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966B1 -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966B1
KR102178966B1 KR1020200048680A KR20200048680A KR102178966B1 KR 102178966 B1 KR102178966 B1 KR 102178966B1 KR 1020200048680 A KR1020200048680 A KR 1020200048680A KR 20200048680 A KR20200048680 A KR 20200048680A KR 102178966 B1 KR102178966 B1 KR 102178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building
duct body
cable
wir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봉석
Original Assignee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filed Critical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Priority to KR1020200048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중간 높이에서 일정 높이가 신축 가능하도록 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단부와 하단부는 외측으로 연장시킨 플랜지면간 볼트 체결되도록 하면서 상하 맞춤 조립되도록 하는 덕트 본체; 상기 플랜지면의 하부측 외주면을 감싸면서 양단부가 건물 외벽에 매설되는 앵커 볼트에 결합 고정되는 링형 고정 밴드; 서로 다른 직경으로 구비되면서 상호 겹쳐지도록 한 일단부간은 이탈방지되게 연결되는 상부 배선관과 하부 배선관으로 이루어지며, 각 층별 갯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면서 각 층에는 하나의 하부 배선관 상단부가 상기 덕트 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건물 외벽에 형성한 케이블 인입홀에 삽입되도록 하는 층별 배선관; 상기 덕트 본체의 내주면에 고정되면서 상부 배선관들의 외주면들과 접합되도록 하여 상부 배선관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배선관 고정판; 상기 덕트 본체의 내주면에 고정되면서 하부 배선관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여 하부 배선관들이 승강 가능하게 안내되도록 하는 동시에 하부 배선관들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배선관 가이드판; 상기 건물 외벽으로 삽입되는 상기 하부 배선관의 단부측에는 하부 배선관을 통해 인출되는 케이블이 상기 덕트 본체측으로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케이블 인입홀에 구비하는 브레이크 롤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Duct structure for wiring UTP cable for exterior wall installation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층별 높이로 형성되는 덕트 본체를 결합하면서 그 내부에 배설되는 각 층별 배선관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각 층의 UTP 케이블을 배선관과 덕트 본체에 의해 이중으로 보호되게 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유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용 케이블로서 이용되는 UTP 케이블은 구리 등의 도체를 절연체로 피복하여 구성된 도선들을 나선형으로 꼬아 페어유닛을 만들고, 이러한 개개의 페어 유닛들을 복수 개 모아 다시 피복한 형태로 구성된다.
UTP 케이블은 예컨대 랜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의 구축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비차폐 연선 케이블로서, 절연피복된 두 개의 도선이 서로 나선형으로 꼬인 도선의 페어유닛이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UTP 케이블은 최근 ATM 및 이더넷 등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그 정보 전송능력 증대가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송능력 증대를 구현하는 방향으로 개발 보완되어 왔다.
한편,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은 예를 들어 동 별로 단자함을 설치하여 통신사로부터 회선을 인가받고, 단자함에서 각 동별 세대에 UTP 케이블을 분기함으로 전화, 인터넷 등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케이블들은 건물 각 층에 공급되기 때문에 정리되지 않을 경우 서로 얽히게 되어 건물 외관을 해치게 되고, 건물 저층의 공급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고층의 공급에는 어려움이 없어 설치상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기존 고층건물의 각 층에 공급되기 때문에 정리되지 않을 경우 서로 얽히게 되어 건물 외관을 해치게 되고, 건물 저층의 공급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고층의 공급에는 어려움이 있어 설치 상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 고층건물의 각 층에 새로운 케이블을 배선할 때는 케이블 전체를 옥상으로 이동하여 옥상에서부터 하층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 층에 각 케이블을 배선하였고, 또한 지하에 매설되는 케이블을 각 층으로 공급할 때는 케이블의 단부에 노끈을 연결하여 이 노끈을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각 층에 케이블을 배선하였다.
한편, 건물 벽체의 외부에 배선줄이나 배선기구들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 제0213249호(2000.11.30.)에 의해서 트렁킹 닥트가 제안되도록 함으로써 벽체의 필요한 부분 또는 벽체와 기둥이 접하는 모서리 부분에 접착제로 부착하거나 못을 사용하여 고정설치하고 내부에 전기선이나 전화선들 을 배선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각종 배선기구(스위치, 콘센트 등)도 박스없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0826918호(2011.10.28.)의 공동주택 외벽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에 의해서는 외부의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로 용이하게 UTP 케이블을 분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안한 바 있다.
즉, 외부와 차단되도록 한 덕트 본체의 내부를 통해 케이블들이 통과하도록 하면서 특히, 후자의 기술에서는 덕트 본체간은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고, 덕트 본체의 내부에는 각 세대에 케이블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 분기수단인 모듈러가 장착되도록 하며, 이러한 덕트 본체는 인장재에 의해서 공동주택의 외벽에 일정 압력으로 압착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배선용 덕트는 모듈러를 통해 케이블이 분기되면서 각 세대에 케이블이 공급되는 부위를 방수 조임너트를 이용하여 연결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외부로 노출되는 방수 조임너트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식되어 외부로부터 빗물 등이 침입할 수가 있고, 인장재를 이용하여 외벽측으로 압착시키는 설치 작업은 매우 난해할 뿐만 아니라 외벽에서의 지지력이 크지 않아 결국 논슬립 핀에 의해서 고정하게 되므로 설치 작업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실용신안등록 제0213249호(2000.11.30.) (문헌 2) 등록특허 제0826918호(2011.10.2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덕트 본체의 단부간 상호 맞춤 조립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하면서 각 덕트 본체는 일부의 길이가 신축성을 갖도록 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설치를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덕트 본체의 내부로 각 층별 및 세대별로 공급되는 UTP 케이블을 배선하는 배선관이 별도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케이블 설치와 교체를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는, 중간 높이에서 일정 높이가 신축 가능하도록 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단부와 하단부는 외측으로 연장시킨 플랜지면간 볼트 체결되도록 하면서 상하 맞춤 조립되도록 하는 덕트 본체; 상기 플랜지면의 하부측 외주면을 감싸면서 양단부가 건물 외벽에 매설되는 앵커 볼트에 결합 고정되는 링형 고정 밴드; 서로 다른 직경으로 구비되면서 상호 겹쳐지도록 한 일단부간은 이탈방지되게 연결되는 상부 배선관과 하부 배선관으로 이루어지며, 각 층별 갯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면서 각 층에는 하나의 하부 배선관 상단부가 상기 덕트 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건물 외벽에 형성한 케이블 인입홀에 삽입되도록 하는 층별 배선관; 상기 덕트 본체의 내주면에 고정되면서 상부 배선관들의 외주면들과 접합되도록 하여 상부 배선관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배선관 고정판; 상기 덕트 본체의 내주면에 고정되면서 하부 배선관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여 하부 배선관들이 승강 가능하게 안내되도록 하는 동시에 하부 배선관들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배선관 가이드판; 상기 건물 외벽으로 삽입되는 상기 하부 배선관의 단부측에는 하부 배선관을 통해 인출되는 케이블이 상기 덕트 본체측으로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케이블 인입홀에 구비하는 브레이크 롤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덕트 본체는 건물의 층간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배선관 고정판에는 판면에 상기 상부 배선관들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배선관 가이드판에는 판면에 상기 하부 배선관들의 외경보다는 큰 직경으로 관통홀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에 의해 각 덕트 본체를 쉽게 연결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덕트 본체의 일부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각 층별로 케이블을 공급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맞출 수가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층별로 공급되는 케이블들을 각각의 배선관들을 통해 공급되게 함으로써 케이블들의 안전하고 정확한 배선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덕트 본체와 배선관에 의해 UTP 케이블을 이중으로 보호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보다 안전한 UTP 케이블 보호 및 유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를 예시한 덕트 본체의 반단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에서 덕트 본체간 결합 구조를 예시한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의 덕트 본체를 건물 외벽에 고정하는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에서 배선관을 고정하는 구성을 예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에서 브레이크 롤러의 형성 구조를 예시한 평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를 예시한 덕트 본체의 반단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의 측단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덕트 본체(10)와 링형 고정 밴드(20)와 배선관(30)과 배선관 고정판(40)과 배선관 가이드판(50)와 브레이크 롤러(6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덕트 본체(10)는 일정 높이로 이루어지면서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한 통형의 구성이며, 다만 덕트 본체(10)의 중간 높이에는 일정 높이가 신축 가능하도록 벨로우즈(11)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일정 높이에 대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덕트 본체(10)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덕트 본체(10)간 상하 맞춤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일정 폭이 외측으로 수평 절곡되게 연장시켜 플랜지면(12)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덕트 본체(10)간 상단부와 하단부간 플랜지면(12)끼리는 주연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볼트와 너트에 의해서 상호 결합되도록 한다.
다만, 덕트 본체(10)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내주면이 도 3에서와 같이 상호 대응하는 방향으로 단차지도록 하여 상하로 맞춤 조립되도록 한다.
즉, 덕트 본체(10)간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맞춤 조립되는 동시에 플랜지면(12)을 따라 볼트(13)와 너트(14)의 체결에 의해 상호 고정되도록 한다.
덕트 본체(10)에서의 플랜지면(12)은 건물 외벽측으로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덕트 본체(10)가 건물 외벽에 밀착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하부간 덕트 본체(10)를 연결한 플랜지면(12)의 하단부에는 링형 고정 밴드(20)가 구비되도록 한다.
링형 고정 밴드(20)는 덕트 본체(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양단부는 도 4에서와 같이 건물 외벽(70)에 매설되는 앵커 볼트(71)에 결합 고정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건물 외면(70)에는 미리 복수의 앵커 볼트(71)가 매설되도록 하여 링형 고정 밴드(20)의 양단부가 너트 체결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다만, 앵커 볼트(71)는 브라켓트에 의해 건물 외벽(70)에서 보다 견고하게 매립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덕트 본체(10)의 내부에는 각 층별 갯수와 동일한 수의 배선관(30)이 형성되도록 한다.
각 배선관(30)은 동일 수직선상에서 서로 다른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배선관(31)과 하부 배선관(32)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배선관(31)의 하단부는 일부가 하부 배선관(32)의 상단부 내부에 일부 삽입되어 상호 겹쳐지도록 하고, 다만 상호 겹치는 일단부간은 분리가 방지되게 함으로써 상부 배선관(31)과 하부 배선관(32)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하부 배선관(32)은 하단부가 덕트 본체(10)의 하단부보다는 길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수의 배선관(30)들 중 하나의 배선관(30)은 각 층에서 하부 배선관(32)의 상단부가 건물 외벽(70)측으로 절곡되게 하여 덕트 본체(10)를 관통해서 건물 외벽(70)에 형성한 케이블 인입홀(72)에 단부가 삽입되도록 한다.
배선관(30)은 하나 이상의 UTP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덕트 본체(10)의 내부에 배설되는 각 배선관(30)들 중 상부 배선관(31)들은 외주연 단부가 도 5에서와 같이 덕트 본체(10)의 내주면에 고정되도록 한 배선관 고정판(40)을 관통하면서 배선관 고정판(40)에 고정되도록 한다.
즉, 배선관 고정판(40)에는 일정 간격으로 상부 배선관(31)들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와 직경의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하여 이 관통홀을 통해 상부 배선관(31)들이 관통하면서 고정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각 상부 배선관(31)들은 배선관 고정판(40)에 의해서 덕트 본체(10)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 배설된다.
또한, 배선관(30)들 중 하부 배선관(32)들은 배선관 가이드판(5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배선관 가이드판(50)은 배선관 고정판(40)과 동일하게 덕트 본체(10)에 고정되고, 다만 배선관 가이드판(50)에는 각 하부 배선관(32)들이 승강 가능하게 하부 배선관(32)들의 직경보다는 큰 관통홀을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부 배선관(31)은 배선관 고정판(40)에 의해서 덕트 본체(10)에 고정되는 구성인데 반해 하부 배선관(32)은 배선관 가이드판(50)에 의해서 상부 배선관(31)과 덕트 본체(10)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다만, 배선관 고정판(40)과 배선관 가이드판(50)은 덕트 본체(10)의 내부에서 일정 높이를 이격시켜 각각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건물 외벽(70)에 형성되는 케이블 인입홀(72)에 삽입되는 하부 배선관(32)의 단부측 케이블 인입홀(72)에는 브레이크 롤러(60)가 구비되도록 한다.
브레이크 롤러(60)는 도 6에서와 같이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롤러(61)가 스프링(미도시)의 탄성에 의해서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덕트 본체(10)로부터 케이블(80)이 인출되어 이들 한 쌍의 롤러(61)들 사이를 통과할 때에는 한 쌍의 롤러(61)들간 간격은 벌어지고, 반대 방향으로 케이블(80)이 이동할 때는 한 쌍의 롤러(61)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케이블(80)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케이블(80)이 덕트 본체(10)가 구비되는 방향으로 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브레이크 롤러(60)는 각 층별로 케이블(80)을 인입시킬 대는 원활하게 이동할 수가 있으나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려고 하면 케이블(80)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케이블(80)을 덕트 본체(10)측으로 인출시키고자 할 때에는 케이블(80)을 브레이크 롤러(60)로부터 벗어나도록 한 상태에서 덕트 본체(10) 방향으로 밀어 넣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건축물 외벽 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를 이용한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건축물 외벽 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외벽으로 설치되는 UTP 케이블 배선 및 보호를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덕트 본체(10)는 층간 높이로서 형성되도록 하면서 높이 중간 부분에는 벨로우즈(11)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하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된다.
덕트 본체(10)의 내부에는 상부의 배선관 고정판(40)과 하부의 배선관 가이드판(50)에 의해서 각 층수와 동일한 갯수의 배선관(30)이 배설되도록 한다.
다만, 덕트 본체(10)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호 맞춤 결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 배선관(30)은 하부 배선관(32)의 하단부가 상부 배선관(31)의 상단부에서 내부로 일부 삽입되면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한다.
이렇게 덕트 본체(10)와 배선관(30)을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덕트 본체(10)의 일측을 관통하여 돌출 연장되는 하부 배선관(32)이 건물 외벽(70)에 각 층별로 형성한 케이블 인입홀(72)에 정확히 맞춤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덕트 본체(10)은 연결부간 플랜지면(12) 하부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한 링형 고정 밴드(20)가 건물 외벽(70)에 매설한 앵커 볼트(71)와의 결합에 의해 건물 외벽(70)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배선관(30)들이 결합된 덕트 본체(10)를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부에서 하나씩 연결하기만 하면 덕트 본체(10)와 함께 각 배선관(30)들도 동일하게 연결되며, 덕트 본체(10)의 하단부와 상단부의 플랜지면(12)으로 볼트(90)와 너트(91)를 사용하여 연결하기만 하면 건물 외벽(70)에서 견고하고 안정된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설치된 덕트 구조에는 각 층에서 케이블 인입홀(72)을 통해 하부 배선관(32)으로 케이블(80)이 삽입되어 건물 최하층의 단자함(미도시)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각 케이블(80)들은 각 층의 하부 배선관(32)을 통해서 배설되도록 하므로 단자함에서 각 케이블(80)들을 정확하게 선별할 수가 있으므로 각 층별 케이블 관리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각 케이블(80)들이 배선관(30)과 덕트 본체(10)에 의해 이중으로 보호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비 또는 눈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게 되므로 보다 안전한 케이블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덕트 본체
11 : 벨로우즈 12 : 플랜지면
20 : 링형 고정 밴드
30 : 배선관
31 : 상부 배선관 32 : 하부 배선관
40 : 배선캡 고정판
50 : 배선관 가이드판
60 : 브레이크 홀더
70 : 건물 외벽
71 : 앵커 볼트 72 : 케이블 인입홀
80 : 케이블

Claims (3)

  1. 중간 높이에서 일정 높이가 신축 가능하도록 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단부와 하단부는 외측으로 연장시킨 플랜지면간 볼트 체결되도록 하면서 상하 맞춤 조립되도록 하는 덕트 본체;
    상기 플랜지면의 하부측 외주면을 감싸면서 양단부가 건물 외벽에 매설되는 앵커 볼트에 결합 고정되는 링형 고정 밴드;
    서로 다른 직경으로 구비되면서 상호 겹쳐지도록 한 일단부간은 이탈방지되게 연결되는 상부 배선관과 하부 배선관으로 이루어지며, 각 층별 갯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면서 각 층에는 하나의 하부 배선관 상단부가 상기 덕트 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건물 외벽에 형성한 케이블 인입홀에 삽입되도록 하는 층별 배선관;
    상기 덕트 본체의 내주면에 고정되면서 상부 배선관들의 외주면들과 접합되도록 하여 상부 배선관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배선관 고정판;
    상기 덕트 본체의 내주면에 고정되면서 하부 배선관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여 하부 배선관들이 승강 가능하게 안내되도록 하는 동시에 하부 배선관들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배선관 가이드판;
    상기 하부 배선관의 상기 건물 외벽으로 삽입되는 단부측에서 하부 배선관을 통해 인출되는 케이블을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롤러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서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면서 상기 덕트 본체측으로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케이블 인입홀에 구비하는 브레이크 롤러;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선관 고정판에는 판면에 상기 상부 배선관들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배선관 가이드판에는 판면에 상기 하부 배선관들의 외경보다는 큰 직경으로 관통홀을 형성하는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 본체는 건물의 층간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는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
  3. 삭제
KR1020200048680A 2020-04-22 2020-04-22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 KR102178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680A KR102178966B1 (ko) 2020-04-22 2020-04-22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680A KR102178966B1 (ko) 2020-04-22 2020-04-22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966B1 true KR102178966B1 (ko) 2020-11-13

Family

ID=73398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680A KR102178966B1 (ko) 2020-04-22 2020-04-22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9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240B1 (ko) * 2020-08-21 2021-03-19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KR102526408B1 (ko) * 2022-11-08 2023-05-02 (주)이룸이앤씨 건축물 외벽설치용 통신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3249B1 (ko) 1996-10-10 1999-08-02 윤종용 반도체 메모리셀의 레이아웃
JP2004088991A (ja) * 2002-07-03 2004-03-18 Sekisui Chem Co Ltd 通信ケーブル引き出し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ケーブル分岐用管継手
KR100607472B1 (ko) * 2006-02-28 2006-08-02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 전선보호덕트
KR100805074B1 (ko) * 2007-09-13 2008-02-20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826918B1 (ko) 2008-02-04 2008-05-06 (주)청우엔지니어링 건축물의 전기 배선용 덕트
KR100827603B1 (ko) * 2007-12-24 2008-05-07 석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건축물의 벽면 내부에 설치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
KR100889498B1 (ko) * 2008-02-21 2009-03-19 (주)일신전기감리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945943B1 (ko) * 2009-09-30 2010-03-05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JP2010144448A (ja) * 2008-12-19 2010-07-01 Misawa Homes Co Ltd 建物の配線構造
KR20130004809U (ko) * 2012-02-01 2013-08-09 백운환 조립가구용 고정지주의 하부관체와 상부관체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3249B1 (ko) 1996-10-10 1999-08-02 윤종용 반도체 메모리셀의 레이아웃
JP2004088991A (ja) * 2002-07-03 2004-03-18 Sekisui Chem Co Ltd 通信ケーブル引き出し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ケーブル分岐用管継手
KR100607472B1 (ko) * 2006-02-28 2006-08-02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 전선보호덕트
KR100805074B1 (ko) * 2007-09-13 2008-02-20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827603B1 (ko) * 2007-12-24 2008-05-07 석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건축물의 벽면 내부에 설치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
KR100826918B1 (ko) 2008-02-04 2008-05-06 (주)청우엔지니어링 건축물의 전기 배선용 덕트
KR100889498B1 (ko) * 2008-02-21 2009-03-19 (주)일신전기감리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JP2010144448A (ja) * 2008-12-19 2010-07-01 Misawa Homes Co Ltd 建物の配線構造
KR100945943B1 (ko) * 2009-09-30 2010-03-05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KR20130004809U (ko) * 2012-02-01 2013-08-09 백운환 조립가구용 고정지주의 하부관체와 상부관체의 연결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240B1 (ko) * 2020-08-21 2021-03-19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KR102526408B1 (ko) * 2022-11-08 2023-05-02 (주)이룸이앤씨 건축물 외벽설치용 통신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966B1 (ko)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
US10094998B2 (en) Structure for directly leading down optical unit of OPPC optical fiber cab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2229240B1 (ko)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CN104242208A (zh) 一种架空输电线路双回电缆终端钢管杆
RU132467U1 (ru) Анкерно-угловая переходная опора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в кабельную линию
KR101930368B1 (ko) 입상 케이블 트레이용 슬리브의 무볼트 조인트 커넥터 장치
AU2020394594A1 (en) A system for guiding a dielectric cable from phase-to-ground potential
RU57324U1 (ru) Переходная опора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CN106856666B (zh) 高压输电线
KR101947739B1 (ko) 통신용 통신전주의 결속장치
KR101924115B1 (ko)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구조
KR101046397B1 (ko)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1206495B1 (ko)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JP4682016B2 (ja) 建屋内外部通信伝送路及び総合信号伝送システム
KR20180134664A (ko) 전주 방호 커버 및 이를 전주에 설치하는 방법
KR101129397B1 (ko) 고압선의 처짐방지장치
CN210430844U (zh) 一种办公家具走线系统
KR101056640B1 (ko) 통신용 광케이블 이격가설대
CN214124774U (zh) 一种风力发电机组与箱式变压器间电缆连接管道结构
CN215990116U (zh) 一种新型线管结构
KR101348175B1 (ko) 사이드 롤러를 구성한 배선용 케이블 트레이
JP3819961B2 (ja) 弱電用複合プレハブケーブル
CN212364666U (zh) 一种支撑式光缆引下保护管封堵装置
CN218603111U (zh) 架设电缆的套管
KR10226280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