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397B1 -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397B1
KR101046397B1 KR1020110048018A KR20110048018A KR101046397B1 KR 101046397 B1 KR101046397 B1 KR 101046397B1 KR 1020110048018 A KR1020110048018 A KR 1020110048018A KR 20110048018 A KR20110048018 A KR 20110048018A KR 101046397 B1 KR101046397 B1 KR 101046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nhole
voltage cable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태유
Original Assignee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8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구조물의 상,하,좌,우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맨홀의 크기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고압케이블을 보호하는 지지체가 하부로 처지지 않도록 하여 맨홀의 삽입공과 밀폐부재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맨홀의 내부에 물 또는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누수에 의한 누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는, 저면의 중앙부분이 개방된 레일홈이 형성되며, 양측면 끝단에 맨홀의 천장에 결합되는 결합날개가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레일홈에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더부와, 상기 슬라이더부의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상부 서포트와, 중공형태로서 내주연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서포트의 나선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맞물려 결합되는 하부 서포트와, 상기 하부 서포트의 하부에 커플링을 매개로 하여 결합되는 수직 결합부와, 상기 수직 결합부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지되, 일측 끝단 중앙부분에 내부공간과 연통되며 고압케이블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구비된 삽입홈이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위치조절 서포트부재와; 상기 위치조절 서포트부재를 구성하는 지지체의 삽입홈에 삽입고정되고, 일면이 상기 맨홀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의 일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맨홀의 삽입공에 삽입고정되어 이 삽입공을 밀폐시키는 고무재질의 밀폐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체의 관통홀과 동일한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밀폐부재와; 상기 위치조절 서포트부재를 구성하는 지지체의 하부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재;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CONNECTION APPARATUS FOR POWER-TRANSMISSION LINE OF TRANSFORMER SUBSTATION}
본 발명은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구조물의 상,하,좌,우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맨홀의 크기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고압케이블을 보호하는 지지체가 하부로 처지지 않도록 하여 맨홀의 삽입공과 밀폐부재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맨홀의 내부에 물 또는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누수에 의한 누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로부터 제공되고 있다.
즉, 변전소는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송전선로나 배전선로를 통하여 수용가에게 보내는 과정에서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위하여 설치되는 시설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변전소는 154KV, 23KV용 현장설비로 나뉘어지며, 23KV 변전소를 통해 각 부하(소비자)로 전기가 공급된다.
한편, 변전소는 통상 지상 구조를 갖고 있으나, 고압전선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른 위험성이 대두되면서 현재에는 집단 민원과 도시 미관을 해친다는 이유로 지하에 설치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하게 되면, 고압케이블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지형에 따라 절단한 후 다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최초에 설계한 고압케이블의 길이가 현장여건에 따라 더 소요되므로, 고압케이블을 더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또한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압케이블을 지중에서 연결하는 경우 지중에 맨홀을 설치하여, 고압케이블을 맨홀 내부에서 이음한다. 맨홀은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를 갖으며 둘레부에 고압케이블 이 관통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박스형 구조이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이 포함된다.
즉, 고압케이블을 맨홀의 통공을 통해 각각 맨홀의 안쪽으로 삽입하여 마주하는 단부를 접속한 후 테이프나 관형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이음한다.
이런 종래 기술의 지중 케이블 이음장치는, 맨홀의 통공은 고압케이블의 삽입을 위하여 고압케이블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하수가 통공을 통해 맨홀 내부에 유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맨홀 내부에 물이 고이게 되어 고압케이블의 이음부에 침투함으로써 누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맨홀은 고압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공간만을 마련하는 것이기 때문에 고압케이블의 이음부(맨홀에 지지되지 않은 분, 맨홀의 통공으로부터 먼 곳)가 하부로 처지게 되어 이음부에서 단선이 발생 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구조물의 상,하,좌,우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맨홀의 크기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고압케이블을 보호하는 지지체가 하부로 처지지 않도록 하여 맨홀의 삽입공과 밀폐부재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맨홀의 내부에 물 또는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누수에 의한 누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저면의 중앙부분이 개방된 레일홈이 형성되며, 양측면 끝단에 맨홀의 천장에 결합되는 결합날개가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레일홈에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더부와, 상기 슬라이더부의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상부 서포트와, 중공형태로서 내주연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서포트의 나선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맞물려 결합되는 하부 서포트와, 상기 하부 서포트의 하부에 커플링을 매개로 하여 결합되는 수직 결합부와, 상기 수직 결합부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지되, 일측 끝단 중앙부분에 내부공간과 연통되며 고압케이블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구비된 삽입홈이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위치조절 서포트부재와; 상기 위치조절 서포트부재를 구성하는 지지체의 삽입홈에 삽입고정되고, 일면이 상기 맨홀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의 일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맨홀의 삽입공에 삽입고정되어 이 삽입공을 밀폐시키는 고무재질의 밀폐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체의 관통홀과 동일한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밀폐부재와; 상기 위치조절 서포트부재를 구성하는 지지체의 하부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재;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는,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구조물의 상,하,좌,우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맨홀의 크기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고압케이블을 보호하는 지지체가 하부로 처지지 않도록 하여 맨홀의 삽입공과 밀폐부재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맨홀의 내부에 물 또는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누수에 의한 누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의 설치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 질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의 설치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는, 고정틀(10)과, 위치조절 서포트부재(20)와, 밀폐부재(30)와, 처짐방지부재(40)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 고정틀(10)은 저면의 중앙부분이 개방된 레일홈(11)이 형성되며, 양측면 끝단에는 맨홀(1)의 천장에 앙카볼트 및 너트를 통해 결합되는 결합날개(12)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틀(10)은 길이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부분에는 처짐방지부재(40)의 바디부(41)가 개재되어 결합날개(42)를 통해 볼팅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 이격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위치조절 서포트부재(20)는 슬라이더부(21)와, 상부 서포트(22)와, 하부 서포트(23)와, 지지체(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더부(21)는 고정틀(10)의 레일홈(11)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제작되어 상기 레일홈(11)에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상기 레일홈(11)의 바닥면 및 슬라이더부(21)에 볼트를 순차적으로 체결하면 상기 슬라이더부(21)를 고정틀(10)의 레일홈(11)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서포트(22)는 슬라이더부(21)의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슬라이더부(21)와 함께 양방향으로 이동되며,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서포트(23)는 중공형태로서 내주연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서포트(22)의 나선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맞물려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부(21)와 상부 서포트(22)와 함께 양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지지체(24)는 수직 결합부(25)와 수평부(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ㅗ"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관체로서, 상기 수직 결합부(25)는 하부 서포트(23)의 하부에 커플링(29)을 매개로 하여 결합되어 지지체(24)가 하부 서포트(23)와 함께 양방향으로 상,하 방향 및 양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수평부(26)는 수직 결합부(25)의 하단에서 양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지되, 일측 끝단에는 중앙부분에 내부공간과 연통되며 고압케이블(3)이 관통되는 관통홀(28)이 구비된 삽입홈(2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체(24)의 수평부(26)는 그 끝단이 맨홀(1)의 내부공간에서 또 다른 지지체(24)의 수평부(26) 끝단과 용접 또는 볼팅결합될 수 있으며, 만약, 맨홀(1)의 경간이 수평부(26)의 끝단이 맞닿을 수 있는 길이보다 길 경우 연결관을 상기 수평부(26)의 사이에 연결결합하여 고압케이블(3)을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30)는 밀착판(31)과, 밀폐링(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착판(31)은 위치조절 서포트부재(20)를 구성하는 지지체(24)의 삽입홈(27)에 삽입고정되고, 일면이 상기 맨홀(1)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밀폐링(32)은 일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맨홀(1)의 삽입공(2)에 삽입고정되어 이 삽입공(2)을 밀폐시키는 것으로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밀폐부재(30)에는 고압케이블(3)이 관통될 수 있도록 지지체(24)의 관통홀(28)과 동일한 위치에 관통홀(33)이 형성된다.
상기 처짐방지부재(40)는 바디부(41), 지지부(43)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부(41)는 고정틀(10)의 길이방향 중 일정간격 이격된 부분에 개재되며, 양측 상단에 외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고정틀(10)의 결합날개(12)에 볼팅결합되는 결합날개(4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43)는 바디부(41)의 저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하단부에 상기 지지체(24)를 구성하는 수평부(26)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지지체(24)를 지지하는 지지링(44)이 구비된다.
예컨대, 상기 지지링(44)은 맨홀(1)의 경간이 수평부(26)의 끝단이 맞닿을 수 있는 길이보다 길어 수평부(26)의 사이에 연결관이 연결결합되었을 경우 상기 수평부(26)와 연결관이 이음되는 부분에 장착될 것이다.
상기에서 지지부(43)는 지지체(24)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하부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와이어 또는 PS 강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체(24)의 하부 처짐을 방지하여 맨홀(1)의 삽입공(2)과 밀폐부재(30)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맨홀(1)의 내부에 물 또는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누수에 의한 누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1 : 맨홀 2 : 삽입공
3 : 고압케이블 10 : 고정틀
11 : 레일홈 12,42 : 결합날개
20 : 위치조절 서포트부재 21 : 슬라이더부
22 : 상부 서포트 23 : 하부 서포트
24 : 지지체 25 : 수직 결합부
26 : 수평부 27 : 삽입홈
28, 33 : 관통홀 29 : 커플링
30 : 밀폐부재 31 : 밀착판
32 : 밀폐링 40 : 처짐방지부재
41 : 바디부 43 : 지지부
44 : 지지링

Claims (2)

  1. 저면의 중앙부분이 개방된 레일홈(11)이 형성되며, 양측면 끝단에 맨홀(1)의 천장에 결합되는 결합날개(12)가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고정틀(10)과;
    상기 고정틀(10)의 레일홈(11)에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더부(21)와, 상기 슬라이더부(21)의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상부 서포트(22)와, 중공형태로서 내주연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서포트(22)의 나선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맞물려 결합되는 하부 서포트(23)와, 상기 하부 서포트(23)의 하부에 커플링(29)을 매개로 하여 결합되는 수직 결합부(25)와, 상기 수직 결합부(25)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지되, 일측 끝단 중앙부분에 내부공간과 연통되며 고압케이블(3)이 관통되는 관통홀(28)이 구비된 삽입홈(27)이 형성되는 수평부(26)를 포함하는 지지체(24)로 이루어지는 위치조절 서포트부재(20)와;
    상기 위치조절 서포트부재(20)를 구성하는 지지체(24)의 삽입홈(27)에 삽입고정되고, 일면이 상기 맨홀(1)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판(31)과, 상기 밀착판(31)의 일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맨홀(1)의 삽입공(2)에 삽입고정되어 이 삽입공(2)을 밀폐시키는 고무재질의 밀폐링(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체(24)의 관통홀(28)과 동일한 위치에 관통홀(33)이 형성되는 밀폐부재(30)와;
    상기 위치조절 서포트부재(20)를 구성하는 지지체(24)의 하부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재(40);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방지부재(40)는, 양측 상단에 외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고정틀(10)의 결합날개(12)에 결합되는 결합날개(42)가 구비된 바디부(41)와, 상기 바디부(41)의 저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하단부에 상기 지지체(24)를 구성하는 수평부(26)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지지체(24)를 지지하는 지지링(44)이 구비되며, 와이어 또는 PS 강봉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20110048018A 2011-05-20 2011-05-20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1046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018A KR101046397B1 (ko) 2011-05-20 2011-05-20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018A KR101046397B1 (ko) 2011-05-20 2011-05-20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6397B1 true KR101046397B1 (ko) 2011-07-05

Family

ID=44923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018A KR101046397B1 (ko) 2011-05-20 2011-05-20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3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302B1 (ko) 2018-08-29 2019-03-08 주식회사 남해이엔지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 장치
KR102031113B1 (ko) * 2019-05-15 2019-10-11 (주)중앙기술단 지중 배전선로의 지하수 유입 차단장치
KR102180692B1 (ko) * 2020-04-24 2020-11-19 (주)성우엔지니어링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263B1 (ko) 2007-08-22 2007-11-22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0846136B1 (ko) 2008-04-07 2008-07-14 (유)전일기술단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0920147B1 (ko) 2009-05-06 2009-10-05 (주)간삼파트너스 종합건축사사무소 배전용 배관파이프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263B1 (ko) 2007-08-22 2007-11-22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0846136B1 (ko) 2008-04-07 2008-07-14 (유)전일기술단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0920147B1 (ko) 2009-05-06 2009-10-05 (주)간삼파트너스 종합건축사사무소 배전용 배관파이프 지지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302B1 (ko) 2018-08-29 2019-03-08 주식회사 남해이엔지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 장치
KR102031113B1 (ko) * 2019-05-15 2019-10-11 (주)중앙기술단 지중 배전선로의 지하수 유입 차단장치
KR102180692B1 (ko) * 2020-04-24 2020-11-19 (주)성우엔지니어링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263B1 (ko)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0983015B1 (ko)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
KR101046397B1 (ko)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2362838B1 (ko) 변압기용 이동식 기초대
KR102315996B1 (ko) 변전소의 송배전 선로 연결장치
KR102592403B1 (ko) 배전용 접지시설
KR102178966B1 (ko)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구조
KR101177920B1 (ko) 특별 고압 한전 배전 선로의 지중 전선 연결용 커넥터
US9225156B2 (en) Conduit spacer assembly
KR101859753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전선 분리구 결합구조
US20230307899A1 (en) Ground Level Primary Electric Distribution System
KR100775849B1 (ko) 전주용 접지판
KR101380413B1 (ko)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
KR101016055B1 (ko) 송전, 변전, 배전, 고압케이블용 지중선로 매설장치
KR100904384B1 (ko)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연결관 이음장치
KR101129397B1 (ko) 고압선의 처짐방지장치
CN104393426B (zh) 一种降低接地导体间电位差的方法及其装置
CN202503234U (zh) 一种地下变电站电缆孔洞的封堵装置
KR101030351B1 (ko)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새 누수처리 장치
CN205944844U (zh) 一种带伸高座的箱式变电站
CN211980392U (zh) 一种全封闭式变压器出线结构
KR100905126B1 (ko) 지중 매설 고압선 지지대
CN204946960U (zh) 一种蓄电池装置
CN212543335U (zh) 一种电力工程用管道
CN205370107U (zh) 一种变电站高压设备区专用自由拆装固定式安全围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