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136B1 -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136B1
KR100846136B1 KR1020080032045A KR20080032045A KR100846136B1 KR 100846136 B1 KR100846136 B1 KR 100846136B1 KR 1020080032045 A KR1020080032045 A KR 1020080032045A KR 20080032045 A KR20080032045 A KR 20080032045A KR 100846136 B1 KR100846136 B1 KR 100846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high voltage
fixed
protrusion
ma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삼
Original Assignee
(유)전일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전일기술단 filed Critical (유)전일기술단
Priority to KR1020080032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3Boxes split longitudinally in main cable dir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케이블이 맨홀 내부로 유입되는 좌우측관로공에 각각 삽입고정되는 밀폐돌부가 형성되고, 중심측에 고압케이블이 관통되는 유입공이 형성되며, 맨홀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원판을 갖는 고무재질의 좌우측밀폐링과; 양측단에는 상기 좌우측밀폐링의 밀착원판을 각각 감싸 고정되고 유입공 연장선상에 유입통공을 갖는 고정원판이 형성되되, 고정원판 외측면 전후방측에는 좌우측수평지지바 일단의 걸림판이 각각 축회동가능하게 걸림고정되는 회동걸림턱을 갖는 전후방측지지돌부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고정원판 외측면 후방측에는 회동걸림턱을 갖는 하측지지돌부가 형성되며, 좌우측수평지지바 타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좌우측수평지지바 사이에 위치되어 양측단은 나사부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역나사부를 갖고 중심측에는 상측으로 체결볼트가 기립되는 고정바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좌우측수평지지바의 타단 나사부가 나사결합되고 타측에는 고정바의 역나사부가 각각 나사결합되어 정회동되면 간격을 벌리고 역회동되면 간격을 좁하는 좌우측양방향너트가 각각 형성되는 전후방측밀폐지지바와; 일단은 상기 밀착원판의 하측지지돌부 내측에 위치되어 회동걸림턱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걸림고정되는 걸림판을 갖고, 타단부에는 나사부를 갖는 좌우측회동볼트바가 각각 형성되되, 직육면체로 좌우측에는 상기 좌우측회동볼트바의 나사부가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좌우측나사홀을 각각 갖고, 좌우측 상면에는 중심측으로 좌우측안착요부를 각각 갖는 하부받침대와; 상기 하부받침대 상측에 위치되어 고압케이블의 통전이 이루어지는 직육면체로 하단에는 상기 하부받침대 좌우측안착요부에 대응되어 원형을 이루는 반원요부를 갖는 밀착돌부가 형성되고, 하단 전후방측 중간에는 상기 고정바 체결볼트가 하측에서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을 갖는 체결돌부가 형성되며, 하단에서 내측으로는 상기 좌우측밀폐링의 유입공과 상기 고정원판의 유입통공을 통해 유입된 고압케이블이 하부에서 수직삽입되는 좌우측수직공이 각각 형성되되 좌우측수직공 상단에는 좌우측수직공으로 삽입된 고압케이블의 선단이 외피가 박피된 상태로 삽입되어 접촉됨으로써 통전이 이루어지는 좌우측통전요홈을 갖는 도체인 통전대가 위치되어 좌우측에서 각각 볼트공을 통해 삽입된 고정볼트 선단의 고무봉에 의해 통전되지 않게 고정지지되는 상부컨넥터를 구비하는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압케이블이 연결되는 맨홀의 관로공을 완강히 밀폐고정시켜 지하수가 맨홀 내부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지하수의 침투에 의한 누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고압케이블의 이음부가 하부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여 고압케이블의 단선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좌우측밀폐링, 전후방측밀폐지지바, 하부받침대, 상부컨넥터

Description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CONNECTION APPARATUS FOR POWER-TRANSMISSION LINE OF TRANSFORMER SUBSTATION}
본 발명은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압케이블이 연결되는 맨홀의 관로공을 완강히 밀폐고정시켜 지하수가 맨홀 내부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지하수의 침투에 의한 누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고압케이블의 이음부가 하부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여 고압케이블의 단선을 막을 수 있는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로부터 제공되고 있다.
즉, 변전소는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송전선로나 배전선로를 통하여 수용가에게 보내는 과정에서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위하여 설치되는 시설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변전소는 154KV, 23KV용 현장설비로 나뉘어지며, 23KV 변전소를 통해 각 부하(소비자)로 전기가 공급된다.
한편, 변전소는 통상 지상 구조를 갖고 있으나, 고압전선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른 위험성이 대두되면서 현재에는 집단 민원과 도시 미관을 해친다는 이유로 지 하에 설치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하게 되면, 고압케이블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지형에 따라 절단한 후 다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최초에 설계한 고압케이블의 길이가 현장여건에 따라 더 소요되므로, 고압케이블을 더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또한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압케이블을 지중에서 연결하는 경우 지중에 맨홀을 설치하여, 고압케이블을 맨홀 내부에서 이음한다.
맨홀은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를 갖으며 둘레부에 고압케이블 이 관통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박스형 구조이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이 포함된다.
즉, 고압케이블을 맨홀의 통공을 통해 각각 맨홀의 안쪽으로 삽입하여 마주하는 단부를 접속한 후 테이프나 관형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이음한다.
이런 종래 기술의 지중 케이블 이음장치는, 맨홀의 통공은 고압케이블의 삽입을 위하여 고압케이블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하수가 통공을 통해 맨홀 내부에 유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맨홀 내부에 물이 고이게 되어 고압케이블의 이음부에 침투함으로써 누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맨홀은 고압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공간만을 마련하는 것이기 때문에 고압케이블의 이음부(맨홀에 지지되지 않은 분, 맨홀의 통공으로부터 먼 곳)가 하부로 처지게 되어 이음부에서 단선이 발생 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압케이블이 연결되는 맨홀의 관로공을 완강히 밀폐고정시켜 지하수가 맨홀 내부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지하수의 침투에 의한 누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고압케이블의 이음부가 하부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여 고압케이블의 단선을 막을 수 있는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압케이블이 맨홀 내부로 유입되는 좌우측관로공에 각각 삽입고정되는 밀폐돌부가 형성되고, 중심측에 고압케이블이 관통되는 유입공이 형성되며, 맨홀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원판을 갖는 고무재질의 좌우측밀폐링과;
양측단에는 상기 좌우측밀폐링의 밀착원판을 각각 감싸 고정되고 유입공 연장선상에 유입통공을 갖는 고정원판이 형성되되, 고정원판 외측면 전후방측에는 좌우측수평지지바 일단의 걸림판이 각각 축회동가능하게 걸림고정되는 회동걸림턱을 갖는 전후방측지지돌부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고정원판 외측면 후방측에는 회동걸림턱을 갖는 하측지지돌부가 형성되며, 좌우측수평지지바 타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좌우측수평지지바 사이에 위치되어 양측단은 나사부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역나사부를 갖고 중심측에는 상측으로 체결볼트가 기립되는 고정바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좌우측수평지지바의 타단 나사부가 나사결합되고 타측에는 고정바의 역나사부가 각각 나사결합되어 정회동되면 간격을 벌리고 역회동되면 간격을 좁하는 좌우측양방향너트가 각각 형성되는 전후방측밀폐지지바와;
일단은 상기 밀착원판의 하측지지돌부 내측에 위치되어 회동걸림턱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걸림고정되는 걸림판을 갖고, 타단부에는 나사부를 갖는 좌우측회동볼트바가 각각 형성되되, 직육면체로 좌우측에는 상기 좌우측회동볼트바의 나사부가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좌우측나사홀을 각각 갖고, 좌우측 상면에는 중심측으로 좌우측안착요부를 각각 갖는 하부받침대와;
상기 하부받침대 상측에 위치되어 고압케이블의 통전이 이루어지는 직육면체로 하단에는 상기 하부받침대 좌우측안착요부에 대응되어 원형을 이루는 반원요부를 갖는 밀착돌부가 형성되고, 하단 전후방측 중간에는 상기 고정바 체결볼트가 하측에서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을 갖는 체결돌부가 형성되며, 하단에서 내측으로는 상기 좌우측밀폐링의 유입공과 상기 고정원판의 유입통공을 통해 유입된 고압케이블이 하부에서 수직삽입되는 좌우측수직공이 각각 형성되되 좌우측수직공 상단에는 좌우측수직공으로 삽입된 고압케이블의 선단이 외피가 박피된 상태로 삽입되어 접촉됨으로써 통전이 이루어지는 좌우측통전요홈을 갖는 도체인 통전대가 위치되어 좌우측에서 각각 볼트공을 통해 삽입된 고정볼트 선단의 고무봉에 의해 통전되지 않게 고정지지되는 상부컨넥터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압케이블이 연결되는 맨홀의 관로공을 완강히 밀폐고정시켜 지하수가 맨홀 내부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지하수의 침투에 의 한 누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고압케이블의 이음부가 하부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여 고압케이블의 단선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는, 맨홀(50)의 좌우측관로공(51,51a)을 통해 유입되는 고압케이블(60,60a) 간의 틈새를 밀폐시키는 좌우측밀폐링(10,10a)과, 좌우측밀폐링(10,10a)을 외측으로 밀어 밀폐력을 유지시키는 전후방측밀폐지지바(20,20a)와, 좌우측회동볼트바(33,33a)에 의해 지지되어 고압케이블(60,60a)의 하부를 지지하여 받혀주는 하부받침대(30)와, 전후방측밀폐지지바(20,20a)에 의해 고정결합되어 고압케이블(60,60a) 수직삽입된 상태에서 통전상태를 유지시키는 상부컨넥터(40)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밀폐링(10,10a)은 고무재질로 고압케이블(60,60a)이 맨홀(50) 내부로 유입되는 좌우측관로공(51,51a)에 각각 삽입고정되는 밀폐돌부(13)가 각각 형성되고, 중심측에 고압케이블(60,60a)이 관통되는 유입공(12)이 형성되며, 맨홀(50)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원판(11)을 각각 갖는다.
상기 전후방측밀폐지지바(20,20a)는 양측단에는 상기 좌우측밀폐링(10,10a)의 밀착원판(11)을 각각 감싸 고정되고 유입공(12) 연장선상에 유입통공(24a)을 갖는 고정원판(24)이 형성되되, 고정원판(24) 외측면 전후방측에는 좌우측수평지지바(23,23a) 일단의 걸림판(23c)이 각각 축회동가능하게 걸림고정되는 회동걸림턱(25b)을 갖는 전후방측지지돌부(25,25a)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고정원판(24) 외측면 후방측에는 회동걸림턱(26a)을 갖는 하측지지돌부(26)가 형성되며, 좌우측수평지지바(23,23a) 타단부에는 나사부(23b)가 각각 형성되고, 좌우측수평지지바(23,23a) 사이에 위치되어 양측단은 나사부(23b)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역나사부(21b,21c)를 각각 갖고 중심측에는 상측으로 체결볼트(21a)가 기립되는 고정 바(21)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좌우측수평지지바(23,23a)의 타단 나사부(23b)가 나사결합되고 타측에는 고정바(21)의 역나사부(21b,21c)가 각각 나사결합되어 정회동되면 간격을 벌리고 역회동되면 간격을 좁하는 좌우측양방향너트(22,22a)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하부받침대(30)는 일단은 상기 밀착원판(11)의 하측지지돌부(26) 내측에 위치되어 회동걸림턱(26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걸림고정되는 걸림판(33c)을 갖고, 타단부에는 나사부(33b)를 갖는 좌우측회동볼트바(33,33a)가 각각 형성되되, 직육면체로 좌우측에는 상기 좌우측회동볼트바(33,33a)의 나사부(33b)가 각각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좌우측나사홀(32,32a)을 각각 갖고, 좌우측 상면에는 중심측으로 반원형상의 좌우측안착요부(31,31a)를 각각 갖는다.
상기 상부컨넥터(40)는 상기 하부받침대(30) 상측에 위치되어 고압케이블(60,60a)의 통전이 이루어지는 직육면체로 하단에는 상기 하부받침대(30) 좌우측안착요부(31,31a)에 대응되어 원형을 이루는 반원요부(45a)를 갖는 밀착돌부(45)가 형성되고, 하단 전후방측 중간에는 상기 고정바(21) 체결볼트(21a)가 하측에서 삽입되어 너트(46b)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46a)을 갖는 체결돌부(46)가 형성되며, 하단에서 내측으로는 상기 좌우측밀폐링(10,10a)의 유입공(12)과 상기 고정원판(24)의 유입통공(24a)을 통해 유입된 고압케이블(60,60a)이 하부에서 수직삽입되는 좌우측수직공(42,42a)이 각각 형성되되 좌우측수직공(42,42a) 상단에는 좌우측수직공(42,42a)으로 삽입된 고압케이블(60,60a)의 선단이 외피(61)가 각각 박피된 상태로 삽입되어 접촉됨으로써 통전이 이루어지는 좌우측통전요홈(41a,41b)을 갖는 도체인 통전대(41)가 위치되어 좌우측에서 각각 볼트공(44a,44b)을 통해 삽입된 고정볼트(43,43a) 선단의 고무봉(43b)에 의해 통전되지 않게 고정지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맨홀(50) 내측에서 좌우측밀폐링(10,10a)에 의해서 좌우측관로공(51,15a)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후방측밀폐바(20,20a)에 의해 밀폐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하부받침대(30)를 좌우측회동볼트바(33,33a)에 의해 고정지지한 상태에서 상부컨넥터(40) 좌우측수직공(45,45a) 내부로 고압케이블(60,60a)의 선단 외피(61)를 박리한 상태로 삽입시켜 내부의 도체인 통전대(41) 좌우측통전요홈(41a,41b)에 각각 삽입시키면 고압케이블(60,60a)은 각각 통전연결되어진다.
이 상태에서 전후방측밀폐지지바(20,20a)의 고정바(21) 체결볼트(21a)에 체결고정시키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 : 좌우측밀폐링 11 : 밀착원판
12 : 유입공 13 : 밀폐돌부
20,20a : 전후방측밀폐지지바 21 : 고정바
21a : 체결볼트 21b,21c : 역나사부
22,22a : 좌우측양방향너트 23,23a : 좌우측수평지지바
23b : 나사부 23c : 걸림판
24 : 고정원판 24a : 유입통공
25,25a : 전후방측지지돌부 25b : 회동걸림턱
26 : 하측지지돌부 26a : 회동걸림턱
30 : 하부받침대 31,31a : 좌우측안착요부
32,32a : 좌우측나사홀 33,33a : 좌우측회동볼트바
33b : 나사부 33c : 걸림판
40 : 상부컨넥터 41 : 통전대
41a,41b : 좌우측통전요홈 42,42a : 좌우측수직공
43,43a : 고정볼트 43b : 고무봉
44,44a : 볼트공 45 : 밀착돌부
45a : 반원요부 46 : 체결돌부
46a : 체결공 46b : 너트
50 : 맨홀 51,51a : 좌우측관로공
60,60a : 고압케이블 61 : 외피

Claims (1)

  1. 고압케이블이 맨홀 내부로 유입되는 좌우측관로공에 각각 삽입고정되는 밀폐돌부가 형성되고, 중심측에 고압케이블이 관통되는 유입공이 형성되며, 맨홀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원판을 갖는 고무재질의 좌우측밀폐링과;
    양측단에는 상기 좌우측밀폐링의 밀착원판을 각각 감싸 고정되고 유입공 연장선상에 유입통공을 갖는 고정원판이 형성되되, 고정원판 외측면 전후방측에는 좌우측수평지지바 일단의 걸림판이 각각 축회동가능하게 걸림고정되는 회동걸림턱을 갖는 전후방측지지돌부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고정원판 외측면 후방측에는 회동걸림턱을 갖는 하측지지돌부가 형성되며, 좌우측수평지지바 타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좌우측수평지지바 사이에 위치되어 양측단은 나사부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역나사부를 갖고 중심측에는 상측으로 체결볼트가 기립되는 고정바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좌우측수평지지바의 타단 나사부가 나사결합되고 타측에는 고정바의 역나사부가 각각 나사결합되어 정회동되면 간격을 벌리고 역회동되면 간격을 좁하는 좌우측양방향너트가 각각 형성되는 전후방측밀폐지지바와;
    일단은 상기 밀착원판의 하측지지돌부 내측에 위치되어 회동걸림턱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걸림고정되는 걸림판을 갖고, 타단부에는 나사부를 갖는 좌우측회동볼트바가 각각 형성되되, 직육면체로 좌우측에는 상기 좌우측회동볼트바의 나사부가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좌우측나사홀을 각각 갖고, 좌우측 상면에는 중심측으로 좌우측안착요부를 각각 갖는 하부받침대와;
    상기 하부받침대 상측에 위치되어 고압케이블의 통전이 이루어지는 직육면체로 하단에는 상기 하부받침대 좌우측안착요부에 대응되어 원형을 이루는 반원요부를 갖는 밀착돌부가 형성되고, 하단 전후방측 중간에는 상기 고정바 체결볼트가 하측에서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을 갖는 체결돌부가 형성되며, 하단에서 내측으로는 상기 좌우측밀폐링의 유입공과 상기 고정원판의 유입통공을 통해 유입된 고압케이블이 하부에서 수직삽입되는 좌우측수직공이 각각 형성되되 좌우측수직공 상단에는 좌우측수직공으로 삽입된 고압케이블의 선단이 외피가 박피된 상태로 삽입되어 접촉됨으로써 통전이 이루어지는 좌우측통전요홈을 갖는 도체인 통전대가 위치되어 좌우측에서 각각 볼트공을 통해 삽입된 고정볼트 선단의 고무봉에 의해 통전되지 않게 고정지지되는 상부컨넥터를 구비하는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20080032045A 2008-04-07 2008-04-07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0846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045A KR100846136B1 (ko) 2008-04-07 2008-04-07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045A KR100846136B1 (ko) 2008-04-07 2008-04-07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136B1 true KR100846136B1 (ko) 2008-07-14

Family

ID=3982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045A KR100846136B1 (ko) 2008-04-07 2008-04-07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13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469B1 (ko) 2009-09-01 2009-12-30 오대영 변전용 특고압 인입전선 커넥터
KR101046397B1 (ko) 2011-05-20 2011-07-05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1204403B1 (ko) 2012-09-13 2012-11-26 김규현 진동흡수 구조를 갖는 송배전 케이블 연결 장치
KR101204407B1 (ko) 2012-09-13 2012-11-26 (주)성화이엔지 배전용 단락 케이블 보강부재
KR101873957B1 (ko) * 2017-02-10 2018-07-04 서천전기공사(주) 변전소의 절연용 방호구 설비
KR102091825B1 (ko) 2019-10-31 2020-03-20 주식회사 제이케이이엔지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CN113314918A (zh) * 2021-05-31 2021-08-27 国网河南省电力公司南阳供电公司 一种高空压接辅助装置
CN117810900A (zh) * 2024-02-29 2024-04-02 山东大地机电设备安装有限公司 一种用于机电安装的电缆组合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527Y1 (ko) 2002-04-26 2002-07-22 김창만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KR100769715B1 (ko) 2007-08-29 2007-10-29 진우전기감리(주) 감전방지용 지중배전함의 절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527Y1 (ko) 2002-04-26 2002-07-22 김창만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KR100769715B1 (ko) 2007-08-29 2007-10-29 진우전기감리(주) 감전방지용 지중배전함의 절연구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469B1 (ko) 2009-09-01 2009-12-30 오대영 변전용 특고압 인입전선 커넥터
KR101046397B1 (ko) 2011-05-20 2011-07-05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1204403B1 (ko) 2012-09-13 2012-11-26 김규현 진동흡수 구조를 갖는 송배전 케이블 연결 장치
KR101204407B1 (ko) 2012-09-13 2012-11-26 (주)성화이엔지 배전용 단락 케이블 보강부재
KR101873957B1 (ko) * 2017-02-10 2018-07-04 서천전기공사(주) 변전소의 절연용 방호구 설비
KR102091825B1 (ko) 2019-10-31 2020-03-20 주식회사 제이케이이엔지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CN113314918A (zh) * 2021-05-31 2021-08-27 国网河南省电力公司南阳供电公司 一种高空压接辅助装置
CN113314918B (zh) * 2021-05-31 2022-08-09 国网河南省电力公司南阳供电公司 一种高空压接辅助装置
CN117810900A (zh) * 2024-02-29 2024-04-02 山东大地机电设备安装有限公司 一种用于机电安装的电缆组合装置
CN117810900B (zh) * 2024-02-29 2024-05-07 山东大地机电设备安装有限公司 一种用于机电安装的电缆组合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136B1 (ko)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US3624594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1995975B1 (ko) 배전 전주용 접지판
KR100777263B1 (ko)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WO2017024931A1 (zh) 快速插拔电缆分支箱
EP1381117A3 (en) Subsea connector
JP2005295792A (ja) 流体が充填されたモータを貫通する電気導体と、そのシール方法
KR101777411B1 (ko) 송배전 고압케이블의 인입장치구조
KR102315996B1 (ko) 변전소의 송배전 선로 연결장치
KR101873957B1 (ko) 변전소의 절연용 방호구 설비
KR100884331B1 (ko) 공동주택용 전선 보호관 연결구조
KR100674262B1 (ko) 변전소 고압케이블 접속부 누수방지구조
CA2996545A1 (en) Fire-rated three-way splice assembly
KR101222614B1 (ko) 케이블 곡률반경 축소용 접속장치와 이를 이용한 케이블 곡률반경 축소 접속시공방법
US11146048B2 (en) Service entrance head and methods
CN205207925U (zh) 管线侧固定封堵器
KR102290377B1 (ko) 변전소의 누전 감시장치
KR100704366B1 (ko) 고압케이블 고정밴드
CN110212460A (zh) 超导电缆的牵引连接装置
KR100904384B1 (ko)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연결관 이음장치
KR101046397B1 (ko)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1204407B1 (ko) 배전용 단락 케이블 보강부재
CN214043522U (zh) 一种新型的户外真空断路器
CN101378182B (zh) 屏蔽型可分离直形连接器
CN110581383B (zh) 单芯电缆接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12