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013B1 -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 - Google Patents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013B1
KR102143013B1 KR1020200012242A KR20200012242A KR102143013B1 KR 102143013 B1 KR102143013 B1 KR 102143013B1 KR 1020200012242 A KR1020200012242 A KR 1020200012242A KR 20200012242 A KR20200012242 A KR 20200012242A KR 102143013 B1 KR102143013 B1 KR 102143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cable
opening
hook memb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보테크
Priority to KR1020200012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8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 개의 케이블이 고정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중앙부에 상측으로 연장되는 승강대가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승강대가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천장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고정대; 상기 승강대의 둘레면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랙부, 상기 랙부에 기어연결되도록 상기 고정대 둘레면에 형성되는 설치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의 회전축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설치홈부 외측으로 연장되며 제1굴곡부 및 제2굴곡부를 구비하는 조작레버, 및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운동을 구속하여 상기 피니언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승강부; 상기 지지판에 용접되고 하측으로 오목하게 곡면을 이루도록 굴곡되는 제1베이스프레임,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과 비교하여 지름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 개의 제1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제2베이스프레임,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측으로 오복하게 곡면을 이루도록 굴곡되는 제1개폐프레임, 상기 제1개폐프레임과 비교하여 지름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개폐프레임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 개의 제2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제2개폐프레임, 및 상기 제1관통홀부 또는 상기 제2관통홀부를 통해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제2개폐프레임 내부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개폐프레임과 상기 제2개폐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튜브부재를 포함하는 구속부;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제1개폐프레임이 대향되게 배치되어 폐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부; 및 상기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단락 신호를 감지하여 단락여부를 송신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고정대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 단부에 상기 조작레버가 삽입되는 홈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속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속대; 상기 구속부재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속부재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조작레버가 상기 구속부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부재;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구속부재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구속대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속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굴곡되어 레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 {Power distribution cable short circuit detection and reinforcement structure}
본 발명은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구속부가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돌기부로 이루어지므로 케이블이 구속된 상태에서 지지대를 승하강시켜도 구속부에 의해 케이블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고정된 케이블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케이블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이음 연결되는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케이블 높이 조절작업 후에 케이블의 높이가 가변되지 않도록 손쉽게 구속시킬 수 있고, 별도의 측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케이블에 단락이 발생되는지 감지할 수 있는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가 급격한 산업화, 정보화 및 도시화를 거치면서 밀집된 지역에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하여, 최근에는 전력 소비량의 급증으로 인한 사고가 많아져 전력을 산업시설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또한, 자연 재해로 인한 전력 공급의 차질을 줄이기 위한 노력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력을 일반 수용가에까지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송전선이나 배전선을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송전선이나 배전선은 송전탑이나 전신주를 이용하여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송전탑이나 전신주는 낙뢰로부터 안전하지 못하여 접지장치를 설치하여 낙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하여, 인구의 증가로 인해 주거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공동주택인 아파트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아파트는 실내에 모든 시설이 완비되어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선호하는 주택의 한 형태가 되고 있다.
또한, 공동주택 내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유선 방송 케이블을 배선하는 경우 근래에 들어 전기 케이블을 천정에 매달기식으로 배선하고 있으며, 이러한 배선의 분기를 위한 분전함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공동주택용 케이블 고정장치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0968077호의 "공동주택 배전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 등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는, 케이브를 구속하는 부위의 기술구성이 유동성 없이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케이블이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면 고정장치에 의해 구속된 케이블과 고정장치 외측에 배치되는 케이블이 각을 이루면서 굴곡되어 케이블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구속부가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돌기부로 이루어지므로 케이블이 구속된 상태에서 지지대를 승하강시켜도 구속부에 의해 케이블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고정된 케이블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케이블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이음 연결되는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케이블 높이 조절작업 후에 케이블의 높이가 가변되지 않도록 손쉽게 구속시킬 수 있고, 별도의 측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케이블에 단락이 발생되는지 감지할 수 있는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수 개의 케이블이 고정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중앙부에 상측으로 연장되는 승강대가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승강대가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천장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고정대; 상기 승강대의 둘레면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랙부, 상기 랙부에 기어연결되도록 상기 고정대 둘레면에 형성되는 설치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의 회전축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설치홈부 외측으로 연장되며 제1굴곡부 및 제2굴곡부를 구비하는 조작레버, 및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운동을 구속하여 상기 피니언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승강부; 상기 지지판에 용접되고 하측으로 오목하게 곡면을 이루도록 굴곡되는 제1베이스프레임,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과 비교하여 지름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 개의 제1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제2베이스프레임,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측으로 오복하게 곡면을 이루도록 굴곡되는 제1개폐프레임, 상기 제1개폐프레임과 비교하여 지름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개폐프레임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 개의 제2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제2개폐프레임, 및 상기 제1관통홀부 또는 상기 제2관통홀부를 통해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제2개폐프레임 내부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개폐프레임과 상기 제2개폐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튜브부재를 포함하는 구속부;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제1개폐프레임이 대향되게 배치되어 폐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부; 및 상기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단락 신호를 감지하여 단락여부를 송신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고정대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 단부에 상기 조작레버가 삽입되는 홈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속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속대; 상기 구속부재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속부재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조작레버가 상기 구속부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부재;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구속부재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구속대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속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굴곡되어 레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잠금고리; 상기 잠금고리에 걸림결합되도록 상기 제1개폐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굴곡대에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부재; 및 상기 후크부재를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잠금고리에 걸림결합되면 상기 후크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잠금고리와 상기 후크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굴곡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대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탄성걸림부; 및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 상기 후크부재의 단부 사이에 용접되어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케이스 내부로 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 내벽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센서;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 내벽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에서 유실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단락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 구비되고,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접속단자부; 및 상기 돌기부의 돌출여부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부를 서로 접속 또는 분리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은, 지지판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구속부가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돌기부에 의해 케이블을 지지하므로 다수 개의 케이블 중에 어느 하나의 케이블을 교체하거나 수리할 때에 구속부에 의해 고정되는 다른 케이블이 돌기부에 의해 지지되므로 교체되지 않는 케이블이 베이스프레임 또는 개폐프레임에 의해 꺾이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은,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케이블을 개별적으로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간의 간섭이나 케이블이 서로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은, 높이조절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와, 조작부의 작동을 구속하는 구속부가 구비되므로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다수 개의 케이블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케이블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은, 케이블을 교체할 때에 원터치 방식으로 케이블의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은, 구조가 간단하며 설치가 용이하고, 천재지변으로 인해 단락된 케이블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지상 또는 매설되는 케이블에 선택적으로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단락된 케이블을 이음 연결할 시 이음 연결된 케이블에 누수방지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음된 부분에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재차 단락되는 경우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경제적 효율성이 우수하며 누전사고를 방지 하며 외관상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은, 본체부를 지지판 부재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 배전선 케이블을 시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배전선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은, 조작레버의 조작이 종료된 후에 케이블의 높이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조작레버를 구속하는 구속부가 구비되고, 구속부에 의한 조작레버의 구속상태를 손쉽게 해제시키는 분리부가 구비되므로 작업자가 손쉽게 조작레버를 구속 또는 해제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은, 조작레버의 구속상태를 해제할 때에 레버부재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작동에 의해 구속대와 조작레버의 연결이 간단히 해제되고, 구속대가 후퇴되면서 구속부재로부터 조작레버를 분리시키는 해제작동부가 구비되므로 조작레버의 해제작동을 보다 더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를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의 분리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의구속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의 구속부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의 잠금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의 분리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의구속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의 구속부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의 잠금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은, 다수 개의 케이블이 고정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중앙부에 상측으로 연장되는 승강대(113)가 설치되는 지지판(112)과, 승강대(113)가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천장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고정대(111)와, 승강대(113)의 둘레면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랙부(113b), 랙부(113b)에 기어연결되도록 고정대(111) 둘레면에 형성되는 설치홈부(111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111c), 피니언(111c)의 회전축에 일체로 고정되고 설치홈부(111b) 외측으로 연장되며 제1굴곡부(152a) 및 제2굴곡부(152b)를 구비하는 조작레버(152), 및 조작레버(152)의 회전운동을 구속하여 피니언(111c)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회전방지부(150)를 포함하는 승강부(120)와, 지지판(112)에 용접되고 하측으로 오목하게 곡면을 이루도록 굴곡되는 제1베이스프레임(12), 제1베이스프레임(12)과 비교하여 지름이 작게 형성되고 제1베이스프레임(12)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 개의 제1관통홀부(14a)가 형성되는 제2베이스프레임(14), 제1베이스프레임(12)의 상단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측으로 오복하게 곡면을 이루도록 굴곡되는 제1개폐프레임(16), 제1개폐프레임(16)과 비교하여 지름이 작게 형성되고 제1개폐프레임(16)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 개의 제2관통홀부(18a)가 형성되는 제2개폐프레임(18), 및 제1관통홀부(14a) 또는 제2관통홀부(18a)를 통해 제2베이스프레임(14) 및 제2개폐프레임(18) 내부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돌기부(19a)를 구비하며 제1베이스프레임(12)과 제2베이스프레임(14) 사이에 설치되고 제1개폐프레임(16)과 제2개폐프레임(18) 사이에 설치되는 튜브부재(19)를 포함하는 구속부(10)와, 제1베이스프레임(12)과 제1개폐프레임(16)이 대향되게 배치되어 폐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부(30)와,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단락 신호를 감지하여 단락여부를 송신하는 감지부(110)를 포함한다.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지지판(112)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승강대(113)가 설치되고, 지지판(112)의 상면에는 다수 개의 제1베이스프레임(12)이 용접되어 고정된다.
제1베이스프레임(12) 내부에는 연결부재(20)에 의해 제2베이스프레임(14)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베이스프레임(12)과 제2베이스프레임(14) 사이의 간격에는 튜브부재(19)가 개재된다.
제1베이스프레임(12)의 상단 일측에는 제1개폐프레임(16)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개폐프레임(16)의 내부에는 제2개폐프레임(18)이 연결부재(20)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개폐프레임(16)과 제2개폐프레임(18) 사이의 간격에는 튜브부재(19)가 개재된다.
연결부재(20)를 이루는 주름판(22)의 양단부에는 슬라이딩돌기(22a)가 형성되므로 제1베이스프레임(12)과 제2베이스프레임(14)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부(24)를 따라 삽입되면서 제1베이스프레임(12)과 제2베이스프레임(14) 사이의 간격을 폐쇄하여 튜브부재(19)가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제1개폐프레임(16)과 제2개폐프레임(18) 사이의 간격에도 동일한 구조로 연결부재(20)가 설치되어 튜브부재(19)의 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잠금부(30)는, 제1베이스프레임(12)에 설치되는 잠금고리(32)와, 잠금고리(32)에 걸림결합되도록 제1개폐프레임(16)으로부터 돌출되는 굴곡대(34a)에 힌지부(34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부재(34)와, 후크부재(34)를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후크부재(34)가 잠금고리(32)에 걸림결합되면 후크부재(34)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잠금고리(32)와 후크부재(34)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지지부(36)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개폐프레임(16)의 측단부에 설치되는 잠그부를 잡고 제1베이스프레임(12) 측으로 가압하면 제2개폐프레임(18)의 양단부가 제2베이스프레임(14)의 양단부에 밀착되면서 원 모양의 단면을 이루게 되고, 이때, 제2베이스프레임(14) 및 제2개폐프레임(18)에 의해 튜브부재(19)가 제1베이스프레임(12) 및 제1개폐프레임(16) 내벽 측으로 가압되면서 튜브부재(19) 내부에 충진되는 작동유체가 돌기부(19a) 측으로 이동되면서 돌기부(19a)를 케이블 측으로 돌출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관통홀부(14a) 및 제2관통홀부(18a)를 통해 제2베이스프레임(14)과 제2개폐프레임(18) 내부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돌기부(19a)가 케이블을 지지하게 되므로 케이블은 유동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다수 개의 케이블 중 어느 하나의 케이블을 교체하기 위하여 지지판(112)을 하강시켜도 교체되지 않는 케이블이 제1베이스프레임(12), 제2베이스프레임(14), 제1개폐프레임(16) 및 제2개폐프레임(18)에 접촉되지 않고 돌기부(19a)를 가압하면서 곡면으로 굴곡되므로 교체되지 않는 케이블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판(112)의 승강작동은 승강부(120)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지지판(112)을 승강시킬 때에는 제1직각부(158a) 및 제2직각부(158b)를 구비하는 걸림고리(158)를 손잡이(158c)를 잡고 제한블록(155) 외측으로 당긴 후에 제1직각부(158a) 및 제2직각부(158b)에 의해 이루어지는 걸림고리(158)를 조작레버(152)에 형성되는 제1굴곡부(152a) 또는 제2굴곡부(152b)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조작레버(152)를 회전시키면서 피니언(111c)을 회전시켜 랙부(113b)가 승하강되도록 한다.
이후에, 지지판(112)의 높이가 결정되면 조작레버(152)와 회전방지부(150)를 걸림결합시켜 조작레버(152)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지지판(112)의 높이가 작업자의 의도에 맞지 않게 가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회전방지부(150)는, 고정대(111)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 단부에 조작레버가 삽입되는 홈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속부재(158a)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속대(158)와, 구속부재(158a)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속부재(158a) 내부로 삽입되는 조작레버가 구속부재(158a)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부재와, 후크부재를 구속부재(158a)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158c)와, 구속대(158)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구속대(158)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굴곡되어 레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레버부재(156)를 포함한다.
구속대(158)는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 단부에 'ㄷ'모양으로 굴곡되는 구속부재(158a)가 형성되고, 구속부재(158a)의 내벽에는 한 쌍의 후크부재가 서로 대향되고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구속부재(158a) 내부로 삽입되는 조작레버는 후크부재를 작동공간부 내측으로 가압하면서 구속부재(158a) 내부로 삽입되고, 조작레버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1탄성부재(158c)의 복원력에 의해 후크부재가 구속부재(158a) 내부로 돌출되면서 조작레버를 구속하게 된다.
구속대(158)의 내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후단부에는 레버부재(156)가 형성되고, 레버부재(156)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분리부(190)의 작동에 의해 후트부재가 작동공간부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조작레버의 구속이 해제되고, 해제작동부(180)의 작동에 의해 구속대(158) 및 구속부재(158a)가 후퇴되면서 조작레버와 구속부재(158a)가 분리되어 조작레버의 해제작동을 손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분리부(190)는, 후크부재와 비교하여 구속부재(158a) 내측에 배치되고, 구속부재(158a) 내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제노브(192)와, 해제노브(192)로부터 구속부재(158a)의 작동공간부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대(192a)와, 해제노브(192)를 구속부재(158a) 내측 방향으로 돌출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194)와, 해제노브(192)가 작동공간부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직선운동을 증폭시켜 이동거리를 증가시키면서 후크부재의 후퇴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증폭전달부(196)를 포함한다.
작업자가 레버부재(156)를 잡고 구속대(158)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작레버가 구속부재(158a) 내벽과 간섭되면서 해제노브(192)를 작동공간부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해제노브(192)의 배면으로부터 작동공간부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대(192a)가 증폭전달부(196)를 가압하면서 후크부재의 후퇴운동으로 전달하게 되므로 한 쌍의 후크부재가 작동공간부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조작레버의 구속상태가 해제된다.
본 실시예의 증폭전달부(196)는, 연장대(192a)의 내측 단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렛대(196a)와, 지렛대(196a)의 중앙부를 회전 가능하게 작동공간부에 연결되는 힌지부(196b)와, 지렛대(196a)의 타단과 후크부재 배면 사이에 설치되는 해제와이어(198)와, 해제와이어(198)의 진행방향을 변환시키도록 해제와이어(198)가 감겨져 작동공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198a)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속부재(158a)가 회전되면서 구속부재(158a)의 내벽과 조작레버가 간섭되어 해제노브(192)가 작동공간부 내측으로 삽입되면 연장대(192a)가 지렛대(196a) 일단을 힌지부(196b)를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지렛대(196a)의 타단이 해제와이어(198)를 당기면서 후크부재를 작동공간부 내측으로 삽입시키게 된다.
이때, 힌지부(196b)는 지렛대(196a)의 중앙부로부터 연장대(192a) 측에 가깝게 배치되므로 해제노브(192)의 직선운동 거리가 짧아도 후크부재의 직선운동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어지도록 운동량을 증폭시켜 전달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해제작동부(180)는, 구속대(158)가 슬라이딩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대에 설치되는 작동본체(182)와, 작동본체(182)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구속대(158)에 일체로 형성되며, 구속대(158)와 비교하여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작동블록(184)과, 작동블록(184)과 작동본체(182) 내벽 사이에 개재되고, 작동블록(184)을 조작레버로부터 먼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3탄성부재(186)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레버부재(156)를 회전시켜 후크부재를 후퇴시키면서 구속부재(158a)와 조작레버를 분리시키면 제3탄성부재(186)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구속대(158)가 후퇴되면서 구속부재(158a)와 조작레버가 분리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탄성지지부(36)는, 힌지부(34b)에 의해 굴곡대(34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대에 설치되어 후크부재(3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탄성걸림부(36a)와, 케이스의 내벽과 후크부재(34)의 단부 사이에 용접되어 후크부재(34)를 케이스 내부로 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36b)를 포함한다.
제2베이스프레임(14) 내부에 케이블을 안착시킨 후에 제1개폐프레임(16)을 회전시켜 케이블의 상부를 감싸도록 배시키고, 후크부재(34)를 케이스 외측으로 당기면 제2탄성부재(36b)가 인장되면서 케이스 외측으로 이동되고, 케이스 외측으로 이동시킨 후크부재(34)를 잠금고리(32)에 걸림결합시키면 후크부재(34)가 구속되면서 제2탄성부재(36b)의 의한 탄성력이 후크부재(34)에 제공된다.
따라서 후크부재(34)와 잠금고리(32)를 걸림결합시킨 후에는 제2탄성부재(36b)에 의해 후크부재(34)와 잠금고리(32)가 분리되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감지부(110)는, 제1베이스프레임 내벽에 설치되고, 케이블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센서(112)와, 제2베이스프레임 내벽에 설치되고, 케이블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1센서(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케이블에서 유실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단락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114)와, 제1센서(112) 및 제2센서(114)에 구비되고, 제1센서(112)와 제2센서(114)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접속단자부(116)와, 돌기부의 돌출여부에 따라 접속단자부(116)를 서로 접속 또는 분리시키는 연동부(1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베이스프레임 및 제2베이스프레임 내부에 제1센서(112) 및 제2센서(114)를 설한 후에 케이블을 설치하면 돌기부가 제1베이스프레임 및 제2베이스프레임 내부로 돌출되면서 케이블을 지지함과 동시에 연동부(130)를 구동시켜 제1센서(112)와 제2센서(114)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연동부(130)는, 제2단자(118)를 제2센서(11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132)와, 힌지부(132)에 설치되어 제2단자(118)가 제2센서(114)로부터 펼쳐져서 제1관통홀부를 덮도록 하는 탄성부재(134)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센서(114)를 제2베이스프레임 내벽에 설치하면 제2단자(118)는 탄성부재(134)로부터 전달되는 탄성력에 의해 제2센서(114)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를 이루고,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블의 설치를 완료하면 돌기부가 제1관통홀부를 통해 돌출되면서 제2단자(118)를 제1센서(112) 측으로 굴곡시키면서 제1단자(117)와 제2단자(118)가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센서(112) 및 제2센서(114)는 케이블을 감싸는 링 모양으로 연결되어 제1단자(117)와 제2단자(118)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케이블에서 유실되는 전류를 효과적으로 감지하여 단락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구속부가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돌기부로 이루어지므로 케이블이 구속된 상태에서 지지대를 승하강시켜도 구속부에 의해 케이블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고정된 케이블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케이블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이음 연결되는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케이블 높이 조절작업 후에 케이블의 높이가 가변되지 않도록 손쉽게 구속시킬 수 있고, 별도의 측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케이블에 단락이 발생되는지 감지할 수 있는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보강구조물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구속부 12 : 제1베이스프레임
14 : 제2베이스프레임 14a : 제1관통홀부
16 : 제1개폐프레임 18 : 제2개폐프레임
18a : 제2관통홀부 19 : 튜브부재
19a : 돌기부 20 : 연결부재
22 : 주름판 22a : 슬라이딩돌기
24 : 슬라이딩홈부 30 : 잠금부
32 : 잠금고리 34 : 후크부재
34a : 굴곡대 34b : 힌지부
36 : 탄성지지부 36a : 탄성걸림부
36b : 제2탄성부재 112 : 지지판
113 : 승강대 120 : 승강부
150 : 회전방지부

Claims (4)

  1. 다수 개의 케이블이 고정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중앙부에 상측으로 연장되는 승강대가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승강대가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천장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고정대;
    상기 승강대의 둘레면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랙부, 상기 랙부에 기어연결되도록 상기 고정대 둘레면에 형성되는 설치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의 회전축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설치홈부 외측으로 연장되며 제1굴곡부 및 제2굴곡부를 구비하는 조작레버, 및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운동을 구속하여 상기 피니언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승강부;
    상기 지지판에 용접되고 하측으로 오목하게 곡면을 이루도록 굴곡되는 제1베이스프레임,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과 비교하여 지름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 개의 제1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제2베이스프레임,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측으로 오복하게 곡면을 이루도록 굴곡되는 제1개폐프레임, 상기 제1개폐프레임과 비교하여 지름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개폐프레임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 개의 제2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제2개폐프레임, 및 상기 제1관통홀부 또는 상기 제2관통홀부를 통해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제2개폐프레임 내부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개폐프레임과 상기 제2개폐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튜브부재를 포함하는 구속부;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제1개폐프레임이 대향되게 배치되어 폐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부; 및
    상기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단락 신호를 감지하여 단락여부를 송신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고정대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 단부에 상기 조작레버가 삽입되는 홈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속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속대;
    상기 구속부재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속부재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조작레버가 상기 구속부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부재;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구속부재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구속대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속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굴곡되어 레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레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잠금고리;
    상기 잠금고리에 걸림결합되도록 상기 제1개폐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굴곡대에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부재; 및
    상기 후크부재를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잠금고리에 걸림결합되면 상기 후크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잠금고리와 상기 후크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굴곡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대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탄성걸림부; 및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 상기 후크부재의 단부 사이에 용접되어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케이스 내부로 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 내벽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센서;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 내벽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에서 유실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단락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 구비되고,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접속단자부; 및
    상기 돌기부의 돌출여부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부를 서로 접속 또는 분리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12242A 2020-01-31 2020-01-31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 KR102143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242A KR102143013B1 (ko) 2020-01-31 2020-01-31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242A KR102143013B1 (ko) 2020-01-31 2020-01-31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013B1 true KR102143013B1 (ko) 2020-08-10

Family

ID=72049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242A KR102143013B1 (ko) 2020-01-31 2020-01-31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0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1513A (zh) * 2020-09-23 2020-12-11 赵玄 一种便于更换使用的电线电缆加工生产用导线装置
KR102190188B1 (ko) 2020-08-26 2020-12-11 주식회사 천일엠이씨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벽체 케이블 단락 방지 시스템
KR102218115B1 (ko) * 2020-08-24 2021-02-23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인공지능형 공동주택 전기 통합 관리시스템
CN117192435A (zh) * 2023-11-08 2023-12-08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 一种线路疲劳损伤检测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844B1 (ko) * 2014-07-31 2014-10-14 주식회사 선화이앤씨 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101514056B1 (ko) * 2014-10-31 2015-04-21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101515921B1 (ko) * 2014-11-12 2015-05-04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KR101592525B1 (ko) * 2015-07-10 2016-02-05 김영창 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101835841B1 (ko) * 2017-10-31 2018-03-07 주식회사 광원 배전용 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KR101995327B1 (ko) * 2019-01-09 2019-07-03 (주)오성이엠 배전용 케이블 단락 보강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844B1 (ko) * 2014-07-31 2014-10-14 주식회사 선화이앤씨 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101514056B1 (ko) * 2014-10-31 2015-04-21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101515921B1 (ko) * 2014-11-12 2015-05-04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KR101592525B1 (ko) * 2015-07-10 2016-02-05 김영창 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101835841B1 (ko) * 2017-10-31 2018-03-07 주식회사 광원 배전용 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KR101995327B1 (ko) * 2019-01-09 2019-07-03 (주)오성이엠 배전용 케이블 단락 보강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115B1 (ko) * 2020-08-24 2021-02-23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인공지능형 공동주택 전기 통합 관리시스템
KR102190188B1 (ko) 2020-08-26 2020-12-11 주식회사 천일엠이씨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벽체 케이블 단락 방지 시스템
CN112071513A (zh) * 2020-09-23 2020-12-11 赵玄 一种便于更换使用的电线电缆加工生产用导线装置
CN112071513B (zh) * 2020-09-23 2022-03-29 无锡市中鼎电工机械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使用的电线电缆加工生产用导线装置
CN117192435A (zh) * 2023-11-08 2023-12-08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 一种线路疲劳损伤检测装置
CN117192435B (zh) * 2023-11-08 2024-01-30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 一种线路疲劳损伤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013B1 (ko)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
KR101592525B1 (ko) 배전케이블 고정장치
CN104919349A (zh) 地坪平面封围罩转换组件
US20110232027A1 (en) Swivel caster
WO2018055498A2 (en) Power equipment for electric vehicles
KR102153679B1 (ko)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
KR102153695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선 연결기구
KR102153715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지중배전선 배치 트레이장치
US20090255757A1 (en) Folding attic stair assembly
US20120137585A1 (en) Rolling Door Ballooning Monitor Apparatus and Method
US3911267A (en) Combination mast and light raising signalling means and lowering apparatus
US3801813A (en) Combination mast and light raising and lowering apparatus
KR101796703B1 (ko)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
KR101440799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JP3204598U (ja) 窓用避難扉装置
KR102144270B1 (ko) 배전 케이블 단락 감지와 보강구조물
JP3996538B2 (ja) シートシャッタの接地部構造
KR102028901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안전케이스
KR100890103B1 (ko) 천정 출몰형 콘센트
US20230371686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ccessibility of storage cabinets
CN210468748U (zh) 一种防电缆沟沉降装置
TW201221762A (en) Wind power installation working gallery and wind power installation
KR100772200B1 (ko) 지중배선 및 공동기반설비 보호용 매설배관
KR100792000B1 (ko) 조작이 용이한 공동주택의 배전반 고정구조
US20040027037A1 (en) Storage device with pivot 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