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679B1 -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 - Google Patents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679B1
KR102153679B1 KR1020200040681A KR20200040681A KR102153679B1 KR 102153679 B1 KR102153679 B1 KR 102153679B1 KR 1020200040681 A KR1020200040681 A KR 1020200040681A KR 20200040681 A KR20200040681 A KR 20200040681A KR 102153679 B1 KR102153679 B1 KR 102153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connector
rack
distribution line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웅부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웅부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웅부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040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중에 매립되는 맨홀(100); 맨홀(100)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일단이 맨홀(100)과 상호 연통되는 보호관(200); 보호관(200)을 통해 맨홀(100)의 내부로 인입된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해주는 커넥터(300); 보호관(200)과 커넥터(300) 사이에 배치되어 지중배전선(L)을 권취 및 권출하는 전선권취기(400); 맨홀(100)의 내부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승강하는 지중배전선(L)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500); 맨홀(100)에 설치되어 내부로 유입된 침투수의 수위를 감지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감지센서(600); 수위감지센서(6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700); 맨홀(10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승강수단(800); 제1승강수단(800)에 설치되며 제어부(70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커넥터(300) 및 지중배전선(L)을 승강시키는 제2승강수단(9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가 맨홀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도 지중배전선이 연결된 커넥터를 외부로 손쉽게 인출하여 보수작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Hanger device for supporting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의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게 된다.
상기 변전소는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송전선로 또는 배전선로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내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변전소는 통상적으로 지상에 설비되게 되며, 이러한 변전소는 고압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간섭으로 인한 누전 및 합선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었어 지상으로 노출된 고압전선을 지하에 설치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지하에 고압의 전선을 설치하는 경우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아 외부간섭에 따른 문제를 해소할 수 있지만, 최초 설계된 고압전선의 길이가 현장여건에 따라 더 소요되어 고압전선을 더 연결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시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6957호가 있으며, 여기에는 지중배전선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해 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작업자가 맨홀의 내부로 직접 들어가 작업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고, 어둡고 습한 환경에서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작업환경이 매우 열악할 수밖에 없으며, 특히 맨홀 내부에 물이 고여 있는 경우 자칫 감전사고로 연결될 수 있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으며, 맨홀 내부로 침투수가 유입되어 차오를 경우 지중배전선이 침투수에 잠기게 되면서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695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맨홀에 들어가지 않고도 맨홀 내부에 수용된 지중배전선 및 커넥터를 외부로 손쉽게 작업할 수 있고, 맨홀 내부로 침투수의 유입시 지중배전선의 연결부위와 침투수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들어올려 줌으로서 전기합선사고를 최대한 막을 수 있는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용부와 출입부로 구성되어 지중에 매립되되, 내부는 출입부를 통해 상방으로 개구되고, 수용부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커넥터안착부가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재질의 본체와, 출입부를 개폐하는 금속재질의 커버로 구성된 원통형상의 맨홀;
지중에 매립되어 맨홀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되, 지중배전선이 맨홀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게 일단이 맨홀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게 설치되는 보호관;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1바디부와 제2바디부로 분할형성되어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매개로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양단부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지중배전선의 피복을 가압해 이탈을 제한하는 가압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관체와, 관체의 양단부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관체의 벌어짐을 제한하는 링 형상의 제1결합부, 제1결합부와 일체를 이루는 링 형상의 제2결합부로 구성된 억류부재로 구성되어 커넥터안착부에 삽탈가능하게 수용되는 커넥터;
보호관과 커넥터 사이에 설치되어 커넥터에 연결된 지중배전선을 권취 및 권출하는 전선권취기;
맨홀에 내설되어 승강하는 지중배전선을 롤링하는 가이드롤러;
커넥터안착부에 설치되어 내부로 유입된 침투수의 수위를 감지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감지센서;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되며 맨홀의 출입부 내주면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랙가이더와, 랙가이더에 승강가능하게 수용되는 랙, 랙과 일체를 이루며 랙가이더에 얹혀지는 지지부로 구성된 승강대와, 랙과 맞물려 연동하는 피니언, 랙과 맞물린 피니언을 회전시켜 랙이 승강되도록 하는 모터로 구성된 구동부로 이루어진 제1승강수단;
제2결합부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걸이부재를 갖춘 로프와, 지지부에 매달리게 설치되어 제어부로부터 동작신호가 입력되면 로프를 권취 및 권출하는 윈치로 구성된 제2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가 맨홀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도 지중배전선이 연결된 커넥터를 외부로 손쉽게 인출하여 보수작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맨홀 내부로 침투수의 유입시 수위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는 제2승강수단을 동작제어하여 지중배전선의 연결부위와 침투수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들어올려 줌으로서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로부터 지중배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에서 커넥터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에서 제1승강수단과 제2승강수단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에서 커넥터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에서 제1승강수단과 제2승강수단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는 맨홀(100)과 보호관(200), 커넥터(300), 전선권취기(400), 가이드롤러(500), 수위감지센서(600), 제어부(700), 제1승강수단(800) 및 제2승강수단(90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작업자가 맨홀(100)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도 지중배전선(L)이 연결된 커넥터(300)를 외부로 손쉽게 인출하여 보수작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맨홀(100) 내부로 침투수의 유입시 지중배전선(L)의 연결부위와 침투수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들어올려 줌으로서 전기합선사고를 최대한 막을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맨홀(100)은 본체(110)와 커버(12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면이 지중으로 노출되게 지중에 매립되어 전선권취기(400), 가이드롤러(500), 수위감지센서(600), 제어부(700), 제1승강수단(800) 그리고 제2승강수단(900)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본체(110)는 수용부(111)와 출입부(112) 및 커넥터안착부(113)로 구성되며, 재질은 콘크리트이다.
상기 수용부(111)는 하부가 막히고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원통형상의 부재로, 외주면에는 상호 대향되게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으로 이후에 설명되는 보호관(200)의 일단부가 끼워져 상호 연통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출입부(112)는 수용부(111) 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원형관으로, 수용부(111)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용부(111)의 내부 공간과 상호 연통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커넥터안착부(113)는 수용부(111)와 일체를 이루는 부재로, 수용부(111)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이후에 설명되는 커넥터(300)가 삽탈가능하게 수용되어 안착될 수 있게 상면에는 커넥터(300)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커버(1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금속재질의 원판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출입부(112)의 내부 상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이 지나갈 수 있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관(200)은 콘크리트재질의 원형관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지중에 매립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지중배전선(L)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호관(200)의 일단부는 맨홀(100)의 수용부(111) 구멍에 끼워져 수용부(111)의 내부와 상호 연통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300)는 관체(310)와 억류부재(32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커넥터안착부(113)에 삽탈가능하게 안착되어 보호관(200)을 통해 내부로 인입된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해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관체(310)는 제1바디부(311)와 제2바디부(312)로 각각 분할형성되어 상호 결합에 의해 관 형태를 이루며, 내측으로 인입된 지중배전선(L)을 감싸 고정한다.
상기 제1바디부(311)와 제2바디부(312)가 서로 맞대어지는 면에는 결합돌기(311a)와 결합홈(312a)이 일체로 형성되며, 제1바디부(311)와 제2바디부(312)는 이들 결합돌기(311a)와 결합홈(312a)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바디부(311)와 제2바디부(312)의 양단부 내면에는 내주면을 따라 돌출된 다수의 가압돌기(311b,312b)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여기서 가압돌기(311b,312b)는 제1바디부(311)와 제2바디부(312)의 상호 결합시 내측에 배치된 지중배전선(L)의 피복을 가압하여 지중배전선(L)이 관체(3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억류부재(320)는 관체(310)의 외주면으로 끼워지는 제1결합부(321)와, 제2승강수단(900)의 걸이부재(710)에 끼워지는 제2결합부(322)로 구성되며, 제1결합부(321)와 제2결합부(322)로 일체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부(321)는 관체(310)의 양단부에 각각 끼워져 제1바디부(311)와 제2바디부(312)가 서로 분리되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제2결합부(322)는 제2승강수단(900)과 커넥터(300)를 상호 연결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억류부재(320)를 이용해 관체(310)의 분리를 막을 수 있으면서 제2승강수단(900)과 커넥터(300)를 상호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매우 간소해지면서도 편리해지는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선권취기(400)는 보호관(200)과 커넥터(300) 사이에 설치되어 커넥터(300)에 연결된 지중배전선(L)을 권취 및 권출하는 장치로 이미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롤러(500)는 맨홀(100)의 출입부(112)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수용부(111)의 내부 상면에 설치되어 커넥터(300)와 함께 승강하는 지중배전선(L)이 수용부(111)와 출입부(112) 사이의 경계 모서리에 닿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지중배전선(L)의 승강시 가이드롤러(500)가 롤링되면서 가이드해 줌에 따라 지중배전선(L)의 피복이 손상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수위감지센서(600)와 제어부(700)에 대해 설명하면, 수위감지센서(600)는 맨홀(100)의 본체(110) 상부에 설치된 커버(120)를 통해 유입되는 침투수(우수)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어부(700)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공지의 비접촉식 센서이고, 제어부(700)는 맨홀(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위감지센서(60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신호(측정값)를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제2승강수단(900)을 구성하는 윈치(920)를 동작제어하는 컨트롤러이다.
일 예로서, 상기 맨홀(100)의 내부로 침투수가 유입될 경우 수위감지센서(600)가 수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감지신호(측정값)를 제어부(700)로 전달하고, 제어부(700)는 수위감지센서(60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신호(측정값)를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게 된다.
이때, 측정값이 기설정 값에 도달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700)는 즉시 동작신호를 제2승강수단(900)의 윈치(920)에 전달하게 되고, 윈치(920)는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걸이부재(911)를 매개로 커넥터(300)와 상호 연결된 로프(910)를 감아 지중배전선(L)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300)를 상승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커넥터(300)가 승강된 상태에서도 제어부(700)는 수위감지센서(600)로부터 감지신호(측정값)를 지속적으로 전달받게 되는데, 이때 수위감지센서(60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신호(측정값)와 기설정된 값을 상호 비교했을 때 기설정 값보다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즉시 동작신호를 제2승강수단(900)의 윈치(920)에 전달하게 되고, 윈치(920)는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걸이부재(911)를 매개로 커넥터(300)와 상호 연결된 로프(910)를 풀어 지중배전선(L)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300)를 하강시켜 커넥터안착부(113)에 안착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커넥터(300)를 매개로 상호 연결된 지중배전선(L)과 침투수가 서로 접촉되지 않게 함으로서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로부터 지중배전선(L)의 연결부위를 안전하게 보호해줄 수 있는 것이다.
도 1과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승강수단(800)은 랙가이더(810)와 승강대(820) 및 구동부(83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제2승강수단(900)을 승강(상하로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랙가이더(810)는 하부가 막히고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태의 통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출입부(112)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출입부(112)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랙(821)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랙가이더(810)는 공지의 앵커볼트를 매개로 출입부(112)에 고정된다.
상기 승강대(820)는 랙가이더(8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재로, 한 쌍의 랙(821)과 지지부(822)로 구성되며, 출입부(112)에 출몰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랙(821)은 랙가이더(810)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져 맨홀(100)의 출입부(112)에 관통되게 설치된 피니언(831)과 서로 맞물리며, 피니언(831)의 회전에 의해 출입부(112)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어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출입부(112)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출입부(112)의 내부로 인입된다.
상기 지지부(822)는 랙(821)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랙(821)의 상단에 배치되어 랙(821)과 일체를 이루고, 이렇게 설치된 지지부(822)의 하면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제2승강수단(900)이 매달리며, 제2승강수단(900)은 지지부(822)와 함께 승강되어 출입부(112)의 상방으로 노출되거나, 지지부(822)와 함께 하강되어 출입부(112)의 내부로 인입된다.
상기 구동부(830)는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는 별도의 리모트컨트롤러(미도시)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승강대(82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피니언(831)과 모터(832)로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피니언(831)과 모터(832)는 별도의 수납함(도 3 참조)에 내설되어 출입부(112)의 외주면에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설치홈(도 3 참조)에 설치된다.
상기 피니언(831)은 승강대(820)의 랙(821)과 서로 맞물리게 설치되어 모터(832)의 정방향(또는 역방향) 회전시 함께 회전되어 랙(821)을 승강(상하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모터(832)는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통상의 서보모터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모터축에 끼워진 피니언(83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는 리모트컨트롤러(미도시)를 조작하여 동작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하게 되면, 출력된 신호에 의해 모터(832)가 회전되어 피니언(831)을 회전시키게 되고, 피니언(831)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831)과 맞물린 랙(821)은 승강(상하 이동)하게 되며, 랙(821)의 승강함에 따라 랙(821)과 일체를 이루는 지지부(822) 및 지지부(822)에 매달려 있는 제2승강수단(900)은 자연스럽게 승강(상하 이동)하게 된다.
도 1과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승강수단(900)은 로프(910)와 윈치(92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승강수단(800)을 구성하는 지지부(822)에 매달리게 설치되며, 작업자의 조작 또는 제어부(70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동작제어되어 지중배전선(L)이 연결된 커넥터(300)를 출입부(112)를 통해 외부로 인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로프(910)는 윈치(920)에 감기고 타단부는 걸이부재(911)를 매개로 커넥터(300)와 연결되며, 걸이부재(911)는 봉으로 억류부재(320)를 구성하는 제2결합부(322)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윈치(920)는 지지부(822)에 매달리게 설치되며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는 별도의 리모트컨트롤러(미도시)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거나 제어부(70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로프(720)를 감거나 풀게 된다.
일 예로서,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는 리모트컨트롤러(미도시)를 조작하여 동작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하거나 제어부(700)로부터 동작신호가 출력되면, 출력된 신호에 의해 윈치(920)가 동작되어 로프(910)를 권취하게 되고, 로프(910)가 권취됨에 따라 걸이부재(911)를 매개로 연결된 커넥터(300)는 승강(상하 이동)하게 되며, 커넥터(300)가 승강함에 따라 커넥터(300)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지중배전선(L) 역시 함께 승강되어 최종적으로 맨홀(100)의 출입부(1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노후된 커넥터(300)의 교체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출입부(112)를 막고 있는 커버(120)를 제거해 준다.
그리고 휴대하고 있는 리모트컨트롤러(미도시)를 조작하게 되면, 리모트컨트롤러(미도시)의 동작신호가 제1승강수단(800)의 모터(832)로 출력되고, 출력된 신호에 의해 모터(832)가 회전되어 피니언(831)을 회전시키게 되며, 피니언(831)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831)과 맞물린 랙(821)이 승강(상하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랙(821)이 승강함에 따라 랙(821)과 일체를 이루는 지지부(822)가 승강하게 되고, 지지부(822)의 승강으로 인해 지지부(822)에 매달려 있는 제2승강수단(900)이 자연스럽게 승강(상하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승강수단(900)의 로프(910)는 걸이부재(921)를 매개로 커넥터(300)와 상호 연결되어 있어 자연스럽게 커넥터(300) 및 커넥터(300)에 연결된 지중배전선(L)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를 도 5a와 같이 도시하였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820)가 최고점까지 승강되면, 작업자는 휴대하고 있는 리모트컨트롤러(미도시)를 조작하여 제2승강수단(900)을 동작제어하게 되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는 리모트컨트롤러(미도시)를 조작하여 동작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하게 되면, 출력된 신호에 의해 윈치(920)가 동작되어 로프(910)를 권취하게 되고, 로프(910)가 권취됨에 따라 걸이부재(911)를 매개로 연결된 커넥터(300)는 승강(상하 이동)하게 되며, 커넥터(300)가 승강함에 따라 커넥터(300)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지중배전선(L) 역시 함께 승강되어 최종적으로 맨홀(100)의 출입부(1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이를 도 5b와 같이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지중배전선(L)이 커넥터(300)를 매개로 함께 올라갈 때에 전선권취기(400)로부터 여부의 지중배전선(L)이 풀리게 되고, 또한 지중배전선(L)이 수용부(111)와 출입부(112) 경계에 있는 모서리에 닿지 않도록 가이드롤러(500)가 제자리에서 롤링되면서 지중배전선(L)을 가이드하게 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배전선(L)이 외부로 인출되면, 지중배전선(L)이 맨홀(100)의 내부로 추락하지 않도록 고정해둔 다음 새로운 커넥터(300)로 교체작업을 진행하고, 상기의 방법의 역순으로 커넥터(300) 및 지중배전선(L)을 맨홀(100)의 내부로 하강시켜 커넥터(300)가 커넥터안착부(113)에 수용되도록 하면 된다.
상기 커넥터(300)가 하강될 때, 전선권취기(400)는 지중배전선(L)을 권취하게 된다.
한편, 맨홀(100)의 내부로 침투수가 유입될 경우 수위감지센서(600)가 수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감지신호(측정값)를 제어부(700)로 전달하고, 제어부(700)는 수위감지센서(60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신호(측정값)를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게 된다.
이때, 측정값이 기설정 값에 도달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700)는 즉시 동작신호를 제2승강수단(900)의 윈치(920)에 전달하게 되고, 윈치(920)는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걸이부재(911)를 매개로 커넥터(300)와 상호 연결된 로프(910)를 감아 지중배전선(L)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300)를 상승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커넥터(300)가 승강된 상태에서도 제어부(700)는 수위감지센서(600)로부터 감지신호(측정값)를 지속적으로 전달받게 되는데, 이때 수위감지센서(60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신호(측정값)와 기설정된 값을 상호 비교했을 때 기설정 값보다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즉시 동작신호를 제2승강수단(900)의 윈치(920)에 전달하게 되고, 윈치(920)는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걸이부재(911)를 매개로 커넥터(300)와 상호 연결된 로프(910)를 풀어 지중배전선(L)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300)를 하강시켜 커넥터안착부(113)에 안착시켜 주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가 맨홀(100)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도 지중배전선(L)이 연결된 커넥터(300)를 외부로 손쉽게 인출하여 보수작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맨홀(100) 내부로 침투수의 유입시 수위감지센서(60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700)로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700)는 제2승강수단(900)을 동작제어하여 지중배전선(L)의 연결부위와 침투수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들어올려 줌으로서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로부터 지중배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맨홀 110: 본체 111: 수용부
112: 출입부 113: 커넥터안착부 120: 커버
200: 보호관 300: 커넥터 310: 관체
311: 제1바디부 311a: 결합돌기 311b: 가압돌기
312: 제2바디부 312a: 결합홈 312b: 가압돌기
320: 억류부재 321: 제1결합부 322: 제2결합부
400: 전선권취기 500: 가이드롤러 600: 수위감지센서
700: 제어부 800: 제1승강수단 810: 랙가이더
820: 승강대 821: 랙 822: 지지부
830: 구동부 831: 피니언 832: 모터
900: 제2승강수단 910: 로프 911: 걸이부재
920: 윈치

Claims (1)

  1. 수용부(111)와 출입부(112)로 구성되어 지중에 매립되되, 내부는 출입부(112)를 통해 상방으로 개구되고, 수용부(111)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커넥터안착부(113)가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재질의 본체(110)와, 출입부(112)를 개폐하는 금속재질의 커버(120)로 구성된 원통형상의 맨홀(100);
    지중에 매립되어 맨홀(100)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되, 지중배전선(L)이 맨홀(10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게 일단이 맨홀(100)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게 설치되는 보호관(200);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1바디부(311)와 제2바디부(312)로 분할형성되어 결합돌기(311a)와 결합홈(312a)을 매개로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양단부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지중배전선(L)의 피복을 가압해 이탈을 제한하는 가압돌기(311b,312b)가 일체로 형성된 관체(310)와, 관체(310)의 양단부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관체(310)의 벌어짐을 제한하는 링 형상의 제1결합부(321), 제1결합부(321)와 일체를 이루는 링 형상의 제2결합부(322)로 구성된 억류부재(320)로 구성되어 커넥터안착부(113)에 삽탈가능하게 수용되는 커넥터(300);
    보호관(200)과 커넥터(300) 사이에 설치되어 커넥터(300)에 연결된 지중배전선(L)을 권취 및 권출하는 전선권취기(400);
    맨홀(100)의 출입부(112)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수용부(111)의 내부 상면에 설치되어 커넥터(300)와 함께 승강하는 지중배전선(L)이 수용부(111)와 출입부(112) 사이의 경계 모서리에 닿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500);
    커넥터안착부(113)에 설치되어 내부로 유입된 침투수의 수위를 감지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감지센서(600);
    수위감지센서(6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700);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되며 맨홀(100)의 출입부(112) 내주면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랙가이더(810)와, 랙가이더(810)에 승강가능하게 수용되는 랙(821), 랙(821)과 일체를 이루며 랙가이더(810)에 얹혀지는 지지부(822)로 구성되어 출입부(112)에 출몰가능하게 수용되는 승강대(820)와, 랙(821)과 맞물려 연동하는 피니언(831), 랙(821)과 맞물린 피니언(831)을 회전시켜 랙(821)이 승강되도록 하는 모터(832)로 구성된 구동부(830)로 이루어진 제1승강수단(800);
    제2결합부(322)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걸이부재(921)를 갖춘 로프(910)와, 지지부(822)에 매달리게 설치되어 제어부(700)로부터 동작신호가 입력되면 로프(910)를 권취 및 권출하는 윈치(920)로 구성된 제2승강수단(9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
KR1020200040681A 2020-04-03 2020-04-03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 KR102153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681A KR102153679B1 (ko) 2020-04-03 2020-04-03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681A KR102153679B1 (ko) 2020-04-03 2020-04-03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679B1 true KR102153679B1 (ko) 2020-09-09

Family

ID=7245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681A KR102153679B1 (ko) 2020-04-03 2020-04-03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6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184B1 (ko) * 2020-11-06 2021-02-18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통신 맨홀의 누전방지시설
KR102292268B1 (ko) * 2020-11-25 2021-08-25 주식회사 프로감리단 지중 배전케이블의 보호시설
KR102347546B1 (ko) * 2021-04-06 2022-01-05 (주)케이제이종합감리 누전 방지를 위한 지중 배전선용 접속 구조체
KR102584135B1 (ko) * 2022-11-03 2023-10-04 주식회사 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
KR102672263B1 (ko) * 2023-05-09 2024-06-04 주식회사 세명기업 지중배전선의 안정적 배치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지지트레이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3548A (ko) * 1995-08-26 1997-03-29 조백제 고리식 케이블 리프터
JP2007060766A (ja) * 2005-08-23 2007-03-08 Nobuyuki Yahiro 残置ケーブル先端面と引き抜き治具との連結構造
KR20070103106A (ko) * 2006-04-18 2007-10-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광케이블접속함체의 이동장치
KR100896957B1 (ko) 2009-02-16 2009-05-12 (주)서광전기컨설팅 지중배전선의 위치고정용 커넥터
KR100898143B1 (ko) * 2009-02-24 2009-05-19 (주)협동전기감리단 지중배전선로의 전선연결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3548A (ko) * 1995-08-26 1997-03-29 조백제 고리식 케이블 리프터
JP2007060766A (ja) * 2005-08-23 2007-03-08 Nobuyuki Yahiro 残置ケーブル先端面と引き抜き治具との連結構造
KR20070103106A (ko) * 2006-04-18 2007-10-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광케이블접속함체의 이동장치
KR100896957B1 (ko) 2009-02-16 2009-05-12 (주)서광전기컨설팅 지중배전선의 위치고정용 커넥터
KR100898143B1 (ko) * 2009-02-24 2009-05-19 (주)협동전기감리단 지중배전선로의 전선연결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184B1 (ko) * 2020-11-06 2021-02-18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통신 맨홀의 누전방지시설
KR102292268B1 (ko) * 2020-11-25 2021-08-25 주식회사 프로감리단 지중 배전케이블의 보호시설
KR102347546B1 (ko) * 2021-04-06 2022-01-05 (주)케이제이종합감리 누전 방지를 위한 지중 배전선용 접속 구조체
KR102584135B1 (ko) * 2022-11-03 2023-10-04 주식회사 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누전 차단을 위한 전기맨홀
KR102672263B1 (ko) * 2023-05-09 2024-06-04 주식회사 세명기업 지중배전선의 안정적 배치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지지트레이기구
KR102672265B1 (ko) * 2023-05-09 2024-06-04 경원기업(주) 지중배전선 접속용 안전기능 향상 배전기기
KR102672264B1 (ko) * 2023-05-09 2024-06-04 주식회사 세명기업 지중배전라인 설치형 전선 트레이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679B1 (ko)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
KR102153695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선 연결기구
KR102153715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지중배전선 배치 트레이장치
KR101261458B1 (ko) 지중케이블 다회선 풀링장치
KR101117490B1 (ko) 다회선 케이블 선출장치
KR102243941B1 (ko)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한 기초대
KR101132845B1 (ko) 맨홀뚜껑 개폐장치
KR102276455B1 (ko) 지중 송배전 설비 운영 관리용 산소 농도 감지 맨홀 뚜껑
CN113363868B (zh) 一种免登高接地箱
CN108222078A (zh) 一种柔性卷材垂直铺设装置
GB2471807A (en) Modular underwater power station, and method for the assembly thereof
CN109217181A (zh) 适用于水位落差船舶岸电系统供电电缆敷设的方法
KR101177920B1 (ko) 특별 고압 한전 배전 선로의 지중 전선 연결용 커넥터
KR101709324B1 (ko) 변전소의 특고압 인입전선용 절연형 커넥터
KR102305592B1 (ko) 지하 통신구 운영 관리용 맨홀 뚜껑
KR20110087534A (ko) 지중화 케이블 복합 파워 풀링장치
CN211230864U (zh) 一种换流站防汛潜水泵应急套装
KR20080094298A (ko) 매립형 승강식 조명타워
CN108483291B (zh) 一种建筑工地小型货物升降装置及升降方法
KR101108920B1 (ko) 지하수 양수작업용 이동식 자동 윈치 시스템
US4771699A (en) Device for cable transport
KR10226280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JP2005299322A (ja) 制御盤の浸水防止装置
US20240010084A1 (en) Dual wire rope motor reel
KR20090006206U (ko) 케이지의 승강 자동감지수단이 부설된 건설용 리프트의통신케이블 권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