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838B1 -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838B1
KR102231838B1 KR1020200075662A KR20200075662A KR102231838B1 KR 102231838 B1 KR102231838 B1 KR 102231838B1 KR 1020200075662 A KR1020200075662 A KR 1020200075662A KR 20200075662 A KR20200075662 A KR 20200075662A KR 102231838 B1 KR102231838 B1 KR 102231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bar
cover
cab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종배
Original Assignee
(주)태양유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양유니스 filed Critical (주)태양유니스
Priority to KR1020200075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1Wall trun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4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나사못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부 벽면에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길이 방향으로 격벽이 구비된 케이블 배열 칸막이를 플레이트에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시킨 다음 플레이트와 케이블 배열 칸막이 전면에 보호커버를 부착시켜 전기와 통신케이블이 상호 다른 공간에 배열되도록 하는 한편, 커버가 플레이트로 결합된 상태에서 격벽 간으로의 전기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CABLE FIXING APPARATUS FOR ARCHITECTURE}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 중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나사못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부 벽면에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길이 방향으로 격벽이 구비된 케이블 배열 칸막이를 플레이트에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시킨 다음 플레이트와 케이블 배열 칸막이 전면에 보호커버를 부착시켜 전기와 통신케이블이 상호 다른 공간에 배열되도록 하는 한편, 커버가 플레이트로 결합된 상태에서 격벽 간으로의 전기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는 많은 전기와 통신케이블 등을 포함하는 전기 케이블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전기 케이블은 각종 충격에 대하여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보호 몰드의 내측으로 수용되면서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그러나, 이러한 보호 몰드는 접착테이프에 의해 벽면 등에 부착되기 때문에 쉽게 떨어지는 것은 물론, 내측으로 다수의 전기 케이블이 함께 내장되면서 누전 등으로 인한 전기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40946호(2007.07.19.)에는 '전기 케이블용 보호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 케이블용 보호 케이스는 커버가 플레이트로 결합된 상태에서 격벽 간으로의 전기 케이블의 탈착시, 커버를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40946호(2007.07.19.) '공동주택 실내 전기 케이블용 보호 케이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나사못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부 벽면에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길이 방향으로 격벽이 구비된 케이블 배열 칸막이를 플레이트에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시킨 다음 플레이트와 케이블 배열 칸막이 전면에 보호커버를 부착시켜 전기와 통신케이블이 상호 다른 공간에 배열되도록 하는 한편, 커버가 플레이트로 결합된 상태에서 격벽 간으로의 전기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레일홈(111)이 형성되며,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홈(113)에서 일정 간격으로 나사못홀(115)이 형성되는 플레이트(110); 상기 플레이트(110)와 동일 크기로 형성되되,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격벽(121)이 형성되고, 후면에 접착테이프(123)가 부착되어 상기 플레이트(110)의 전면에 부착되는 케이블 배열 칸막이(120); 및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단면이 U자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 양측면에 상기 레일홈(111)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레일 돌기(131)가 형성되는 커버(130)로 구성되는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130)가 상기 플레이트(110)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격벽(121) 간으로의 전기 케이블(101)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폐부(2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130)는, 후단부에 상기 레일 돌기(131)가 형성되는 좌,우커버(132,133)와, 상기 좌,우커버(132,133)의 전단부에 배치되는 전면커버(134)로 나뉘고, 상기 개폐부(200)는, 상기 전면커버(134)의 우측을 상기 우커버(13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210); 상기 좌커버(132)의 전단부 좌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바(220); 상기 전면커버(134)의 좌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속바(230); 및 상기 결속바(230)를 상기 고정바(220)에 결속하는 결속수단(240)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수단(240)은, 상기 고정바(220)로부터 상기 결속바(230)를 결속하는 한편, 상기 고정바(220)로부터 상기 결속바(230)를 결속해제하면서 상기 전면커버(134)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전면커버(134)는,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블 배열 칸막이(120)의 전면부가 개방되면서 상기 격벽(121) 간으로 전기 케이블(101)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사못을 이용하여 벽면에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길이 방향으로 격벽이 구비된 케이블 배열 칸막이를 플레이트에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시킨 다음 플레이트와 케이블 배열 칸막이 상면에 보호 커버를 부착시켜 전기 케이블을 상호 다른 공간에 배열시킴으로써 누전 등으로 인한 화재 등의 전기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가 플레이트로 결합된 상태에서 격벽 간으로의 전기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커버를 플레이트로부터 분리,결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가 벽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가 벽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에서 개폐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전면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 사용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에서 결속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는 플레이트(110), 케이블 배열 칸막이(120) 및 커버(130)로 구성된다.
플레이트(110)는 절연 재질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양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레일홈(111)이 형성되며,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사각 형태의 홈(113)이 형성되고, 홈(113)에서 일정 간격으로 나사못홀(115)이 형성된다.
케이블 배열 칸막이(120)는 플레이트(110)와 동일 재질, 동일 크기로 형성되되, 전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격벽(121)이 형성되고, 후면에 접착테이프(123)가 부착되어 플레이트(110)의 전면에 부착된다.
케이블 배열 칸막이(120)는 서로 다른 지름의 케이블을 수납할 수 있도록 격벽(121)의 간격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되고, 전기 케이블(101)을 고정시키도록 격벽(121)과 격벽(121) 사이의 공간부 바닥면에 케이블 체결클립(125)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전기 케이블(101)은 전기와 통신케이블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커버(130)는 탄성이 있는 절연 재질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단면이 U자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 양측면에 플레이트(110)의 레일홈(111)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레일 돌기(131)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의 설치 과정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설치를 원하는 위치에 플레이트(110)를 위치시킨 다음, 나사못홀(115)에 나사못(103)을 체결하여 건축물의 외부 벽면(105)에 고정시킨다.
이때, 전기 케이블(101)의 길이 및 벽면(105)의 길이에 따라 플레이트(110)를 일렬 또는 직각 형태로 연장하여 부착시킨다.
그런 다음, 케이블 배열 칸막이(120)의 후면에 부착된 접착테이프(123)의 보호필름 즉, 이형지를 제거한 후 케이블 배열 칸막이(120)를 플레이트(110)와 일치시켜 부착한다.
그리고, 케이블 배열 칸막이(120)의 격벽(121)과 격벽(121) 사이의 공간부에 전기 케이블(101)을 수납시키는 데, 전기 케이블(101)의 지름에 따라 수납가능한 공간에 수납시킨 후 전기 케이블(101)을 케이블 체결클립(125)에 체결 고정시킨다.
전기 케이블(101)의 고정이 완료되면 커버(130)를 플레이트(110)에 고정시키는데, 플레이트(110)의 레일홈(111)에 커버(130)의 한 쪽에 형성된 레일 돌기(131)를 삽입한 다음, 커버(130)를 힘으로 변형시켜 다른 쪽에 형성된 레일 돌기(131)를 반대편 레일홈(111)에 결합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1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30)가 플레이트(110)로 결합된 상태에서 격벽(121) 간으로의 전기 케이블(101)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폐부(200)를 더 포함한다.
개폐부(200)는 전기 케이블(101)의 탈착시, 커버(130)를 플레이트(110)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커버(130)가 플레이트(11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전기 케이블(101)에 대한 체결클립(125)으로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커버(130)는 후단부에 레일 돌기(131)가 형성되는 좌,우커버(132,133)와, 좌,우커버(132,133)의 전단부에 배치되는 전면커버(134)로 나뉜다.
좌,우커버(132,133)는 케이블 배열 칸막이(120)의 양측면에 접하고, 전면커버(134)는 케이블 배열 칸막이(120)의 전방부에 배치되면서 개방된 케이블 배열 칸막이(120)의 전면부를 차단한다.
개폐부(200)는 전면커버(134)의 우측을 우커버(13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210), 좌커버(132)의 전단부 좌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바(220), 전면커버(134)의 좌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속바(230) 및 결속바(230)를 고정바(220)에 결속하는 결속수단(240)을 포함한다.
절첩부재(210)는 경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면커버(134)의 우측단부를 우커버(133)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고정바(220)는 좌커버(132)의 전단부로부터 우커버(133)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결속바(230)는 전면커버(134)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고정바(220)와 전후 대향되도록 전면커버(134)의 좌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결속수단(240)은 고정바(220)로부터 결속바(230)를 결속하는 한편, 고정바(220)로부터 결속바(230)를 결속해제하면서 전면커버(134)가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결속수단(240)은 후단부에 형성되는 머리부(241a)가 고정바(220)의 후면에 접하고 전단부가 고정바(220) 및 결속바(230)를 통과하는 결속구(241), 결속구(241)로 나사결합되면서 결속바(230)를 고정바(220)로 결속하는 결속부재(242)를 포함한다.
고정바(220)는 결속바(230)보다 길게 형성되면서 좌측단부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결속구(241)가 통과하는 통공(221)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결속구(23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결속바(230)는 결속구(241)가 통과하는 결속홀(231)이 좌측단부로부터 전면커버(13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결속바(230)는 우측단부가 전면커버(134)에 고정되면서 좌측단부가 개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고정바(220)는 통공(221)이 결속홀(231)보다 좌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결속구(241)는 전면커버(134)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결속부재(242)를 풀림한 상태에서 통공(2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결속홀(231)로부터 이탈 다시 말하면, 벗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속부재(242)는 결속구(241)로부터 분리됨이 없이 결합된 상태에서 결속구(241)와 함께 통공(2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결속바(230)와 이격될 수 있다.
전면커버(134)는 결속구(241)가 결속홀(231)부터 이탈되면서 절첩부재(21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전면커버(134)는 회전에 따라 케이블 배열 칸막이(120)의 전면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격벽(121) 간으로 전기 케이블(101)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전면커버(134)는 전기 케이블(101)의 탈착이 완료되면, 절첩부재(210)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결속바(230)가 고정바(220)와 이웃하도록 한다.
결속구(241)는 결속바(230)가 고정바(220)와 이웃한 상태에서 이동에 따라 결속홀(231)로 인입될 수 있다.
결속부재(242)는 조임 회전을 통해 결속바(230)로 밀착되면서 결속바(230)를 고정바(220)로 결속하는 한편, 전면커버(134)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결속구(241)는 전단부 외주면에 결속부재(24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링(243)이 구비될 수 있다.
이탈방지링(243)은 결속부재(242)가 풀림된 상태에서 결속구(24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개폐부(200)는 전기 케이블(101)의 탈착시, 전면커버(134)의 개방을 통해 커버(130)가 플레이트(11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전기 케이블(101)에 대한 체결클립(125)으로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1 : 전기 케이블 103 : 나사못
105 : 벽면 110 : 플레이트
120 : 케이블 배열 칸막이 130 : 커버
200 : 개폐부 210 : 절첩부재
220 : 고정바 230 : 결속바
240 : 결속수단

Claims (1)

  1.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레일홈(111)이 형성되며,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홈(113)이 형성되고, 홈(113)에서 일정 간격으로 나사못홀(115)이 형성되는 플레이트(110);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격벽(121)이 형성되고, 후면에 접착테이프(123)가 부착되어 플레이트(110)의 전면에 부착되는 케이블 배열 칸막이(120); 및 단면이 U자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 양측면에 레일홈(111)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레일 돌기(131)가 형성되는 커버(130)로 구성되는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에 있어서,
    커버(130)가 플레이트(110)로 결합된 상태에서 격벽(121) 간으로의 전기 케이블(101)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폐부(200)를 더 포함하며,
    커버(130)는,
    후단부에 상기 레일 돌기(131)가 형성되는 좌,우커버(132,133)와, 좌,우커버(132,133)의 전단부에 배치되는 전면커버(134)로 나뉘고,
    개폐부(200)는,
    전면커버(134)의 우측을 우커버(13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210);
    좌커버(132)의 전단부 좌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바(220);
    전면커버(134)의 좌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속바(230); 및
    결속바(230)를 고정바(220)에 결속하는 결속수단(240)을 포함하며,
    결속수단(240)은,
    후단부에 형성되는 머리부(241a)가 고정바(220)의 후면에 접하고 전단부가 고정바(220) 및 결속바(230)를 통과하는 결속구(241);
    결속구(241)로 나사결합되면서 결속바(230)를 고정바(220)로 결속하는 결속부재(242); 및
    결속구(241)의 전단부 외주면에 구비되면서 결속부재(24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링(243)을 포함하면서 고정바(220)로부터 결속바(230)를 결속하는 한편, 고정바(220)로부터 결속바(230)를 결속해제하면서 전면커버(134)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결속바(230)는,
    결속구(241)가 통과하는 결속홀(231)이 좌측단부로부터 전면커버(13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고정바(220)는,
    결속구(241)가 통과하는 통공(221)이 결속홀(231)보다 좌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결속구(241)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 결속홀(231)을 벗어나면서 전면커버(134)에 대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전면커버(134)는,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블 배열 칸막이(120)의 전면부가 개방되면서 상기 격벽(121) 간으로 전기 케이블(101)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
KR1020200075662A 2020-06-22 2020-06-22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 KR102231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662A KR102231838B1 (ko) 2020-06-22 2020-06-22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662A KR102231838B1 (ko) 2020-06-22 2020-06-22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838B1 true KR102231838B1 (ko) 2021-03-26

Family

ID=75259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662A KR102231838B1 (ko) 2020-06-22 2020-06-22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8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44629A (zh) * 2022-06-30 2022-08-26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具有室外电缆保护装置的生活楼
KR102672293B1 (ko) * 2023-10-06 2024-06-05 (주)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실내 전기케이블 보호케이스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946B1 (ko) 2007-04-10 2007-07-19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실내 전기 케이블용 보호 케이스
KR20070113419A (ko) * 2006-05-23 2007-11-29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케이블 고정구
KR200455528Y1 (ko) * 2011-04-07 2011-09-14 (주)케이더블유엠 산업기술 통신 보안 시스템 박스
KR101410153B1 (ko) * 2012-12-11 2014-07-02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개폐식 케이블 덕트
KR101983780B1 (ko) * 2019-03-22 2019-05-30 주식회사 다인그룹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 케이블 보호장치
KR102011445B1 (ko) * 2019-04-23 2019-08-16 주식회사 리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실내 케이블 보호용 보호케이스
KR102029349B1 (ko) * 2019-02-21 2019-10-07 세종기술종합(주)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3419A (ko) * 2006-05-23 2007-11-29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케이블 고정구
KR100740946B1 (ko) 2007-04-10 2007-07-19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실내 전기 케이블용 보호 케이스
KR200455528Y1 (ko) * 2011-04-07 2011-09-14 (주)케이더블유엠 산업기술 통신 보안 시스템 박스
KR101410153B1 (ko) * 2012-12-11 2014-07-02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개폐식 케이블 덕트
KR102029349B1 (ko) * 2019-02-21 2019-10-07 세종기술종합(주)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
KR101983780B1 (ko) * 2019-03-22 2019-05-30 주식회사 다인그룹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 케이블 보호장치
KR102011445B1 (ko) * 2019-04-23 2019-08-16 주식회사 리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실내 케이블 보호용 보호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44629A (zh) * 2022-06-30 2022-08-26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具有室外电缆保护装置的生活楼
CN114944629B (zh) * 2022-06-30 2024-03-15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具有室外电缆保护装置的生活楼
KR102672293B1 (ko) * 2023-10-06 2024-06-05 (주)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실내 전기케이블 보호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64445B2 (ja) ハーネスプロテクタ
US7763799B2 (en) Weatherproof cover and hinge assembly
US4389535A (en) Cable entry port means for electrical outlet box
CA2659995C (en) Concealed emergency lighting equipment with complete retrofit housing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4366343A (en) Cable clamp means and cable entry port closure means for electrical outlet boxes and the like
US7307213B1 (en) Horizontal electrical box with internal mounting arrangement
KR102231838B1 (ko)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전기와 통신케이블 고정장치
US20160198581A1 (en) Electrical equipment module
US4390744A (en) Fixed count terminal
CA2108426A1 (en) Recessed electric outlet with cover plate
US20240039261A1 (en) Mounting Mechanism for an Electrical Device
KR100740946B1 (ko) 공동주택 실내 전기 케이블용 보호 케이스
US10790611B1 (en) Telecommunication box connector with protective outer shield
KR101983780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 케이블 보호장치
EP3021438B1 (en) Electrical insulating box with two options of tightness degree for electricity, information technology and/or telephony
US20230178970A1 (en) Outlet box
KR100337281B1 (ko) 배선덕트
KR100391254B1 (ko) 파형관 연결용 어댑터
KR102191319B1 (ko) 공동주택 통신케이블의 설치장치
KR200233924Y1 (ko) 파형관 연결용 어댑터
KR200176389Y1 (ko) 방수관 개폐용 마개
US11651913B1 (en) Locking device for a toggle light switch
JP3550064B2 (ja) 配線又は配管材の保護ダクト
JP4432083B2 (ja) 配線・配管材の引出カバー
US10411447B1 (en) System for electronic door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