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000B1 - 공동주택 전선의 배선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전선의 배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000B1
KR102172000B1 KR1020190175933A KR20190175933A KR102172000B1 KR 102172000 B1 KR102172000 B1 KR 102172000B1 KR 1020190175933 A KR1020190175933 A KR 1020190175933A KR 20190175933 A KR20190175933 A KR 20190175933A KR 102172000 B1 KR102172000 B1 KR 102172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pipe
wiring
protection device
cylind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택준
Original Assignee
(주)에이프러스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프러스씨엠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에이프러스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175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8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 H02G2200/20Identification of installed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공동주택 전선의 배선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벽체에 못이나 해머드릴로 구멍을 뚫거나 못을 박을 때, 배선관 보호 장치를 이용하여 배선관의 외부 충격을 저감시켜 배선관을 보호하며, 배선관의 위치를 조명으로 시각적으로 알려줌과 동시에 외부로 배선관의 위치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하여 벽체에 매설된 배선관의 훼손이나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거나 후속 조치를 빠르게 처리하여 2차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전선의 배선 시스템{Wiring System of Apartment House Electric Wire}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 기술 분야 중 전선의 배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벽체에 못이나 해머드릴로 구멍을 뚫거나 못을 박을 때, 배선관 보호 장치를 이용하여 배선관의 외부 충격을 저감시켜 배선관을 보호하며, 배선관의 위치를 조명으로 시각적으로 알려줌과 동시에 외부로 배선관의 위치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하여 벽체에 매설된 배선관의 훼손이나 피해를 최소화하는 공동주택 전선의 배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배선박스(콘센트 박스, 스위치 박스, 아웃렛 등) 끼리 상호 연결되면서 벽체에 매입되고, 미장에 의해 마감된 후, 벽지나 타일 등의 최종 마감재로 마감되어 있기 때문에 매입된 배선관 위치를 쉽게 알지 못하게 된다.
특히, 공동주택의 철근 콘크리트벽의 경우, 콘크리트 타설시 파이프의 유동으로 인해 배선관 위치가 쉽게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매입된 매입관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벽체에 벽걸이 시계 등 생활용품을 설치하기 위해 못을 박거나, 천정에 전등을 설치하기 위해 해머드릴 등으로 천공을 하다가 벽체 내부에 매입된 온수 냉수 배관을 파손하게 되거나 설비 배선관 내에 인입된 배선의 절단, 합선, 피복 벗겨짐 등에 의해 배선이 훼손되며, 막대한 인적 물적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굴삭기의 대형 기계로 작업하는 경우, 타격에 의해 지중에 매설된 전선배관이 절단되거나 합선될 수 있으므로 전선배관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943190호(등록일: 2010년 2월 11일), 발명의 명칭: "지중 배전의 배전선 보호장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벽체에 못이나 해머드릴로 구멍을 뚫거나 못을 박을 때, 배선관 보호 장치를 이용하여 배선관의 외부 충격을 저감시켜 배선관을 보호하며, 배선관의 위치를 조명으로 시각적으로 알려줌과 동시에 외부로 배선관의 위치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하여 벽체에 매설된 배선관의 훼손이나 피해를 최소화하는 공동주택 전선의 배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동주택 전선의 배선 시스템은,
콘크리트 벽체(30)에 매설되는 길이 “‡항의 배선관(50);
상기 배선관(50)에 외주면에 일정 간격마다 이격하여 결합하여 상기 배선관(50)을 보호하고, 상기 배선관(50)의 관통 위험 정보를 알리는 배선관 보호 장치(110); 및
상기 배선관 보호 장치(1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하여 못이나 해머드릴(40)로 상기 콘크리트 벽체(30)에 구멍을 뚫을 때 상기 배선관(50)의 위치를 감지하는 관통 감지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관(50)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의 원통관(70)을 형성하고, 상기 배선관(5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베어링부재(60)를 형성하고,
상기 배선관 보호 장치(110)는 상기 원통관(70)의 외주면에 결합하여 내부의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는 케이싱(111)과, 상기 케이싱(111)의 일면에 접촉감지센서(113)를 결합하고, 상기 접촉감지센서(113)의 주위를 감싸는 외부통(112)를 상기 케이싱(111)의 일면에 결합하며, 상기 외부통(112)의 직경보다 작은 내부통(114)이 상기 외부통(112)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통(114)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외부통(112)의 내부로 삽입되었다 복원되는 왕복 운동하고,
상기 외부통(112)과 상기 내부통(114)의 내부에는 상기 접촉감지센서(113)의 일면에 유압실린더(116)와 피스톤부재(117)를 연결하여 직렬로 배치하고,
상기 피스톤부재(117)는 못이나 해머드릴(40)이 가압되는 부분으로 일단에 평탄한 형태의 접촉부(115)를 결합하며,
케이싱(111)의 내부에는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들이 장착된 LED 모듈로 이루어진 발광부(130)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감지센서(113)로부터 상기 내부통(114)의 일단이 접촉했음을 나타내는 접촉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발광부(130)에 전원부(135)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배선관 보호 장치를 이용하여 배선관의 외부 충격을 저감시켜 배선관을 보호하며, 배선관의 위치를 조명으로 시각적으로 알려줌으로써 배선관의 타격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배선관의 위치를 외부의 관리자에게 전송하여 벽체에 매설된 배선관의 훼손이나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거나 후속 조치를 빠르게 처리하여 2차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선의 배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관 보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관 보호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의 벽체에 매설된 배선관은 못이나 해머드릴 등으로 천공을 하다가 벽체 내부에 매입된 온수 냉수 배관을 파손하게 되거나 설비 배선관 내에 인입된 배선의 절단, 합선, 피복 벗겨짐 등에 의해 배선이 훼손되며, 막대한 인적 물적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선관 보호 장치를 이용하여 배선관의 외부 충격을 저감시켜 배선관을 보호하며, 배선관의 위치를 조명으로 시각적으로 알려줌과 동시에 외부로 배선관의 위치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하여 벽체에 매설된 배선관의 훼손이나 피해를 최소화하는 공동주택 전선의 배선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선의 배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관 보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관 보호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선의 배선 시스템(100)은 배선관(50)에 결합되는 배선관 보호 장치(110), 관리 서버(200) 및 관리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배선관 보호 장치(110)는 배선관(5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배선관(50)의 관통 위험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망(101)을 통해 관리 서버(200) 또는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관리자 단말(300)은 배선관 보호 장치(110) 또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각 동마다 어느 위치의 배선관(50)이 관통 위험이 있는지 제공받아 위치 정보, 관통 위험 정도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선의 배선 시스템(100)은 콘크리트 벽체(30)에 매설되는 길이 “‡항의 배선관(50)과 상기 배선관(50)에 외주면에 일정 간격마다 이격하여 결합하여 배선관(50)을 보호하고, 배선관(50)의 관통 위험 정보를 알리는 배선관 보호 장치(110)와, 상기 배선관 보호 장치(1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하여 못이나 해머드릴(40)로 벽체(30)에 구멍을 뚫을 때 배선관(50)의 위치를 감지하는 관통 감지부(120)를 포함한다.
배선관(50)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의 원통관(70)을 형성하고, 배선관(5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베어링부재(60)를 형성한다.
베어링부재(60)는 못이나 해머드릴(40)이 원통관(70)을 관통하거나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배선관(50)을 보호하기 위한 부재이다.
배선관 보호 장치(110)는 원통관(7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마다 이격하여 결합하여 배선관(50)을 보호하고, 배선관(50)의 관통 위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한다.
배선관 보호 장치(110)는 원통관(70)의 외주면에 결합하여 내부의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는 케이싱(111)과, 상기 케이싱(111)의 일면에 접촉감지센서(113)를 결합하고, 접촉감지센서(113)의 주위를 감싸는 외부통(112)를 케이싱(111)의 일면에 결합하며, 외부통(112)의 직경보다 작은 내부통(114)이 외부통(112)에 결합한다.
내부통(114)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외부통(112)의 내부로 삽입되었다 복원되는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외부통(112)과 내부통(114)의 내부에는 접촉감지센서(113)의 일면에 유압실린더(116)와 피스톤부재(117)를 연결하여 직렬로 배치한다.
유압실린더(116)는 내부에 작동유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실린더하우징과, 일단이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수용공간 내에서 작동유의 유출입에 따라 왕복 운동하는 로드(미도시)와, 상기 로드의 끝단에 실린더피스톤(미도시)이 결합되어 수용공간에서 작동유가 유출입에 따라 로드가 직선으로 전후진 운동을 한다.
로드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은 실린더하우징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타단은 실린더하우징의 외측에 피스톤부재(117)에 연결된다. 작동유의 유출입은 유압펌프(134)에 의해 제어된다.
유압실린더(116)와 피스톤부재(117)는 스프링부재(118)에 의해 외주면을 둘러싼다.
케이싱(111)은 원통관(70)의 일면이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통관(70)의 타면이 평탄한 형태이다.
피스톤부재(117)는 일단에 평탄한 형태의 접촉부(115)를 결합한다. 접촉부(115)는 못이나 해머드릴(40)이 가압되는 부분이다.
관통 감지부(120)는 못이나 해머드릴(40)이 벽체(30)에 침투되는 것을 감지하는 장치로 띠 형상의 직사각형으로 제1 전도체(121)와 상기 제1 전도체(122)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2 전도체(122)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전도체(121)와 제2 전도체(122)는 얇은 박지의 전도체이고,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박지로 구성한다.
제1 전도체(121)와 제2 전도체(122)의 사이에는 특정한 액상(124)에 함침된 절연체(123)를 형성한다. 절연체(123)는 제1 전도체(121)와 제2 전도체(122)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정한 액상(124)은 전기적으로 부도체인 절연유를 나타낸다.
경보부(125)는 제1 전도체(121)와 제2 전도체(122)를 각각 연결하여 앰프회로의 온오프 스위치 단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못이나 해머드릴(40)이 벽체(30)에 구멍을 뚫는 과정에서 못이나 해머드릴(40)이 제1 전도체(121)와 제2 전도체(122)를 관통하게 되면, 제1 전도체(121)와 제2 전도체(122)가 도통된다.
경보부(125)는 앰프회로의 온오프 스위치 단자에 연결된 제1 전도체(121)와 제2 전도체(122) 간의 도통에 의해 앰프회로가 작동되어 경보음이 울리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경보부(125)의 경보음을 듣고 배선관(50)의 위치를 알게 되어 작업을 중단한다.
케이싱(111)의 내부에는 발광부(130), GPS 수신부(131), 제어부(132), 무선 송신부(133), 유압펌프(134), 전원부(135)를 구비되어 있다.
제어부(132)는 접촉감지센서(113), 발광부(130), GPS 수신부(131), 무선 송신부(133), 유압펌프(134), 전원부(135)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GPS 수신부(131)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32)로 전송한다.
발광부(130)는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들이 장착된 LED 모듈로 이루어져 제어부(132)의 제어에 따라 전원부(135)의 전원이 공급되면 빛을 발생하게 된다.
발광부(130)는 청색, 녹색, 적색의 LED를 구비하여 색상을 조합하거나 단일 색상을 점멸할 수 있다.
못이나 해머드릴(40)이 접촉부(115)에 접촉하면, 내부통(114)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외부통(112)의 내부로 삽입된다.
접촉감지센서(113)는 내부통(114)의 일단이 접촉하는 경우, 접촉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2)로 전송한다.
제어부(132)는 전원부(135)의 전원을 발광부(130)로 전송하여 LED 모듈을 발광하게 하고, 상기 유압실린더(116)에 연결된 유압펌프(134)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작동유가 유출입에 따라 로드가 이동하여 로드에 결합된 피스톤부재(117)를 못이나 해머드릴(40)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어부(132)는 접촉감지센서(113)로부터 내부통(114)의 일단이 접촉했음을 나타내는 접촉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GPS 수신부(131)로부터 수신한 현재 정보를 무선 송신부(133)를 통해 원격지의 관리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132)는 상기 유압실린더(116)에 연결된 유압펌프(134)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작동유가 유출입에 따라 로드가 전후진 운동하여 로드에 결합된 피스톤부재(117)를 기설정된 일정 횟수만큼 전후진 왕복 운동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배선관 보호 장치(110)는 유압펌프(134), 유압실린더(116), 피스톤부재(117)를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배선관 보호 장치(110)는 GPS 수신부(131)를 구성하지 않고, 제어부(132)는 접촉감지센서(113)로부터 내부통(114)의 일단이 접촉했음을 나타내는 접촉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배선관 보호 장치(110)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송신부(133)를 통해 원격지의 관리 서버(200) 또는 관리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200) 또는 관리자 단말기(300)는 배선관 보호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무선 제어 신호에서 식별자를 분석하여 배선관 보호 장치(11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배선 시스템 110: 배선관 보호 장치
120: 관통 감지부 130: 발광부
131: GPS 수신부 132: 제어부
133: 무선 송신부 134: 유압펌프
135: 전원부 200: 관리 서버
300: 관리자 단말

Claims (1)

  1. 콘크리트 벽체(30)에 매설되는 길이 “‡항의 배선관(50);
    상기 배선관(50)에 외주면에 일정 간격마다 이격하여 결합하여 상기 배선관(50)을 보호하고, 상기 배선관(50)의 관통 위험 정보를 알리는 배선관 보호 장치(110); 및
    상기 배선관 보호 장치(1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하여 못이나 해머드릴(40)로 상기 콘크리트 벽체(30)에 구멍을 뚫을 때 상기 배선관(50)의 위치를 감지하는 관통 감지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관(50)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의 원통관(70)을 형성하고, 상기 배선관(5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베어링부재(60)를 형성하고,
    상기 배선관 보호 장치(110)는 상기 원통관(70)의 외주면에 결합하여 내부의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는 케이싱(111)과, 상기 케이싱(111)의 일면에 접촉감지센서(113)를 결합하고, 상기 접촉감지센서(113)의 주위를 감싸는 외부통(112)를 상기 케이싱(111)의 일면에 결합하며, 상기 외부통(112)의 직경보다 작은 내부통(114)이 상기 외부통(112)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통(114)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외부통(112)의 내부로 삽입되었다 복원되는 왕복 운동하고,
    상기 외부통(112)과 상기 내부통(114)의 내부에는 상기 접촉감지센서(113)의 일면에 유압실린더(116)와 피스톤부재(117)를 연결하여 직렬로 배치하고,
    상기 피스톤부재(117)는 못이나 해머드릴(40)이 가압되는 부분으로 일단에 평탄한 형태의 접촉부(115)를 결합하고,
    상기 케이싱(111)의 내부에는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들이 장착된 LED 모듈로 이루어진 발광부(130)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감지센서(113)로부터 상기 내부통(114)의 일단이 접촉했음을 나타내는 접촉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발광부(130)에 전원부(135)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2)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32)는 상기 접촉감지센서(113)로부터 내부통(114)의 일단이 접촉했음을 나타내는 접촉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116)에 연결된 유압펌프(134)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작동유가 유출입에 따라 로드가 전후진 운동하여 로드에 결합된 상기 피스톤부재(117)를 기설정된 일정 횟수만큼 전후진 왕복 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배선관 보호 장치(110)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송신부(133)를 통해 원격지의 관리 서버(200) 또는 관리자 단말기(300)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200)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는 상기 배선관 보호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무선 제어 신호에서 식별자를 분석하여 상기 배선관 보호 장치(110)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전선의 배선 시스템.
KR1020190175933A 2019-12-27 2019-12-27 공동주택 전선의 배선 시스템 KR102172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933A KR102172000B1 (ko) 2019-12-27 2019-12-27 공동주택 전선의 배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933A KR102172000B1 (ko) 2019-12-27 2019-12-27 공동주택 전선의 배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000B1 true KR102172000B1 (ko) 2020-10-30

Family

ID=73048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933A KR102172000B1 (ko) 2019-12-27 2019-12-27 공동주택 전선의 배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0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978B1 (ko) 2021-12-30 2022-04-22 주식회사 산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초고속 인터넷과 연결한 정보통신 배선 시스템
KR102463523B1 (ko) 2021-12-30 2022-11-09 주식회사 삼화기술단 정보통신 케이블의 벽체 매립형 배선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172B1 (ko) * 2008-04-24 2008-07-30 주식회사 하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
KR100854443B1 (ko) * 2008-05-20 2008-08-27 (주)대진방재 건축용 내부 벽체의 전선보호관
KR100943190B1 (ko) 2009-09-21 2010-02-19 박혜숙 지중 배전의 배전선 보호장치
KR101032711B1 (ko) * 2010-12-20 2011-05-06 (유)남양기술단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장치
KR101789198B1 (ko) * 2016-12-02 2017-10-23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시스템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172B1 (ko) * 2008-04-24 2008-07-30 주식회사 하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
KR100854443B1 (ko) * 2008-05-20 2008-08-27 (주)대진방재 건축용 내부 벽체의 전선보호관
KR100943190B1 (ko) 2009-09-21 2010-02-19 박혜숙 지중 배전의 배전선 보호장치
KR101032711B1 (ko) * 2010-12-20 2011-05-06 (유)남양기술단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장치
KR101789198B1 (ko) * 2016-12-02 2017-10-23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시스템 설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978B1 (ko) 2021-12-30 2022-04-22 주식회사 산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초고속 인터넷과 연결한 정보통신 배선 시스템
KR102463523B1 (ko) 2021-12-30 2022-11-09 주식회사 삼화기술단 정보통신 케이블의 벽체 매립형 배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2000B1 (ko) 공동주택 전선의 배선 시스템
US952327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for downhole tool strings
US20180119929A1 (en) Concrete casting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lighting system in a building
AU2011202296C1 (en) Electrical fault location determination
KR101612747B1 (ko)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
RU99122214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посредством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х волн
KR10111618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KR101562625B1 (ko) 지하매설관 특정위치 탐지시스템 및 방법
KR100860574B1 (ko) 지중전선용 배전관 연결 차단장치
KR101688816B1 (ko)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
US11448062B2 (en) Well installations
KR20140024129A (ko) 3차원 분포형 지하 온도 측정 시스템
KR101688819B1 (ko)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장치
KR102143551B1 (ko) 공동주택전기의 벽체 전선설치장치
US20160262241A1 (en) Lighting Control Network Commissioning
CA2361789A1 (en) An arrangement and method for deploying downhole tools
KR20050122675A (ko) 지하 시설물 탐색 시스템
Humpherys et al. Water sensor feedback control system for surface irrigation
KR101789198B1 (ko)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시스템 설치방법
KR101824595B1 (ko) 복합케이블을 이용한 전력 및 데이터 신호 분배 시스템
KR101689283B1 (ko) 선박, 해양플랜트 작업장에서 복합케이블을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US10047595B2 (en) Stripline energy transmission in a wellbore
KR100853036B1 (ko) 지중전선 고정용 연결대 차단장치
KR100842097B1 (ko) 가공 및 지중전선의 배전선 인입출 케이스
KR20180131326A (ko) 공동주택 방송설비 배선 보호시스템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