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172B1 -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172B1
KR100849172B1 KR1020080037982A KR20080037982A KR100849172B1 KR 100849172 B1 KR100849172 B1 KR 100849172B1 KR 1020080037982 A KR1020080037982 A KR 1020080037982A KR 20080037982 A KR20080037982 A KR 20080037982A KR 100849172 B1 KR100849172 B1 KR 100849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x body
wall
fixed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80037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02Auxiliary arrangements
    • H01B5/006Auxiliary arrangements for protection against vib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4Devices affording localised protection against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65Means for detecting or reacting to mechanical or electrical defe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4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in the conduits o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벽체에 해머드릴 등으로 구멍을 뚫거나 못을 박을 때, 보호철판이 못이 전진하는 힘을 흡수하여 전기 배관을 보호하고, 보호철판이 뒤로 밀리면서 스위치가 작동되어 전기배관이 손상될 상황을 알려주는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며, 공동주택의 벽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전기 배관의 보호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의 몸체(21) 내부에 공간부(26)가 형성되고, 몸체(21)의 개방구 둘레에 플랜지부(25)가 형성되며, 개방구를 밀폐시키도록 커버(27)가 형성되어 플랜지부(25)에 볼트로 고정되고, 공간부(26)의 양측벽에 다수개의 가이드돌기(23)가 돌출 형성되며, 몸체(21)의 저면에 다수개의 원형돌출부(22)가 형성되고, 원형돌출부(22)는 공간부(26)와 통하는 이동홀(24)이 형성되며, 몸체(21)의 바닥면 일측에 연결전선홀(29)이 형성되는 박스체(20); 금속의 장방형 판체(31)의 폭방향 양단부에 다수개의 가이드홈(32)이 형성되고, 박스체(20)의 가이드돌기(23)가 가이드홈(32)에 삽입되어 박스체(20)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고, 판체(31)의 저면에 다수개의 가이드봉(33)이 형성되며, 가이드봉(33)에 스프링(35)이 삽입되어 탄력지지되면서 박스체(20)의 이동홀(24)에 삽입되고, 판체(31)의 저면에 스위치(54)와 맞닿게 스위치누름판(34)이 고정되는 보호철판(30); 사각박스 형상의 몸체(41)의 일측단에 원형의 삽입홈(42)이 형성되고, 박스체(20)의 원형돌출부(22)가 삽입홈(42)에 삽입되어 볼트로 고정되며, 몸체(41)의 타측단에 완충고무판(46)이 부착된 상태에서 고정클립(45)이 고정되어 전기배관(3)이 끼 워지는 고정장치(40); 박스 형상의 몸체(51)의 내부에 전원이 내장되고, 전원과 연결된 제어부가 몸체 내부에 형성되어 연결전선(53)으로 스위치(54)에 고정되며, 스위치(54)는 박스체(2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어 연결전선(53)이 연결전선홀(29)을 통해 몸체(51) 내부의 제어부와 연결되고, 연결전선(53)은 박스체(20) 저면에 고정되는 전선보호대(28)에 의해 보호되며, 제어부는 스피커(52)와 연결되어 보호철판(30)이 못에 의해 하향이동하면 스위치(54)를 눌러 일정시간 스피커(52)가 작동하게 되는 경고박스(5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배관, 보호철판, 고정장치, 경고박스, 원형돌출부, 고정클립

Description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A protecting device for an electrical pipe laying in a building}
본 발명은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벽체에 해머드릴 등으로 구멍을 뚫거나 못을 박을 때, 보호철판이 못이 전진하는 힘을 흡수하여 전기 배관을 보호하고, 보호철판이 뒤로 밀리면서 스위치가 작동되어 전기배관이 손상될 상황을 알려주는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전기공사에 있어서, 전기의 경우 전기박스끼리 상호 연결되면서 벽체 등에 매입되고, 미장등에 의해 마감된 후, 벽지나 타일등의 최종마감재로 마감되어 있기 때문에 매입된 관로 위치를 쉽게 알지 못하였다.
전기 배관의 매입시 일반적으로 수평 또는 수직으로 매입하지만, 상황이 여의치 못하여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을 수 있다. 특히, 철근 콘크리트벽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파이프의 유동으로 인해 위치가 쉽게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매입된 배관선로 위치를 정확하게 알기가 쉽지 않다.
때문에, 욕실의 세면대 설치시 벽체 내부에 매입된 온·냉수 배관을 파손시 킨다던지, 벽체에 벽걸이 시계 등 생활용품을 설치하기 위해 못을 박거나, 천정에 전등을 설치하기 위해 해머드릴 등으로 천공을 하다가 파이프 내측 전선의 절단 또는 피복의 벗겨짐으로 인한 누전 우려가 있었다.
도 12에는 종래의 벽체에 못이 박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못(5)은 벽체(1)의 표면에 부착된 마감벽지(2)를 통과하여 벽체(1)의 콘크리트에 박히게 되는데, 벽체(1)에 박히는 못(5)이 전기배관(3)을 파손시키면서 전선에 손상을 입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배관탐지기를 동원하여 배관을 찾기도 하였으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금속이 아닌 배관재로 시공된 경우 쉽게 찾지 못하였으며, 특히 워낙 고가의 장비여서 가정에서 구입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이렇게 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배관보호구가 출원되었으나, 이러한 배관보호구는 못을 박았을 때 측면으로 미끌어지도록 유도하고 있으나, 해머드릴과 같은 경우는 배관보호구를 통과하여 진행하게 되므로 사실상 보호가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벽체에 해머드릴 등으로 못을 박을 때, 배관이 있는 곳일 경우 못이나 해머드릴이 벽체로 들어오면 쉽게 알 수 있는 경고를 하여 배관을 완전히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벽체에 못이 박히게 될 때 벽체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전기배관의 전면에 보호장치를 두어 전기배관이 파손되지 않게 하여, 전기 배관 파손으로 인하여 주거하는 중에 벽체를 뜯어내는 불편함을 주지 않는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못이나 헤머드릴이 보호장치에 박히게 되면, 못에 의해 보호장치의 커버를 뚫고 보호철판에 닿게 되면 보호철판이 밀려 스위치를 눌러 경고를 하게 하고, 보호철판이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하므로 못이나 헤머드릴이 가하는 충격을 흡수하게 하여 전기배관을 보호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동주택의 벽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전기 배관의 보호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의 몸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몸체의 개방구 둘레에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개방구를 밀폐시키도록 커버가 형성되어 플랜지부에 볼트로 고정되고, 공간부의 양측벽에 다수개의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몸체의 저면에 다수개의 원형돌출부가 형성되고, 원형돌출부는 공간부와 통하는 이동홀이 형성되며, 몸체의 바닥면 일측에 연결전선홀이 형성되는 박스체; 금속의 장방형 판체의 폭방향 양단부에 다수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박스체의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박스체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고, 판체의 저면에 다수개의 가이드봉이 형성되며, 가이드봉에 스프링이 삽입되어 탄력지지되면서 박스체의 이동홀에 삽입되고, 판체의 저면에 스위치와 맞닿게 스위치누름판이 고정되는 보호철판;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의 일측단에 원형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박스체의 원형돌출부가 삽입홈에 삽입되어 볼트로 고정되며, 몸체의 타측단에 완충고무판이 부착된 상태에서 고정클립이 고정되어 전기배관이 끼워지는 고정장치; 박스 형상의 몸체의 내부에 전원이 내장되고, 전원과 연결된 제어부가 몸체 내부에 형성되어 연결전선으로 스위치에 고정되며, 스위치는 박스체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어 연결전선이 연결전선홀을 통해 몸체 내부의 제어부와 연결되고, 연결전선은 박스체 저면에 고정되는 전선보호대에 의해 보호되며, 제어부는 스피커와 연결되어 보호철판이 못에 의해 하향이동하면 스위치를 눌러 일정시간 스피커가 작동하게 되는 경고박스;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벽체에 못이 박히게 될 때 벽체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전기배관의 전면에 보호장치가 설치되어 전기배관이 파손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전기 배관 파손으로 인하여 주거하는 중에 벽체를 뜯어내는 불편함을 주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못이나 헤머드릴이 전기배관을 향해 벽체에 박히면, 보호장치의 커버를 뚫고 보호철판에 닿게 되어 배관이 보호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보호철판이 박히는 힘에 의해 밀리면서 충격이 흡수되므로 배관까지 박히지 못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보호철판이 뒤로 밀리면서 스위치를 눌러 경고박스의 스피커를 작동시켜 경고를 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더 이상 작업을 하지 않게 하여 배관이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보호철판이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하므로 못이나 헤머드릴이 가하는 충격을 흡수한 다음 스프링의 힘에 의해 다시 바깥쪽으로 못과 해머드릴을 밀어 작업자가 배관이 있음을 알게 하는 효과가 있다.
고정장치는 몸체의 크기 만큼 전기배관과 보호장치를 이격시켜 주므로 배관이 보호될 뿐만아니라 완충고무판에 의해 전기배관으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벽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전기 배관(3)의 보호장치(10)에 관한 것으로서, 벽체 내부에서 전기배관(3)의 전방에 설치되는 박스체(20)와, 박스체(20)의 내부에서 가이드돌기(23)를 따라 이동하는 보호철판(30)과, 박스체(20)를 전기배관(3)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40), 박스체 내부에 설치되는 스위치(54)와 연결전선(53)으로 연결되어 경고를 발하는 경고박스(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박스체(20)는 성형이 쉬운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고, 일측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의 몸체(21) 내부에 공간부(26)가 형성된다.
박스체(20)의 몸체(21) 개방구 둘레에 플랜지부(25)가 형성되고, 개방구를 밀폐시키도록 커버(27)가 형성되어 플랜지부(25)에 볼트로 고정된다. 못이 박히게 되면 이 커버(27)를 뚫고 못이 보호철판(30)에 닿게 된다.
박스체(20)의 공간부(26) 양측벽에 다수개의 가이드돌기(23)가 돌출 형성되고, 몸체(21)의 저면에 다수개의 원형돌출부(22)가 형성된다. 원형돌출부(22)는 공간부(26)와 통하는 이동홀(24)이 내부 중앙에 형성되고, 이동홀(24)에 후술할 보호철판(30)의 가이드봉(33)이 삽입된다.
그리고 몸체(21)의 바닥면 일측에 연결전선홀(29)이 형성되어 공간부(26) 바닥면에 설치되는 스위치(54)의 연결전선(53)이 외부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보호철판(30)은 못이나 해머드릴이 닿았을 때, 뒤로 밀리면서 충격력을 흡수하게 하는 구성으로, 금속을 재질로 한 장방형 판체(31)의 폭방향 양단부에 다수개의 가이드홈(32)이 형성되어 박스체(20)의 가이드돌기(23)가 삽입되게 한다. 따라 서 보호철판(30)은 박스체(20) 내부에서 상하 이동된다.
판체(31)의 저면에 다수개의 가이드봉(33)이 형성되고, 가이드봉(33)은 스프링(35)이 삽입되어 탄력지지되면서 박스체(20)의 이동홀(24)에 삽입된다.
보호철판(30)의 판체(31) 저면에 일측에 스위치(54)와 맞닿게 스위치누름판(34)이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스위치누름판(34)은 보호철판(30)의 저면 양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위치(54) 또한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장치(40)는 박스체(20)를 전기배관(3)에 일정거리 이격시켜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41)의 일측단에 원형의 삽입홈(42)이 형성되고, 박스체(20)의 원형돌출부(22)가 삽입홈(42)에 삽입되어 고정볼트(44)로 고정된다. 몸체(41)의 측면에는 볼트홀(43)이 형성되어 삽입된 원형돌출부(22)에 고정볼트(44)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몸체(41)에서 삽입홈(42)이 형성된 반대쪽 단부에 완충고무판(46)이 부착되고, 완충고무판(46)이 부착된 방향으로 고정클립(45)이 몸체(41) 양측벽에 고정된다. 고정클립(45)은 탄성을 가지게 형성되어 전기배관(3)이 끼워질 때 벌어지고 다 들어가면 다시 탄성에 의해 원위치 되어 잡아주는 일반적이 클립 형태이다.
몸체(41)의 길이만큼 보호장치(10)와 전기배관(3)이 이격되어 있으므로 전기배관(3)이 보호되고, 완충고무판(46)이 전기배관(3)과 밀착하여 전기배관(3)이 받는 충격을 흡수하여 준다.
경고박스(50)는 박스 형상의 몸체(51)의 내부에 전원이 내장되고, 전원과 연결된 제어부가 몸체 내부에 형성되어 연결전선(53)으로 스위치(54)에 고정된다.
스위치(54)는 박스체(2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고, 스위치(54)와 연결되는 연결전선(53)이 연결전선홀(29)을 통해 경고박스(50)의 몸체(51) 내부의 제어부와 연결된다.
연결전선(53)은 박스체(20) 저면에 고정되는 전선보호대(28)에 의해 보호되고, 전선보호대(28)는 길이방향을 따라 홈을 가지는 대로 이루어져 박스체(20) 저면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된다.
제어부는 스피커(52)와 연결되어 보호철판(30)이 못에 의해 하향이동하면 스위치누름판(34)이 스위치(54)를 눌러 일정시간 스피커(52)가 작동하게 된다.
경고박스(50)는 전기배관이 있는 벽체 상단이나 하단 일측에 형성하여 해당 벽체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쉽게 들을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의 박스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의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의 고정장치에 전기배관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에 못이 박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에 못이 박혀 스위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에 못이 박히는 상태를 다른 곳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에 못이 박혀 스위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다른 곳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종래의 전기배관에 못이 박혀 파손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벽체 2 : 마감벽지
3 : 전기배관 5 : 못
10 : 보호장치 20 : 박스체
21 : 몸체 22 : 원형돌출부
23 : 가이드돌기 24 : 이동홀
25 : 플랜지부 26 : 공간부
27 : 커버 28 : 전선보호대
29 : 연결전선홀 30 : 보호철판
31 : 판체 32 : 가이드홈
33 : 가이드봉 34 : 스위치누름판
35 : 스프링 40 : 고정장치
41 : 몸체 42 : 삽입홈
43 : 볼트홀 44 : 고정볼트
45 : 고정클립 46 : 완충고무판
50 : 경고박스 51 : 몸체
52 : 스피커 53 : 연결전선
54 : 스위치

Claims (1)

  1. 공동주택의 벽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전기 배관의 보호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의 몸체(21) 내부에 공간부(26)가 형성되고, 몸체(21)의 개방구 둘레에 플랜지부(25)가 형성되며, 개방구를 밀폐시키도록 커버(27)가 형성되어 플랜지부(25)에 볼트로 고정되고, 공간부(26)의 양측벽에 다수개의 가이드돌기(23)가 돌출 형성되며, 몸체(21)의 저면에 다수개의 원형돌출부(22)가 형성되고, 원형돌출부(22)는 공간부(26)와 통하는 이동홀(24)이 형성되며, 몸체(21)의 바닥면 일측에 연결전선홀(29)이 형성되는 박스체(20);
    금속의 장방형 판체(31)의 폭방향 양단부에 다수개의 가이드홈(32)이 형성되고, 박스체(20)의 가이드돌기(23)가 가이드홈(32)에 삽입되어 박스체(20)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고, 판체(31)의 저면에 다수개의 가이드봉(33)이 형성되며, 가이드봉(33)에 스프링(35)이 삽입되어 탄력지지되면서 박스체(20)의 이동홀(24)에 삽입되고, 판체(31)의 저면에 스위치(54)와 맞닿게 스위치누름판(34)이 고정되는 보호철판(30);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41)의 일측단에 원형의 삽입홈(42)이 형성되고, 박스체(20)의 원형돌출부(22)가 삽입홈(42)에 삽입되어 고정볼트(44)로 고정되며, 몸체(41)의 타측단에 완충고무판(46)이 부착된 상태에서 고정클립(45)이 고정되어 전기배관(3)이 끼워지는 고정장치(40);
    박스 형상의 몸체(51)의 내부에 전원이 내장되고, 전원과 연결된 제어부가 몸체 내부에 형성되어 연결전선(53)으로 스위치(54)에 고정되며, 스위치(54)는 박스체(2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어 연결전선(53)이 연결전선홀(29)을 통해 몸체(51) 내부의 제어부와 연결되고, 연결전선(53)은 박스체(20) 저면에 고정되는 전선보호대(28)에 의해 보호되며, 제어부는 스피커(52)와 연결되어 보호철판(30)이 못에 의해 하향이동하면 스위치(54)를 눌러 일정시간 스피커(52)가 작동하게 되는 경고박스(5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
KR1020080037982A 2008-04-24 2008-04-24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 KR100849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982A KR100849172B1 (ko) 2008-04-24 2008-04-24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982A KR100849172B1 (ko) 2008-04-24 2008-04-24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9172B1 true KR100849172B1 (ko) 2008-07-30

Family

ID=39825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982A KR100849172B1 (ko) 2008-04-24 2008-04-24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172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443B1 (ko) * 2008-05-20 2008-08-27 (주)대진방재 건축용 내부 벽체의 전선보호관
KR100988248B1 (ko) 2010-08-20 2010-10-18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KR101032711B1 (ko) * 2010-12-20 2011-05-06 (유)남양기술단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장치
KR101111987B1 (ko) 2011-11-18 2012-02-24 (주)부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내부 벽체 전선보호관
KR101151291B1 (ko) 2012-03-14 2012-06-01 김대우 전기케이블 안전장치
KR20180063487A (ko) 2016-12-02 2018-06-12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아파트 간선용 전선관 보호장치
KR20180063486A (ko) 2016-12-02 2018-06-12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아파트 간선용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
KR101964620B1 (ko) 2018-07-19 2019-04-02 주식회사 디에이치기술단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KR102172000B1 (ko) * 2019-12-27 2020-10-30 (주)에이프러스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선의 배선 시스템
CN112490983A (zh) * 2020-11-20 2021-03-12 何鹏 一种服务器用可自动整理和固定网线的防护设备
KR102258368B1 (ko) 2020-12-31 2021-05-28 이창우 인테리어 경량칸막이 벽체용 후매립 아웃렛박스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298B1 (ko) 2005-08-30 2006-03-29 주식회사 이지건축 지중선로관 보호장치
KR100579471B1 (ko) 2006-02-01 2006-05-12 (주)삼주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용 지중선로 보호장치
KR100604083B1 (ko) 2006-04-07 2006-07-24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내의 지중선로의 보호장치
KR100697824B1 (ko) 2006-11-30 2007-03-20 (주)하림기술단 공동주택의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선로 보호장치
KR100733783B1 (ko) 2007-02-14 2007-07-04 제일엔지니어링 (주) 지중배전선로관용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298B1 (ko) 2005-08-30 2006-03-29 주식회사 이지건축 지중선로관 보호장치
KR100579471B1 (ko) 2006-02-01 2006-05-12 (주)삼주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용 지중선로 보호장치
KR100604083B1 (ko) 2006-04-07 2006-07-24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내의 지중선로의 보호장치
KR100697824B1 (ko) 2006-11-30 2007-03-20 (주)하림기술단 공동주택의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선로 보호장치
KR100733783B1 (ko) 2007-02-14 2007-07-04 제일엔지니어링 (주) 지중배전선로관용 보호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443B1 (ko) * 2008-05-20 2008-08-27 (주)대진방재 건축용 내부 벽체의 전선보호관
KR100988248B1 (ko) 2010-08-20 2010-10-18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KR101032711B1 (ko) * 2010-12-20 2011-05-06 (유)남양기술단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장치
KR101111987B1 (ko) 2011-11-18 2012-02-24 (주)부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내부 벽체 전선보호관
KR101151291B1 (ko) 2012-03-14 2012-06-01 김대우 전기케이블 안전장치
KR20180063487A (ko) 2016-12-02 2018-06-12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아파트 간선용 전선관 보호장치
KR20180063486A (ko) 2016-12-02 2018-06-12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아파트 간선용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
KR101964620B1 (ko) 2018-07-19 2019-04-02 주식회사 디에이치기술단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KR102172000B1 (ko) * 2019-12-27 2020-10-30 (주)에이프러스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선의 배선 시스템
CN112490983A (zh) * 2020-11-20 2021-03-12 何鹏 一种服务器用可自动整理和固定网线的防护设备
KR102258368B1 (ko) 2020-12-31 2021-05-28 이창우 인테리어 경량칸막이 벽체용 후매립 아웃렛박스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172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
KR100988248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KR101964620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KR100854443B1 (ko) 건축용 내부 벽체의 전선보호관
KR100515761B1 (ko) 냉온수배관 시스템의 시공방법
KR200417638Y1 (ko) 단열재가 부착된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KR101273809B1 (ko) 관통슬리브
KR102029349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
KR100730477B1 (ko) 공동주택 벽체의 내부배관 보호구
KR101515921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KR100855303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KR100586223B1 (ko) 벽체매립형 오픈 수전함
KR100782676B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 연결시스템
KR100833570B1 (ko) 철근 무손상시공용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배관시공방법
KR101688819B1 (ko)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장치
US11466455B2 (en) Building block
KR102659393B1 (ko) 공동주택 벽체에 설치되는 전기배관 보호구
KR101717999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KR100846181B1 (ko) 건축물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CN203247887U (zh) 一种混凝土冷却通水测控装置保护盒
KR100379752B1 (ko) 건물의 천정내부 배선구조
JP2003032836A (ja) 配線ボックスの設置方法、配線ボックス及び電線管、並びに配線装置
KR200213249Y1 (ko) 트렁킹 닥트
KR200351231Y1 (ko) 콘크리트 실링박스
WO2019218214A1 (zh) 一种墙板以及可安装管线的墙板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