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805B1 -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 Google Patents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805B1
KR102262805B1 KR1020200153836A KR20200153836A KR102262805B1 KR 102262805 B1 KR102262805 B1 KR 102262805B1 KR 1020200153836 A KR1020200153836 A KR 1020200153836A KR 20200153836 A KR20200153836 A KR 20200153836A KR 102262805 B1 KR102262805 B1 KR 102262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drums
manhole
base plate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감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감리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감리단
Priority to KR1020200153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에 관한 것으로, 지중의 배전 맨홀에서 배전선들이 안정적인 접속 상태와 절연성을 유지시키고 배전 맨홀 안에 있는 배전선의 길이에 맞춰 배전선을 배선하도록 하며 또한 단일 작업을 통해 배전 맨홀에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는, 배전선로의 배선을 위하여 양쪽에 제1,2배선홀이 구비된 배전 맨홀(1)의 내벽 일측에 설치되는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에 상기 배전 맨홀의 제1,2배선홀과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2배선홀을 통해 배선되는 제1,2배전선이 각각 감겨 배선되는 제1,2드럼(20,30)과; 상기 베이스판의 중앙부로서 상기 제1,2드럼의 사이에 상하 종방향으로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의 접속공간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제1,2드럼에 배선된 제1,2배전선이 고정되는 제1,2접속가이드 관(40,50)과; 상기 제1,2접속가이드 관 중 어느 하나의 둘레부에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2접속가이드 관을 통해 접속되는 제1,2배전선의 접속부를 덮어 보호하는 주름형의 보호관(60)을 포함하고, 상기 제1,2드럼은 외경이 서로 다른 제1,2드럼부(21,22)(31,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배전선의 여유 길이에 따라 상기 제1,2드럼부가 선택되어 상기 제1,2배전선의 배선을 안내한다.

Description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INSULATION CONNECTOR OF UNDERGROUND POWER LINE}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의 배전 맨홀에서 배전선들이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시키고 절연성 연결대의 설치와 배전선의 배선 작업이 용이한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발전소에 발생되는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선로를 통해 고압의 전력으로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는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전선을 이용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되는 배전과정을 거친다.
배전선의 배선 방식으로 도시미관 개선 등을 위한 지중 배선 방식이 있으며, 배전선은 지중 관로를 통해 수용가로 배선되고 이 때 지중의 배전 맨홀에서 커넥터로 연결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배전선은 여유 있는 길이를 갖고 배전 맨홀의 내부에 삽입 배선되어 있는데, 접속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배전선을 처리할 기술이 없어 작업자가 임의로 배전선을 수회 감아 와이어로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배전 맨홀 안에서 배전선이 방치되어 배전선의 손상을 유발하고 또한 배전선들의 절연 연결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확인할 수 있는 특허문헌으로 등록특허 제10-2153695호는 수용부와 출입부로 구성되어 지중에 매립되되, 내부는 출입부를 통해 상방으로 개구되고, 수용부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커넥터안착부가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재질의 본체와, 출입부를 개폐하는 금속재질의 커버로 구성된 원통형상의 맨홀; 지중에 매립되어 맨홀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되, 지중배전선이 맨홀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게 일단이 맨홀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게 설치되는 보호관;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1바디부와 제2바디부로 분할 형성되어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매개로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양단부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지중배전선의 피복을 가압해 이탈을 제한하는 가압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관체와, 관체의 양단부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관체의 벌어짐을 제한하는 링 형상의 제1결합부, 제1결합부와 일체를 이루는 링 형상의 제2결합부로 구성된 억류부재로 구성되어 커넥터안착부에 삽탈가능하게 수용되는 커넥터; 보호관과 커넥터 사이에 설치되어 커넥터에 연결된 지중배전선을 권취 및 권출하는 전선권취기; 맨홀에 내설되어 승강하는 지중배전선을 롤링하는 가이드롤러;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되며 맨홀의 출입부 내주면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랙가이더와, 랙가이더에 승강가능하게 수용되는 랙, 랙과 일체를 이루며 랙가이더에 얹혀지는 지지부로 구성된 승강대와, 랙과 맞물려 연동하는 피니언, 랙과 맞물린 피니언을 회전시켜 랙이 승강되도록 하는 모터로 구성된 구동부로 이루어진 제1승강수단; 제2결합부에 삽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걸이부재를 갖춘 로프와, 지지부에 매달리게 설치되어 로프를 권취 및 권출하는 윈치로 구성된 제2승강수단을 포함하며, 배전선의 길이에 맞는 권취 기술이 없어 배전선을 적정의 텐션으로 배선하지 못하고, 권취기 등의 설치가 번거롭고 배전 맨홀의 넓은 공간을 점유하여 배선 작업이 좋지 못하다.
등록특허 제10-215369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중의 배전 맨홀에서 배전선들이 안정적인 접속 상태와 절연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배전 맨홀 안에 있는 배전선의 길이에 맞춰 배전선을 감을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단일 작업을 통해 배전 맨홀에 설치하고 배전선을 쉽게 배선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는, 배전선로의 배선을 위하여 양쪽에 제1,2배선홀이 구비된 배전 맨홀의 내벽 일측에 설치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상기 배전 맨홀의 제1,2배선홀과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2배선홀을 통해 배선되는 제1,2배전선이 각각 감겨 배선되는 제1,2드럼과; 상기 베이스판의 중앙부로서 상기 제1,2드럼의 사이에 상하 종방향으로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의 접속공간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제1,2드럼에 배선된 제1,2배전선이 고정되는 제1,2접속가이드 관과; 상기 제1,2접속가이드 관 중 어느 하나의 둘레부에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2접속가이드 관을 통해 접속되는 제1,2배전선의 접속부를 덮어 보호하는 주름형의 보호관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배전 맨홀의 일측의 벽면에 세워지면서 반대쪽의 벽면에 지지되는 신축형 지지봉을 통해 설치되며, 상기 제1,2드럼은 외경이 서로 다른 제1,2드럼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1,2배전선의 여유 길이에 따라 상기 제1,2드럼부가 선택되어 상기 제1,2배전선의 배선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에 의하면, 배전선을 그 길이에 맞춰 큰 드럼부와 작은 드럼부를 선택하여 배선함으로써 협소한 배전 맨홀 내부에서 배전선을 엉킴없이 배선하고 텐션 유지를 통해 흔들림으로 인한 단선도 막을 수 있으며 베이스판을 이용한 단일화를 통해 배전 맨홀에 쉽게 설치하는 효과가 있고, 지지봉을 이용한 설치를 통해 배전 맨홀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배전선을 서로 다른 외경의 드럼부를 통해 원주방향으로 감아 배선하거나 직선으로 배선하는 배선 경로의 제공을 통해 자유로운 선택으로 배선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배전선들이 제1,2드럼 등을 통해 배전 맨홀의 벽에 치우쳐 배선됨으로써 배전 맨홀 안에 넓은 작업 공간을 마련하므로 유지보수 작업도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의 분리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의 설치와 제1,2배전선의 배선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에 적용된 베이스판의 지지봉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에 적용된 제1,2드럼에 삽입홀이 포함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에 적용된 와이어와 하중센서를 보인 평면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100)는, 지중에 설치되는 배전 맨홀(1)에 설치되어 배전 맨홀(1)을 통해 연결되는 제1,2배전선(2,3)이 절연의 연결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며, 베이스판(10), 제1,2배전선(2,3)이 각각 감기는 제1,2드럼(20,30), 제1,2드럼(20,30)에 감긴 제1,2배전선(2,3)의 접속을 안내하는 제1,2접속가이드 관(40,50), 제1,2접속가이드 관(40,50)에 고정되어 서로 접속되는 제1,2배전선(2,3)의 접속부를 보호하는 보호관(60)을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배전 맨홀(1)은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박스 형태(사가형태 등)이면서 마주하는 양쪽에 제1,2배선홀이 형성되어 제1,2배선관(1-1,1-2)이 연결되고, 상부의 개방부는 뚜껑(1-3)을 통해 개폐된다.
베이스판(10)은 제1,2드럼(20,30)과 제1,2접속가이드 관(40,50)의 설치를 위한 면적의 사각 판재이며, 상기 구성의 설치를 위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중량 감소를 위하여 구멍으로 형성된다.
베이스판(10)은 배전 맨홀(1)의 일측의 내벽에 상하 종방향을 따라 세워지면서 앵커를 통해 고정되고 또는 타측의 내벽에 지지되는 2개 이상의 지지봉을 통해 반대쪽의 일측의 내벽에 붙도록 설치된다.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지지봉(11)은 바람직하게 신축형의 지지봉(11)으로서 일측 단부가 베이스판(10)에 고정되는 지지볼트(11a), 지지볼트(11a)의 자유단부에 나사 체결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베이스판(10)이 붙은 반대쪽의 내벽에 지지되는 지지너트(11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지지봉(11)은 베이스판(10)의 상하 또는 좌우 2개소 또는 상하좌우 4개소에 설치되며 그 수량에 상관없이 배전 맨홀(1)에 앵커링을 위한 구멍을 뚫지 않아 배전 맨홀(1)의 손상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제1,2드럼(20,30)은 베이스판(10)의 양쪽으로 상기 제1,2배선홀과 가까운 곳에 설치되며, 둘레부에 제1,2배전선(2,3)이 각각 감긴다.
제1,2드럼(20,30)은 제1,2배전선(2,3)의 여유 길이{배전 맨홀(1) 안에서 서로 접속을 위한 길이}에 맞춰 권취가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외경의 제1,2드럼부(21,31)(22,32)로 구성된다.
제1드럼부(21,31)는 제2드럼부(22,32)보다 큰 외경이며, 따라서, 제1드럼부(21,31)의 측면에 제2드럼부(22,32)가 고정되어 일체화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제1,2배전선(2,3)을 제1드럼부(21,31)에 감다가 여유 길이가 짧아 제1드럼부(21,31)에 감지 못할 경우 남은 부분을 제2드럼부(22,32)에 감아 제1,2배전선(2,3)을 팽팽한 텐션으로 배선하도록 한다.
이 때, 제1,2배전선(2,3)이 제1드럼부(21,31)에서 제2드럼부(22,32)로 큰 꺽임없이 자연스럽게 넘어가도록 제1드럼부(21,31)의 둘레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1,2배선가이드홈(21a,31a)이 형성된다.
즉, 제1드럼부(21,31)의 둘레부에는 제1,2배전선(2,3)이 이탈되지 않도록 턱이 형성되는데, 이 턱이 제1,2배선가이드홈(21a,31a)을 포함하는 형태이다.
제1,2배선가이드홈(21a,31a) 주변 즉 턱은 그 방향이 제1,2배전선(2,3)의 보다 자연스러운 배선을 위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로 휘어진 날개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제1,2배전선(2,3)의 배선을 위하여 제1드럼부(21,31)는 제1,2삽입홀(21b,31b)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2삽입홀(21b,31b)은 제1드럼부(21,31)의 내부에 양쪽이 외부와 통하도록 관통되는 구멍이며, 제1,2배전선(2,3)을 제1드럼부(21,31)의 둘레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감지 않고 직선 형태의 제1,2삽입홀(21b,31b)에 삽입하여 배선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1,2배전선(2,3)이 제1,2드럼부(21,31)(22,32)에 감을 수 없는 길이인 경우 제1,2삽입홀(21b,31b)을 통해 배선한다.
제2드럼부(22,32)도 제1,2삽입홀(21b,31b)과 동일한 삽입홀이 포함될 수 있다.
제1,2드럼(20,30)의 둘레부와 제1,2삽입홀(21b,31b)에는 제1,2배전선(2,3)의 배선을 돕기 위한 회전형의 롤러가 포함될 수 있다.
제1,2접속가이드 관(40,50)은 제1,2드럼(20,30)에 감긴 제1,2배전선(2,3)이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2배전선(2,3)을 고정하며, 바람직하게 제1,2배전선(2,3)이 삽입되는 관형이다.
제1,2접속가이드 관(40,50)은 상호 간에 제1,2배전선(2,3)이 접속되는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배치되어 제1,2배전선(2,3)의 접속부(단부)가 상하로 배열되면서 접속되도록 하며, 제1,2드럼(20,30)을 통과한 제1,2배전선(2,3)이 큰 꺽임없이 삽입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제1접속가이드 관(40)은 제1드럼(20)과 가까운 단부에서 반대쪽 단부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며 제2접속가이드 관(50)은 제2드럼(30)과 가까운 단부에서 반대쪽 단부로 가면서 즉, 제1접속가이드 관(40)을 향해 가면서 상향 경사진다.
경사형의 제1,2접속가이드 관(40,50)은 제1,2삽입홀(21b,31b)이 적용된 경우 더욱 효과적으로 제1,2배전선(2,3)의 큰 꺽임을 방지한다.
제1,2접속가이드 관(40,50)은 보호관(60)의 설치를 위하여 베이스판(10)의 표면과 간격이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주름형의 보호관(60)은 제1접속가이드 관(4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제2접속가이드 관(50)으로 이동되어 제2접속가이드 관(50)을 덮는 것을 통해 제1,2배전선(2,3)의 접속부를 외부와 단절시켜 보호한다.
이상의 구성인 베이스판(10), 제1,2드럼(20,30), 제1,2접속가이드 관(40,50) 및 보호관(50)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배전 맨홀(1)의 내부를 개방한 후 본 발명의 절연성 연결대(100)를 배전 맨홀(1) 안에 삽입한다. 이 때, 신축형의 지지봉(11)은 배전 맨홀(1)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수축 상태이다.
절연성 연결대(100)를 배전 맨홀(1) 안에 삽입한 후 신축형의 지지봉(11)을 신장시켜 지지너트(11b)와 베이스판(10)이 배전 맨홀(11)의 대향되는 양쪽 내벽에 각각 밀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배전 맨홀(1)을 파손하지 않고 절연성 연결대(100)를 설치한다.
제1,2배전선(2,3)을 제1,2드럼(20,30)에 감아 배선하거나 직선으로 배선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2배전선(2,3)의 배선은 제1드럼부(21,31)의 둘레부에 감는 배선 방법, 제2드럼부(22,32)의 둘레부에 감는 배선 방법, 제1,2삽입홀(21b,31b)에 관통시키는 배선 방법, 상기 배선 방법 중에서 2개 이상이 조합된 배선 방법이 있으며, 이들 배선 방법은 제1,2배전선(2,3)의 길이에 맞춰 선택된다.
제1,2드럼(20,30)을 통해 배선된 제1,2배전선(2,3)의 접속부를 제1,2접속가이드 관(40,50)에 삽입 배선한 후 테이핑 등으로 접속한다.
보호관(60)을 제1접속가이드 관(40)에서 제2접속가이드 관(50)으로 이동시켜 제1,2배전선(2,3)의 접속부를 보호한다.
필요한 경우 제1접속가이드 관(40) - 보호관(60) - 제2접속가이드 관(50)의 둘레부를 절연테이프로 감아 보호한다.
이상의 방법으로 연결된 제1,2배전선(2,3)은 제1,2드럼(20,30)과 제1,2접속가이드 관(40,50)을 통해 배전 맨홀(1)의 내벽쪽에 가지런하게 배선되어 이 상태를 유지하고, 결국 비숙련의 작업자도 제1,2배전선(2,3)을 쉽게 배선할 수 있으며 또한, 제1,2배전선(2,3)의 절연 상태 유지를 위한 접속도 장기간 동안 유지한다.
본 발명은 제1,2배전선(2,3)을 훼손하지 않고 제1,2배전선(2,3)의 접속부가 끊어지지 않도록 제1,2드럼(20,30)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1,2드럼(20,30)에는 베이스판(10)에 형성되는 구멍{제1,2와이어 보스(23,33)가 이동할 수 있는 여유 있는 크기의 구멍}을 통해 뒤쪽으로 돌출되는 제1,2와이어 보스(23,33)가 포함되고, 제1,2와이어 보스(23,33)는 와이어(70)로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판(10)은 배면에 와이어(70) 등의 수용을 위한 홈이 포함된다.
와이어(70)는 제1,2드럼(20,30)이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써 제1,2배전선(2,3)의 접속을 유지한다.
나아가서는, 제1,2드럼(20,30)의 이탈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도록 와이어(70)에 하중센서(80)를 설치하여 모니터링 하는 것도 가능하다.
와이어(70)는 제1,2드럼(20,30)의 제1,2와이어 보스(23,33)에 일측이 각각 연결되는 제1,2드럼측 와이어(71,72)로 구분되고, 제1,2드럼측 와이어(71,72)의 마주하는 단부는 하중센서(80)에 연결된다.
하중센서(80)는 제1,2드럼측 와이어(71,72)를 통해 가해지는 하중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원거리에 통제실 컨트롤러에 전송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하중센서(80)로부터 전송되는 하중 데이터를 통해 제1,2드럼(20,30)의 이탈을 판단하며, 예를 들어, 현재의 하중 데이터가 이전에 전송된 하중 데이터(기준 하중)보다 10% 이상 커지는 상태를 위험으로 판단한다.
상기 컨트롤러에 의한 판단은 안전 - 주의(기준 하중보다 5% 이상) - 위험(기준 하중보다 5% 이상)의 3단계로 구분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러의 판단 결과는 통제실의 상황판이나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스마트 폰 등)에 전송되어 관리된다.
1 : 배전 맨홀, 2,3 : 제1,2배전선
10 : 베이스판, 11 : 지지봉
20,30 : 제1,2드럼, 21,31 : 제1드럼부
21a,31a : 제1,2배선가이드홈, 22,32 : 제2드럼부,
40,50 : 제1,2접속가이드 관, 60 : 보호관
70 : 와이어, 80 : 하중센서

Claims (4)

  1. 배전선로의 배선을 위하여 양쪽에 제1,2배선홀이 구비된 배전 맨홀(1)의 내벽 일측에 설치되는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에 상기 배전 맨홀의 제1,2배선홀과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2배선홀을 통해 배선되는 제1,2배전선이 각각 감겨 배선되는 제1,2드럼(20,30)과;
    상기 베이스판의 중앙부로서 상기 제1,2드럼의 사이에 상하 종방향으로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의 접속공간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제1,2드럼에 배선된 제1,2배전선이 고정되는 제1,2접속가이드 관(40,50)과;
    상기 제1,2접속가이드 관 중 어느 하나의 둘레부에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2접속가이드 관을 통해 접속되는 제1,2배전선의 접속부를 덮어 보호하는 주름형의 보호관(60)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배전 맨홀의 일측의 벽면에 세워지면서 반대쪽의 벽면에 지지되는 신축형의 지지봉(11)을 통해 설치되며,
    상기 제1,2드럼은 상기 제1,2배전선이 길이에 맞춰 감기도록 외경이 서로 다른 제1,2드럼부(21,31)(22,32)를 포함하면서 상기 제1,2드럼부 중에서 상대적으로 외경이 큰 제1드럼부는 상기 제2드럼부를 향해 개방되는 제1,2배선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2드럼부(21,31)는 상기 제1,2배전선의 배선방향을 따라 양쪽이 관통되는 제1,2삽입홀(21b,31b)을 포함하여 상기 제1,2배전선이 둘레부에 감기거나 상기 제1,2삽입홀에 관통 배선되도록 하되, 상기 제1,2삽입홀은 상기 제1,2접속가이드 관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드럼에 상기 베이스판의 뒤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2와이어 보스(23,33), 길이방향의 양쪽이 상기 제1,2와이어 보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2드럼을 지지하는 와이어(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센서, 상기 하중센서의 하중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제1,2드럼의 이탈을 판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KR1020200153836A 2020-11-17 2020-11-17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KR102262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836A KR102262805B1 (ko) 2020-11-17 2020-11-17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836A KR102262805B1 (ko) 2020-11-17 2020-11-17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805B1 true KR102262805B1 (ko) 2021-06-09

Family

ID=76415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836A KR102262805B1 (ko) 2020-11-17 2020-11-17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8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744A (ko) * 2009-09-24 2011-03-30 김성숙 이중 케이블릴 장치
KR101924598B1 (ko) * 2018-06-12 2018-12-04 (유)기봉 내진 성능을 갖는 배전용 지중 전력케이블 구조
KR102153695B1 (ko) 2020-04-03 2020-09-09 주식회사 웅부기술단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선 연결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744A (ko) * 2009-09-24 2011-03-30 김성숙 이중 케이블릴 장치
KR101924598B1 (ko) * 2018-06-12 2018-12-04 (유)기봉 내진 성능을 갖는 배전용 지중 전력케이블 구조
KR102153695B1 (ko) 2020-04-03 2020-09-09 주식회사 웅부기술단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선 연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946B1 (ko) 케이블 포설 장비
KR102153695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선 연결기구
KR102153679B1 (ko) 지중배전선 연결지지를 위한 행거장치
US3608710A (en) High voltage cable system with factory installed potheads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KR102153715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지중배전선 배치 트레이장치
KR10226280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US20030089818A1 (en) A reel for paying out elongate elements for interior cabling of buildings
KR100898145B1 (ko) 매설형 배전선로의 누전방지구조물
KR102178966B1 (ko)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
KR101177920B1 (ko) 특별 고압 한전 배전 선로의 지중 전선 연결용 커넥터
JP2019170125A (ja) 架線の撤去方法及び架線撤去用具
KR101647116B1 (ko) 지중케이블 파형관구획구를 이용한 파형관의 케이블 포설방법
JP6885062B2 (ja) 緊張材の配設方法
KR102085836B1 (ko) 광케이블 여유장 설치 장치 및 그의 설치 구조
AU2019100328A4 (en) Dewatering, test pumping and downhole monitoring system
KR20100053381A (ko) 케이블 유도 지지금구
JP2006288167A (ja) ケーブル架線用補助装置及びケーブル保持装置並びにケーブル架線方法
JP2008136267A (ja) 線部材の敷設方法
CN210898320U (zh) 一种建筑电气工程穿线施工装置
CN217334849U (zh) 电缆敷设转角工具
KR101800025B1 (ko) 광복합 전력 케이블용 광 접속함
CN218968547U (zh) 简易盘线装置
KR102521124B1 (ko) 지중배전선 손상확인이 용이한 지중배전선 접속형 커넥터
KR102040057B1 (ko) 맨홀 내 지중 케이블 포설 장치
JPH11230410A (ja) 管路の布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