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921B1 -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921B1
KR101515921B1 KR1020140157430A KR20140157430A KR101515921B1 KR 101515921 B1 KR101515921 B1 KR 101515921B1 KR 1020140157430 A KR1020140157430 A KR 1020140157430A KR 20140157430 A KR20140157430 A KR 20140157430A KR 101515921 B1 KR101515921 B1 KR 101515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torage case
connection
groove portion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7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수
Original Assignee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40157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4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in the conduits o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배관이 안착되도록 바닥면에 안착홈부가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상단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부가 형성되며 양측 내벽에 서로 대향되는 복수 개의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수납케이스; 상기 슬라이딩홈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는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되고 제1패널 및 제2패널이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납케이스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의 저면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외측 단부에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홈부와, 한 쌍의 상기 결합홈부에 양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양단부에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상기 결합홈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감지돌기를 구비하는 지지패널과, 상기 결합홈부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감지돌기의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위험신호를 송신하는 접촉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감지부; 상기 접촉감지센서로부터 송신되는 위험신호를 작업자에게 출력하여 상기 전기배관에 외력이 가해짐을 알리는 출력부; 상기 수납케이스의 일단부와 다른 상기 수납케이스의 타단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수납케이스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해제상태를 원터치 방식으로 해제하여 상기 수납케이스 사이의 연결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PROTECTING DEVICE FOR ELECTRICAL PIPE IN BUILDING}
본 발명은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에 시공작업에 의해 벽체에 못 등의 체결부재가 설치될 때에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전기배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기배관 측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이를 감지하여 위험신호를 송신하여 작업자가 전기배관의 파손 위험을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보호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보호장치의 조제 및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전기공사에 있어서, 전기의 경우 전기박스끼리 상호 연결되면서 벽체 등에 매입되고, 미장 등에 의해 마감된 후, 벽지나 타일 등의 최종마감재로 마감되어 있기 때문에 매입된 관로 위치를 쉽게 알지 못하게 된다.
전기배관의 매입 시 일반적으로 수평 또는 수직으로 매입하지만, 상황이 여의치 못하여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을 수 있다.
특히, 철근 콘크리트벽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파이프의 유동으로 인해 위치가 쉽게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매입된 배관선로 위치를 정확하게 알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욕실의 세면대 설치 시 벽체 내부에 매입된 온수 냉수 배관을 파손하게 되거나 벽체에 벽걸이 시계 등 생활용품을 설치하기 위해 못을 박거나, 천정에 전등을 설치하기 위해 해머드릴 등으로 천공을 하다가 파이프 내측 전선의 절단 또는 피복의 벗겨짐으로 인한 누전 우려가 있다.
종래의 벽체에 못이 박힐 때 못은 벽체의 표면에 부착된 마감벽지를 통과하여 벽체의 콘크리트에 박히게 되는데, 벽체에 박히는 못이 전기배관을 파손시키면서 전선에 손상을 입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배관탐지기를 동원하여 배관을 찾기도 하였으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금속이 아닌 배관재로 시공된 경우 쉽게 찾지 못하였으며, 특히 워낙 고가의 장비여서 가정에서 구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렇게 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배관보호구가 출원되었으나, 이러한 배관보호구는 못을 박았을 때 측면으로 슬립되도록 유도하고 있으나, 해머드릴과 같은 경우는 배관보호구를 통과하여 진행하게 되므로 사실상 보호가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벽체에 해머드릴 등으로 못을 박을 때, 배관이 있는 곳일 경우 못이나 해머드릴이 벽체로 들어오면 쉽게 알 수 있는 경고를 하여 배관을 완전히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8248호(2010년 10월 18일 공고, 발명의 명칭 :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전기배관 보호장치는, 전기배관이 수납되는 케이스를 개폐하는 커버의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전기배관 보호장치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렵고, 전기배관 보호장치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작업자에 시공작업에 의해 벽체에 못 등의 체결부재가 설치될 때에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전기배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기배관 측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이를 감지하여 위험신호를 송신하여 작업자가 전기배관의 파손 위험을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보호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보호장치의 조제 및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기배관이 안착되도록 바닥면에 안착홈부가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상단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부가 형성되며 양측 내벽에 서로 대향되는 복수 개의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수납케이스; 상기 슬라이딩홈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는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되고 제1패널 및 제2패널이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납케이스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의 저면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외측 단부에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홈부와, 한 쌍의 상기 결합홈부에 양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양단부에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상기 결합홈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감지돌기를 구비하는 지지패널과, 상기 결합홈부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감지돌기의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위험신호를 송신하는 접촉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감지부; 상기 접촉감지센서로부터 송신되는 위험신호를 작업자에게 출력하여 상기 전기배관에 외력이 가해짐을 알리는 출력부; 상기 수납케이스의 일단부와 다른 상기 수납케이스의 타단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수납케이스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해제상태를 원터치 방식으로 해제하여 상기 수납케이스 사이의 연결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저면 일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측으로 굴곡되는 굴곡부를 구비하는 연결돌기; 상기 굴곡부의 상단부에 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 상기 굴곡부 및 상기 후크가 삽입되도록 상기 수납케이스의 저면 타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안착홈부까지 관통되게 형성되는 연결홀부; 상기 연결홀부로부터 상기 안착홈부를 따라 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후크가 압입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홈부; 및 상기 연결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수납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간섭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해제부는, 상기 삽입홈부로부터 상기 수납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홈부와 비교하여 더 깊게 형성되는 해제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는, 복수 개의 패널이 힌지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커버부를 이루므로 보호장치에 외력이 가해질 때에 커버부가 변형되면서 완충작용을 행하므로 보호장치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작은 외력에 의해 전기배관이나 보호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는, 커버부가 변형되면서 수납케이스 내부로 삽입될 때에 커버부가 단계적으로 지지되는 복수 개의 걸림턱부가 형성되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외력이 보호장치에 가해질 때에 이를 감지하여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위험신호를 출력하고, 계속하여 전기배관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는, 다수 개의 수납케이스가 연속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수납케이스 사이의 연결을 유지시키는 연결부가 구비되므로 다수 개의 수납케이스를 연속되게 설치할 수 있어 수납케이스 보다 긴 전기배관 전체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는, 다수 개의 수납케이스 중에 일부분이 파손되는 경우에 수납케이스 사이의 연결을 손쉽게 해제시키는 해제부가 구비되므로 보호장치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의 커버부 배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의 연결부 및 해제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의 커버부 배면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의 연결부 및 해제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는, 전기배관(100)이 안착되도록 바닥면에 안착홈부(12)가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상단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부(14)가 형성되며 양측 내벽에 서로 대향되는 복수 개의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수납케이스(10)와, 슬라이딩홈부(14)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는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되고 제1패널(32) 및 제2패널(34)이 힌지부(3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납케이스(10)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30)와, 제1패널(32)과 제2패널(34)의 저면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외측 단부에 관통홀부(52a)가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홈부(52), 한 쌍의 결합홈부(52)에 양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양단부에 관통홀부(52a)를 통해 결합홈부(52) 외측으로 돌출되는 감지돌기(54a)를 구비하는 지지패널(54), 및 결합홈부(52)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고 감지돌기(54a)의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위험신호를 송신하는 접촉감지센서(56)로 이루어지는 감지부(50)와, 접촉감지센서로부터 송신되는 위험신호를 작업자에게 출력하여 전기배관(100)에 외력이 가해짐을 알리는 출력부(70)와, 수납케이스(10)의 일단부와 다른 수납케이스(10)의 타단부를 연결하도록 수납케이스(1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부(80)와, 연결부(80)의 해제상태를 원터치 방식으로 해제하여 수납케이스(10) 사이의 연결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부(90)를 포함한다.
벽체에 형성되는 설치홈부(1)에 수납케이스(10)를 삽입하고, 수납케이스(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안착홈부(12)에 전기배관(100)을 안착시켜 전기배관(100)이 안정적으로 수납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수납케이스(10)는 전기배관(100)의 길이에 따라 다수 개가 연속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수납케이스(10)는 연결부(80)에 의해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다수 개의 수납케이스(10)를 설치홈부(1)에 삽입한 후에 연결부(80)의 조작에 의해 다수 개의 수납케이스(10)가 연결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다수 개의 수납케이스(10) 바닥면에 전기배관(100)이 배치되도록 안착홈부(12)에 전기배관(100)을 삽입한다.
이후에, 슬라이딩홈부(14)를 따라 슬라이딩돌기를 삽입하면서 다수 개의 커버부(30)가 연속되게 배치되도록 설치하여 수납케이스(10)의 내부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패널(32) 및 제2패널(34)이 힌지부(36)에 의해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커버부(30)의 저면에는 전기배관(100)의 연장방향과 직교되도록 다수 개의 지지패널(54)이 한 쌍의 결합홈부(52)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지지패널(54)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감지돌기(54a)는 관통홀부(52a)를 통해 결합홈부(52)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감지돌기(54a)와 접촉감지센서(56)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지지패널(54)은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금속패널로 이루어지므로 커버부(30)에 외력이 가해지면 지지패널(54)의 중앙부가 하측으로 굴곡되면서 제1패널(32) 및 제2패널(34)이 힌지부(36)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커버부(30)가 수납케이스(10)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지지패널(54)의 중앙부가 하측 방향으로 굴곡되면 감지돌기(54a)가 점촉감지센서로부터 분리되므로 접촉감지센서(56)로부터 위험신호가 송신되어 출력부(70)를 이루는 경고음발생기(72)로부터 경고음이 출력되어 벽체에 못 등의 체결부재를 시공하고 있는 작업자가 전기배관(100) 측으로 외력을 가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전기배관(100)이 시공되지 않은 다른 위치의 벽체에 체결부재를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외력이 커버부(30)에 가해지는 경우에는 지지패널(54)이 변형되면서 커버부(30)가 수납케이스(10) 내부로 삽입되고, 외력이 소멸되면 지지패널(54)의 복원력에 의해 제1패널(32) 및 제2패널(34)이 수평상태로 복원되면서 커버부(30)에 의한 수납케이스(10)의 폐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수납케이스(10)의 내벽에는 돌출 길이가 가장 짧은 제1걸림턱부(16)가 슬라이딩홈부(14) 하측에 형성되고, 제1걸림턱부(16)로부터 간격을 유지하며 하측으로 제1걸림턱부(16)와 비교하여 돌출 길이가 긴 제2걸림턱부(17)가 형성되고, 제2걸림턱부(17)로부터 간격을 유지하며 하측으로 제2걸림턱부(17)와 비교하여 돌출 길이가 긴 제3걸림턱부(18)가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부(30)에 상대적으로 작은 외력이 3차에 걸쳐 가해져도 지지패널(54)이 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커버부(30)는 제1걸림턱부(16), 제2걸림턱부(17) 및 제3걸림턱부(18)까지 삽입되면서 경고음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3차례에 걸쳐 발생되는 경고음 중 어는 하나의 경고음을 인지하여 체결부재의 시공을 중단하면 커버부(30)는 수납케이스(1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1걸림턱부(16), 제2걸림턱부(17) 또는 제3걸림턱부(18)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전기배관(100) 및 보호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패널(54)의 소성변형을 유발시키는 상대적으로 큰 외력이 커버부(30)에 가해지면 지지패널(54)의 중앙부가 하측으로 오목하게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접촉감지센서(56)로부터 위험신호가 연속되게 출력되므로 작업자는 커버부(30) 또는 수납케이스(10)의 교체작업을 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연결부(80)는, 수납케이스(10)의 저면 일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측으로 굴곡되는 굴곡부(82a)를 구비하는 연결돌기(82)와, 굴곡부(82a)의 상단부에 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82b)와, 굴곡부(82a) 및 후크(82b)가 삽입되도록 수납케이스(10)의 저면 타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수납케이스(10)의 저면으로부터 안착홈부(12)까지 관통되게 형성되는 연결홀부(84)와, 연결홀부(84)로부터 안착홈부(12)를 따라 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후크(82b)가 압입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홈부(84a)와, 연결돌기(82)가 삽입되도록 수납케이스(10)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간섭홈부(86)를 포함한다.
수납케이스(10)의 일단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돌기(82)는, 단부가 상측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굴곡부(82a)를 구비하고, 굴곡부(82a)의 상단에는 후크(82b)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후크(82b)의 상단에는 후크(82b)의 결합을 해제하는 레버가 일체로 형성된다.
수납케이스(10)의 타단 저면에는 연결돌기(82)가 삽입되는 간섭홈부(86)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간섭홈부(86)의 내측 단부와 연결되도록 연결홀부(84)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안착홈부(12)까지 형성된다.
연결홀부(84)의 상단으로부터 수납케이스(10)의 단부 측으로 삽입홈부(84a)가 형성되고, 삽입홈부(84a)의 바닥면에는 후크(82b)가 압입되는 홈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납케이스(10)의 일단에 대향되도록 다른 수납케이스(10)의 타단을 밀착시키면 굴곡부(82a) 및 후크(82b)가 연결홀부(84)를 통해 안착홈부(12) 측으로 돌출되고, 작업자가 후크(82b)를 삽입홈부(84a) 측으로 회전시키면 후크(82b)가 삽입홈부(84a)에 압입되면서 한 쌍의 수납케이스(10)가 연속되게 배치되며 연결된다.
수납케이스(10)의 교체을 위해 벽체로부터 다수 개 중의 일부분의 수납케이스(10)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해제부(90)를 작동시켜 수납케이스(10) 사이의 연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해제부(90)는, 삽입홈부(84a)로부터 수납케이스(1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삽입홈부(84a)와 비교하여 더 깊게 형성되는 해제홈부(92)를 포함하므로 작업자가 해제홈부(92) 내측으로 손이나 공구를 삽입하여 후크(82b)를 삽입홈부(84a) 외측으로 당기면 후크(82b)와 삽입홈부(84a)의 압입상태를 쉽게 해제할 수 있으므로 수납케이스(10) 사이의 연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작업자에 시공작업에 의해 벽체에 못 등의 체결부재가 설치될 때에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전기배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기배관 측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이를 감지하여 위험신호를 송신하여 작업자가 전기배관의 파손 위험을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보호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보호장치의 조제 및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보호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설치홈부 10 : 수납케이스
12 : 안착홈부 14 : 슬라이딩홈부
16 : 제1걸림턱부 17 : 제2걸림턱부
18 : 제3걸림턱부 30 : 커버부
32 : 제1패널 34 : 제2패널
36 : 힌지부 38 : 슬라이딩돌기
50 : 감지부 52 : 결합홈부
52a : 관통홀부 54 : 지지패널
54a : 감지돌기 56 : 접촉감지센서
70 : 출력부 72 : 경고음발생기
80 : 연결부 82 : 연결돌기
82a : 굴곡부 82b : 후크
84 : 연결홀부 84a : 삽입홈부
86 : 간섭홈부 90 : 해제부
92 : 해제홈부 100 : 전기배관

Claims (3)

  1. 전기배관이 안착되도록 바닥면에 안착홈부가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상단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부가 형성되며 양측 내벽에 서로 대향되는 복수 개의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수납케이스;
    상기 슬라이딩홈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는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되고 제1패널 및 제2패널이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납케이스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의 저면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외측 단부에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홈부와, 한 쌍의 상기 결합홈부에 양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양단부에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상기 결합홈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감지돌기를 구비하는 지지패널과, 상기 결합홈부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감지돌기의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위험신호를 송신하는 접촉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감지부;
    상기 접촉감지센서로부터 송신되는 위험신호를 작업자에게 출력하여 상기 전기배관에 외력이 가해짐을 알리는 출력부;
    상기 수납케이스의 일단부와 다른 상기 수납케이스의 타단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수납케이스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해제상태를 원터치 방식으로 해제하여 상기 수납케이스 사이의 연결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저면 일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측으로 굴곡되는 굴곡부를 구비하는 연결돌기;
    상기 굴곡부의 상단부에 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
    상기 굴곡부 및 상기 후크가 삽입되도록 상기 수납케이스의 저면 타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안착홈부까지 관통되게 형성되는 연결홀부;
    상기 연결홀부로부터 상기 안착홈부를 따라 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후크가 압입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홈부; 및
    상기 연결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수납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간섭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부는, 상기 삽입홈부로부터 상기 수납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홈부와 비교하여 더 깊게 형성되는 해제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40157430A 2014-11-12 2014-11-12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KR101515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430A KR101515921B1 (ko) 2014-11-12 2014-11-12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430A KR101515921B1 (ko) 2014-11-12 2014-11-12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5921B1 true KR101515921B1 (ko) 2015-05-04

Family

ID=53393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7430A KR101515921B1 (ko) 2014-11-12 2014-11-12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9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819B1 (ko) * 2016-09-05 2016-12-22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장치
KR101688816B1 (ko) * 2016-09-05 2016-12-22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
KR102029349B1 (ko) 2019-02-21 2019-10-07 세종기술종합(주)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
KR102143013B1 (ko) * 2020-01-31 2020-08-10 주식회사 다보테크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4834A (ja) * 2002-04-25 2003-1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ケーブルダクト及び直動ユニット
KR100943190B1 (ko) * 2009-09-21 2010-02-19 박혜숙 지중 배전의 배전선 보호장치
KR100988248B1 (ko) * 2010-08-20 2010-10-18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KR200462313Y1 (ko) * 2012-06-28 2012-09-05 손홍열 전선 정리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4834A (ja) * 2002-04-25 2003-1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ケーブルダクト及び直動ユニット
KR100943190B1 (ko) * 2009-09-21 2010-02-19 박혜숙 지중 배전의 배전선 보호장치
KR100988248B1 (ko) * 2010-08-20 2010-10-18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KR200462313Y1 (ko) * 2012-06-28 2012-09-05 손홍열 전선 정리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819B1 (ko) * 2016-09-05 2016-12-22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장치
KR101688816B1 (ko) * 2016-09-05 2016-12-22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옥내 배전 전선관 보호시스템 시공방법
KR102029349B1 (ko) 2019-02-21 2019-10-07 세종기술종합(주)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
KR102143013B1 (ko) * 2020-01-31 2020-08-10 주식회사 다보테크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921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KR100849172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 장치
KR102029349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 벽체의 전기용 트렌치
KR100988248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KR101425509B1 (ko)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KR100854443B1 (ko) 건축용 내부 벽체의 전선보호관
KR101964620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KR20160048556A (ko) 도어의 개폐상태 감지장치
US20140102745A1 (en) Electrical Screw Extender
KR101093898B1 (ko) 건축물용 매입형 전기스위치박스
JP2012097545A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KR102145789B1 (ko) 천장에 시공되는 점검구
JP4446349B2 (ja) 配線用ボックス
KR100855303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GB2525010A (en) Clamp
JP4069274B2 (ja) 配線ボックス装置
US9739465B1 (en) Sconce box assembly for shallow wall cavities and various wallboard thicknesses
KR101717999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KR100666012B1 (ko)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되는 배수파이프 지지장치
KR101110760B1 (ko) 벽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전선 보호덕트
JP6609531B2 (ja) 埋設式ガス栓の取付構造
CA2852337A1 (en) Faceplate and hanging device
KR101766250B1 (ko) 분리형 커넥터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KR100825913B1 (ko) 보일러 입출수관 연결함
KR200491907Y1 (ko) 가스배관용 방범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