전화접속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공동주택내 주민들에게 안내방송을 할 수 있도록 감시제어부(600)를 제어한다.
상기 원격지의 관리자단말기는 건물 내외를 순찰하는 관리자의 단말기가 될 수 있다.
ARS 전화접속은 경보 방송을 위한 장치를 원격지의 관리자가 직접 조작할 수 없는 상황에서,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경보 방송을 위한 장치로 전화를 걸어서 ARS 안내 멘트에 따라 조작을 하여 경보 방송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ARS 안내 멘트로, 1번은 재난 안내 방송 시작, 2번은 방송 종료, 3번은 사이렌 출력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400)는 메인제어부(300)와 연계하여 ARS 전화접속 시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방송 권한을 가진방송설비 관리자, 건물 관리자 등)에 대해서는 로그인 과정 없이 바로 전화방송을 건물 내 주민들에게 전파할 수 있도록 하고, 미등록된 사용자에 대해서는 추가의 로그인 과정을 거친 후 전화방송을 건물 내 주민들에게 전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화방송으로 예를 들어, 황사 경보의 경우 바깥 출입에 대한 자제나 주의 방송 또는 여름철 전력 수급 위기 경보시 냉방 기구 사용 자제 등으로, 발생한 재난 상황이나 예상되는 재난 상황에 대한 주의, 권고 등의 안내 방송이 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메인제어부(300)를 통해 수신된 경보신호 및 경보신호처리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제어부(300)의 수행상태를 표출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을 통한 입력된 조작 내용 등이 표시되 도록 한다.
상기 키 입력은 디스플레이부(500)의 소프트웨어에 의한 키 입력이나 물리적인 별도의 키 버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키 입력을 수집하여 상기 메인제어부(300)로 전달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옥내용 경보 방송 시스템은 테스트부(800)를 포함한다.
상기 테스트부(800)는 방송수신부(100) 및 유선통신부(200)의 출력 상태를 테스트하는 것으로, 실제 경보가 없는 평상시에 옥내용 경보 방송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벽체 20: 배선관
30: 앵글형차단철판 40: 관통감지부
41: 상부전도체 42: 하부전도체
43: 절연체 44: 액상
45: 밀봉코팅 50: 알람부
60 :못/해머드릴 100: 방송수신부
200: 유선통신부 300: 메인제어부
400: 무선통신부 500: 디스플레이부
600: 감시제어부 700: 방송설비
800: 테스트부

Claims (1)

  1. 건축물의 벽체(10)에 매립된 배선관(20)의 전방에 간격을 두고 매설되는 앵글형차단철판(30)과,
    상기 앵글형차단철판(30)의 전방에 간격을 두고 매설되는 관통감지부(40)와,
    상기 관통감지부(40)와 연결되어 관통감지부(40)에 못 또는 해머드릴(60)이 관통될 경우 경보음을 울리는 알람부(50)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상부전도체(41)와 하부전도체(42)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상부전도체(41)와 하부전도체(42) 간에는 절연체(43)가 개재되고, 상기 절연체(43)에는 색소가 용해된 액상(44)이 함침되며,
    상기 관통감지부(40)의 외표면은 상기 절연체(43)에 함침된 액상(44)이 외부로 누수 또는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 소재로 포장 또는 밀봉코팅(45) 되게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앵글형차단철판(30)의 절곡각은 예각으로 이루어고, 상기 상부전도체(41)와 하부전도체(42)는 알루미늄 박지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체(43)에 함침되는 액상(44)은 변압기에 사용된 후 폐기되어 재활용된 폐절연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

KR1020170133039A 2017-10-13 2017-10-13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 KR201801313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039A KR20180131325A (ko) 2017-10-13 2017-10-13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039A KR20180131325A (ko) 2017-10-13 2017-10-13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057A Division KR101789196B1 (ko) 2016-12-02 2017-05-31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325A true KR20180131325A (ko) 2018-12-10

Family

ID=64670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039A KR20180131325A (ko) 2017-10-13 2017-10-13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13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393B1 (ko) * 2023-03-14 2024-04-22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공동주택 벽체에 설치되는 전기배관 보호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393B1 (ko) * 2023-03-14 2024-04-22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공동주택 벽체에 설치되는 전기배관 보호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727B1 (ko) 소방중계기방송장치 선로의 단락검사에 따른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EP3407315B1 (en) Social safe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 for both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crime prevention
US104384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lectrical current and associated appliances and notification thereof
JP5245054B2 (ja) 警報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警報システム
KR100859863B1 (ko) 지중전선 보호용 전선배관의 고정체
KR101688816B1 (ko)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
KR101688819B1 (ko)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장치
CN102637331B (zh) 小区防盗报警系统和方法
KR20180131325A (ko)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
KR101789198B1 (ko)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시스템 설치방법
KR101145414B1 (ko) 전력감시장치 연동형 화재수신시스템
KR101789196B1 (ko)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장치
KR100643790B1 (ko) 첨단아파트 화재경보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180131326A (ko)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시스템 설치방법
CN103593939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防火漏电监控方法及装置
WO20190177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RE DETECTION AND PREVENTION
KR102091348B1 (ko) 무선 주파수 방식을 이용한 통합 경보시스템
KR20180063486A (ko) 아파트 간선용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
TWM456558U (zh) 消防監控系統
KR101028753B1 (ko) 통신기능을 구비한 전력 감시용 화재수신기
KR20180063487A (ko) 아파트 간선용 전선관 보호장치
KR101604129B1 (ko) 옥내용 경보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8256051U (zh) 一种物业用人工智能火灾报警器
KR20200136628A (ko) 무선 화재 감지기 시스템
KR20090080282A (ko) 화재 단계별 통지기능을 구비한 소방관리용 가스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