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349B1 -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349B1
KR102029349B1 KR1020190020338A KR20190020338A KR102029349B1 KR 102029349 B1 KR102029349 B1 KR 102029349B1 KR 1020190020338 A KR1020190020338 A KR 1020190020338A KR 20190020338 A KR20190020338 A KR 20190020338A KR 102029349 B1 KR102029349 B1 KR 102029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inding
groove
storage case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희
Original Assignee
세종기술종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기술종합(주) filed Critical 세종기술종합(주)
Priority to KR1020190020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3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에 못 등을 포함하는 체결부재가 설치될 때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전기배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기배관 측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이를 감지하여 위험신호를 송신하면서 작업자가 전기배관의 파손 위험을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안착홈부로 안착된 전기배관을 수납케이스에 결속하여 안정적인 안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TRENCH FOR ELECTRICITY OF APARTMENT HOUSE AND ARCHITECTURE WALL}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전기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에 못 등을 포함하는 체결부재가 설치될 때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전기배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기배관 측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이를 감지하여 위험신호를 송신하면서 작업자가 전기배관의 파손 위험을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안착홈부로 안착된 전기배관을 수납케이스에 결속하여 안정적인 안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등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전기공사에 있어서, 전기의 경우 전기박스끼리 상호 연결되면서 벽체 등에 매입되고, 미장 등에 의해 마감된 후, 벽지나 타일 등의 최종마감재로 마감되기 때문에 매입된 관로 위치를 쉽게 알지 못한다.
전기배관의 매입시 일반적으로 수평 또는 수직으로 매입하지만, 상황이 여의치 못하여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을 수 있다.
특히, 철근 콘크리트벽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파이프의 유동으로 인해 위치가 쉽게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매입된 배관선로 위치를 정확하게 알기가 쉽지 않다.
이로 인하여 욕실의 세면대 설치시 벽체 내부에 매입된 냉,온수 배관을 파손하거나 벽체에 벽걸이, 시계 등 생활용품을 설치하기 위해 못을 박거나, 천장에 전등을 설치하기 위해 해머드릴 등으로 천공을 하다가 파이프 내측 전선의 절단 또는 피복의 벗겨짐으로 인한 누전 등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15921호(2015.05.04.)에는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배관 보호장치는 수납케이스로 안착되는 전기배관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시공시나, 외력 등에 의해 안착홈부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88848호(2017.10.20.)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트렌치'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15921호(2015.05.04.)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에 못 등을 포함하는 체결부재가 설치될 때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전기배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기배관 측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이를 감지하여 위험신호를 송신하면서 작업자가 전기배관의 파손 위험을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안착홈부로 안착된 전기배관을 수납케이스에 결속하여 안정적인 안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배관(100)이 안착되도록 바닥면에 안착홈부(12)가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상단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부(14)가 형성되며 양측 내벽에 서로 대향되는 복수 개의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수납케이스(10); 상기 슬라이딩홈부(14)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는 슬라이딩돌기(38)가 형성되고 제1,2패널(32,34)이 힌지부(3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납케이스(10)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30); 상기 제1패널(32)과 상기 제2패널(34)의 저면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외측 단부에 관통홀부(52a)가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홈부(52)와, 한 쌍의 상기 결합홈부(52)에 양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양단부에 상기 관통홀부(52a)를 통해 상기 결합홈부(52) 외측으로 돌출되는 감지돌기(54a)를 구비하는 지지패널(54)과, 상기 결합홈부(52)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감지돌기(54a)의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위험신호를 송신하는 접촉감지센서(56)로 이루어지는 감지부(50); 상기 접촉감지센서(56)로부터 송신되는 위험신호를 작업자에게 출력하여 상기 전기배관(100)에 외력이 가해짐을 알리는 출력부(70); 상기 수납케이스(10)의 일단부와 다른 상기 수납케이스(10)의 타단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수납케이스(1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부(80); 및 상기 연결부(80)의 해제상태를 원터치 방식으로 해제하여 상기 수납케이스(10) 사이의 연결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부(9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80)는, 상기 수납케이스(10)의 저면 일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측으로 굴곡되는 굴곡부(82a)를 구비하는 연결돌기(82); 상기 굴곡부(82a)의 상단부에 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82b); 상기 굴곡부(82a) 및 상기 후크(82b)가 삽입되도록 상기 수납케이스(10)의 저면 타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케이스(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안착홈부(12)까지 관통되게 형성되는 연결홀부(84); 상기 연결홀부(84)로부터 상기 안착홈부(12)를 따라 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후크(82b)가 압입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홈부(84a); 및 상기 연결돌기(82)가 삽입되도록 상기 수납케이스(10)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간섭홈부(86)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부(90)는, 상기 삽입홈부(84a)로부터 상기 수납케이스(1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홈부(84a)와 비교하여 더 깊게 형성되는 해제홈부(92)를 포함하는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부(12)로 안착된 상기 전기배관(100)을 상기 수납케이스(10)에 결속하는 결속부(2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속부(200)는, 상기 수납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 일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바(210); 상기 수납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 타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바(220); 상기 한 쌍의 지지바(210)에 상하 이동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바(230); 및 상기 고정바(220)에 구비되며, 상기 전기배관(100)의 상부로 안착된 상기 회전바(230)를 결속하는 결속수단(24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210)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공(211)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바(230)는, 양면에 상기 가이드공(211)으로 결합되는 가이드돌기(231)가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수납케이스(10)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한편,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돌기(231)를 중심으로 상기 안착홈부(12)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전기배관(100)의 상부로 안착되고, 상기 결속수단(240)은, 상기 회전바(230)의 타단부를 결속하면서 상기 지지바(210)와 고정바(220) 간이 닫힘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회전바(230)의 타단부를 결속해제하면서 상기 지지바(210)와 고정바(220) 간이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체에 못 등을 포함하는 체결부재가 설치될 때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전기배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전기배관 측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이를 감지하여 위험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작업자가 전기배관의 파손 위험을 미리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착홈부로 안착된 전기배관을 수납케이스에 결속함으로써 안정적인 안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에서 커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에서 연결부 및 해제부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에서 결속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결속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결속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은 도 6에서 결속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는, 전기배관(100)이 안착되도록 바닥면에 안착홈부(12)가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상단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부(14)가 형성되며 양측 내벽에 서로 대향되는 복수 개의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수납케이스(10)와, 슬라이딩홈부(14)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는 슬라이딩돌기(38)가 형성되고 제1패널(32) 및 제2패널(34)이 힌지부(3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납케이스(10)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30)와, 제1패널(32)과 제2패널(34)의 저면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외측 단부에 관통홀부(52a)가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홈부(52), 한 쌍의 결합홈부(52)에 양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양단부에 관통홀부(52a)를 통해 결합홈부(52) 외측으로 돌출되는 감지돌기(54a)를 구비하는 지지패널(54), 및 결합홈부(52)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고 감지돌기(54a)의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위험신호를 송신하는 접촉감지센서(56)로 이루어지는 감지부(50)와, 접촉감지센서로부터 송신되는 위험신호를 작업자에게 출력하여 전기배관(100)에 외력이 가해짐을 알리는 출력부(70)와, 수납케이스(10)의 일단부와 다른 수납케이스(10)의 타단부를 연결하도록 수납케이스(1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부(80)와, 연결부(80)의 해제상태를 원터치 방식으로 해제하여 수납케이스(10) 사이의 연결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부(90)를 포함한다.
벽체에 형성되는 설치홈부(1)에 수납케이스(10)를 삽입하고, 수납케이스(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안착홈부(12)에 전기배관(100)을 안착시켜 전기배관(100)이 안정적으로 수납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수납케이스(10)는 전기배관(100)의 길이에 따라 다수 개가 연속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수납케이스(10)는 연결부(80)에 의해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다수 개의 수납케이스(10)를 설치홈부(1)에 삽입한 후에 연결부(80)의 조작에 의해 다수 개의 수납케이스(10)가 연결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다수 개의 수납케이스(10) 바닥면에 전기배관(100)이 배치되도록 안착홈부(12)에 전기배관(100)을 삽입한다.
이후에, 슬라이딩홈부(14)를 따라 슬라이딩돌기를 삽입하면서 다수 개의 커버부(30)가 연속되게 배치되도록 설치하여 수납케이스(10)의 내부를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패널(32) 및 제2패널(34)이 힌지부(36)에 의해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커버부(30)의 저면에는 전기배관(100)의 연장방향과 직교되도록 다수 개의 지지패널(54)이 한 쌍의 결합홈부(52)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지지패널(54)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감지돌기(54a)는 관통홀부(52a)를 통해 결합홈부(52)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감지돌기(54a)와 접촉감지센서(56)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이룬다.
지지패널(54)은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금속패널로 이루어지므로 커버부(30)에 외력이 가해지면 지지패널(54)의 중앙부가 하측으로 굴곡되면서 제1패널(32) 및 제2패널(34)이 힌지부(36)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커버부(30)가 수납케이스(10)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지지패널(54)의 중앙부가 하측 방향으로 굴곡되면 감지돌기(54a)가 점촉감지센서로부터 분리되므로 접촉감지센서(56)로부터 위험신호가 송신되어 출력부(70)를 이루는 경고음발생기(72)로부터 경고음이 출력되어 벽체에 못 등의 체결부재를 시공하고 있는 작업자가 전기배관(100) 측으로 외력을 가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전기배관(100)이 시공되지 않은 다른 위치의 벽체에 체결부재를 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외력이 커버부(30)에 가해지는 경우에는 지지패널(54)이 변형되면서 커버부(30)가 수납케이스(10) 내부로 삽입되고, 외력이 소멸되면 지지패널(54)의 복원력에 의해 제1패널(32) 및 제2패널(34)이 수평상태로 복원되면서 커버부(30)에 의한 수납케이스(10)의 폐쇄가 이루어진다.
수납케이스(10)의 내벽에는 돌출 길이가 가장 짧은 제1걸림턱부(16)가 슬라이딩홈부(14) 하측에 형성되고, 제1걸림턱부(16)로부터 간격을 유지하며 하측으로 제1걸림턱부(16)와 비교하여 돌출 길이가 긴 제2걸림턱부(17)가 형성되고, 제2걸림턱부(17)로부터 간격을 유지하며 하측으로 제2걸림턱부(17)와 비교하여 돌출 길이가 긴 제3걸림턱부(18)가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부(30)에 상대적으로 작은 외력이 3차에 걸쳐 가해져도 지지패널(54)이 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커버부(30)는 제1걸림턱부(16), 제2걸림턱부(17) 및 제3걸림턱부(18)까지 삽입되면서 경고음을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3차례에 걸쳐 발생되는 경고음 중 어는 하나의 경고음을 인지하여 체결부재의 시공을 중단하면 커버부(30)는 수납케이스(1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1걸림턱부(16), 제2걸림턱부(17) 또는 제3걸림턱부(18)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전기배관(100) 및 보호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패널(54)의 소성변형을 유발시키는 상대적으로 큰 외력이 커버부(30)에 가해지면 지지패널(54)의 중앙부가 하측으로 오목하게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접촉감지센서(56)로부터 위험신호가 연속되게 출력되므로 작업자는 커버부(30) 또는 수납케이스(10)의 교체작업을 행한다.
연결부(80)는, 수납케이스(10)의 저면 일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측으로 굴곡되는 굴곡부(82a)를 구비하는 연결돌기(82)와, 굴곡부(82a)의 상단부에 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82b)와, 굴곡부(82a) 및 후크(82b)가 삽입되도록 수납케이스(10)의 저면 타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수납케이스(10)의 저면으로부터 안착홈부(12)까지 관통되게 형성되는 연결홀부(84)와, 연결홀부(84)로부터 안착홈부(12)를 따라 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후크(82b)가 압입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홈부(84a)와, 연결돌기(82)가 삽입되도록 수납케이스(10)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간섭홈부(86)를 포함한다.
수납케이스(10)의 일단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돌기(82)는, 단부가 상측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굴곡부(82a)를 구비하고, 굴곡부(82a)의 상단에는 후크(82b)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후크(82b)의 상단에는 후크(82b)의 결합을 해제하는 레버가 일체로 형성된다.
수납케이스(10)의 타단 저면에는 연결돌기(82)가 삽입되는 간섭홈부(86)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간섭홈부(86)의 내측 단부와 연결되도록 연결홀부(84)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안착홈부(12)까지 형성된다.
연결홀부(84)의 상단으로부터 수납케이스(10)의 단부 측으로 삽입홈부(84a)가 형성되고, 삽입홈부(84a)의 바닥면에는 후크(82b)가 압입되는 홈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납케이스(10)의 일단에 대향되도록 다른 수납케이스(10)의 타단을 밀착시키면 굴곡부(82a) 및 후크(82b)가 연결홀부(84)를 통해 안착홈부(12) 측으로 돌출되고, 작업자가 후크(82b)를 삽입홈부(84a) 측으로 회전시키면 후크(82b)가 삽입홈부(84a)에 압입되면서 한 쌍의 수납케이스(10)가 연속되게 배치되며 연결된다.
수납케이스(10)의 교체를 위해 벽체로부터 다수 개 중의 일부분의 수납케이스(10)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해제부(90)를 작동시켜 수납케이스(10) 사이의 연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해제부(90)는, 삽입홈부(84a)로부터 수납케이스(1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삽입홈부(84a)와 비교하여 더 깊게 형성되는 해제홈부(92)를 포함하므로 작업자가 해제홈부(92) 내측으로 손이나 공구를 삽입하여 후크(82b)를 삽입홈부(84a) 외측으로 당기면 후크(82b)와 삽입홈부(84a)의 압입상태를 쉽게 해제할 수 있으므로 수납케이스(10) 사이의 연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는 작업자의 시공작업에 의해 벽체에 못 등을 포함하는 체결부재가 설치될 때에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전기배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전기배관 측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이를 감지하여 위험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작업자가 전기배관의 파손 위험을 미리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부(12)로 안착된 전기배관(100)을 수납케이스(10)에 결속하는 결속부(200)를 더 포함한다.
결속부(200)는 안착홈부(12)로 안착된 전기배관(100)을 수납케이스(10)에 결속하여 안정적인 안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결속부(200)는 수납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 일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바(210), 수납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 타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바(220), 한 쌍의 지지바(210)에 상하 이동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바(230) 및 고정바(220)에 구비되며 전기배관(100)의 상부로 안착된 회전바(230)를 결속하는 결속수단(240)을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바(210)는 안착홈부(12)를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고, 고정바(220)는 안착홈부(12)를 중심으로 타측에 배치된다.
한 쌍의 지지바(210)는 전후 방향으로 대향되면서 내측으로 결합되는 회전바(230)가 상하 이동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지지바(210)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공(211)이 형성되며, 회전바(230)는 양면에 가이드공(211)으로 결합되는 가이드돌기(231)가 형성된다.
가이드돌기(231)는 회전바(230)의 일단부 전,후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바(230)는 양단부가 상하 방향을 향하는 경우, 일단부가 하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회전바(230)는 안착홈부(12)로의 전기배관(100)의 안착시, 양단부가 상하 방향을 향하면서 가이드돌기(231)가 가이드공(211)의 하부에 이웃하거나 접하며 일단부가 수납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된다.
회전바(230)는 안착홈부(12)로 전기배관(100)이 안착된 상태에서 전기배관(100)에 대한 결속시, 가이드돌기(231)가 가이드공(211)의 상부에 이웃하거나 접하도록 승강되는 한편, 타단부가 안착홈부(12)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전기배관(100)의 상부에 안착된다.
결속부(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바(210)의 일측을 연결하는 측판(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측판(250)은 수납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된 회전바(23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바(220)는 한 쌍의 지지바(210) 간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수납케이스(10)에 고정된다.
회전바(2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에 체결홈(232)이 형성된다.
결속수단(240)은 고정바(22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부가 체결홈(232)으로 인입되는 결속바(241), 결속바(241)의 일단부와 고정바(220) 간에 위치되도록 결속바(241)의 외측에 구비되는 플랜지(242), 플랜지(242)와 고정바(220) 간에 위치되도록 결속바(24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243) 및 결속바(241)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244)를 포함한다.
결속바(241)는 원형봉 형태를 이루되, 일단부가 반구 형태를 이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플랜지(242)는 결속바(24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결속바(241)와 일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243)은 고정바(220)로부터 플랜지(242)를 가압하여 결속바(241)의 일단부가 체결홈(232)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스프링(243)은 결속바(241)의 타단부를 일단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수축되면서 결속바(241)의 일단부가 체결홈(232)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한다.
이탈방지부재(244)는 결속바(241)의 타단부로 나사결합되면서 고정바(220)로부터 결속바(241)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탈방지부재(244)는 결속바(241)로부터의 분리에 따라 고정바(220)로부터 결속수단(240)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결속수단(240)은 도 8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바(241)의 일단부가 체결홈(232)으로 인입되면서 회전바(230)의 타단부를 결속하는 한편, 지지바(210)와 고정바(220) 간이 닫힘되도록 하여 안착홈부(12)로부터 전기배관(100)의 이탈을 방지한다.
결속수단(24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바(241)의 일단부가 체결홈(232)으로부터 인출되면서 회전바(230)의 타단부를 결속해제하는 한편, 지지바(210)와 고정바(220) 간이 개방되도록 하여 전기배관(100)이 안착홈부(12)로 안착되도록 하거나, 안착홈부(12)로부터 전기배관(100)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회전바(230)는 전기배관(100)과 접하는 타측면에 완충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는 절연재 예를 들면,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기배관(100)으로의 밀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전기배관(100)과의 접촉에 의한 마모 등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결속부(200)는 안착홈부(12)로 안착된 전기배관(100)을 수납케이스(10)에 결속함으로써 안정적인 안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설치홈부 10 : 수납케이스
30 : 커버부 50 : 감지부
70 : 출력부 80 : 연결부
90 : 해제부 100 : 전기배관
200 : 결속부 210 : 지지바
211 : 가이드공
220 : 고정바 230 : 결속바
231 : 가이드돌기 232 : 체결홈
240 : 결속수단 250 : 측판

Claims (1)

  1. 전기배관(100)이 안착되도록 바닥면에 안착홈부(12)가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상단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부(14)가 형성되며 양측 내벽에 서로 대향되는 복수 개의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수납케이스(10);
    상기 슬라이딩홈부(14)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는 슬라이딩돌기(38)가 형성되고 제1,2패널(32,34)이 힌지부(3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납케이스(10)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30);
    상기 제1패널(32)과 상기 제2패널(34)의 저면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외측 단부에 관통홀부(52a)가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홈부(52)와, 한 쌍의 상기 결합홈부(52)에 양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양단부에 상기 관통홀부(52a)를 통해 상기 결합홈부(52) 외측으로 돌출되는 감지돌기(54a)를 구비하는 지지패널(54)과, 상기 결합홈부(52)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감지돌기(54a)의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위험신호를 송신하는 접촉감지센서(56)로 이루어지는 감지부(50); 및
    상기 접촉감지센서(56)로부터 송신되는 위험신호를 작업자에게 출력하여 상기 전기배관(100)에 외력이 가해짐을 알리는 출력부(7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부(12)로 안착된 상기 전기배관(100)을 상기 수납케이스(10)에 결속하는 결속부(2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속부(200)는,
    상기 수납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 일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바(210);
    상기 수납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 타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바(220);
    상기 한 쌍의 지지바(210)에 상하 이동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바(230);
    상기 고정바(220)에 구비되며, 상기 전기배관(100)의 상부로 안착된 상기 회전바(230)를 결속하는 결속수단(240);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바(210)의 일측을 연결하는 측판(25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210)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공(211)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바(230)는,
    양면에 상기 가이드공(211)으로 결합되는 가이드돌기(231)가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수납케이스(10)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한편,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돌기(231)를 중심으로 상기 안착홈부(12)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전기배관(100)의 상부로 안착되며, 타단부에 체결홈(232)이 형성되고,
    상기 측판(250)은,
    상기 수납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된 상기 회전바(230)를 지지하며,
    상기 결속수단(240)은,
    상기 고정바(22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부가 상기 체결홈(232)으로 인입되는 결속바(241);
    상기 결속바(241)의 일단부와 고정바(22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속바(241)의 외측에 구비되는 플랜지(242);
    상기 플랜지(242)와 고정바(22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속바(24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243); 및
    상기 결속바(241)의 타단부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고정바(220)로부터 상기 결속바(241)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244)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243)은,
    상기 고정바(220)로부터 상기 플랜지(242)를 가압하여 상기 결속바(241)의 일단부가 상기 체결홈(232)으로 인입되도록 하며, 상기 결속바(241)의 타단부를 일단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수축되면서 상기 결속바(241)의 일단부가 상기 체결홈(232)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하고,
    상기 결속바(241)는,
    일단부가 상기 체결홈(232)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회전바(230)의 타단부를 결속하는 한편, 상기 지지바(210)와 고정바(220) 간이 닫힘되도록 하여 상기 안착홈부(12)로부터 전기배관(1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일단부가 상기 체결홈(232)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회전바(230)의 타단부를 결속해제하는 한편, 상기 지지바(210)와 고정바(220) 간이 개방되도록 하여 전기배관(100)이 상기 안착홈부(12)로 안착되도록 하거나, 상기 안착홈부(12)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
KR1020190020338A 2019-02-21 2019-02-21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 KR102029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338A KR102029349B1 (ko) 2019-02-21 2019-02-21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338A KR102029349B1 (ko) 2019-02-21 2019-02-21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349B1 true KR102029349B1 (ko) 2019-10-07

Family

ID=68422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338A KR102029349B1 (ko) 2019-02-21 2019-02-21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3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319B1 (ko) * 2020-02-04 2020-12-16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공동주택 통신케이블의 설치장치
KR102231838B1 (ko) * 2020-06-22 2021-03-26 (주)태양유니스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
KR102513465B1 (ko) * 2022-06-20 2023-03-24 (주)배정기술단 합선방지기능이 탑재된 배전선용 건축물 트렌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921B1 (ko) 2014-11-12 2015-05-04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KR101788848B1 (ko) 2017-05-30 2017-10-20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트렌치
KR101934741B1 (ko) * 2018-06-12 2019-01-03 (주)인곡기술사사무소 전주의 배전식 가공전선 이음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921B1 (ko) 2014-11-12 2015-05-04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KR101788848B1 (ko) 2017-05-30 2017-10-20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트렌치
KR101934741B1 (ko) * 2018-06-12 2019-01-03 (주)인곡기술사사무소 전주의 배전식 가공전선 이음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319B1 (ko) * 2020-02-04 2020-12-16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공동주택 통신케이블의 설치장치
KR102231838B1 (ko) * 2020-06-22 2021-03-26 (주)태양유니스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
KR102513465B1 (ko) * 2022-06-20 2023-03-24 (주)배정기술단 합선방지기능이 탑재된 배전선용 건축물 트렌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349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
KR100849172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
KR101515921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KR100594189B1 (ko) 건축물 벽면매설용 콘센트박스
KR100761047B1 (ko) 공동주택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
KR100988248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WO2009005233A3 (en) Cable duct
KR101964620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KR102410814B1 (ko) 가요전선관 연결용 커넥터 천장 고정판
JP2013207878A (ja) 壁内配線工事方法及びその治具
KR100687602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0805073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JP4446349B2 (ja) 配線用ボックス
KR200460707Y1 (ko) 홈 오토메이션 제어기용 수납박스
JP4069274B2 (ja) 配線ボックス装置
KR100855303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KR20080000659U (ko) 전기 계량기함
KR200204645Y1 (ko) 아파트의 파이프 덕트 스틸 판넬
KR100666012B1 (ko)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되는 배수파이프 지지장치
KR101638934B1 (ko)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KR101717999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KR102659393B1 (ko) 공동주택 벽체에 설치되는 전기배관 보호구
JP4979441B2 (ja) 壁パネル
KR102173649B1 (ko) 세대 통합 분전함
KR101850788B1 (ko) 철골 배선용 덕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